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158A -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 Google Patents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158A
KR20020097158A KR1020027008917A KR20027008917A KR20020097158A KR 20020097158 A KR20020097158 A KR 20020097158A KR 1020027008917 A KR1020027008917 A KR 1020027008917A KR 20027008917 A KR20027008917 A KR 20027008917A KR 20020097158 A KR20020097158 A KR 2002009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rehouse
facility
loading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362B1 (ko
Inventor
도브너마티아스
프란젠헤르만
크뢸요아힘
폴만게를린데
Original Assignee
데막 모빌 크레인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막 모빌 크레인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막 모빌 크레인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9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ISO-컨테이너용으로, 부두(pier)를 따라 배열되고 행(row)으로 배치된 개별 창고 모듈(store module)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 및, 부두에 있는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다른 선박으로 화물을 적환하기 위해 창고 모듈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시설(loading plant)을 포함하는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loading and unloading plant)에 관한 것이다. 이때 화물 적환용 적재 시설은 적어도 하나의 부두 모빌 크레인(quay mobile crane)(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두 모빌 크레인의 신장 암(extension arm)은 적어도 하나의 인도 장소(delivery place)(6) 영역에 도달하며, 상기 인도 장소는 컨테이너 라인(container line)의 수가 모듈 폭(module width)에 좌우되는 창고 모듈(9, 9.1, 9.2)의 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7) 내에 제공되고, 부두 모빌 크레인(5) 및 컨테이너 창고(7)의 창고 모듈(9, 9.1, 9.2) 사이의 접점을 이룬다.

Description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LOADING AND UNLOADING PLANT IN A SEA OR RIVER PORT}
예를 들어 선박, 철도 또는 트럭 등 종류가 다른 수송 수단들 사이에서 ISO-컨테이너를 적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재 시설은 물량이 많은 경우에라도 단위 하물의 적환이 전반적으로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컨테이너 적환 시설에서 중심이 되는 구성 요소는 대체로 컨테이너 창고로, 컨테이너 창고 때문에 단위 하물의 흐름이 풀리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수송 수단을 수요에 맞추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종류가 다른 수송 수단을 수량 및 수요에 맞추어 조작하기 위해서는 적환 시설 전체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선박, 철도 및 트럭 운반을 위한 일반적인 적환 시설은 DE 44 39 740 C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적환 시설의 핵심이 되는 컨테이너 창고는 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개별 창고 모듈로 구성되고, 이 창고 모듈에서는 입출고를 위해 각각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 사용된다. 선박과 창고 사이에서 작동하는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은 차도 위를 움직이는 수송 수단에 의해 창고와 연결된다. 또한 트럭 및 철도처럼 옥외 수송 수단으로의 적환이 이루어진다. 해안 쪽에서 이루어지는 선박 및 창고 사이의 적환 공정이 계속 자동화되고 그에 따라 빨리 진행될 수 있는 반면, 이에 적응하기 위해, 즉 단위 하물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확실히 원활하게 하기 위해, 창고 및 육지 쪽의 옥외 수송 수단 사이의 적환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적재 시설의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고비용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적환 공정이 수동으로 유도되는 옥외 수송 수단 때문에 제한적으로만 자동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관련되는 안전성의 기준이 적환을 가능한 한 빨리 처리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완전 자동화된 컨테이너 터미널(container terminal)이 수평 운반을 위해 무인 운반 차량(AGVs)과 함께 협동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항상 큰 해항에 있는 대단히 큰 시설들에 해당되는 경우로, 단위 하물의 물량이 대단히 큰 경우에만 경제성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경제성 때문에 비교적 소규모의 터미널들이 부분적으로만 자동화되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자동화된 수송의 진행을 통해 경비를 절약하거나 효율을 높였으면 하는 바람은 존재한다.
본 발명은 특히 ISO-컨테이너용으로, 부두를 따라 배열되고 행(row)으로 배치된 개별 창고 모듈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 및, 부두에 있는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다른 선박으로 화물을 적환하기 위해 창고 모듈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시설을 포함하는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터미널의 측면도.
도 4는 창고 방향에서 본 수면 쪽 터미널의 상세도.
도 5는 트럭 출발 구역의 터미널을 절단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설명한 적환 시설로부터 출발하여, 소규모 적환 시설의 경영자도 컨테이너 창고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매우 소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로써 적환 비용을 낮추고, 투자 및 유지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부두 모빌 크레인(quay mobile crane)으로 이루어지는 화물 적환용 적재 시설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부두 모빌 크레인의 신장 암(extension arm)은 적어도 하나의 인도 장소(delivery place) 영역에 도달하며, 인도 장소는 컨테이너 라인(container line)의 수가 모듈 폭(module width)에 좌우되는 창고 모듈의 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 내에 제공되고 부두 모빌 크레인 및 컨테이너 창고의 모듈 사이의 접점을 이룬다.
종래의 자동화 시설의 경우 선박 및 컨테이너 창고 사이에서 대개 수동 또는 자동 수송 차량을 이용하여 수평 운반이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수평 운반은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유형의 적환 시설에서는 생략된다. 이러한 차량들이 생략되고 이와 함께 컨테이너 창고 및 선박 사이의 부두에 있는 차도가 더 이상 필요 없게 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면서도 화물을 멀리 내리는 컨테이너 크레인 대신 부두 모빌 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작동하는 시설에 비해 투자비용이 약 40% 절감될 수 있다. 부두 모빌 크레인은 이동하기 쉽고 다른 부두 영역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물을 내리는 선박 및 컨테이너 창고 사이에서 수평 스위프(horizontal-sweep)가 가능한 부두 크레인의 신장 암은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컨테이너 창고에 결합되는 인도 장소에 내려놓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를 더 잘 잡기 위해, 이 인도 장소에 컨테이너를 위한 중심내기(centering) 및 유도(guiding)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테이너 창고의 다수의 창고 모듈 각각은 부두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고, 주로 폭은 컨테이너 9개이고 높이는 컨테이너 3개 내지 4개에 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창고 모듈은 상위의 창고 물류 관리 시스템이 감독하고 조종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태커 크레인을, 즉 인수, 수평 운반 및 컨테이너 쌓기를 떠맡는다. 부두 모빌 크레인이 컨테이너 창고에 있는 각각의 인도 장소에 내려놓은 컨테이너를 스태커 크레인이 붙잡는다. 이 인도 장소는 부두 모빌 크레인 및 스태커 크레인 사이의 접점을 형성한다.
스태커 크레인 자체는 종래에는 크래브(crab)를 구비하는 스탠드형 브리지 크레인으로 형성되고, 잘 알려진 방법대로 각각 컨테이너 창고의 창고 모듈을 과도 변형(overstrain)시킨다.
본 발명의 개선된 형태에서는, 컨테이너 창고를 창고의 특성에 맞추어 적어도 두 영역으로, 주로 부두와 평행하게 컨테이너 창고의 한 가운데를 나눈다. 이 두 영역은 예를 들어 수입 구역과 수출 구역일 수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이 주로 이 두 구역을 넘나든다.
또한 서로 다른 수평면에 있는 개별 창고 모듈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레일 차도(rail roadway) 상을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무관하게 작동하는 적어도 2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cross-transporter)가 창고 모듈을 서로 연결하고 두 개의 창고 영역 사이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수평 운반을 떠맡는다. 이때 크로스 운반 장치는 상위의 창고 물류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감독되고 조종된다. 이런 방법으로, 창고 모듈에서 작동하는 완전 자동 스태커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인도 장소로부터 직접 부속 창고 모듈로 운반하거나, 또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 중 하나로 운반 할 수 있다. 크로스 운반 장치는 다른 창고 모듈이나 두 개의 외향 운반 지점(outward transport point) 중 하나를 향해 접근한다. 외향 운반 지점은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운반 장치의 레일 차도가 컨테이너들을 내향 및 외향 운반하기 위한 창고의 적어도 한 측벽 상에서 외부에 있는 모듈을 넘어서 주로 다중 트랙(multitrack) 진입로 영역에까지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트럭에서 트럭으로 컨테이너들의 외향 및 내향 운반이 이루어지는 한, 레일 차도 연장 부분 아래에는 트럭들을 위한 언로딩 구역(unloading area)이 형성되는데, 이 언로딩 구역은 짧은 레일 차도 상에 있는 스탠드형 브리지 크레인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트럭-로딩 크레인(truck-loading crane)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오피스(gate office)로부터 소위 검사기(checker) 또는 조종기(operator)에 의해 무선 조종 조작되는데, 게이트 오피스는 진입로 및 출발로 사이의 안전 구역에서 효율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로 2중 트랙의 출발로 옆에 있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의 레일 트랙 한쪽 단부에서,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 및 다른 특별한 적환 장치는 빈 컨테이너에 접근하여 인접한 빈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터미널에 집어넣는다. 이런 방법을 통해 빈 컨테이너는 매우 간단하게 시스템에 내향 및 외향 운반될 수 있으며, 그것도 트럭의 짐을 싣고 내리는 자리에서뿐만 아니라 이와 반대편에 있으며 레일 트랙의 다른 쪽 단부에 있는 컨테이너 창고에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철도 적환용 컨테이너를 내향 및 외향 운반하기 위해, 그리고 컨테이너를 창고 및 철도 사이에서 수평 운반하기 위해 리치 스태커가 사용될 수 있는데, 리치 스태커는 철도에 있는 출발 대기 영역 또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적환 시설이 소규모 적환 터미널의 경영자일지라도 컨테이너 창고를 자동화시킬 수 있게 해준다는 데 있다. 투자 및 유지를 위한 비용은,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또는 리치 스태커로 구동되는 종래의 컨테이너 시설과 비교할 때 30% 내지 40% 낮게 책정할 수 있다. 자동화된 컨테이너 창고가 컨테이너 당 적환 비용이 감소되는 것 외에도 대기 시간이 짧고 로딩 및 언로딩이 안전하며 접근의 정확성이 100%에 달하는 다른 장점들을 지님으로써, 소규모의 실용적인 터미널 경영자는 이 서비스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강한 입지를 갖게 된다. 적환 장치처럼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다른 크레인 영역에서도 보편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부두 모빌 크레인을 사용할 때, 대응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투자비용에 비해 약 60% 정도만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의 실용적인 컨테이너 터미널(1) 평면도에서는 부두(2)에 있는 컨테이너 선박(3 또는 4)을 볼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3 또는 4)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해, 부두(2)에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부두 모빌 크레인(5)을 구비한다. 부두를 향한 컨테이너 창고의 측면에, 컨테이너 창고(7)와의 접점을 형성하는 주로 6개의 인도 장소(6)가 위치한다. 상응하는 로딩 및 창고 물류 관리 시스템의 감독을 받아 컨테이너들(8)은 각각 인도 장소 중 하나에 내려지고, 이때 각각의 인도 장소는 창고 모듈(9, 9.1 또는 9.2) 중 하나에 연결된다.
창고 모듈(9, 9.1 또는 9.2)에서 작동하는 완전 자동 스태커 크레인(10)은 컨테이너(8)를 인도 장소(6)로부터 직접 부속 창고 모듈로 운반하거나, 또는 2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 중 하나로 운반한다. 크로스 운반 장치(11)는 다른 쪽 창고 모듈 또는 2개의 외향 운반 지점 중 하나를 향해 접근한다. 다시 말하면 트럭 출발(12)을 위한 외향 운반 지점 또는 철도 출발(13)을 위한 외향 운반 지점에 접근하는 것이다.
트럭 출발(12)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 적환을 떠맡는 트럭-로딩 크레인(14)은 게이트 오피스(15)로부터 수동으로 조종된다. 트럭-로딩 크레인(14)은, 트럭 출발(12)의 3중 트랙 진입로(17) 상에 유도되고 2중 트랙 출발로(18) 상에서 밖으로 유도되는 트럭(16)을 조작한다. 트럭 출발(12)을 위한 외향 운반 지점을 넘어,빈 컨테이너 창고(20)는 또한 빈 컨테이너(19)용 외향 운반 지점을 통과하여 컴팩트-컨테이너-터미널(compact-container-terminal)(1)에 통합된다. 빈 컨테이너 창고는 리치 스태커(21) 또는 빈 컨테이너를 위한 다른 특수한 스택 장치(stack device)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된다. 철도 적환용으로 정해진 컨테이너(22)는 리치 스태커(23)에 의해 철도 출발(13)용 외향 운반 지점으로부터 직접 철도(24)로, 또는 출발 대기 영역(25)으로 수동으로 운반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1)의 측면도 중 각각 절반씩 도시한다. 도 2의 좌측에서는 부두(2)에 있는 컨테이너 선박(3) 및 언로딩 공정 중에 있는 부두 모빌 크레인(5)을 볼 수 있다. 또한 인도 장소(6), 컨테이너(8), 창고 모듈(9.1), 스태커 크레인(10),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 트럭-로딩 크레인(14) 및 트럭(16) 등도 볼 수 있다.
스태커 크레인(10)은 브리지(10.1) 및 크래브(10.2)로 이루어진다. 스태커 크레인은 창고 모듈(9.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스탠드형 크레인 트랙(26) 상에서 움직인다. 로딩 크레인(14)은 브리지(14.1) 및 크래브(14.2)로 이루어진다. 로딩 크레인은 트럭 출발(12) 영역에서만 연장되는 짧은 스탠드형 크레인 트랙(27) 상에서 움직인다.
철도 적환용으로 정해진 컨테이너(22)는 도 3의 우측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리치 스태커(23)에 의해 철도 출발용 외향 운반 지점으로부터 직접 철도(24)로 또는 출발 대기 영역(25)으로 수동으로 운반된다.
도 4는 창고 방향에서 본 수면 쪽 터미널의 상세도이다. 컨테이너 창고를절단한 단면도로서, 인도 장소(6), 컨테이너(8), 스태커 크레인(10)을 포함하는 창고 모듈(9)의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스태커 크레인은 브리지(10.1)와 크래브(10.2) 및 스탠드형 크레인 트랙(26)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트럭 출발(12) 영역에 있는 컨테이너를 절단한 도면을 도시한다. 특히 외부의 창고 모듈(9.1 및 9.2)을 잘 보여준다. 트럭 출발(12) 영역과 창고 모듈(9.1)이 경계를 접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8), 스태커 크레인(10), 크로스 운반 장치(11), 트럭-로딩 크레인(14), 게이트 오피스(15), 트럭(16), 3중 트랙 진입로(17), 2중 트랙 출발로(18), 빈 컨테이너(19)용 외향 운반 지점, 빈 컨테이너 창고(20) 및 빈 컨테이너용 리치 스태커(21) 등도 볼 수 있다.
트럭-로딩 크레인(14)은 짧은 스탠드형 크레인 트랙(27) 상에서 움직인다. 레일 트랙(28) 상에 유도되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는 컨테이너(8)의 수평 운반을 떠맡는다. 컨테이너 창고의 맞은편 측면 경계는 창고 모듈(9.2)을 형성한다. 이 창고 모듈의 설치 장소 절반을 냉장 컨테이너(cooltainer)(29)가 차지한다. 또한 철도 출발(13)을 위한 외향 운반 지점 및 철도 로딩을 위한 리치 스태커(23)를 볼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3 또는 4)의 언로딩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부두 모빌 크레인(5)은 컨테이너 선박(3)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인수하고, 신장 암의 수평식 스위프 후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창고의 인도 장소(6) 중 하나에 내려놓는다. 자동 스태커 크레인(10) 중 하나가 컨테이너를 인수하여 그 뒤에 있는 창고 모듈 중 하나로, 또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 중 하나로 운반한다. 크로스운반 장치(11)는 컨테이너를 다른 창고 모듈(9, 9.1 및 9.2) 중 하나로 옮길 수 있거나, 컨테이너를 트럭 출발(12) 또는 철도 출발(13) 영역으로 운반할 수 있다. 트럭 출발(12) 영역에서는 스탠드형 크레인 벽(crane wall)(27)에 연장되는 트럭-로딩 크레인(14)이 컨테이너(8)를 인수한다. 트럭-로딩 크레인(14) 아래에 있는 트럭 출발(12) 영역에 트럭(16)용 트랙(17) 3개가 제공된다. 트럭에는 컨테이너가 놓여진다. 트럭(16)은 터미널 루프(terminal loop)에서 2중 트랙 출발로로 유도되고, 출발로를 통과해 컨테이너 터미널을 떠난다. 빈 컨테이너(19)는 빈 컨테이너 창고(20) 및 크로스 운반 장치(11) 사이에 있는 리치 스태커(21)에 의해 운반된다. 마찬가지로 리치 스태커(23)에 의해, 철도 출발용 외향 운반 지점(13)에 있는 컨테이너(8)는 컨테이너 창고의 트럭 출발 맞은편에서 인수된다.
상기 내용 참고

Claims (13)

  1. 특히 ISO-컨테이너용으로, 부두를 따라 배열되고 행(row)으로 배치된 개별 창고 모듈(store module)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 및, 부두에 있는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다른 선박으로 화물을 적환하기 위해 상기 창고 모듈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시설을 포함하는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loading and unloading plant)로서,
    화물 적환용 상기 적재 시설은 적어도 하나의 부두 모빌 크레인(quay mobile crane)(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두 모빌 크레인의 신장 암(extension arm)은 적어도 하나의 인도 장소(delivery place)(6) 영역에 도달하며, 상기 인도 장소는 컨테이너 라인(container line)의 수가 모듈 폭(module width)에 좌우되는 창고 모듈(9, 9.1, 9.2)의 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창고(7) 내에 제공되고, 상기 부두 모빌 크레인(5) 및 상기 컨테이너 창고(7)의 창고 모듈(9, 9.1, 9.2) 사이의 접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2. 제1항에서,
    상기 각각의 인도 장소(6)에 컨테이너(8)를 위한 중심내기(centering) 및 유도(guiding)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컨테이너 창고(7)의 각 창고 모듈(9, 9.1, 9.2)은 부두(2)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고, 주로 폭은 컨테이너(8) 9개이고 높이는 컨테이너 3개 내지 4개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각 창고 모듈(9, 9.1, 9.2)은 상위의 창고 물류 관리(store logistics)가 감독하고 조종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10)을, 즉 인수, 수평 운반 및 컨테이너(8) 쌓기를 떠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5. 제4항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10)은 크래브(crab)(10.2)를 구비하는 스탠드형 브리지 크레인(10.1)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컨테이너 창고(7)는 창고 특성에 맞게 적어도 두 영역으로, 주로 상기 부두(2)와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창고(7)의 한 가운데를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서로 다른 수평면에 있는 개별 창고 모듈(9, 9.1, 9.2)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레일 차도(rail roadway)(28) 상을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무관하게 작동하는 적어도 2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cross-transporter)(11)는 상기 창고 모듈(9, 9.1, 9.2)을 서로 연결하고 두 개의 창고 영역 사이에 있는 컨테이너들(8)의 수평 운반을 떠맡으며, 이때 상기 크로스 운반 장치(11)는 상위의 창고 물류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감독되고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크로스 운반 장치(11)의 레일 차도는 컨테이너(8)를 내향 및 외향 운반하기 위한 창고의 적어도 한 측벽 상에서 외부에 있는 모듈(9, 9.1, 9.2)을 넘어서 주로 다중 트랙(multitrack) 진입로(17)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9. 제8항에서,
    상기 레일 차도 연장 부분 아래에는 트럭(12)을 위한 언로딩 구역(unloading area)이 형성되고, 상기 언로딩 구역은 짧은 레일 차도(27) 상에 있는 스탠드형 트럭-로딩 크레인(truck-loading crane)(14)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트럭-로딩 크레인(14)은 게이트 오피스(gate office)(15)로부터 소위검사기(checker) 또는 조종기(operator)에 의해 무선 조종 조작되고, 상기 게이트 오피스는 진입로(17) 및 출발로(18) 사이의 안전 구역에서 효율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주로 2중 트랙의 출발로(18) 옆에 있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의 레일 트랙 한쪽 단부에서,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21) 또는 다른 특별한 적환 장치는 빈 컨테이너에 접근하여 인접한 상기 빈 컨테이너(20)를 컨테이너 터미널(1)에 집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12. 제11항에서,
    상기 빈 컨테이너는 두 개의 크로스 운반 장치(11)의 레일 트랙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서 내향 및 외향 운반(1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철도 적환용 컨테이너(22)를 내향 및 외향 운반하기 위해, 그리고 컨테이너를 창고(7) 및 철도(24) 사이에서 수평 운반하기 위해 상기 리치 스태커(23)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치 스태커는 철도에 있는 출발 대기 영역(25) 또한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환 시설.
KR1020027008917A 2000-01-19 2001-01-16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KR100737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915.9 2000-01-19
DE10002915A DE10002915A1 (de) 2000-01-19 2000-01-19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58A true KR20020097158A (ko) 2002-12-31
KR100737362B1 KR100737362B1 (ko) 2007-07-09

Family

ID=762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17A KR100737362B1 (ko) 2000-01-19 2001-01-16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047529A1 (ko)
EP (1) EP1272414B1 (ko)
JP (1) JP2003520167A (ko)
KR (1) KR100737362B1 (ko)
AT (1) ATE270247T1 (ko)
AU (1) AU2001235350A1 (ko)
DE (2) DE10002915A1 (ko)
ES (1) ES2222979T3 (ko)
PT (1) PT1272414E (ko)
WO (1) WO2001053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211B2 (en) * 2001-12-11 2003-11-25 Paceco Corp. Buffer straddl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AT500088B1 (de) * 2002-09-11 2007-06-15 Rail Cargo Austria Ag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DE10307579A1 (de) * 2003-02-22 2004-09-09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US7987017B2 (en) 2005-02-25 2011-07-26 Apm Terminals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container flow in a port facility
DE102008007860A1 (de) * 2008-02-06 2009-10-22 Meier und Söhne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Norbert Meier, 30916 Isernhagen) Container Transport- und Übergabesystem für die Lagerung von Containern in Hochregalen.
KR101125040B1 (ko) * 2009-12-30 2012-03-21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RU2426685C1 (ru) * 2010-04-19 2011-08-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ММ" Способ обслуживания комплекса, включающего два и более мобильных стреловых портовых крана
KR101089283B1 (ko) 2010-05-26 2011-12-05 한국과학기술원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US20140255130A1 (en) * 2013-03-05 2014-09-11 Virginia International Terminals, LLC Dock-to-rail and rail-to-dock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method
CU24491B1 (es) 2015-04-14 2020-12-17 Amova Gmbh Método e instalación de transferencia de contenedores para colocar contenedores y retirar los contenedores en las áreas de almacenamiento de contenedores
FR3040988B1 (fr) * 2015-09-15 2017-10-13 Batterie Mobile Procede de chargement/dechargement de conteneurs en zones portuaires
WO2018138417A1 (fr) * 2017-01-24 2018-08-02 Batterie Mobile Procede de chargement/dechargement de conteneurs en zones portuaires
DE102017107310A1 (de) * 2017-04-05 2018-10-11 Paul Vahle Gmbh & Co. Kg Elektrifizierung von Transportsystemen in einem Containerterminal
US11377313B2 (en) * 2017-06-14 2022-07-05 The Richard C. Lydle Revocable Trust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DE102018205933A1 (de) 2018-04-18 2019-10-24 Amova Gmbh Teleskopaufnahme zum Verlagern von Containern in Hochregallager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8090C2 (de) * 1968-08-21 1981-10-08 Tax, Hans, 8000 München Einrichtung zur Steuerung selbsttätig gelenkter Straßenfahrzeuge einer Container-Verladeanlage
SE351830B (ko) * 1971-02-05 1972-12-11 L Andersson
NL7416213A (nl) * 1974-12-12 1976-06-15 Meeusen Pieter Containerlaad- en/of loskraan, laad- en ontlaad- station met zulk een kraan en schip voor contai- nervervoer.
NL7802188A (nl) * 1977-03-28 1978-10-02 Tax Hans Verrijdbaar portaal.
DE3421418A1 (de) * 1984-06-08 1986-01-09 Rudolf Dr.-Ing. 2000 Hamburg Vogel Umschlagzentren fuer behaelter
US4973219A (en) * 1986-04-30 1990-11-27 Sea-Land Corporation Grid rail container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US5511923A (en) * 1993-04-09 1996-04-30 The Robotic Container Handling Co. Contain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I98618C (fi) * 1994-08-16 1997-07-25 Pekka E Rapeli Satamajärjestely
DE4439740C1 (de) 1994-10-28 1996-05-09 Noell Gmbh Containerterminal mit integriertem, vollautomatischem Containertransportsystem
DE4447384A1 (de) * 1994-12-22 1996-06-27 Mannesmann Ag Mobilkran, insbesondere Hafenmobilkran
JP3085468B2 (ja) * 1995-03-27 2000-09-11 ティー・シー・エム株式会社 コンテナの荷役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IT1289530B1 (it) * 1995-10-13 1998-10-15 Fata Automation Magazzino integrato ad alta capacita' per container
NL1003764C1 (nl) * 1996-08-08 1998-02-12 Joan Anton Bernard Halbesma Transportproces, bestaande uit een vast opgesteld transportsysteem voor individueel transport.
JP2920879B2 (ja) * 1996-10-09 1999-07-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物流/搬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272414E (pt) 2004-10-29
JP2003520167A (ja) 2003-07-02
AU2001235350A1 (en) 2001-07-31
WO2001053175A1 (de) 2001-07-26
US20030047529A1 (en) 2003-03-13
DE50102742D1 (de) 2004-08-05
ES2222979T3 (es) 2005-02-16
ATE270247T1 (de) 2004-07-15
DE10002915A1 (de) 2001-08-02
KR100737362B1 (ko) 2007-07-09
EP1272414B1 (de) 2004-06-30
EP1272414A1 (de)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972B2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RU238451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KR100737362B1 (ko)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US6802684B2 (en) Container tranf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EP1612165B1 (en) Large-sized automated warehouse system for harbor facilities
KR100289765B1 (ko)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CA2187401A1 (en) High-capacity integrated depots for containers
US20100183407A1 (en)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CN109132610B (zh) 一种单箱跨距堆场起重机自动化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4986581A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204917265U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US561814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larger units
JP4171024B2 (ja) 港湾または内港における荷役設備
US3727776A (en) An integrated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in or from container ships
US4055263A (en) Freight handling method
GB2065076A (en) Container terminal
CN110467008A (zh) 一种平面布置的中小型码头及其装卸方法
CN114030906B (zh)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CN113879858A (zh) 立体轨道式自动化集装箱码头水平运输装置及其运输方法
JP2020132425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14275545B (zh) 一种立体全环绕自动化集装箱码头及装卸方法
CN215325692U (zh) 基于armg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CN217866979U (zh) 一种火车移动装卸的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作业系统
CN219408443U (zh) 一种铁水联运集装箱码头前沿车船直取连续装卸作业系统
CN115159179A (zh) 一种轨道式智能化集装箱码头装卸立体仓储系统及其作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