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359A -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 Google Patents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359A
KR20020092359A KR1020027009174A KR20027009174A KR20020092359A KR 20020092359 A KR20020092359 A KR 20020092359A KR 1020027009174 A KR1020027009174 A KR 1020027009174A KR 20027009174 A KR20027009174 A KR 20027009174A KR 20020092359 A KR20020092359 A KR 2002009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cell
oxalate
ethyle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마뉴엘 펠레드
테어 듀브데바니
아비 멜만
아디 아하론
Original Assignee
라모트 유니버시티 오소리티 퍼 어플라이드 리서치 엔드 인더스트리얼 디벨로프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모트 유니버시티 오소리티 퍼 어플라이드 리서치 엔드 인더스트리얼 디벨로프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라모트 유니버시티 오소리티 퍼 어플라이드 리서치 엔드 인더스트리얼 디벨로프먼트 엘티디.
Priority claimed from PCT/IL2001/00005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54220A2/en
Publication of KR2002009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3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01M8/04194Concentration measurin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4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447Concentration; Density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31Temperature of other components of a fuel cell or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83Pressure differences, e.g. between anode and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28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843Humidity; Water content of fuel cell exhau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51Non-ion-conducting additives, e.g. stabilisers, SiO2 or Z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04Regulation of differential pres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Catalys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연료로서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옥살산, 글리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의 용도, 이들 화합물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 전지, 이들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혼합형 전원, 및 용액 중에서 이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Description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Fuels for Non-Alkaline Fuel Cells}
탄화수소 및 지방족 알코올은 완전하게 전기적으로 산화시키기 매우 어려우며 [J. Wang, S. Wasmus, 및 R. F. Savinell, J. Electrochem. Soc. 142, 4218 (1995)], 지방족 알코올 산화의 주생성물은 알데히드 또는 케톤, CO2및 산 또는 에스테르이다. 190 ℃에서도, 중합체-전해질막(PEM) 연료 전지에서 에탄올의 산화는 불완전하고, CO2가 산화 생성물의 40 % 미만인 반면 산화 주생성물 (60 % 초과)은 에탄올이다. 80 % 이상 전기적으로 산화되지 않는 화합물은 효율적인 연료로 생각할 수 없다. 옥살산 [V.S. Bagotzky 및 Y.B. Vasilyev, Electrochemica Acta 9, 869 (1964)]을 제외하고는, C-C 결합을 가진 화합물의 완전한 전기적 산화에 관해서는 발표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료를 교시하는 각종 문헌들이 존재한다. 이들 중에서 미국 특허 제5,599,638호는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디메톡시메탄, 트리메톡시메탄 및 트리옥산의 용도를 언급하고 있다. NASA에서 연료 전지용으로 가능한 연료로서 약 150 가지의 유기화합물을 스크리닝한 결과 [NASA report No. SP-120 (1967), chapter 15, pp. 225 이하], 메탄올만이 효과적인 연료로 확인되었다. 다른 유기 분자들은 산성, 중성 또는 염기성 용액에서 이들의 반전지 포텐셜에 대해 시험하고, 전극의 접압을 상이한 전류 및 온도에서 측정하고, 이론적 산소 전극을 가정하여 1 ㎠ 당 최대 전력을 계산하였다. 스크리닝한 모든 분자는 1 내지 250 mV/㎠ 범위의 최대 전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파라미터는 화합물이 연료로서 우수한 후보자인지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수한 유기 연료로 생각되는 메탄올 및 연료로는 거의 생각할 수 없는 에탄올은 산성 매질에서 최대 전력값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난다 (각각 13 및 15 mV/㎠). SP-120 [chapter 16, pp. 262 이하]에서는 에틸렌 글리콜 및 우레아의 성능이 불량한 (30 % KOH 연료 전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NASA 보고서에서 언급된 몇몇의 다른 분자들은 글리세롤, 글리옥살 알데히드 및 글리옥실산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기 연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실제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태양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및 현행 기술에서의 연료의 분극 곡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공급 유기 연료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유기 연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연료는 디메틸 옥살레이트(DMO), 에틸렌 글리콜(EG), 그의 옥살산, 글리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는 옥살산 및 에틸렌 글리콜의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유기 연료는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 특히 산성 연료 전지에서 깨끗하고 효과적인 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로는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포름산 에스테르, 에틸렌옥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로는 에틸렌 글리콜 및 디메틸 옥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는 연료 전지에서 연로로 사용되는 경우 80 % 이상이 CO2로 전환되고, 비휘발성 부산물이 극소량만 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로 만족스럽게 작용할 수 있는 연료 전지의 비제한적 예로는 액체 공급 연료 전지, 기체 공급 연료 전지, 고온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용융 카르보네이트 연료 전지, 및 양성자 교환 또는 양성자 전도성 막을 사용하는 연료 전지를 들 수 있다. 양성자 교환 또는 양성자 전도성 막을 사용하는 연료 전지, 또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전지에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의 혼합물 뿐 아니라 메탄올과 같은 공지된 유기 연료와 본 발명의 연료와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몇 연료는 특히, 승온에서 알칼리성 연료 전지로 유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알칼리성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 중성 환경에서 연료의 불완전한 전기적 산화, 및 불완전 전기적 산화로 인한 카르보네이트 또는 다른 유기염의 축적으로 인해 때때로 교체해 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연료 전지가 본 발명의 연료로 작동되는 경우, 이러한 전지에서는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인 메탄올로 작동하는 경우의 동일한 연료 전지가 나타내는 것보다 낮은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를 나타낸다. 이론적으로, 크로스오버 전류가 낮은 것은 메탄올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연료의 분자 크기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분자 크기가 큰 것은 확산 계수가 작은 것과 관련되며, 이는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를 낮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는 메탄올 보다 비점이 높아 양성자 전도성 막을 주로 액체상으로 통과하게 된다. 당연히, 액체상의 확산 계수가 기체상의 확산 계수보다 작다.
DMO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와 같은 본 발명의 고체 연료는 다루기가 더 용이하고 물 중에서 용해도가 더 낮은 것과 같은 여러가지 이유로 메탄올과 같은 액체 연료보다 이로울 수 있다. 따라서, 고체 연료는 크로스오버 전류를 낮게 유지하도록 돕는 저농도를 유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비용해성 고체 연료가 연료 저장기로 사용되는 반면, 전지가 작동하고 연료가 소비되는 경우 용해되는 상당량의 고체 연료와 함께 연료 전지의 양극실에서 고체 연료의 포화 용액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된 양성자 전도성 막, 유기 연료를 양극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산소를 음극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유기 연료는 디메틸 옥살레이트(DMO), 에틸렌 글리콜(EG), 그의 옥살산, 글리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른 전지는 연료가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른 전지는 연료가 에틸렌 글리콜 및 디메틸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 실시태양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른 연료 전지는 전지가 작동되는 동안 생성된 CO2가 양극 구획실 또는 연료 탱크에 위치하는 소수성의 얇은 다공성 매트릭스를 통해 방출되어 용액의 손실없이 기체가 방출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연료로 작동하도록 특별히 개조된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산소 환원 촉매외에 연료 산화 촉매를 포함하는 음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촉매의 비제한적 예로는 Pt-Ru, Pt-Sn, Pt-Ru-Sn, Pt-Ag-Ru, Pt-Os 촉매 또는 이들 촉매의 조합이 있다. 음극의 연료 산화 촉매는 막을 관통하는 연료의 산화를 향상시키고, Pt 또는 Pt 합금 촉매에서 통상적인 음극에서의 산소 환원 촉매의 비활성화를 막는다. 환원 촉매 대 산화 촉매의 실제비는 1 % 내지 50 %이고, 5 % 내지 20 % (w/w)가 바람직하거나 또는 산소 전극 1 ㎠ 당 산화 촉매 0.01 내지 5 ㎎이고, 0.05 내지 0.2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따라
(a) 연료 전지의 설정 온도에서 크로스오버 전류 대 연료 농도의 검정 곡선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연료 전지의 상기 설정 온도에서 크로스오버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측정된 전류 및 단계 (a)에서 만들어진 검정 곡선으로부터 연료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설정 온도에서 신규 연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연료 전지에서 크로스오버 전류가 연료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80 ℃에서 1 M EG의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가 동일한 온도에서 0.5 M EG의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에 약 2배 (각각 41 및 19 mA/㎠)가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60 ℃에서 0.25 M DMSO의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가 동일한 온도에서 0.1 M DMSO의 약 2.5배 (각각 2.5 및 0.9 mA/㎠)가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측정된 전류가 이 때의 전압에 무관하다는 것이 확실한 조건 하에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작동하는 연료 전지에서 연료 용액의 연료 농도를 측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작동하는 연료 전지에서 크로스오버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별법으로, 측정을 위한 작은 보조 연료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별법은 측정에 필요한 전압에서 전체 연료 전지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본 발명에 따라 측정하도록 한다. 보조 연료 전지는 연료 전지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전지 안에 위치하거나, 전지에 부착되거나, 연료 탱크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 DC 대 DC 변환기 및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혼합형 전원을 제공한다.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DMFC) 및 액체 공급 연료 전지(LFFC)는 저전원이다. 그러나, 휴대 전화, 컴퓨터 및 작은 전기 수송기관과 같은 장치들은 단기간에 고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들 및 유사한 분야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를 작은 고전력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병용하여 필요할 때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병용은 특히 낮은 크로스오버 전류 때문에 현행 기술의 혼합형 전원에 비하여 이롭다. 현재 DC 대 DC 변환기는 0.7 V에서부터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DC 대 DC 변환기를 통해 2개 또는 3개와 같이 적은 수의 연료 전지들을 (직렬 연결) 배터리와 병용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가 충분히 작을 경우, 즉, 15 mA/㎠, 바람직하게는 5 mA/㎠ 미만일 경우, 상기 혼합형 전원은 매우 자주 연료를 얻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형 전원은 본 발명의 연료 전지와 같은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가 낮은 연료 전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전지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전력 요구량이 적은 반면 고전력 배터리는 하중이 무겁다. 이처럼 필요한 연료 전지의 수가 적은 것은 납작하고 얇은 연료 전지 시스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연료가 공급되는 이러한 혼합형 전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혼합형 전원이 본 발명의 고체 연료로 공급되는 것이 가장 이롭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되고, EG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 연료 또는 DMS와 같은 본 발명의 고체 연료가 공급되는 2개의 얇은 연료 전지, DC 대 DC 변환기 및 작은 고전력 리튬 이온 전지로 구성된 혼합형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여러가지 연료에 대한 분극 곡선을 얻음
탄소 지지 촉매를 대신해서 순수한 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를 제조하였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극 촉매 잉크를 제조하였다:
나노 분말 Pt (Pt 블랙, "존슨 매테이(Johnson Matthey)"로부터 구입), 테플론(Teflon)TM에멀젼 및 나피온(Nafion)TM5 % 용액을 다음과 같은 중량비로 합하였다: Pt 60 %, 테플론 에멀젼 25 % 및 나피온 15 %. 먼저, Pt 분말 및 테플론 에멀젼을 15분 동안 초음파로 혼합하였다. 2 초음파 기간 후에, 얻어진 잉크를 하룻밤 이상 자기 교반기 상에 두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양극 촉매 잉크를 제조하였다: Pt:Ru 나노 분말 (Pt:Ru 블랙 50 % "존슨 매테이"로부터 구입) 및 PVDF를 다음과 같은 중량비로 합하였다: 촉매 분말 91 % 및 PVDF 9 %.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를 촉매 부피의 30내지 70 %와 동일한 양으로 가한 다음 시클로펜타논을 가하고, 얻어진 잉크를 하룻밤 이상 교반시켰다.
전극의 제조: 음극 촉매 잉크를 테플론화된 토레이(Toray)TM탄소 섬유지 상에 도포하여 4 ㎎ Pt/㎠를 형성하였다. 잉크 (페이스트 형태)를 여러 층으로 도포하는데, 그다음 층을 도포하기 전에 각 층을 약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목적하는 촉매량이 얻어질 때까지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5 내지 10 ㎎ 촉매/㎠가 얻어질 때까지 양극 촉매 잉크를 테프론화 되지 않은 토레이TM탄소 섬유지 상에 도포하였다. 전극 모두를 3 M 황산으로 세척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음극과 양극을 PCM 양쪽면에 100 내지 300 ㎛의 두께로 서로 평행하게 두고, 85 내지 130 ℃의 온도 및 10 내지 70 ㎏/㎠의 압력 하에 열간 압축시켰다. 도 1은 다음의 조건 하에서 이러한 종류의 연료 전지에 대한 분극 곡선을 나타낸다: 연료 및 3 M H2SO4의 용액을 9 ㎖/분의 속도로 양극을 통해 순환시켰다. 산소는 0.25 atm의 압력으로 음극을 지나 순환시켰다. 전지 온도는 65 ℃이었다. SiO2의 나노크기의 분말 16 % (V/V), PVDF 24 % 및 대표적인 직경이 1.5 ㎚인 기공 부피 60 %로 이루어진 PCM의 두께는 300 미크론이었다. 전지는 0.4 V에서 100 시간에 걸쳐 안정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연료를 시험하였다: 메탄올 (1 M), 옥살산 (0.1 M, 1 M 메탄올을 포함함), 옥살산 (0.1 M), 디메틸 옥살레이트(0.1 M), 에티렌 글리콜 (0.5 M), 및 글리세롤 (0.5 M) (이들 중에서 글리세롤, 옥살산 및 메탄올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DMO와 EG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는 어떠한 조건도 최적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농도 및(또는) 다른 촉매에 의해 질적으로 다른 관찰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전류가 3 mA로 떨어질 때까지 일정한 전압에서 연료 용액 50 ㎖를 전기화학적으로 적정하여 연료의 이용율을 측정하였다. 이 전류에서는 약간의 연료만이 산화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전기 용량을 이론값과 비교하여 이용율을 계산하였다. 적정 곡선을 전류가 0인 점과 외삽하여 더 교정하였다. 이러한 교정으로 이용율 값이 3 내지 6 % 증가하였다 (표 1).
0.2 V에서 연료의 이용율은 DMO의 경우 95 %, EG의 경우 94 %이고 메탄올의 경우는 단지 85 %인 것으로 밝혀졌다 (표 1 참조). 좀더 실제적인 전압인 0.4 V에서 연료 이용율은 EG의 경우 89 %, DMO의 경우 67 %, 메탄올의 경우 81 %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료가 음극면으로 크로스오버되기 때문에, 이러한 연료의 고이용율은 100 %에 가까운 연료가 전기적으로 산화되는 것을 시사한다.
산소 대신에 질소를 음극 구획실로 공급하고 (주변 기압에서) 양극 구획실로 유기 연료-산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여러가지 온도에서 연료의 크로스오버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지 전압을 역으로 하였더니; 연료 전극에서 수소가 방출된 반면에, 음극면으로 크로스오버된 연료가 산화되었다. 1 V에서 흐르는 전류가 모든 연료의산화에 대한 한계 전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 표 2는 연료 크로스오버 시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는 연료의 투과성, 온도, 농도 및 산화에 관여하는 전극의 총수에 따른다. 1 M 메탄올에 대한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 (80 ℃)는 1 M EG 및 0.25 M DMO의 2배이었다. 그러나, 전극의 수를 고려하고, molㆍs-1ㆍcm-2단위의 연료 플럭스 (80 ℃ 및 확산 조절된 조건 하에서)가 1 M 연료로 일반화된 경우, DMO의 투과율이 거의 메탄올만큼 큰 것에 비해 EG의 투과율 (플럭스)은 메탄올의 1/3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이한 연료의 이용율 비교
전극의 수 이론적 용량[Ah/g] 0.4 V*에서의 이용율 [%] 0.2 V*에서의 이용율 [%]
Exp. Corr. Exp. Corr.
옥살산 2 0.43 91
메탄올 6 5.03 79 81 82 85
에틸렌 글리콜 10 4.32 83 89 89 94
디메틸 옥살레이트 14 3.18 64 67 93 95
* 2회 이상의 시험한 평균Exp.-실험값; Corr.-보정값, 본문 참조.
상이한 연료의 크로스오버
1. 연료 크로스오버 시험:
온도[℃] 농도[M]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A/㎠] 연료 플럭스*[molㆍs-1ㆍcm-2]1 ×10-8
디메틸 옥살레이트 60 0.10 0.009 6.7
60 0.25 0.025 7.4
80 0.25 0.038 11
에틸렌 글리콜 80 0.5 0.019 3.9
80 1.0 0.041 4.2
메탄올 80 1.0 0.076 13
* 1 M로 표준화함.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연료를 나피온 TM 기재 연료 전지에서 사용함
연료 전지 하우징을 글로베테크 인크(Globetech Inc.)에서 구입한 합성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로부터 제조하여, 여기에 유동장을 조각하였다.
토레이TM페이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탄소 섬유 시트 상에 도포된 백금-루테늄 잉크를 사용하여 양극을 형성하였다. 촉매층은 테프론 (듀폰) 15 %, 나피온TM15 % 및 Pt-Ru 나노분말 (Pt:Ru 블랙 50 % "존슨 매테이"로부터 구입함) 70 %로 이루어졌다. 양극 하중은 5 ㎎/㎠이었다. 사용된 음극은 4 ㎎ Pt/㎠ 및 0.6 ㎎ 나피온/㎠로 이루어진 시판되는 ELAT E-TEKTM이었다. 양극 및 음극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듀폰에서 판매되는 117 나피온 막을 열간 압축하여 막 전극 어셈블리(MEA)를 형성하였다.
냉각시킨 후, MEA를 그라파이트 유동장 사이에 두고, 폴리프로필렌 실링(sealing)을 삽입하고, 전지를 조립하였다.
작동하는 동안 0.1 내지 0.5 M 농도 범위의 옥살산,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로부터 선택된 연료 수용액을 4 내지 15 ㎖/분의 상이한 유속으로 양극을 지나도록 순환시켰다 (Masterflex L/S Cole-Parmer Instrument Co.의 유동 펌프를 사용함).
산소를 주변 온도에서 7 내지 40 ㎖/분의 속도로 음극실에 직접 또는 물 발포기를 통해 공급하였다. 전지를 60 ℃에서 작동시켰다. 분극 곡선이 도 1의 곡선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고체 공급 유기 연료 전지
도 2는 플라스틱 케이스 (501), 양극 (509), 음극 (511) 및 고체 중합체 전해질막 (510)을 갖는 고체 공급 유기 연료 전지를 도시한다. 막 (510)은 SiO212 %, PVDF 28 % 및 (산 용액이 도입되는) 빈 공간 60 %로 이루어진 WO 99/44245에 기재된 종류의 PCM이다. 양극, 음극 및 MEA는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고체 유기 연료를 연료 구멍 (502)을 통해 채우고, 코크 (503)로 봉하였다. 연료를 탱크에서 용해시키고, 다공성 탄소 클로스 (508)에서 하스텔로이(hastelloy) C-276 (캐보트(Cabot)) 네트 (507)를 통해 흡수시켰다. 양극 구획실에서 형성된 이산화탄소는 배기 노즐 (504)을 통해 배출시켰다. 액체 연료가 배기 노즐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노즐을 소수성의 다공성 박층 (506)으로 씌웠다. 연료 용액은 탱크 중에 남는 반면 기체만이 소수성 층을 통과할 수 있다. 음극을 제2의 하스텔로이 네트 (513)를 통해 공기 중으로 개방시켰다. 음극면으로부터 연료가 새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MEA를 개스킷 (512)으로 봉하였다. 커버로서 제2의 하스텔로이 네트 (513)를 전체 어셈블리에 또한 사용하였다. DMO 200 ㎎을 1 M H2SO4용액이 포함된 연료 탱크 중에 용해시켰다. 0.35 V에서 연료 전지는 30 mA를 수송하였다. 크로스오버 전류 밀도는 실온에서 2 mA/㎠이었다.

Claims (24)

  1.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옥살산, 글리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에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유기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포름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유기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유기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디메틸 옥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유기 화합물.
  5.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공지된 연료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상기 공지된 연료가 메탄올인 혼합물.
  7. 연료 전지가 산성 전해질 연료 전지인,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8. 연료 전지가 양성자 전도성 막을 갖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용도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9. 제5항에 있어서,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도의 혼합물.
  10.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성자 전도성 막, 유기 연료를 양극에 저장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수단, 산소를 음극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유기 연료가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옥살산, 글리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 글리옥실산 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옥살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그의 포름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 디메틸 옥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4. 연료 전지가 액체 공급 연료 전지인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체 공급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5. 상기 연료가 폴리(에틸렌 옥살레이트), 디메틸 옥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3항에 따른 액체 공급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전지가 작동하는 동안 생성되는 CO2가 양극 구획실 또는 연료 탱크에 위치하는 소수성의 얇은 다공성 매트릭스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7. 산소 환원 촉매 및 연료 산화 촉매를 포함하는 음극을 갖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산화 촉매가 Pt-Ru, Pt-Sn, Pt-Ru-Sn, Pt-Ag-Ru, Pt-Os 촉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접 산화 연료 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연료 산화 촉매 대 산소 환원 촉매의 비가 1 % 내지 50 % (중량/중량)인 직접 산화 연료 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 5 % 내지 20 % (중량/중량)인 직접 산화 연료 전지.
  21.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혼합물인 직접 산화 연료 전지.
  22. (a) 소정의 연료 전지의 설정 온도에서 크로스오버 전류 대 연료 농도의 검정 곡선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소정의 연료 전지의 상기 설정 온도에서 크로스오버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단계 (b)에서 측정된 크로스오버 전류 및 단계 (a)에서 만들어진 검정 곡선으로부터 연료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설정 온도에서 용액 중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인 연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23. 제1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 DC 대 DC 변환기 및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혼합형 전원.
  24. 제15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 DC 대 DC 변환기 및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혼합형 전원.
KR1020027009174A 2000-01-18 2001-01-18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KR20020092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84,267 2000-01-18
US09/484,267 US6447943B1 (en) 2000-01-18 2000-01-18 Fuel cell with proton conducting membrane with a pore size less than 30 nm
US09/604,297 2000-06-26
US09/604,297 US6492047B1 (en) 2000-01-18 2000-06-26 Fuel cell with proton conducting membrane
PCT/IL2001/000054 WO2001054220A2 (en) 2000-01-18 2001-01-18 Fuels for non-alkaline fuel cel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59A true KR20020092359A (ko) 2002-12-11

Family

ID=239234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174A KR20020092359A (ko) 2000-01-18 2001-01-18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KR1020027009175A KR100733100B1 (ko) 2000-01-18 2001-01-18 양성자 전도성 막을 갖는 연료 전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175A KR100733100B1 (ko) 2000-01-18 2001-01-18 양성자 전도성 막을 갖는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47943B1 (ko)
EP (1) EP2254183B1 (ko)
KR (2) KR20020092359A (ko)
AT (2) ATE429717T1 (ko)
DE (2) DE6013845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209B1 (ko) * 2000-03-27 2002-07-10 윤종용 강화제가 부가된 복합 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및 이를채용하고 있는 연료전지
JP4316874B2 (ja) * 2000-11-06 2009-08-1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固体電解質
US6797422B2 (en) * 2001-01-25 2004-09-28 Gas Technology Institute Air-breathing direct methanol fuel cell with metal foam current collectors
US6632553B2 (en) * 2001-03-27 2003-10-14 Mti Microfuel Cell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effluent products in a fuel cell system
US20060177720A1 (en) * 2001-08-20 2006-08-10 Hae-Kyoung Kim Reinforced composite ionic conductive polymer membrane, fuel cell adopt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30044666A1 (en) * 2001-09-05 2003-03-06 Qinbai Fan Chemical barriers in electrochemical devices
JP4094265B2 (ja) * 2001-09-25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発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装置
KR100413801B1 (ko) * 2001-10-30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무기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채용한 연료전지
US6981877B2 (en) 2002-02-19 2006-01-03 Mti Microfuel Cells Inc. Simplified direct oxidation fuel cell system
US7049014B1 (en) * 2002-03-05 2006-05-23 H Power Corporation Direct secondary alcohol fuel cells
ITPG20020013A1 (it) * 2002-03-13 2003-09-15 Fuma Tech Membrane a conduzione protonica contenenti fosfato di zirconio o fosfati solfoarilenfosfonati di zirconio dispersi in una matrice polimerica
US7132188B2 (en) * 2002-04-04 2006-11-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Fuel cells and fuel cell catalysts
US7141322B2 (en) * 2002-06-27 2006-11-28 H Power Corporation Alcohol fueled direct oxidation fuel cells
CN1672280A (zh) * 2002-07-25 2005-09-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解质膜和使用其的膜电极接合体以及燃料电池
US7119458B2 (en) * 2002-10-01 2006-10-10 Mti Microfuel Cells, Inc. A/C—D/C power system with internal fuel cell
US6590370B1 (en) * 2002-10-01 2003-07-08 Mti Microfuel Cells Inc. Switching DC-DC power converter and battery charger for use with direct oxidation fuel cell power source
KR100481591B1 (ko) * 2002-11-13 2005-04-0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연료전지용 고분자 나노복합막,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US7245032B2 (en) * 2002-11-15 2007-07-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power system utilizing propane generator, fuel cell and super capacitors
US7602073B2 (en) * 2002-11-15 2009-10-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with fuel cell and localized air-conditioning for computing equipment
US6960838B2 (en) * 2002-11-15 2005-11-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EP1561270A2 (en) * 2002-11-15 2005-08-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ton exchange membrane based power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US6930402B1 (en) 2003-05-15 2005-08-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 facility
KR100496936B1 (ko) * 2002-11-30 2005-06-28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486728B1 (ko) 2002-12-12 2005-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TW571455B (en) * 2002-12-31 2004-01-11 Ind Tech Res Inst Layered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04072141A2 (en) * 2003-02-13 2004-08-26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Synthesis of polyphosphazenes with sulfonimide side groups
KR101100581B1 (ko) * 2003-03-06 2011-12-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고분자 전해질 재료, 고분자 전해질 부품, 막 전극 복합체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
US7282293B2 (en) * 2003-04-15 2007-10-16 Mti Microfuel Cells Inc. Passive water management techniques in direct methanol fuel cells
US7407721B2 (en) * 2003-04-15 2008-08-05 Mti Microfuel Cells, Inc. Direct oxidation fuel cell operating with direct feed of concentrated fuel under passive water management
US20050170224A1 (en) * 2003-04-15 2005-08-04 Xiaoming Ren Controlled direct liquid injection vapor feed for a DMFC
KR100625970B1 (ko) * 2003-06-20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소이온 전도성 복합막
US8455141B2 (en) * 2003-06-25 2013-06-04 Toray Industries, Inc. Polymer electrolyte as well a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ing the same
US20050048346A1 (en) * 2003-08-28 2005-03-03 Fannon Megan A. Modular connections in a DMFC array
TWI276654B (en) * 2004-02-18 2007-03-21 Ind Tech Res Inst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with different molecular permeation rates
WO2005082024A2 (en) * 2004-02-24 2005-09-09 Ini Power Systems, Inc.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240492B2 (en) * 2004-07-22 2007-07-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Fuel system used for cooling purposes
US7081687B2 (en) * 2004-07-22 2006-07-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s facility
WO2006025351A1 (ja) * 2004-09-03 2006-03-09 Toray Industries, Inc. 高分子電解質材料、高分子電解質部品、膜電極複合体、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KR20070064610A (ko) 2004-09-15 2007-06-21 아이엔아이 파워 시스템즈, 인크 전기화학 전지
US7323267B2 (en) * 2004-10-07 2008-01-29 Tekion, Inc. Liquid feed fuel cell with nested sealing configuration
US20060078765A1 (en) * 2004-10-12 2006-04-13 Laixia Yang Nano-structured ion-conducting inorganic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KR100550998B1 (ko) * 2004-10-28 2006-0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FR2881750A1 (fr) * 2005-02-09 2006-08-11 Arkema Sa Nouveaux carburants liquides de type methoxy utilisables dans les piles a combustibles
JP4468234B2 (ja) * 2005-05-09 2010-05-26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用液体燃料、燃料電池用燃料カートリッジ及び燃料電池
WO2006121169A1 (en) * 2005-05-09 2006-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fuel, fuel cartridge and fuel cell
US7370666B2 (en) * 2005-09-14 2008-05-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with computer-controlled fuel system
US7517604B2 (en) * 2005-09-19 2009-04-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with acidic polymer
US7838138B2 (en) * 2005-09-19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with basic polymer
US7833645B2 (en) 2005-11-21 2010-11-16 Relion, In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nd method of forming a fuel cell
JP2009524178A (ja) * 2005-12-12 2009-06-25 ジョージア テク リサーチ コーポレイション 多孔質フリット系複合陽子交換膜を有する燃料電池
US7566989B2 (en) * 2005-12-13 2009-07-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Back-up power system for a cooling system
US7557531B2 (en) * 2005-12-19 2009-07-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ower system utilizing flow batteries
US7728458B2 (en) 2006-01-05 2010-06-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elecommunications megasite with backup power system
JP4195055B2 (ja) * 2006-01-13 2008-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燃料電池
US7901817B2 (en) * 2006-02-14 2011-03-08 Ini Power Systems, Inc. System for flexible in situ control of water in fuel cells
US20070285048A1 (en) * 2006-06-12 2007-12-13 Leach David H Fuel cell charger interface with multiple voltage outputs for portable devices
US8158300B2 (en) * 2006-09-19 2012-04-17 Ini Power Systems, Inc. Permselective composite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cells
US8551667B2 (en) 2007-04-17 2013-10-08 Ini Power Systems, Inc. Hydrogel barrier for fuel cells
US20080311448A1 (en) * 2007-04-27 2008-12-18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US8026020B2 (en) 2007-05-08 2011-09-27 Relion, In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tack module
US9293778B2 (en) 2007-06-11 2016-03-22 Emergent Power In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US8003274B2 (en) 2007-10-25 2011-08-23 Relion, Inc. Direct liquid fuel cell
US9786944B2 (en) * 2008-06-12 2017-10-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energy density redox flow device
US11909077B2 (en) 2008-06-12 2024-02-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energy density redox flow device
US8722226B2 (en) 2008-06-12 2014-05-13 24M Technologies, Inc. High energy density redox flow device
AU2009309069B2 (en) * 2008-10-28 2014-01-09 Arkema Inc. Water flux polymer membranes
JP5580837B2 (ja) 2009-01-29 2014-08-27 プリンストン ユニバーシティー 二酸化炭素の有機生成物への変換
US8163429B2 (en) * 2009-02-05 2012-04-24 Ini Power Systems, Inc. High efficiency fuel cell system
CN105280937B (zh) * 2009-04-06 2018-04-10 24M技术公司 采用氧化还原液流电池的燃料系统
US8968961B2 (en) 2010-01-25 2015-03-03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roton-conducting membranes
US8721866B2 (en) 2010-03-19 2014-05-13 Liquid Light, Inc.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synthesis gas from carbon dioxide
US8845877B2 (en) 2010-03-19 2014-09-30 Liquid Light, Inc. Heterocycle catalyzed electrochemical process
US8500987B2 (en) 2010-03-19 2013-08-06 Liquid Light, Inc. Purification of carbon dioxide from a mixture of gases
US8845878B2 (en) 2010-07-29 2014-09-30 Liquid Light, Inc. Reducing carbon dioxide to products
US8568581B2 (en) 2010-11-30 2013-10-29 Liquid Light, Inc. Heterocycle catalyzed carbonylation and hydroformylation with carbon dioxide
US8961774B2 (en) 2010-11-30 2015-02-24 Liquid Light, Inc.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butanol from carbon dioxide and water
US8783304B2 (en) 2010-12-03 2014-07-22 Ini Power Systems, Inc. Liquid containers and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producing devices
US9090976B2 (en) 2010-12-30 2015-07-2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Advanced aromatic amine heterocyclic catalysts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US9065095B2 (en) 2011-01-05 2015-06-23 Ini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ower density of direct liquid fuel cells
KR101304219B1 (ko) * 2011-09-05 2013-09-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코어-쉘 구조의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WO2013090267A1 (en) * 2011-12-13 2013-06-20 Sun Catalytix Corporation Methods and techniques for enhanced current efficiencies in reversible hydrogen bromide fuel cells
US9484569B2 (en) 2012-06-13 2016-11-01 24M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slur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US20140206896A1 (en) 2012-07-26 2014-07-24 Liquid 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ion of Oxalic Acid and Oxalic Acid Reduction Products
US8858777B2 (en) 2012-07-26 2014-10-14 Liquid Light, Inc. Process and high surface area electrodes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US8641885B2 (en) 2012-07-26 2014-02-04 Liquid Light, Inc. Multiphas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US10329676B2 (en) 2012-07-26 2019-06-25 Avantium Knowledge Centre B.V.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ploying a gas diffusion electrode
US9175407B2 (en) 2012-07-26 2015-11-03 Liquid Light, Inc. Integrated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s from carbon dioxide
US8845875B2 (en) 2012-07-26 2014-09-30 Liquid Light, Inc.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with co-oxidation of an alcohol
US9873951B2 (en) 2012-09-14 2018-01-23 Avantium Knowledge Centre B.V. High pressure electrochemical cell and process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KR20150056635A (ko) * 2012-09-19 2015-05-26 리퀴드 라이트 인코포레이티드 할라이드 염을 이용하는 화학물질의 전기화학적 공동-제조
US8993159B2 (en) 2012-12-13 2015-03-31 24M Technologies, Inc. Semi-solid electrodes having high rate capability
US9362583B2 (en) 2012-12-13 2016-06-07 24M Technologies, Inc. Semi-solid electrodes having high rate capability
EP2976799B1 (en) * 2013-02-21 2018-09-12 Robert Bosch GmbH Redox flow battery system including an anode electrode having a subsurface alloy
US11005087B2 (en) 2016-01-15 2021-05-11 24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fusion mixing a slurry based electrode
KR20180104708A (ko) * 2016-02-02 2018-09-21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세라믹 선택적 막
EP3416211A1 (en) * 2017-06-14 2018-12-19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orous etched ion-track polymer membrane as a separator for a battery
JP6752974B2 (ja) 2017-07-26 2020-09-09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ルカリ水電解用隔膜、その製造方法、及び無機有機複合膜の製造方法
EP3735314A4 (en) 2018-01-04 2021-09-29 University of Washington NANOPOREOUS SELECTIVE SOL-GEL CERAMIC MEMBRANES, SELECTIVE MEMBRANE STRUCTURES, AND RELATED PROCESSES
CN114557356A (zh) * 2022-02-25 2022-05-31 江苏仁信作物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含2,4-d和毒莠定的混合农药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440A (en) 1960-08-04 1964-08-04 Hunger Herbert Fuel cell
US3935028A (en) 1971-06-11 1976-01-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el cell set and method
DE2809815C3 (de) * 1978-03-07 1981-05-2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Brennstoffzelle mit einer den Elektrolyten chemisch und physikalisch adsorbierenden Matrixschicht
US4276353A (en) * 1978-08-23 1981-06-30 Metco, Inc. Self-bonding flame spray wire for producing a readily grindable coating
US4529671A (en) * 1981-09-07 1985-07-16 Hitachi, Ltd. Fuel cell
US4687715A (en) * 1985-07-26 1987-08-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Zirconium pyrophosphate matrix layer for electrolyte in a fuel cell
JPS6348765A (ja) * 1986-08-19 1988-03-01 Japan Gore Tex Inc 燃料電池用電解質マトリクスおよびその製造法
JPH01192742A (ja) 1988-01-29 1989-08-02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プロトン伝導性非晶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909166B2 (ja) 1990-07-31 1999-06-23 エヌ・イーケムキヤツト株式会社 担持白金四元系合金電極触媒
US5364711A (en) 1992-04-01 1994-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Fuel cell
DE4238688A1 (de) * 1992-11-17 1994-05-19 Bosch Gmbh Robert Gesinterter Festelektrolyt mit hoher Sauerstoffionenleitfähigkeit
US5766787A (en) 1993-06-18 1998-06-16 Tanaka Kikinzoku Kogyo K.K.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US5599638A (en) 1993-10-12 1997-02-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queous liquid feed organic fuel cell us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5773162A (en) 1993-10-12 1998-06-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rect methanol feed fuel cell and system
JPH08185879A (ja) * 1994-12-27 1996-07-16 Fuji Electric Co Ltd 燃料電池単セルの極間ガス漏洩透過の検出方法
US5919583A (en) 1995-03-20 1999-07-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mbranes containing inorganic fillers and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cells employing same
US5700595A (en) 1995-06-23 1997-12-23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 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ower plant with water management pressure differentials
US5503944A (en) 1995-06-30 1996-04-02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ower plants
US5926361A (en) * 1995-09-28 1999-07-20 Westvaco Corporation High power density double layer energy storage devices
DE19611510A1 (de) * 1996-03-23 1997-09-25 Degussa Gasdiffusionselektrode für Membranbrennstoffzell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000607B2 (ja) * 1996-09-06 2007-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発電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952119A (en) 1997-02-24 1999-09-1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uel cell membrane humidification
DE19721437A1 (de) 1997-05-21 1998-11-26 Degussa CO-toleranter Anodenkatalysator für PEM-Brennstoffzell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059943A (en) * 1997-07-30 2000-05-09 Lynntech, Inc. Composite membrane suitable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DE19734973A1 (de) 1997-08-13 1999-02-25 Hoechst Ag Edelmetallcluster enthaltende nano-poröse Aluminium-oxid-Membranen
AU2636999A (en) 1998-02-24 1999-09-15 Ramot University Authority For Applied Research And Industrial Development Ltd. Ion conductive matrixes and their use
DE19837669A1 (de) 1998-08-20 2000-03-09 Degussa Katalysatorschicht für Polymer-Elektrolyt-Brennstoffzellen
EP1166379A1 (en) 1999-01-12 2002-01-02 Energy Partners, 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neutral water balance in a fuel cell system
US6117581A (en) 1999-03-15 2000-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cell electrode comprising conductive zeolite support material
DE19913977C2 (de) 1999-03-18 2001-11-22 Mannesmann Ag Kraftstoffbehälter
US6238534B1 (en) 1999-05-14 2001-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bri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3668069B2 (ja) 1999-09-21 2005-07-06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用液体燃料収容容器および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100B1 (ko) 2007-06-27
DE60142388D1 (de) 2010-07-29
ATE471577T1 (de) 2010-07-15
US6492047B1 (en) 2002-12-10
KR20020077673A (ko) 2002-10-12
DE60138453D1 (de) 2009-06-04
ATE429717T1 (de) 2009-05-15
EP2254183A3 (en) 2011-03-16
EP2254183B1 (en) 2012-05-30
US6447943B1 (en) 2002-09-10
EP2254183A2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2359A (ko) 비알칼리성 연료 전지용 연료
EP1249052B1 (en) Fuels for non-alkaline fuel cells
Peled et al. High-power direct ethylene glycol fuel cell (DEGFC) based on nanoporous proton-conducting membrane (NP-PCM)
US20080070083A1 (en) Permselective composite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03520412A5 (ko)
JP2002505511A (ja) 直接ジメチルエーテル燃料電池
KR20070000689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
US20100075204A1 (en) Anode catalyst layer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of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and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WO2004032270A1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の駆動方法
US8026017B2 (en) High voltage methanol fuel cell assembly using proton exchange membranes and base/acid electrolytes
US20060083959A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artridge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5348600B2 (ja) 直接型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IL150648A (en) Fuels for non-alkaline fuel cells
US20090239114A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8278001B2 (en) Low-porosity anode diffusion media for high concentration direct methanol fuel cells and method of making
US20120156590A1 (en) Direct oxidation fuel cell with improved fuel distribution
KR101247774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070011943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220039451A (ko)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JP2005135725A (ja) 液体燃料電池およびそれを備える組電池
KR20080045945A (ko) 연료 전지용 연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JPH117964A (ja) 直接型メタノ−ル燃料電池
Case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direct methanol fuel cell lifespan problems
JP2010050037A (ja) 直接型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IL150645A (en) Fuel cell with proton conducting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