KR200219627Y1 -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27Y1
KR200219627Y1 KR2019980019834U KR19980019834U KR200219627Y1 KR 200219627 Y1 KR200219627 Y1 KR 200219627Y1 KR 2019980019834 U KR2019980019834 U KR 2019980019834U KR 19980019834 U KR19980019834 U KR 19980019834U KR 200219627 Y1 KR200219627 Y1 KR 200219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handle
mounting structure
handle moun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212U (ko
Inventor
한경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19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27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내부면에 장착되는 내부손잡이의 재질을 완충력을 갖으며 종래의 장착보스가 배제된 탄성 재질로 성형하여, 이 성형된 내부손잡이를 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어 측면 충돌시에도 승객에게 완충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시킨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손잡이의 재질을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성형하여, 이 성형된 내부 손잡이를 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측면 충돌시에도 승객에게 완충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시킨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면에는 승차한 승객이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내부 손잡이가 장착되어진다.
첨부한 도 2는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의 통상적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상기 내부 손잡이(10b)의 재질은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손잡이(10b)는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트림(12)의 일정부위에 오목하게 곡면 형성시킨 장착부에 장착되어진다.
한편, 상기 내부손잡이(10b)의 양쪽에는 후부로 돌출된 중공형 장착보스(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보스(22)는 내부손잡이(10b)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관통된 구멍으로 보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트림(12)의 장착부에 상기 내부손잡이(10b)를 밀착시키면 스크류 구멍이 뚫어진 상기 장착보스(22)가 도어트림(12)을 관통하여 도어패널(20)면에 밀착되는 바, 이어서 첨부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보스(22)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스크류를 삽입하여 상기 장착보스(22)의 후단과 상기 도어 패널(20)면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부 손잡이(10b)가 장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부 손잡이(10b)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내부 손잡이(10b)의 양쪽 전면에는 장착보스(22)의 구멍이 노출되어 있어 외관상 좋지 않고, 또한 상기 내부손잡이(10b)의 재질이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도어 측면 충돌시(도 3에서 충돌방향 A)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내부손잡이(10b)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장착보스(22)가 도어 측면 충돌시 실내로 밀려드는 도어 패널과 트림에 의해 밀리게 되고, 동시에 내부 손잡이(10b)가 실내로 돌출되며 승객에게 충격을 가해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어 트림내부손잡이의 재질을 완충력을 갖으며 종래의 장착보스가 배제된 탄성 재질로 성형하여, 이 성형된 내부손잡이를 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어 측면 충돌시에도 승객에게 완충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시킨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자동차용 도어에서 내부 손잡이가 설치된 부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에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내부손잡이 12:도어 외부 트림
14:도어 내부 트림 16:보강 브라켓
18:보강재 20:도어 내부 패널
22:장착보스 A:충돌 방향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보강재(18)의 양쪽단이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내재시켜 사출 성형시킨 탄성재질의 내부 손잡이(10a)를 구비하여, 내부 손잡이(10b)가 장착될 부위의 도어트림(12) 전면 양쪽에 상기 보강재(18)의 양단을 외관상 보이지 않게 밀착시키는 동시에 도어트림(12)의 후면에 밀착시킨 보강 브라켓(16)의 양단과 체결시키고, 상기 보강재(18)가 후면에 밀착된 도어트림(12)의 전면 중앙과 보강재(18) 뒤쪽에 위치되는 도어패널(20)을 서로 체결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손잡이(10a)의 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열경화성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손잡이(10a)의 양측면으로 양단이 돌출되며 내부에 일체 성형된 상기 보강재(18)의 재질은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내부 손잡이(10a)는 재질을 탄성력을 갖는 열경화성 고무로 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내부에는 보강재(18)가 일체로 내재되어 사출 성형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재(18)는 상기 내부손잡이(10a)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재되는 바, 내부 손잡이 양측면으로 상기 보강재(18)의 양단이 도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보강재(18)의 재질은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사출 성형된 내부 손잡이(10a)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부 손잡이(10a)는 도어 내부트림면의 일정부위에 설치되는 바, 첨부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트림(12)면상의 내부 손잡이(10a) 장착부는 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내부 손잡이(10a)를 상기 도어트림(12)의 장착부에 끼우게 되는데, 장착부를 제외한 도어트림(12)의 외부면과 평행을 이루며 끼워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장착부에 끼워진 내부손잡이(10a)의 양측에는 보강재(18)의 양단이 돌출되어 있는 바, 이 보강재(18)의 양단이 상기 도어트림(12)의 양쪽 전면에 밀착되어진다.
상기 도어트림(12)의 양쪽 전면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보강재(18)의 양단이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도어트림(12)의 장착부 후면에는 동일하게 곡면진 형상의 보강브라켓(16)이 밀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18)의 양단과, 도어트림(12)의 양쪽단과, 상기 보강브라켓(16)의 양단이 일치되어 밀착된 상태가 되는 바, 이것들을 스크류를 사용하여 체결시킴으로서, 상기 내부손잡이(10a)가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내부 손잡이(10a)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내부 손잡이(10a)에 의하여 도어트림(12)의 전면 중앙부가 가리워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상기 보이지 않는 도어트림(12)의 전면 중앙부를 통하여 후면에 밀착된 보강브라켓(16)과, 그 뒤의 도어패널(20)까지 스크류를 관통시켜 삽입 체결함으로써, 내부 손잡이(10a)의 장착부로서 오목하게 곡면진 도어트림(12)과 도어패널(20)이 체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내부 손잡이(10a)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어 측면 충돌(도 1에서 충돌 방향 A)이 발생하게 될 경우, 상기 도어패널(20)이 실내로 돌출하게 되지만, 이 도어패널(20)이 도어트림(12)의 중앙부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트림(12)은 도어패널(20)의 돌출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손잡이(10a)는 상기와 같이 돌출되거나 깨지게 되는 도어트림(12)과 도어패널(20)의 충격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물론 승객도 내부 손잡이(10a)가 그대로 있기 때문에 내부 손잡이(10a)에 의한 충격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승객이 상기 내부 손잡이(10a)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내부손잡이(10a)의 재질이 탄성을 지닌 고무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완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에 의하면, 내부 손잡이를 탄성력을 지닌 고무재로 사출 성형한 후, 도어트림의 장착부위에 보강브라켓을 덧데어 장착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도어측면 충돌에도 내부손잡이가 전혀 이탈되지 않고 완충울 제공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내부손잡이는 종래의 내부 손잡이에 일체로 된 장착보스가 배제된 것으로서, 외관상 장착구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손잡이 장착구조에 있어서, 보강재(18)의 양쪽단이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내재시켜 사출 성형시킨 탄성재질의 내부 손잡이(10a)를 구비하여, 내부 손잡이(10b)가 장착될 부위의 도어트림(12) 전면 양쪽에 상기 보강재(18)의 양단을 외관상 보이지 않게 밀착시키는 동시에 도어트림(12)의 후면에 밀착시킨 보강 브라켓(16)의 양단과 체결시키고, 상기 보강재(18)가 후면에 밀착된 도어트림(12)의 전면 중앙과 보강재(18) 뒤쪽에 위치되는 도어패널(20)을 서로 체결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손잡이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손잡이(10a)의 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열경화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손잡이(10a)의 양측면으로 양단이 돌출되며 내부에 일체 성형된 상기 보강재(18)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손잡이 장착구조.
KR2019980019834U 1998-10-16 1998-10-16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KR200219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34U KR200219627Y1 (ko) 1998-10-16 1998-10-16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34U KR200219627Y1 (ko) 1998-10-16 1998-10-16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12U KR20000008212U (ko) 2000-05-15
KR200219627Y1 true KR200219627Y1 (ko) 2001-05-02

Family

ID=6971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834U KR200219627Y1 (ko) 1998-10-16 1998-10-16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12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6107A1 (en) Door lining for a vehicle door
KR20021962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내부 손잡이 장착구조
CN110466447B (zh) 车门装饰件
KR101179989B1 (ko) 자동차용 필라트림
KR200155387Y1 (ko) 도어 암레스트 구조
KR20120004173U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조립구조
KR0139848Y1 (ko) 사이드 임펙트의 충격 강화 에어백 센서 설치구조
KR0115913Y1 (ko) 도어 암레스트의 흔들림 흡수 구조
KR100558731B1 (ko) 차량의 사이드 몰딩
KR200161583Y1 (ko) 자동차의 범버 보강재 취부용 브라킷
KR100219086B1 (ko) 자동차용 후드 밀림 방지구조
KR200160223Y1 (ko) 자동차 도어트림 충격흡수구조
KR100569960B1 (ko) 차량 도어의 암레스트 측면 충격약화 구조
JPS5820406Y2 (ja) 自動車用パネル補強部材
KR950003310Y1 (ko) 자동차 범퍼의 파이프형 에너지 업서버
KR200157407Y1 (ko) 차량용 범퍼
KR200211057Y1 (ko) 차량의 트림 구조체
KR19980046500U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로텍터 취부구조
KR970003661Y1 (ko) 승용차용 도어의 하부코너 보강구조
KR0129215Y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용 도어
KR200181750Y1 (ko) 자동차의 터스크 범퍼 결합구조
KR200143668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디포짓 박스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KR200143141Y1 (ko) 자동차 리어범퍼의 하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