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106A -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5106A KR20110105106A KR1020100024174A KR20100024174A KR20110105106A KR 20110105106 A KR20110105106 A KR 20110105106A KR 1020100024174 A KR1020100024174 A KR 1020100024174A KR 20100024174 A KR20100024174 A KR 20100024174A KR 20110105106 A KR20110105106 A KR 20110105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ard rail
- vehicle
- impact
- protective fence
- lower gu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21715 photosynthesis, light harvest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100040287 GTP cyclohydrolase 1 feedback regulatory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85324 GTP cyclohydrolase 1 feedback regulatory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NEPOXFFQSENCJ-UHFFFAOYSA-N haloperidol Chemical compound C1CC(O)(C=2C=CC(Cl)=CC=2)CCN1CCCC(=O)C1=CC=C(F)C=C1 LNEPOXFFQSEN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0 laminat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가드레일부의 주요부재로서 유리섬유와 수지를 적층한 복합소재를 사용하며, 복합소재는 강재에 비해 강도는 비슷하거나 크고, 탄성계수는 작아 차량 보호기능 및 이탈 방지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수지의 찢김 및 유닛의 단면 형상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며, 하부는 접점에서 2면이 교차하도록 하여 상부보다 작은 하중에서 에너지 소산이 일어나며, 따라서 차체 강성 및 충돌 하중이 작은 소형차량에 적합하며, 탑승자 보호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는 충분한 강도확보와 충분한 충격흡수성능을 모두 구비하며 하나의 방호울타리에 차량 종류별 충돌위치를 고려하여 단면의 강성 및 충격흡수량을 달리 적용하여 소형차량이 충돌할 경우 탑승자 보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며 대형차량이 충돌할 경우에는 차량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탑승자 보호기능 및 차량 이탈방지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며, 부식의 염려가 없어 보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하부 가드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중간부 가드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상부 가드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복수의 유닛의 접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충격흡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코어부의 경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울타리의 지주와의 체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 지주
10 : 가드레일부
20 : 하부 가드레일
21 : 하부가드레일 유닛
30 : 중간부 가드레일
31 : 중간부 가드레일 유닛
40 : 상부 가드레일
50 : 충격흡수부재
Claims (8)
- 도로에 세워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드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드레일부는,
소형차량이 충돌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가드레일과,
대형차량이 충돌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 가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가드레일은 유리섬유와 수지를 적층시킨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가드레일은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를 덮는 외부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심재와 상기 외부면재는 각각 유리섬유와 수지를 적층시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 가드레일보다 충격흡수량이 크고, 상기 상부 가드레일은 상기 하부 가드레일보다 단면의 강성 및 강도가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드레일의 폭은 상기 상부 가드레일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드레일은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하부가드레일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드레일의 단면은 상기 복수의 하부가드레일 유닛이 만나는 접점에서 두 개의 면이 교차하도록 구성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드레일의 내부심재는 복수의 상부가드레일 유닛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가드레일 유닛이 만나는 접점에서 3개의 면이 교차하도록 구성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드레일의 유리섬유는 직포(woven roving)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가드레일의 유리섬유는 직포 형태 또는 논크림프(non-crimped)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드레일과 상기 상부 가드레일의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는 중간부 가드레일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 가드레일은,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중간가드레일 유닛과, 상기 복수의 중간가드레일 유닛의 도로측 면을 덮는 외부면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가드레일 유닛과 상기 외부면재는 각각 직포 형태의 유리섬유와 수지를 적층시킨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부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유리섬유와 수지를 적층시켜 형성되며 상기 코어부를 덮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드레일부에 마련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 1 체결홈과 상기 지주에 마련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 2 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체결홈과 상기 제 2 체결홈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4174A KR101164333B1 (ko) | 2010-03-18 | 2010-03-18 |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4174A KR101164333B1 (ko) | 2010-03-18 | 2010-03-18 |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5106A true KR20110105106A (ko) | 2011-09-26 |
KR101164333B1 KR101164333B1 (ko) | 2012-07-09 |
Family
ID=4495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174A Active KR101164333B1 (ko) | 2010-03-18 | 2010-03-18 |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433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983B1 (ko) * | 2012-12-28 | 2014-08-1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충격흡수구조 |
KR20170000004A (ko) * | 2015-06-22 | 2017-01-02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
KR102035623B1 (ko) * | 2018-07-23 | 2019-10-24 | 이재훈 | 도로용 가드레일의 연결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46537A (en) | 1996-03-20 | 1998-05-05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Crash-energy absorbing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
US20060013651A1 (en) | 2003-03-17 | 2006-01-19 | Williams Tim L | Impact absorbing barrier |
KR200294980Y1 (ko) | 2002-08-05 | 2002-11-13 | 최광철 | 차량 방호 울타리 |
KR100780473B1 (ko) | 2005-09-13 | 2007-11-28 | 알루텍 (주) | 차량 방호 구조물 |
-
2010
- 2010-03-18 KR KR1020100024174A patent/KR101164333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983B1 (ko) * | 2012-12-28 | 2014-08-1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충격흡수구조 |
KR20170000004A (ko) * | 2015-06-22 | 2017-01-02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
KR102035623B1 (ko) * | 2018-07-23 | 2019-10-24 | 이재훈 | 도로용 가드레일의 연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4333B1 (ko) | 2012-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2013B2 (ja) | 衝撃吸収装置 | |
KR20120091929A (ko) |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 |
KR20100109080A (ko) | 가드레일 | |
KR101344082B1 (ko) |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64333B1 (ko) |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 |
CN110258327B (zh) | 跨海桥梁的柔性防撞护栏系统 | |
KR102216875B1 (ko) |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용 차량방호 울타리 | |
KR102355897B1 (ko) | 허니컴을 이용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 |
KR101406423B1 (ko) |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 |
KR20120056989A (ko) |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가드레일 | |
US20150132055A1 (en) | Lane separator | |
KR101170330B1 (ko) |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 |
KR20160146059A (ko) | 이중 구조의 보강 지주가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 |
CN214783521U (zh) | 波纹钢结构防护栏 | |
KR20200045376A (ko) | 도로용 가드레일의 레일 간 결합구조 | |
KR20120090908A (ko) | 충격흡수가드레일 | |
KR100716195B1 (ko) | 방호울타리 | |
KR200422841Y1 (ko) | 충격 흡수용 연결브라켓 | |
CN210737329U (zh) |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桥梁 | |
KR100723028B1 (ko) | 차량방호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 |
KR20040012654A (ko) | 차량용 방호울타리 | |
CN2771291Y (zh) | 复合材料公路护栏 | |
KR101585734B1 (ko) |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 |
KR102541632B1 (ko) |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 |
CN1654745A (zh) | 复合材料公路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