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007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007Y1
KR200166007Y1 KR2019970042902U KR19970042902U KR200166007Y1 KR 200166007 Y1 KR200166007 Y1 KR 200166007Y1 KR 2019970042902 U KR2019970042902 U KR 2019970042902U KR 19970042902 U KR19970042902 U KR 19970042902U KR 200166007 Y1 KR200166007 Y1 KR 200166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tire
vehicle
road structure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228U (ko
Inventor
김기택
Original Assignee
김창경
동부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경, 동부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창경
Priority to KR2019970042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0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007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분기지점등이나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차량충돌시에도 파손됨이 없도록 하는 페타이어를 이용한 차량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페타이어들의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를 서로 대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연결타이어(10)와, 상기 단위연결타이어(10)들의 수개를 상기 트레드(11a)가 외향을 향하도록 도로구조물(9) 둘레에 적층하여 고정시켜서 이루어지는 연결타이어군(20)과, 상기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지는 카바(30)를 둘러대서 도로구조물(9)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페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본 고안은 도로의 분기지점등이나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구조물에 설치되어 차량충돌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특히 도로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차량충돌시에도 구조물이 파손됨이 없도록 하는 페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분기지점등이나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교각등의 도로구조물에 차량충돌시 그 충격을 완화하여 주기 위하여 차량충격완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1a에서 도시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6호 공개번호 제95-9034호와 같은 도로구조물(1) 전방에 페타이어를 수용하는 보관함의 형태인 차량충격완화장치(2)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앞부분 보관함(3)내에는 "L"자형의 내부지지대를 설치하여 페타이어(5)를 볼트로 서로 연결고정시켜 적층시키고, 페타이어의 중심공간에는 모래등을 채우고, 뒷부분 보관함(4)은 물통 또는 염화칼슘보관함으로 사용하는 차량충격 완화장치를 도로구조물이나 도로상의 분기지점등 필요한 장소에 비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충격완화장치는 교각이나 가아드레일등의 도로구조물(1)에 근접하여 단순히 비치하는 정도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출돌시에 차량충격완화장치 및 보관함이 튕겨나가 수용되어 있던 페타이어(5)와 보관함(3)(4)들이 분리되어 도로주변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아 도로를 어지럽히는 쓰레기로 전락하게 되고, 또한 그러한 쓰레기로 전락한 조각들이 차량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어 2차적인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도1b에 도시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84호 공개번호 제95-6506호와 같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7)는 도로구조물인 교량진입용 교각 또는 가아드레일(6)등에 여러개의 폐타이어(5a)를 벨트(8)로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토록 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충격완화장치(7)는 여러개의 폐타이어(5a)가 벨트(8)로 가아드레일(6)등의 도로구조물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는 하나, 차량충돌시에 벨트(8)가 쉽게 끊어지고 폐타이어(5a)들이 분리되어 튕겨나가 도로주변에 방치되면서 차량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들이 되어 2차적인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도로가 분기되는 분기지점등이나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교각 또는 가아드레일 등의 도로구조물에 고정설치되어 차량충격에도 튕겨나가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페타이어를 이용하 차량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1b는 종래의 타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2는 본고안의 차량충격완화장치가 도로상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고안의 차량충격완화장치가 도로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
도4a는 연결타이어군이 양방도로구조물 전체 둘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4b는 연결타이어군이 일방도로구조물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며도.
도5는 반쪽 페타이어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6은 도5의 요부확대단면도.
도7은 카바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도로구조물 10 : 단위연결타이어
11 : 반쪽 페타이어 11a : 트레드
11b : 연결구멍 12 : 볼트
13 : 너트 14 : 와셔
20 : 연결타이어군 21 : 스틸밴드
30 : 카바 31 : 리벳
32 : 주의표지 40 : 덮개판
A : 양방도로구조물 B : 일방도로구조물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 페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는 도3, 도5 및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폐타이어들의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를 서로 대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연결타이어(10)와, 상기 단위연결타이어(10)들의 수개를 상기 트레드(11a)가 외향을 향하도록 도로구조물(9) 둘레에 적층하여 고정시켜서 이루어지는 연결타이어군(20)과, 상기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카바(30)를 둘러대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단위연결타이어(10)를 이루는 반쪽 폐타이어(11)들간의 연결부의 구조는 도5 및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폐타이어(11)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에 연결구멍(11b)을 뚫어서 그 연결구멍(11b)을 통하여 볼트(12)와 너트(13)로 체결하는 것으로 예시해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연결부의 구조는 도6에서와 같이 볼트머리부분과 너트부분에 각각 와셔(14)를 끼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충격시에 볼트(12) 및 너트(13)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지는 단위연결타이어(10)는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각·가아드레일 등의 도로구조물(9)외주면에 트레드(11a)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둘러대서 스틸밴드(21)를 둘러서 도로구조물(9)에 고정시키되 자동차의 범퍼높이 정도가 되게 4-5개 정도를 적층시켜 연결타이어군(20)을 이루게 된다.
이때 연결타이어군(20)들을 도로구조물(9)의 외주면에 둘러대서 고정시킬 때, 양끝부분들도 마찬가지로 연결구멍(11b)을 뚫어서 볼트(12)와 너트(13)로 연결하여 스틸밴드(12)로 도로구조물(9)에 둘러서 1차적으로 연결고정된다.
그후,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고무 또는 유연성의 합성수지판으로 만들어진 카바(30)를 연결타이어군(20)들의 외면에 둘러대서 양단부를 리벳등으로 연결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 카바(30)는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끝부분을 서로 겹쳐서 리벳(31)으로 체결할 수도 있으며, 그이외에 볼팅·핀·접착제등으로 부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타이어군(20)의 최상부에 고무제로 만들어지는 마감판(40)을 설치하는데, 연결타이어군(20)의 상부에 마감판(40)으로 덮음으로써 시각적으로 깨끗하게 보이면서도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카바(30)의 외면에는 위험경고를 표시하는 주의표지(32)를 나타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주의표지(32)는 통상적으로 검정색·노란색 등이 순차적으로 대비시켜 가면서 표시되며, 야간에도 전방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표시판을 전면에 고정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페타이어(11)들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를 서로 대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볼트(12)와 너트(13)로 연결된 단위연결타이어(10) 4-5개를 적층하여 연결타이어군(20)을 이루어 교각·가아드레일등의 도로구조물(9)에 스틸밴드(21)를 둘러서 1차적으로 고정시킨후,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지는 카바(30)를 둘러대서 그 양단을 고정시킴으로써 다시 도로구조물(9)에 2차적으로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로구조물(9)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단위연결타이어(10)들이 볼트(12)와 너트(13)로 연결되어 연결타이거군(20)을 이룬 후, 연결타이어군(20)의 양단사이를 스틸밴드(21)로 둘러서 1차적으로 연결고정시키고, 다시 2차적으로 연결타이어군(20)들을 카바(30)로 둘러서 도로구조물(9)에 고정시켜 주는 2중형식의 복수체결구조를 가짐으로써,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여 줄 뿐만 아니라, 다위연결타이어(10)들이 튕겨나가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은 연결타이어군(20)을 도로구조물(9)에 설치하는 형태는 크게 2가지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첫째는, 도2 및 4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들이 양방으로 통행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양방도로 구조물(a)의 경우에는 연결타이어군(20)을 도로구조물(9)의 전체 둘레에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둘째는, 도2 및 도4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들이 일방통행하는 일방도로 구조물(b)일 경우에는 연결타이어군(20)을 도로구조물(9)의 전방에만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방통행 도로의 경우에는 도로구조물(9)의 후방부위에 차량이 충돌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전방에만 연결타이어군(20)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로구조물(9)이 원형기둥으로만 예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나, 그외 4각기둥·6각기둥 등의 모든 구조물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충돌시에 폐타이어들이 분리되어 튕겨나가 도로주변에 방치되면서 차량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어 2차적인 교통사고를 유발시켰던 종래의 것들과는 달리,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폐타이어(11)들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를 서로 대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볼트(12)와 너트(13)로 연결된 단위연결타이어(10) 4-5개를 도로구조물(9)의 외주면에 적층하여 연결타이어군(20)을 이룬 후, 도로구조물에 1차적으로 스틸밴드(21)로 연결고정시키고,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카바(30)를 둘러대서 다시 2차적으로 도로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여 주는 것은 물론, 단위연결타이어(10)들이 튕겨나가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는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폐타이어간에 볼트와 너트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단위연결타이어들이 도로구조물의 외주면에 적층되어서 스틸밴드로 1차적으로 도로구조물에 고정되며, 다시 2차적으로 연결타이어군들에 카바를 씌워 연결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량충돌시에 단위연결타이어들이 튕겨나가거나 파손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절반으로 절단된 반쪽 폐타이어들의 양단부들의 중심부 트레드(11a)를 서로 대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연결타이어(10)와, 상기 단위연결타이어(10)들의 수개를 상기 트레드(11a)가 외향을 향하도록 도로구조물(9)의 외주면에 적층하여 고정시켜서 이루어지는 연결타이어군(20)과, 상기 연결타이어군(20)의 외주면에 둘러대서 고정되며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지는 카바(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타이어군(20)은 차량들이 양방통행 도로에서는 상기 도로구조물(9)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타이어군(20)은 차량들이 일방통행 도로에서는 상기 도로구조물(9)의 전방에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2019970042902U 1997-12-30 1997-12-30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200166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902U KR200166007Y1 (ko) 1997-12-30 1997-12-30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902U KR200166007Y1 (ko) 1997-12-30 1997-12-30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28U KR19990030228U (ko) 1999-07-26
KR200166007Y1 true KR200166007Y1 (ko) 2000-01-15

Family

ID=1951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902U KR200166007Y1 (ko) 1997-12-30 1997-12-30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0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88B1 (ko) * 2000-07-10 2003-01-29 금호엔지니어링 (주)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각 기초 구조물 축조 공법
KR100873935B1 (ko) * 2008-01-03 2008-12-12 주식회사 우전그린 교각용 충돌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28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007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101700417B1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1710167B1 (ko) 충격흡수식 이중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101378546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이드레일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305612Y1 (ko) 콘크리트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100191162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흡수 완화장치 및 다단계차량충격흡수완화시스템
KR200305611Y1 (ko) 다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100441400B1 (ko) 완충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100682125B1 (ko) 차량용 충격롤링흡수대
KR200324535Y1 (ko) 교각 보호 구조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369285Y1 (ko) 차량용 충격롤링흡수대
KR20017544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272026Y1 (ko) 급커브도로 지하차도 옹벽보호를 위한 충격흡수시설
KR200213245Y1 (ko) 완충물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295900Y1 (ko)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0228286Y1 (ko) 도로 지하차도 구조물 보호용 충격흡수시설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336657Y1 (ko) 지하도로 기둥 보호용 충격흡수 부재 구조
KR20037038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