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47Y1 -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47Y1
KR200217047Y1 KR2020000028333U KR20000028333U KR200217047Y1 KR 200217047 Y1 KR200217047 Y1 KR 200217047Y1 KR 2020000028333 U KR2020000028333 U KR 2020000028333U KR 20000028333 U KR20000028333 U KR 20000028333U KR 200217047 Y1 KR200217047 Y1 KR 200217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waste tires
connector
prot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8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47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환경 오염원으로 되는 폐타이어의 재활용을 통해 도로 상의 돌출물 방호에 적합한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를 제공한다.
구성 : 도로상의 시설물 주변에 배치되어 차량의 추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있어서, 중심부에 안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볼트 삽통공(14)과 볼트 체결공(16)이 구비된 중간연결체(4)와 마감연결체(6)에 의해 통상의 폐타이어(2)가 다수 동심상으로 겹쳐져 일체로 조합된 구성으로 된다.
효과 :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자원 재활용 효과가 크고, 또 폐타이어 특유의 고탄력성이 차량 추돌 시에 완충 작용으로 나타나서 종래의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비하여 안전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protecter for load institution}
본 고안은 도로 상에 설치하여 차량의 교통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도로 상의 돌출부나 진입 금지 구역 등에 설치되는 방호체를 종래에 산업 폐기물로 취급되고 있는 폐타이어로 구성하여 환경 오염원의 자원 재활용을 도모하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관한 것이다.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로서 범용화되고 있는 것은 철제 파이프를 A프레임 상으로 만든 것을 도로 상의 돌출 시설물이나 차량 진입 금지 구역 등에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은 차량 추돌 시 반력에 의한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콘크리트 장벽 시설물도 실용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추돌 시에 탑승자가 받게 되는 충격은 상기 철제 방호체 보다도 더욱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에 도로 상에 적치되는 방호체는 차량의 추돌 시에 생기는 반탄력이 탑승자에게 치명적 충격을 가하지 않는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충족하는 소재로는 고무가 최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고무로 방호체를 성형하려면 재료비는 물론이고 일정 형태의 성형물을 얻기 위한 금형을 준비해야 하는 관계로 그 비용이 막대하게 된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0-19684, 19685, 19686호를 통해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구조의 교통 안전 시설물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실용신안은 대형의 방호체로 성형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한편, 폐타이어는 폐기 시 쉽게 부패하지 않고 환경 오염원으로 남는 것이나 고무 특유의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도로 상의 시설물 방호체로 활용하면 대단히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방호체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크기가 작은 문제가 있어 다수를 연결시켜야 할 필요가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폐타이어를 도로 상의 시설물 방호체로 활용함에 있어서, 다수를 일체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상의 시설물 주변에 배치되어 차량의 추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있어서, 중심부에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볼트 삽통공과 볼트 체결공이 구비된 중간연결체와 마감연결체에 의해 통상의 폐타이어가 다수 동심상으로 겹쳐져 일체로 조합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마감연결체는 실질적으로 중간연결체를 2분할한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 상기 마감연결체는 그 외측으로 설치될 수 있는 집체패널에 의해 적어도 3개 이상이 일체로 집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을 분리상으로 도시하고 있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결매개체의 평면도.
도 3은 중간 연겨매개체와 편면 연결매개체에 의한 폐타이어의 연결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연결 조립된 본 고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방호체를 다수 조합시킨 구성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폐타이어 4 : 중간연결체
6 : 마감연결체 10 : 안착부
14 : 볼트 삽통공 16 : 볼트 체결공
20 : 집체패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분리상태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통상의 폐타이어(2)는 다수가 동축상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며, 각 폐타이어(2) 사이에는 중간연결체(4)가 각각 개재됨과 동시에 겹쳐진 폐타이어(2)의 상측과 하측에는 마감연결체(6)가 부착된다. 중간연결체(4)는 중심부 상하측면에 상기 폐타이어(2)의 중심 구멍과 일치하는 크기로 안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부(10)는 상기 마감연결체(6)에서는 일측면에만 부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감연결체(6)는 실제에 있어서 중간연결체(4)를 1/2 등분시킨 형상으로 되는 것이며, 이들의 중심 사이는 통상의 볼트(12)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볼트(10)에 의한 조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간연결체(4)와 마감연결체(6)에는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볼트 삽통공(14)과 역시 같은 수의 볼트 체결공(16)이 같은 반경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폐타이어(2)가 동심상으로 겹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즉, 폐타이어(2)는 중간연결체(4)와 마감연결체(6) 사이에서 안착부(10)에 의해 부동상으로 고정된 채 보전되고, 상기 볼트 삽통공(14)을 통해 볼트(12)를 삽입하여 볼트 체결공(16)으로 나사맞춤 시킴으로써 상기 각 폐타이어(2)는 일체로 결합되어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당한 중량을 지니게 되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는 폐타이어(2)의 외주 트레드 부분에 형광테이프 또는 발광 도료로 안전 표식(18)을 부가시켜 사용하는 것이며, 사용 중에는 폐타이어(2) 자체가 지니는 고탄력에 의한 완충 작용으로 차량 추돌 시 차량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도로 시설물도 보호하여 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관련된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는 상기 설명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집체패널(20)에 의해 3개의 조립된 방호체를 하나로 집체시킨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는 종래에 산업 폐기물로 취급되고 있던 폐타이어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자원 재활용 효과가 크고, 또 폐타이어 특유의 고탄력성이 차량 추돌 시에 완충 작용으로 나타나게 한 것이므로 종래의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비하여 안전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도로상의 시설물 주변에 배치되어 차량의 추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에 있어서,
    중심부에 안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볼트 삽통공(14)과 볼트 체결공(16)이 구비된 중간연결체(4)와 마감연결체(6)에 의해 통상의 폐타이어(2)가 다수 동심상으로 겹쳐져 일체로 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연결체(6)는 중간연결체(4)를 2분할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연결체(6)의 외측으로 집체패널(20)이 더 설치되어서 적어도 3개의 조립된 방호체를 일체로 집체시킨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KR2020000028333U 2000-10-11 2000-10-11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KR200217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33U KR200217047Y1 (ko) 2000-10-11 2000-10-11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33U KR200217047Y1 (ko) 2000-10-11 2000-10-11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47Y1 true KR200217047Y1 (ko) 2001-03-15

Family

ID=7308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33U KR200217047Y1 (ko) 2000-10-11 2000-10-11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7047Y1 (ko) 도로 시설물용 방호체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KR200166007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200255815Y1 (ko) 도로 터널입구용 방호벽
KR100549164B1 (ko)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200293172Y1 (ko) 커브 도로구간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시설
KR200272026Y1 (ko) 급커브도로 지하차도 옹벽보호를 위한 충격흡수시설
JP3006354U (ja) クッションドラム及びクッションポスト
KR200295900Y1 (ko)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0184979Y1 (ko) 도로용 안전방호대
US20220064882A1 (en) Module for road safety barrier and safety barrier made with said module
KR20023480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KR100915631B1 (ko)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239181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우레탄고무를 이용한 이동식충격흡수장치
KR200180156Y1 (ko) 도로 분리대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20086370A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300036Y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269770Y1 (ko) 도로 옹벽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441400B1 (ko) 완충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265872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13245Y1 (ko) 완충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100435472B1 (ko) 도로의 교통안전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