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00Y1 -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00Y1
KR200295900Y1 KR2020020024170U KR20020024170U KR200295900Y1 KR 200295900 Y1 KR200295900 Y1 KR 200295900Y1 KR 2020020024170 U KR2020020024170 U KR 2020020024170U KR 20020024170 U KR20020024170 U KR 20020024170U KR 200295900 Y1 KR200295900 Y1 KR 200295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guardrail
fluorescent layer
present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권
김치형
Original Assignee
김조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권 filed Critical 김조권
Priority to KR2020020024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00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guard rail)에 다양한 형상의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야간 운전시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에도 총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형상의 형광층(21)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판넬(20)과 복합재료 외피(11)와 심재(12)로 구분되는 하이브리드 지주(10) 사이에 소정두께의 복합재료 완충부재(3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The fiber reinforced plastic guardrail formed fluorescent layer}
본 고안은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guard rail)에 다양한 형상의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야간 운전시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에도 총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차량의 탈선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양쪽에 설치한 방호책으로, 도로에 매설된 지주의 일측에 압연강재 가드레일을 볼트로 체결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압연강재 가드레일은 고강성으로 인하여 차량 충돌시 완충효과가 부재하며, 이로 인하여 가드레일 보다는 차량이 더 많이 파손되어 대형사고로 확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차량의 가드레일 충돌시 1차적으로 가드레일에 의한 소성변형(塑性變形)이 발생하며, 2차적으로 고정 지주에 의한 충돌하중의 지면 흡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압연강재 가드레일은 자체강성이 강해 충돌 에너지의 일부분만 소성변형에너지로 흡수하고 나머지는 운전자에게 2차적으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해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드레일의 색상이 단조로워 주변환경의 미관을 저해하고, 야간 운전시 식별력이 떨어져 안전 운행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비 등에 부식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들어 가드레일에 복합재료를 이용한 것(특허등록 제 236915 호)이 있으나, 이는 야간 운전시 사고예방을 위해 형광테잎이나 반사판을 부가적을 부착해야 함으로 이중의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형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형상의 복합재료 가드레일판넬과 하이브리드 지주에 복합재료 완충부재를 장착시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의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형광층으로 인하여 야간 운전시 안전 운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합재료의 경량성으로 인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우수한 시공성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또는 1b는 본 고안의 전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드레일판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또는 4b 또는 4c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지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볼트 2: 너트 3: 볼트체결공
10: 하이브리드 지주 11: 외피 12: 심재
13: 솔리드형 14: 파이프형 15: 격자형
20: 가드레일판넬 21: 형광층 30: 완충부재
가: 가드레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또는 1b는 본 고안의 전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드레일판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또는 4b 또는 4c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지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지주의 일측에 가드레일판넬(20)을 부착하여 볼트(1)와 너트(2)로 체결한 통상의 가드레일(가)에 있어서,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형광층(21)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판넬(20)과 복합재료 외피(11)와 심재(12)로 구분되는 하이브리드 지주(10) 사이에 소정두께의 복합재료 완충부재(3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에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도 4a 와 같이 솔리드형(13)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도 4b 와 같이 파이프형(14)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도 4c 와 같이 격자형(15)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는 볼트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도 1 또는 2에서와 같이 폐플라스틱 심재(12)의 외주연으로 복합재료 외피(11)가 형성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지주(10)를 도로에 매설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일측에는 복합재료로 형성된 완충부재(30)를 부착하며, 상기 완충부재(30)의 일측에는 소정 색상이나 도안의 형광층(21)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판넬(20)을 부착한 후, 상기 하이브리드 지주(10)와 완충부재(30) 및 가드레일판넬(2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체결공(3)을 통해 볼트(1)를 체결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복합재료의 내재적 특성인 낮은 강성과 취성으로 인하여 1차적으로 가드레일판넬(20)을 구성하는 고분지수지가 순차적으로 미세파손되며 이어 강화섬유가 파손되는데, 상기 강화섬유의 파손으로 대부분의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돌 반발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2차적으로 하이브리드 지주(10)와 가드레일판넬(20) 사이의 유연성 있는 복합재료 완충부재(30)가 가드레일판넬(20)을 통해 전달되는 충돌하중을 상당부분 흡수하게 되며, 3차적으로 완충부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잔존 충돌에너지를 유연성 재료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지주(10)가 완벽하게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가드레일(가)은 복합재료의 고강도, 고내식성, 고충격흡수성으로 인한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형광도안을 가드레일판넬(20) 제작시 소비자가 원하는 형상의 도안이나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어 야간 운전시 가드레일판넬(20)에서 발생되는 형광도안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며, 심재(12)를 재활용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자원 재활용과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복합재료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지주(10)와 완충부재(30)에 형광층(21)이 형성되어 있는 가드레일판넬(20)을 부착시킴으로써,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최대화시키고, 가드레일판넬(20)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층(21)을 통해 야간 운전시 안전운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는 환경친화적인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주(10)의 일측에 가드레일판넬(20)을 부착하여 볼트(1)와 너트(2)로 체결한 통상의 가드레일(가)에 있어서, 소정형상의 형광층(21)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재료 가드레일판넬(20)과 복합재료 외피(11)와 심재(12)로 구분되는 하이브리드 지주(10) 사이에 소정두께의 복합재료 완충부재(3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3.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솔리드형(13)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4.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파이프형(14)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5.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지주(10)의 심재(12)는 격자형(15)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20020024170U 2002-08-13 2002-08-13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0295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70U KR200295900Y1 (ko) 2002-08-13 2002-08-13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70U KR200295900Y1 (ko) 2002-08-13 2002-08-13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00Y1 true KR200295900Y1 (ko) 2002-11-23

Family

ID=7307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170U KR200295900Y1 (ko) 2002-08-13 2002-08-13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0234A1 (en) * 2003-04-07 2004-10-21 Joong Suk Park Guardrail for roads
KR101328677B1 (ko) 2013-04-23 2013-11-19 손호성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0234A1 (en) * 2003-04-07 2004-10-21 Joong Suk Park Guardrail for roads
KR101328677B1 (ko) 2013-04-23 2013-11-19 손호성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6711B1 (en) FRP panel for automobile
US9463759B1 (en) Underride guards
CN110374032B (zh) 一种易恢复型防车撞装置及防车撞桥梁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CN207862768U (zh) 一种高速公路桥梁双层防撞护栏
KR200295900Y1 (ko)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CN101980888A (zh) 安全保险杠
CN110714406A (zh) 应用于预应力混凝土桥梁的可转向预制frp防撞护栏
KR10037390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120056989A (ko)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가드레일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110105106A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CN1654745A (zh) 复合材料公路护栏
CN2771291Y (zh) 复合材料公路护栏
JP2005238836A (ja) Frp構造体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423780Y1 (ko) 장식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교량용 난간
KR20060025215A (ko) 차량 충격 보호 장치
EP3908699B1 (en) Module for road safety barrier and safety barrier made with said module
KR102429514B1 (ko) 태양광패널 부착용 완충부재를 구비한 차량 방호울타리
CN215361253U (zh) 一种行人保护的前盖结构
CN214459953U (zh) 一种公路护栏固定结构
KR200242749Y1 (ko) 중앙분리대의 안전커버구조
CN213625379U (zh) 一种公路护栏端头连接结构
KR20000017293U (ko) 충격 흡수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