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765B1 -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765B1
KR100289765B1 KR1019950704449A KR19950704449A KR100289765B1 KR 100289765 B1 KR100289765 B1 KR 100289765B1 KR 1019950704449 A KR1019950704449 A KR 1019950704449A KR 19950704449 A KR19950704449 A KR 19950704449A KR 100289765 B1 KR100289765 B1 KR 10028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storage
empty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793A (ko
Inventor
파울디.던스탠
Original Assignee
파울디.던스탠
로보틱컨테이너핸들링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디.던스탠, 로보틱컨테이너핸들링캄파니 filed Critical 파울디.던스탠
Publication of KR96070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적 및 빈 해양 컨테이너를 조정하기 위한 ASRS 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랙 저장소와 같은 ASRS 시스템에 관련된, 기타 컨테이너들로부터 이격된 특수 공간에 각각의 컨테이너와 함께 그릴 형상으로 배열된 이격된 열과 지주 형상의 고지 및 부두 뱅크(14,16)에 있는 멀티-레벨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에 저장된다. 빈컨테이너는 저장된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로부터 근접가능하게 이격된 개별 설비에 저장되며, 저장된 선적 컨테이너 설비 및 동일 해상 캐리어의 컨테이너는 개별 셀에 하나를 다른 것의 상측에 직접 적층시킨다. 공간의 고지 뱅크(14) 및 부두 뱅크 사이에서 조종되는 컨테이너는 다수의 컴퓨터 가동 내부 브리지 크레인(20)에 의해 고지 및 부두 공간 사이로 이동된다. 상기 고지 및 부두 뱅크는 외부 신속 이송발코니(26,36)와 함께 제공되며, 상기 이송 발코니는 내부 브리지 크레인(20)의 저속 운동을 우회하므로써 컨테이너를 선적 컨테이너 설비의 길이를 따라 같이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되게 하며, 따라서 컨테이너의 전계를 더욱 신속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빈 컨테이너는 선적되기 바로 직전에 내부 브리지 크레인의 저속 운동을 우회하기 위하여 상기 설비상의 상향으로 신속 이동 빈 컨테이너 발코니(38)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설비를 따라 한 위치로부터 부두 크레인이 선적될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빈 컨테이너가 선박으로부터 하역될 때 이러한 공정은 반대로 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 및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배에 또는 배로부터, 및 레일 카(rail car)와 트럭에 또는 이것들로 부터 컨테이너를 선적, 하역 및 저장하기 위한 ASRS(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고(high) 생산성 컨테이너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모든 것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선박의 하역(discharge) 및 선적(load) 작업을 위한 전형적인 해양 터미널(ocean terminal)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ASRS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또한 레일 카 및 트럭에 또는 이것들로부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인터모덜(intermodal) 컨테이너 조종 설비를 포함한다. 너무 큰 그리고 위험한 화물 컨테이너(cargo container) (일반적으로 1% 이하)가 부두 크레인 아래로 내려지고 지면에 저장된다.
해양 캐리어는 이들 배의 국내 및 국외 선적 계획서(load plans)를 배의 도착 수 시간 전에 컨테이너 터미널에 보낸다. 이 선적 계획서는 배 안에서 또는 선상에서 특정의 컨테이너가 어디에 실어지는지 또는 실어질런지를 정확하게 보여준다. 이 시스템의 컴퓨터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시스템의 작업을 지시한다.
[발명의 배경]
자동화된 멀티-레벨(multi-level) 컨테이너 저장 및 선적 그리고 하역 시스템에서, 이 컨테이너들은 각각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컨테이너 공간(space)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 뱅크(bank)에 있는 어떠한 공간들로부터도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컨테이너를 어떤 공간들로도 상하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른 뱅크로 배달할 수 있는 크레인이 이용되는 뱅크들 사이의 공간을 가진 이와 같은 공간들의 여러 쌍의 멀티 레벨 뱅크가 있다. 또한 이들 자동화된 컨테이너 저장 시스템의 몇개에서, 트럭 및 레일 카와 같은 육상 수송 수단에 또는 이것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배달하기 위한 수용 및 배달(receiving and delivering) 크레인이 있다. 이 저장 설비의 부두 또는 물가에, 외항선에 그리고 외항선으로부터, 및 AGV(automated guided vehicles), 자동화된, 자동 전원의 (self-powered) 레일 카, 또는 트럭에 또는 이것들로부터 선적된 및 빈 컨테이너를 배달하는 많은 부두 크레인이 있다. 이들 시스템의 중요한 장점은 이것들이 종래의 터미널 작업보다 훨씬 적은 지면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항구들은 컨테이너를 위한 보관소(parking lots)로서보다 다른 훨씬 더 많은 이용에 지면을 필요로한다. 다른 시스템들은, 상기 시스템 내에서 더 느린 이동을 회피하는, 이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컨테이너를 가지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고, 또는 이것들은 개별 저장 공간의 비용의 일부분에 대해 건축되고 작업될 수 있는 빈 컨테이너의 별개의 저장소를 제공하지 않지만 일체화된 저장소를 제공한다. 빈 컨테이너는 선적된 컨테이너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저장소에 남아 있는다.
전형적인 컨테이너선은 한번의 해양 횡당 항해에서 수백만 달러의 수입(revenue)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가 최소의 시간 주기 동안 하역 및 선적이 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것이 일년동안 할 수 있는 대양 횡단 항해의 수를 증가시켜 최대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이 부두 방향을 따라 정박할 때마다, 일이 없는 선원에 대한 급료, 숙박비 및 다른 총경비를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항구 설비에서 선적 및 하역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선주 또는 작업자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다루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따라서 해양 캐리어에게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크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고효율의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 시스템을 통해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공간이 훨씬 더 비싼 선적된 저장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의 뱅크로부터 떨어져, 빈 컨테이너를 저장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부가의 비용 절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레일 카 사이, 및 도로 장치 위로 다른 종류의 컨테이너 선적 시스템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 및 인터모덜 설비에서, 컨테이너들이 예를 들어 컨테이너선, 레일 카 또는 트럭으로부터 빈번하게 하역되고, 그리고 다른 운송 장비에 실려지기 전에 임시 저장소에 놓인다. 다른 운송 장비가 예를 들어 제2의 배와 동일한 종류가 될 수 있고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은 컨테이너를 비용면에서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또한 비용 감소로 이들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두개의 별도의 발명의 특징 및 이의 조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빈 컨테이너를 별도의 높은 높이의 빈 저장소(12층 이상의 컨테이너 높이)에 저장하는 것이고,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에서 매우 비싼 개개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었지만 접근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설비에 저장하는 것이다.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에서, 이 설비의 각각의 공간이 식별되고 컨테이너가 이 설비의 다른 모든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고정된 공간에 삽입된다. 그러나, 빈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에서 이 설비는 수직 셀로 배열되고 동일한 해양운송업자의 같은 컨테이너가 이들 개별 셀에서 12층 이상의 컨테이너 높이까지 적층된다.
이 적층에서 상측 컨테이너와 다른 특별히 지정된 빈 컨테이너로의 접근이 거의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상측 컨테이너의 마지막 것이 거의 즉시 옮겨질 수 있는 첫번째 것이다. 적층 셀을 이용하는 장점들 중 하나는 이 설비의 작업 비용이 개별 공간에서 컨테이너를 위한 것만큼의 단지 약 25%이라는 것이다. 또한 선적된 컨테이너의 엄청난 무게를 수용할 필요가 없는 빈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를 짓는 비용이 동수의 컨테이너를 저장하는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를 짓는 비용의 10-20% 이다. 빈 컨테이너 설비에 필요한 공간 용적이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에서 발견되는 공간의 뱅크를 짓고 작업하는 훨씬 비용에서 별도의 공간 또는 구획(compartment)에서 동수의 컨테이너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데 필요한 것의 약 40%이다. 따라서, 본 발명만이 전체 저장 및 작업 설비의 작업 및 건설 비용, 및 필요한 지면을 줄이는 빈 컨테이너를 위한 분리된 또한 일체형인 저장소 설비를 제공하고, 빈 컨테이너를 위한 저장된 컨테이너 설비에서 공간을 불필요하게 사용하거나 타이업(tie-up)하지 않는다. 빈 컨테이너는 선적된 컨테이너와 함께, 배 안에 실기 전에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에서 수 시간 동안 가끔 저장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은 선적된 저장 컨테이너의 외측을 따라 신속한 이송 발코니(balconies)를 제공하여 개개의 컨테이너가, 이의 자기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더 느리게 움직이는 많은 크레인을 우회하여,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 내에서 공간의 뱅크들 사이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들 신속한 이송 발코니는 다른 영역을 우회하여 한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영역으로, 또는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의 한 끝으로부터 다른 끝으로 짧은 시간에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컨테이너 시간 및 조종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내부 크레인 영역을 우회하여 선적된 저장소 설비를 따라 외부에서 빈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속한 이송 발코니를 빈 저장 컨테이너 설비와 함께 구체화하고 일체화하여 배에 및 배로부터 빈 컨테이너의 배달을 가속시키는데 있다. 빈 컨테이너 설비가 이의 신속한 이송 발코니에서 크레인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현하는 전형적인 컨테이너 조종 저장 설비의 도면,
제2도는 이 설비의 부두 측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제2(a)도는 제2도에 도시된 설비의 일부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현하는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 위치를 보여 주는 그리고 이 설비의 상측을 보여주는 도면,
제3(a)도는 제3도에 도시된 설비의 일부의 상세도,
제4도는 빈 및 선적된 컨테이너, 그리고 섀시 저장 설비 및 이의 선적 및 하역 크레인, 그리고 통제실, 세관 그리고 장비 수리 빌딩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저장 설비와 이의 크레인의 입면 그리고 신속한 이송 그리고 부두 크레인 발코니.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저장 및 조종 장비가 6.1m(20피트)길이 또는 60피트 길이까지되는 컨테이너와 함께 시간 당 많은 컨테이너를 조종한다. 이 컨테이너들은 모두는 각자의 번호를 갖는다. 또는, 이것들은 종래의, 자동화된 장비 식별 꼬리표(AEI)로 코드화된, 잘 알려진 종류의 컴퓨터 제어 시스템이 각 컨테이너를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번호들 또는 AEI 식별 꼬리표는 컨테이너가 들어가거나 또는 이 시스템을 떠날 때 검사된다. 이 시스템의 컴퓨터를 통해, 이 시스템은 이 시스템에서 각 컨테이너의 위치의 기록을 유지하므로, 이것은 컨테이너를 배달하거나 또는 회수하는 저장 위치로 필요한 ASRS 조종 장비를 보낼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컨테이너 저장 설비는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10),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 선적된 저장 공간의 고지 뱅크(14) 및 선적된 저장 공간의 부두 뱅크(16)를 포함한다. 뱅크(14 및 16)들 사이에, 다수의 내부 브리지 크레인(20)을 위한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18)이 있다.
전체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가 제2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적으로 짜여진 컨테이너 저장 공간의 격자 구조 또는 "래크(rack)" 배열을 덮는 지붕(22)을 가지는 단일 구조가 된다. 개별적으로 짜여진 공간이 ASRS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대로 다른 모든 컨테이너와 분리된 구조물에서 각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이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부두 뱅크(16)를 시작하여, 배"S"가 연장된 후면 거리를 가지는 종래의 부두 크레인(24)에 의해 하역된다. 이 부두 크레인은 이 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컨테이너 "C"를 골라내며 크레인 아래(제5도) 트럭 "T", 레일 카"R"에 컨테이너를 놓거나 또는 90°회전 후에 부두 뱅크의 부두 측면의 부두 크레인 발코니(26)에 컨테이너를 놓는다. 명칭 "부두(pier)", "부두 측면(pier side)", "고지(upland)" 또는 "고지 측면(upland side)"이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의 반대측에서 구조를 식별하는데 이 설명 전체를 통해 이용된다. 그러나 이 설비는 본 발명이 레일 카 및/또는 트럭에 또는 이것으로부터 인터모덜 설비로서만 컨테이너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때와 같이 하역 배와 다른 적용을 위한 컨테이너의 분류, 선적 및 하역, 저장소를 조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부두 크레인(24)은 종래대로 이 컨테이너를 골라내고, 회전시키고 제7레벨의 부두 발코니(26)를 따라 이송기의 영역에서 이동하는 이송기(28)에 이 컨테이너를 배달한다. 부두 크레인 발코니에서 이 이송기의 영역들은 부두 크레인이 선상의 다른 해치(hatch)위치로 이동되는지의 여부를 컴퓨터에 의해 또는 수동식으로 조절된다. 이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는 수직으로 12개 이상의 공간 및 각 뱅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200개 이상의 공간을 갖는다. 시스템은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배의 수 및 저장되는 컨테이너의 수에 적응되므로, 레벨과 길이의 수가 항구마다 변한다(길이 방향을 따라 200이 동시에 두대의 선박에 이용된다. 따라서, 10,000 컨테이너까지, 18.3m (60 피트) 길이까지인 각각의 컨테이너가 일반적인 설비에서 저장될 수 있다. 선적된 컨테이너는 짧은 시간 동안만 이 시스템에 남아있는 반면, 빈 컨테이너는 일년 이상 동안 저장소에 남아 있을 수 있어, 별도의 저장 설비가 작업의 효율성과 건설 비용의 절감에 필수적이다.
이송기(28)는 부두 크레인 발코니(26)에서 이동하는 원격적으로 자동화되는 또는 컴퓨터 제어되는 레일 카이다. 발코니의 한쪽끝에서부터 다른쪽 끝으로 연장하는, 제2도에 도시된 발코니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리고 역으로 있는 각 발코니에서 트랙(29)을 따라 움직이는 이송기의 각 끝에서 휘일(30)을 가지는 종래의 구성이 된다. 또한, 각 이송기는 컨테이너(C)를 잡는 종래의 ASRS 삽입 및 회수 장치(32)를 가지며, ASRS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이것을 지정된 공간으로 또는 공간으로부터 이동시킨다. 달리, 이 이송기는 한 공간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회수하고, 그리고 이것을 배 밖에 선적되도록 부두 크레인으로 이동시킨다. 각각의 부두 크레인을 위해 두개 이상의 이송기가 있고, 이것은 이동가능한 부두 크레인의 위치와 일렬인 조종가능한 수평 영역에서 이동한다. 부두 크레인 발코니에 첨가하여, 두개의 신속한 이송기를 운반하는 제5레벨의 신속한 이송 발코니(27)가 있다. 신속한 이송 발코니(27, 34, 36 및 38)의 경우에, 이송기가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 내에 뱅크 사이에 크레인의 더 느린 이동을 피하여 이동한다. 신속한 이송 발코니 각각은 두개의 이송기를 갖는다. 두대의 배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될 때, 양 이송기가 이용되고, 각각은 이의 영역 내에서 움직인다. 하나의 배에 서비스가 제공될 때, 각각 신속한 이송 발코니에서 하나의 이송기만이 이용되므로, 이것은 발코니의 전체 길이를 움직일 수 있다. 그 다음 다른 신속한 이송기는 발코니의 끝에 세워진다.
부두 크레인 발코니(26)에서 하나의 이송기가 배로부터 컨테이너를 받을 수 있는 반면, 다른 이송기는 저장소로부터 선상으로 옮기기 위한 부두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배달한다. 이 부두 크레인은 순환을 두배로 할 수 있는, 즉 이것은 크레인의 배안 이동으로 컨테이너를 배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이송기 중 하나에 이 컨테이너를 놓고, 그 다음 제2 이송기로부터 하나의 컨테이너를 골라내고, 그리고 배로의 복귀 운동시에 배 밖에서 실려지는 새로운 컨테이너를 가져온다. 또한 부가의 이송기가 부두 크레인의 작업율과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의 그것 사이에 버퍼로서 기능한다.
더 높은 속도의 이송기(28)가 신속한 이송 발코니에서 작동되지만, 저장 설비의 그 레벨을 따라 어떠한 공간으로도 컨테이너를 배달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저장 설비의 한쪽 끝에서부터 이 저장 설비의 다른 끝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두대의 배에 서비스가 제공되고 두대의 이송기가 작동되는 때, 부두 뱅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 위치로 이송기를 이동시키고 한 공간에 이 컨테이너를 놓으며, 그 신속한 이송 발코니에서 제2 이송기를 가지고 그 공간으로부터 이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이것을 이 발코니의 다른쪽 끝으로 원하던 공간을 따라 운반한다. 부두에 단 한대의 배가 있으면, 물론 제1 이송기는 이 신속한 이송 발코니의 전체 길이를 달려가서 그 컨테이너를 공간의 부두 뱅크의 반대측 끝으로 신속하게 운반하는 반면, 제2 이송기가 이 발코니의 한쪽 끝에 세워진다.
또한 6개의 종래의 수용 및 배달 크레인(43)이 제2 레벨에서 부두 뱅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 내에, 내부 크레인 (20) 중 두개가 각각의 부두 크레인을 위해 있고, 이 크레인들은 어떠한 공간들 사이의 컨테이너라도 이의 작업 영역 내에서 한 뱅크의 한 공간으로부터 동일 뱅크의 다른 공간으로 또는 ASRS 시스템과 공동인 것과 같은 나란한 맞은편 뱅크의 다른 공간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내부 크레인이 저장 설비의 길이 단위로 이동시켜야 할뿐만 아니라 또한 컨테이너를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들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수용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이것을 신속한 이송기와 다른 공간에 재위치시킨다. 따라서, 이들 크레인 중 두개는 각각의 부두 크레인을 위해 필요해진다. 뱅크들 사이의 각각의 크레인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이 있는 약 12개의 칼럼(column) 공간의 영역을 다룰 수 있고 한 뱅크의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회수할 수 있고, 이것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며 이 컨테이너를 부두측 뱅크 또는 고지축 뱅크의 한 공간에 삽입한다. 수평 및 수직 방향 이동 능력을 가지는, 현수되어 있는 (suspended) 단단한 구조물을 가진 이런 종류의 ASRS 브리지 크레인이 종래의 ASRS 시스템에 잘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다. 이들 내부 크레인 각각만이 제한된 작업 영역내에서 작동하고 컨테이너를 한쪽 내부 크레인 영역으로부터 공간들의 뱅크 사이의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키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내부 크레인 영역을 우회하여 여러개의 내부 크레인의 영역을 지나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왜 신속한 이송 발코니(27)가 이와 같이 유리하게 제공되어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내부 크레인 공간의 외부 공간이 내부 크레인이 작동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독립 영역을 지나가는 것이 명확해진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고지 뱅크(14)에 뱅크의 제6레벨에서 신속한 이송 발코니(34)가 그리고 제8 레벨에서 신속한 이송 발코니(36)가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제10레벨에서, 빈 컨테이너를 다루기 위한 신속한 이송 발코니(38)가 있다.
이 신속한 이송 발코니(34와 36) 각각에 고속 이송기(28)를 가진 이송 발코니(26)와 같은 방식으로 두개의 고속 이송기(28)가 제공된다. 또한 비슷하게, 빈 컨테이너를 위한 신속한 이송 발코니(38)가 전술한 것과 같은 종류의 고속 이송기(28)를 갖는다. 설비에서 가능한 한 높게, 빈 컨테이너 신속 이송 발코니 및 더 낮은 무게의 선적된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량의 선적된 컨테이너와 빈 컨테이너만을 다루면 이 설비의 상측 레벨의 능력을 운반하는 구조적 하중이 강철을 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구조의 상측 레벨 및 발코니를 위한 선적 조건 및 빌딩 강도가 더 낮은 발코니 및 구조에 대해서와 같이 크지 않다.
고지 수용 및 배달 크레인(44)이 이 설비의 제2 레벨로부터 작동한다. 6개의 수용 및 배달 크레인(44)은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의 고지측에 제공된다. 이들 크레인은 종래의 구조이고 고지뱅크상에 제2 레벨 공간에 컨테이너를 배달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고 이것을 레일 카 또는 트럭에 놓거나 또는 레일 카 또는 트럭 또는 다른 육상 운송 수단으로부터 이 컨테이너를 제거하며, 그리고 이것을 처리를 위해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로 가져간다.
이 시스템에 ASRS 시스템을 가진 산업에서 잘 알려진 종류의 중앙 통제실(46)이 제공된다. 이 통제실에서, 작업자는 텔리비젼 모니터 및 다른 측정기를 보면서 두부, 빈 컨테이너 그리고 수용 및 배달 크레인을 원격 제어로 제어한다. 내부 크레인은 컴퓨터로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긴급한 경우, 원격 제어로, 통제실의 작업자에 의해 텔리비젼과 거리 측정기를 가지고 감시한다. 결국, 이들 크레인 모두는 완전 자동화되고 컴퓨터 제어된다.
빈 컨테이너 설비(12)를 선적된 컨테이너 설비(10)가 고지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에 그리고 이것에 접근할 수 있게 위치시키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기능 작용에 필수적이다. 이 설비는 제3도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수직 방향의 다수 셀(48)이 제공되는 점에서 선적된 저장 컨테이너 설비(10)와 다르다. 동일한 해양 캐리어의 동일 길이와 폭의 빈 컨테이너가 도시된 것처럼 각각 셀에서 14개 이상 높이까지 적층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들은 수직 방향 코너 포스트(corner post)(49)에 의해 안내되고 선적된 저장 컨테이너 설비에서보다 더 비싼 분리된 담겨진 저장 공간 또는 구조물에 있지 않다. 이는 필요한 전체 지면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이 빈 컨테이너 저장소 설비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강철의 양과 볼륨, 또한 빈 컨테이너를 다루는 시간 그리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어떤 한 셀에 있는 컨테이너가 모두 동일 크기이며 동일한 해양 캐리어 것이기 때문에, 정상 동작에서 별도로 회수되고 제거되는 것 각각을 가질 필요가 없다. 오히려, 삽입되는 마지막 것이 제거되는 첫번째 것이다. 각각의 셀이 주어진 머쉰을 이용하는 해양 캐리어의 컨테이너 모두를 공급한다. 운송업자와 컨테이너의 크기가 바뀌면, 셀의 크기가 그것을 공급할 수 있게 조절된다.
빈 저장 설비를 위한 컨테이너가 어떠한 셀에라도 도달할 수 있고 그리고 컨테이너를 이 셀에 또는 이 셀로부터 신속한 이송 빈 컨테이너 발코니(38) 또는 크레인 아래 트럭 또는 레일 카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빈 저장 컨테이너 크레인(50)에 의해 조종된다. 전술한 것처럼, 신속한 이송 발코니가 빈 컨테이너를 다루는데 이용되고 전제 제10레벨 신속 이송 발코니가 빈 컨테이너에 제공된다. 어떤 배들은 배에 선적된 빈 컨테이너의 50% 이상을 가질 수 있고, 빈 컨테이너의 이와 같은 조종은 대단히 중요하다. 더우기, 빈 컨테이너는 상품 및 부패하기 쉬운 제품으로 가득한 컨테이너에 맞은편에 있는 빈 컨테이너가 일년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시간 동안 필요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빈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들을 얻는 것이 바람직할 때, 컨테이너의 필요한 수가 배가 도착하기 수 시간 전에 알려진다. 그 다음 이들 컨테이너는 이들 셀로부터 크레인(50)에 의해 제거되고 신속한 이송 발코니(38)로 배달된다. 거기에서 이것은 신속하게 제거되고, 이들 빈 컨테이너의 배달 속도를 높이도록 내부 크레인을 우회한다. 그 다음 이 빈 컨테이너는 배 밖에 선적되기 수 시간 전에 선적 컨테이너 설비에 위치될 수 있고, 이것들을 배 밖에 실는 부두 크레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러종류의 컨테이너의 전형적인 작업이 이제 설명된다. 부두 크레인은 배로부터 컨테이너를 들어올릴 수 있고, 이것을 저장 공간의 부두 뱅크에 이웃한 부두에서 트럭, 또는 레일 카에 놓을 수 있다. 이는 너무 큰 컨테이너에 대해 평평한 래크가 필요하거나, 또는 위험한 카고를 가진 컨테이너에 요구된다. 냉동 컨테이너는 부두 크레인에 의해 배로부터 제거되고 발코니(26)에 그 다음 이송기(28)에 놓인다. 그 다음 이송기는 공간들 중 하나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키고, 내부 브리지 크레인이 그 공간으로부터 냉동 컨테이너를 제거하며 이것을 제1 및 제2레벨에서 더 낮은 공간들 중 하나에 재위치시킨다. 이들 레벨에 전원선이 제공되고, 이것은 필요한 경우 냉동 컨테이너에 냉동 장비에 수동식으로 플러그(plug)된다(컨테이너가 몇 시간 동안 이 시스템에서만 있는 경우, 이것을 전원에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어떤 크기의 표준 선적 컨테이너가, 예를 들어 식별 번호, 또는 AEI 식별로 식별되는, 부두 크레인에 의해 올려지고, 90°회전되고 이송기(28)에 놓인다. 그 다음 이 이송기는 그 레벨에서 빈 공간 내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그 영역에 있는 내부 크레인(20)이 그 공간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회수하고 저장을 위해 컨테이너를 더 낮게, 더 높게 또는 어떤 다른 수평 위치에 재위치시킨다. 이 컨테이너가 레일 카 또는 트럭(섀시)에 즉시 위치되면, 내부 크레인은 제2 레벨에서 고지 또는 바디를 향한 수용 및 배달 크레인의 한 공간에 이 컨테이너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이 수용 및 배달 크레인이 레일 카 또는 섀시(트레일러)에 직접 그 컨테이너를 놓는다.
달리, 선적된 컨테이너가 이 배에서 제거되고 이송기(28)에 놓여 공간들 중 하나에 삽입되어, 내부 브리지 크레인에 의해 회수되고 그리고 수 일 또는 수 시간 동안의 저장을 의해 다른 공간에 다시 놓인다.
한 컨테이너를 부두 뱅크의 한 끝으로부터 선적된 컨테이너 저장 설비의 반대측 끝에 더 가까이 있는 공간으로, 또는 내부 브리지 크레인의 먼 영역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이송기가 이 컨테이너를 한 공간에 삽입한다. 내부 브리지 크레인이 이것을 제거하고, 그 다음 이것을 신속한 이송 발코니로의 접근과 함께 고지 또는 바다를 향한 측면에서 (ASRS 장비로) 한 공간에 삽입한다. 신속한 이송 발코니에서 고속의 이송기가 자동으로 이 컨테이너를 회수하고 신속한 이송 발코니(26)의 전체 길이를 달려가거나 또는 두대의 배에 서비스가 제공되면, 그리고 제2 이송기가 동작하며, 이것은 구조물 중앙에서 한 공간에 이 컨테이너를 놓는다. 그 다음 제2 고속 이송기는 그 공간에서 이 컨테이너를 회수하고 이것을 원하던 공간으로 발코니를 따라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그 다음 이 신속한 이송기가 이 컨테이너를 한 공간에 놓고 내부 브리지 크레인이 이 컨테이너를 회수하며 이것을 고지 뱅크 또는 부두 뱅크의 다른 위치에 재위치시키거나, 또는 이것을 수용 및 배달 크레인 위치로 이동시킨다.
육상 운송 수단으로부터 배로 배달하는 동작의 반대 모드는 상기 절차의 역이다. 레일 카, 예를 들어 선적된 컨테이너를 수용 및 배달 크레인(44 또는 43)에 배달하고, 이것은 컨테이너를 골라내어 90°회전시켜 이것을 고지 또는 바다를 향한 뱅크의 제2레벨의 한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이 영역을 위한 내부 브리지 크레인은 이 컨테이너를 제거하고 이것을 부두 뱅크에서 제7 레벨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이송기가 이것을 적당한 부두 크레인에 배달한다. 필요한 경우, 신속한 이송기 중 하나가 이 컨테이너를 원하던 부두 크레인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또는, 신속한 이송기의 이용 또는 불이용으로, 이 시스템은 이것을 자동적으로 배 밖에서 나중에 실을 부두 크레인에 가까운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필요할 때, 빈 섀시 저장 설비(52)가 18개 깊이까지 각각의 공간에서 여러개의 빈 섀시를 저장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초기에, 섀시는 동일한 지면 공간에서 종래대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고, 변형예가 당해 기술자에게 명확한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에 공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21)

  1. 이격된 다중 컬럼에 배열된 다수의 수직 및 수평 이격 선적 컨테이너 저장 공간을 가지며, 저장 공간의 한 다중 컬럼은 컬럼들에 인접한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 공간(18)을 구비한 해향 측면과 상기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 공간(18)상에 자동 조정 브리지 크레인(20) 및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공간의 해향 측면상의 부두 크레인(24)을 갖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공간의 다중 레벨과, 저장 공간의 동일한 또는 다른 레벨에서 고지 측면 및 외부 해향 측면을 따르는 자동 레일 카 신속 이송 발코니(27,34,36,38), 및 상기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자동화된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을 우회시키기 위해 자동 레일 카상의 컨테이너를 상기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위의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상기 신속 이송 발코니상의 고속 이송 수단(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컬럼의 제1 및 제2 이격 뱅크(14,16)(바다쪽 그리고 고지쪽)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 조종 브리지 크레인 공간(18)은 상기 두개의 뱅크들 사이의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이며, 상기 자동화 조종 브리지 크레인(20)은 내부 브리지 크레인이며,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18) 내에서 각각의 부두 크레인(24)을 위한 두개의 뱅크는 각각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의 길이내에서 조종가능한 이격된 영역에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선적 컨테이너 저장 공간들의 뱅크는 각각 부두면에 평행한 수평 길이를 가지며, 또한 저장 공간들의 뱅크의 전체 수평 길이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신속한 이송 발코니(27,34,36,38) 및 상기 발코니의 전체 길이에 걸쳐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화된 레일 카 컨테이너 이송 수단(2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발코니(27,34,36,38)는 트랙을 가지며,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발코니상의 트랙에서 주행하는 자동화 휠 장착 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발코니는 트랙을 가지며,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발코니상의 트랙 위를 주행하는 컴퓨터 자동화 휠 장착 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 및 수평 이격 선적 컨테이너 저장 공간(10)에 전략적으로 위치 및 분리되며, 상부 컨테이너가 항상 다음으로 이동되도록 개별 수직 셀에서, 하나를 다른 것의 상측에 직접 적층 배열하는 방식으로, 다른 캐리어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동일 크기의 동일 해양 캐리어 또는 캐리어들의 여러개의 빈 컨테이너를 수용 및 저장하기 위한 수직 셀을 가지는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 및 상기 전략적으로 위치된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와, 또한 짧은 시간 동안 빈 컨테이너를 저장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이격 선적 컨테이너 저장 공간 사이로 빈 컨테이너를 전달 및 수용하기 위한 수단(4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7. 뱅크 외부를 따라 제공된 수직 및 수평 이격 컨테이너 저장 공간 발코니의 두개를 뱅크(14.15)를 가지며, 상기 발코니에 따른 각각의 저장 공간은 상기 발코니로 또는 발코니로부터 컨테이너를 전달 및 수용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저장 공간의 뱅크는 제1 내부 공간 측면의 브리지 크레인 공간(18)과 상기 브리지 크레인 공간의 적어도 두개의 브리지 크레인(20)을 가지며, 상기 뱅크는 각각 수평 길이 및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리지 크레인을 지나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 뱅크의 제2 측면을 따라 뱅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저장 공간 단부 개구부를 지나 상기 공간들의 뱅크의 외부로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브리지 크레인을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들에 대한 두개의 이격된 제1 및 제2 뱅크(14.16)를 구비하고, 상기 브리지 크레인 공간(18)은 뱅크들 사이의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이며, 상기 브리지 크레인(20)은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내에서 컴퓨터 제어하의 별도의 조절 영역에서 각각 작동되는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내의 내부 브리지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브리지 크레인 영역(20)을 우회시켜, 컨테이너를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제2 뱅크(14)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신속한 이송기로 내부 컴퓨터 자동화 브리지 크레인(20)을 우회시킨 후 저장 공간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며, 다음에 다른 내부 브리지 크레인으로 한 뱅크(14.16)의 한 공간으로부터 제1 또는 제2 뱅크의 저장 공간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이격 컨테이너 저장 공간의 두개의 뱅크(14.16)를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셀에서 하나를 서로의 상측에 직접 수직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해양 캐리어에 의해 사용된 것과 같은 길이의 다수의 빈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며, 상기 저장 뱅크에 일시적으로 저장시키기 위한 수직 적층물로부터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뱅크의 해양 측부를 통해 해양 캐리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설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12. 개별 공간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선적 컨테이너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조립된 수직 및 수평 분리 공간을 갖는 다중-레벨 자동 저장 및 검색 시스템(ASRS)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 및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로 또는 그로부터 컨테이너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24.43.32)을 포함하는, 레일 카, 트럭 또는 배에 또는 이것들로부터 원양 항해 컨테이너의 선적과 하역 작업을 하는 해양 또는 육상 터미널에서 작업을 위한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로부터 전략적으로 위치 및 분리되며, 상부 컨테이너가 항상 다음으로 이동되도록 개별 수직 셀에서, 하나를 다른 것의 상측에 직접 적층 배열하는 방식으로, 동일 크기 및 상기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동일 해양 캐리어 또는 캐리어들의 여러개의 빈 컨테이너를 수용 및 저장하기 위한 수직 셀을 가지는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 및 상기 전략적으로 위치된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와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 사이로 빈 컨테이너를 전달 및 수용하기 위한 수단 (4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는 적어도 제1 및 제2 연장 세로 수직 뱅크(14.16)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뱅크(16)는 부두(해향)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뱅크는 고지 측면과 중간에 이격된 내부 브리지 크레인(18) 및 상기 크레인 공간(18)의 제1 및 제2 뱅크(14.16) 사이의 ASRS 컨테이너 브리지 크레인(20)을 가지며, 상기 빈 컨테이너는 상기 제2 뱅크(14)의 고지 측면을 통해 상기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며, 이어서 양 뱅크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상기 크레인 공간(18)을 통과하며, 이어 선적되기 바로 직전에 상기 부두 측면상의 제1 뱅크(16)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14)의 고지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신속 이송 발코니(34.35)를 포함하며, 일차 빈 컨테이너 신속 이송 발코니(38)는 상기 내부 크레인 공간(18)에서 내부 컨테이너 브리지 크레인 영역을 우회하여 상기 연장 제2 뱅크를 따라 빈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이송기(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종 및 저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빈 컨테이너 저장 설비(12)는 상기 제2(고지)뱅크의 양 단부에 근접하기 위해 상기 연장 세로 제2 뱅크(14)의 길이를 따라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속 이송 발코니(34,36)는 상기 일차 빈 컨테이너 신속 이송 발코니(38)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정 및 저장 장치.
  17. 서로로부터 분리된 선적 컨테이너를 보유하기 위한 공간의 부두 뱅크 및 고지 뱅크(14.16)를 갖는 수직 선적 컨테이너 설비(10)를 포함하며, 동일한 길이의 주어진 셀에서 상기 빈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동일한 해양 캐리어 또는 캐리어들의 다수의 빈 컨테이너를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셀에서 하나를 다른 것의 상측에 직접 수직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빈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저장시키기 위해 수직 적층물로부터 이동시키므로써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를 통해 해양 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ASRS 컨테이너 저장, 선적 및 수용 설비(12)에서 빈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배로 선적하기 바로 전에, 상기 빈 컨테이너를 선박, 레일 카 또는 트럭에 적하되기 전 빈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ASRS 컨테이너 저장기 선적 및 수용 설비(12)에서 빈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들의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 고지 및 부두 뱅크(14.16) 는 내부 브리지 크레인(20)을 갖는 내부 브리지 크레인영역(18)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빈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20)의 저속 이동을 우회하여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영역을 지나 외부에서 한 뱅크를 따라 상기 빈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ASRS 컨테이너 저장기 선적 및 수용 설비(12)에서 빈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 컨테이너 저장 설비(10)는 그 위로 자동 레일 카가 이동 컨테이너를 (브리지 크레인의 속도와 비교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신속 이송 컨테이너 발코니(27.34.36.38)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뱅크를 따라 빈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신속 이송 발코니를 따라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상기 저속 내부 브리지 크레인을 우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ASRS 컨테이너 저장기 선적 및 수용설비(12)에서 빈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빈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단계는 빈 컨테이너를 저장 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 브리지 크레인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저장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어서 상기 내부 크레인 영역을 통해 상기 부두 뱅크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부두 뱅크를 통과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ASRS 컨테이너 저장기 선적 및 수용 설비(12)에서 빈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950704449A 1993-04-09 1994-03-30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KR100289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45,827 US5511923A (en) 1993-04-09 1993-04-09 Contain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US045,827 1993-04-09
US045827 1993-04-09
PCT/US1994/003526 WO1994024032A1 (en) 1993-04-09 1994-03-30 Contain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793A KR960701793A (ko) 1996-03-28
KR100289765B1 true KR100289765B1 (ko) 2001-11-30

Family

ID=2194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449A KR100289765B1 (ko) 1993-04-09 1994-03-30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11923A (ko)
EP (1) EP0691930A1 (ko)
JP (1) JPH08508966A (ko)
KR (1) KR100289765B1 (ko)
CN (2) CN1057059C (ko)
AU (1) AU6699494A (ko)
HK (1) HK1023104A1 (ko)
WO (1) WO19940240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60Y1 (ko) 2010-04-06 2012-06-2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수화물 분류장
KR102347820B1 (ko) 2021-07-28 2022-01-06 주식회사 제이디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가설 구조물 기반의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KR20230017573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8550A (en) * 1992-04-16 1998-02-17 Mi-Jack Products, Inc. Load transferring system
NL9301982A (nl) * 1993-11-16 1995-06-16 Robert Marie Lubbers Werkwijze voor het transporteren van een container en transportmiddelen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US5775866A (en) * 1994-05-20 1998-07-07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Cargo loading crane
JP3452364B2 (ja) * 1994-09-20 2003-09-29 レジアンネ ソシエタ ペル アッチオーネ 貨物集積場の貨物管理運搬プラントおよび関連貨物集積場
ITPI940032A1 (it) * 1994-11-03 1996-05-03 Gilberto Rolla Deposito interrato modulare e automatico per lo stoccaggio temporaneo o permanente di container e simili
IT1289530B1 (it) * 1995-10-13 1998-10-15 Fata Automation Magazzino integrato ad alta capacita' per container
FI972687A (fi) * 1997-06-19 1998-12-20 Teco Engineering Oy Menetelmä ja laitteisto konttien lastaamiseksi alukseen ja purkamiseksi aluksesta
US6524050B1 (en) 1998-03-10 2003-02-25 Acta Maritime Development Corporation Container transf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BE1012214A3 (nl) * 1998-09-30 2000-07-04 Katoen Natie Bulk Terminals Containerbelading/ontladingssysteem voor een magazijn met meerdere niveaus.
DE19923813A1 (de) * 1999-05-20 2000-12-07 Mannesmann Ag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AU7484500A (en) * 1999-09-14 2001-04-17 William Hagenzieker Cargo-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DE69922422D1 (de) * 1999-12-20 2005-01-05 Youngsoo Kwon Vorrichtung zu laden/entladen von fracht und verfahren dafür
DE10002915A1 (de) * 2000-01-19 2001-08-02 Mannesmann Ag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AU2002235205A1 (en) * 2000-10-23 2002-05-15 Paul D Dunstan Container terminal apparatus
WO2002059021A1 (en) * 2001-01-26 2002-08-01 Bakvertisi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 storage and container retrieval
AT500088B1 (de) * 2002-09-11 2007-06-15 Rail Cargo Austria Ag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NL1022811C2 (nl) * 2003-02-28 2004-08-31 Fountain Patents B V Systeem en werkwijze voor opslag en transport van zeecontainers.
US7898415B2 (en) * 2004-05-14 2011-03-01 Paceco Corp.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dio-location tags to report status for a container handler
US7987017B2 (en) * 2005-02-25 2011-07-26 Apm Terminals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container flow in a port facility
JP2007031102A (ja) * 2005-07-28 2007-02-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装置の遠隔操作装置及びクレーン装置並びにクレーン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DE102006025619A1 (de) * 2006-05-24 2007-11-29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Regal-integrierte Packstation und Kommissionierverfahren
EP1923338A1 (en) * 2006-11-17 2008-05-21 APM Terminals B.V. Plant for transporting cargo to and/or from a ship
US20080240900A1 (en) * 2007-03-29 2008-10-02 Eric Reisenauer System for storage and retrieval
US20080240894A1 (en) * 2007-03-29 2008-10-02 Eric Reisenau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7670736B2 (en) * 2007-03-29 2010-03-02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ors
US8596946B2 (en) * 2008-01-28 2013-12-03 The Richard C. Lydle 2008 Delaware Trust Watercraft dry dock storage systems and methods
SG163457A1 (en) * 2009-02-02 2010-08-30 Sh Cogent Logistics Pte Ltd Container depot
JP2011037542A (ja) * 2009-08-07 2011-02-2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リーファーコンテナの荷役方法、及びその荷役制御システム
MY163044A (en) * 2010-04-30 2017-07-31 Alba David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US8800452B2 (en) 2010-05-11 2014-08-12 David Kun Railroad freight car loading or unloading
EP2586735B1 (en) * 2011-10-31 2014-06-25 Cargotec Netherlands B.V. Ship to shore crane with dual trolleys
US10421608B2 (en) 2013-03-27 2019-09-24 Sh Cogent Logistics Pte Ltd Frame structure for a multi-level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facility
CN104108611B (zh) * 2013-04-18 2016-05-25 天津港(集团)有限公司 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BR102013022724B1 (pt) * 2013-09-05 2021-08-31 Carmine Alexandre Cifelli Equipamento e método para a movimentação de contêineres
CN103818733A (zh) * 2014-02-11 2014-05-28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集装箱货场高效转运系统
GB201409883D0 (en) 2014-06-03 2014-07-16 Ocado Lt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ransporting devices
CN104649152A (zh) * 2015-02-13 2015-05-27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港口全自动化集装箱堆场双层高架桁车配送系统
CN107466333A (zh) * 2015-04-15 2017-12-12 奥卡多创新有限公司 自动停车设备与处理方法
GB201602332D0 (en) * 2015-04-15 2016-03-23 Ocado Innovation Ltd Robotic container handling device and method
ES2622469B2 (es) * 2016-01-06 2018-03-08 Antonio Marcos RUIZ VEGA Procedimiento para el traslado de contenedores estandarizados entre un buque portacontenedores y un muelle
WO2017136385A1 (en) * 2016-02-04 2017-08-10 Wal-Mart Stores, In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the distribution of products
US9682831B1 (en) 2016-05-02 2017-06-20 Sea-Train Express-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US9637327B1 (en) 2016-05-02 2017-05-02 Sea-Train Express—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US10053306B2 (en) 2016-05-02 2018-08-21 Sea-Train Express—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GB2555130A (en) * 2016-10-20 2018-04-25 Deutsche Post Ag Transportation vehicle for mobile sorting of shipments
WO2018143894A1 (en) * 2017-02-02 2018-08-09 Cwt Limited Freight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CN108545303A (zh) * 2018-05-11 2018-09-18 广西钟山县天顺石材有限公司 一种石材储存运输装置
WO2020174703A1 (ja) * 2019-02-25 2020-09-03 株式会社Mujin 保管システム
CN110304469A (zh) * 2019-07-29 2019-10-08 武汉新丝路快铁物流有限公司 一种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和方法
CN110713120B (zh) * 2019-10-18 2020-08-07 青岛大学 一种集装箱转运系统及方法
CN113027184A (zh) * 2021-03-03 2021-06-25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装箱轿车装箱车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56636A1 (de) * 1968-02-22 1970-10-22 Krupp Gmbh Container-Umschlaganlage
US3543952A (en) * 1968-03-29 1970-12-01 Kaiser Ind Corp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system
US3543953A (en) * 1969-03-12 1970-12-01 Catharinus M Ponsen Cargo handling apparatus
US3700128A (en) * 1970-12-23 1972-10-24 Gen Electric Intermodal transfer system
JPS5141273B1 (ko) * 1970-12-30 1976-11-09
SE351830B (ko) * 1971-02-05 1972-12-11 L Andersson
GB1459526A (en) * 1974-02-27 1976-12-22 Mitsui Shipbuilding Eng Apparatus for container handling in container yards
DE2658130A1 (de) * 1976-12-22 1978-07-06 Mannesmann Ag Transportanlage zur verbindung von containerbruecken eines hafens mit einem container-hochregallager
DE3421418A1 (de) * 1984-06-08 1986-01-09 Rudolf Dr.-Ing. 2000 Hamburg Vogel Umschlagzentren fuer behael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60Y1 (ko) 2010-04-06 2012-06-2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수화물 분류장
KR102347820B1 (ko) 2021-07-28 2022-01-06 주식회사 제이디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가설 구조물 기반의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KR20230017573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1984A (zh) 1999-10-20
WO1994024032A1 (en) 1994-10-27
EP0691930A1 (en) 1996-01-17
US5511923A (en) 1996-04-30
KR960701793A (ko) 1996-03-28
JPH08508966A (ja) 1996-09-24
CN1057059C (zh) 2000-10-04
AU6699494A (en) 1994-11-08
CN1122590A (zh) 1996-05-15
HK1023104A1 (en) 2000-09-01
CN1070814C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765B1 (ko) 컨테이너터미널장치및방법
US20220281682A1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US7753637B2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JP4142850B2 (ja) 小口貨物、特にisoコンテナの積換え設備
US8529187B1 (en) Automated marine container terminal and system
RU238451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GB2080265A (en) Warehousing
US20020102150A1 (en) Contain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KR100737362B1 (ko)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US3631993A (en) Containerized cargo storage and handling system
US20160122139A1 (en) Container terminal
US11377313B2 (en)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CN215515224U (zh) 用于将标准化的仓储货物储存在高架仓库中的装置
CN109132256B (zh) 多层集装箱设施
Asef-Vaziri et al. Automated technologies in maritime container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