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217A - 칼라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칼라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217A
KR20020092217A KR1020020030337A KR20020030337A KR20020092217A KR 20020092217 A KR20020092217 A KR 20020092217A KR 1020020030337 A KR1020020030337 A KR 1020020030337A KR 20020030337 A KR20020030337 A KR 20020030337A KR 20020092217 A KR20020092217 A KR 2002009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ignal
level
display device
grad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888B1 (ko
Inventor
미야치코이치
진다아키히토
미야타히데카주
토미자와카주나리
시오미마코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칼라표시장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와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적색신호·녹색신호·청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회로를 제공하여, 처리된 색신호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또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대신하여,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또는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이에 의해, 칼라디스플레이의 채도가 낮더라도, 높은 채도의 표시를 얻을 수 있는 칼라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칼라표시장치{COL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칼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보다 자세하게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color field emission display)와, 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색변환수단을 구비하는 칼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히 액정 텔레비전의 고화질화를 실현할 목적으로, 각종 신호처리회로를 내장한 칼라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공개일 1998년 9월 11일)에는, 적색의 화상표시용 디지털신호(R 신호), 녹색의 화상표시용 디지털신호(G 신호), 및청색의 화상표시용 디지털신호(B 신호)에 대하여,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의 계조수 중 어느 1개 또는 2개가 다른 경우, 1계조 이상의 임의로 설정한 신호를 작은 쪽의 1개 또는 2개의 신호에 가산하는 색도조정회로를 갖는 칼라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발명의 목적은, 칼라 필터의 색재를 변경하지 않고, 색재현 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에 기재된 색도조정회로는, 작은 쪽의 1개 또는 2개의 신호의 계조수를 올리는 것이기 때문에, 유채색의 화소의 색도는, 색도좌표상에서, 상기 공보의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성분의 색도좌표점이 백색방향으로 이동하고, 색재현 범위(색도범위)가 작게 된다. 그 때문에, 유채색의 화소는, 색도가 백색 집합으로 시프트되고, 채도가 낮게 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에서는 색재현 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칼라액정표시장치의 원색의 색재현 범위 자체를 신호처리로 확대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신호처리에서는 각 화소의 100% 휘도를 초과하는 휘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색재현 범위를 상기 공보의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재현 범위를 좁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의 기술로 가능한 것은, 칼라 필터 두께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화이트 밸런스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것 만이다.
한편, 액정디스플레이에 대표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서는, 일반적으로, 광 셔터에 의한 차광이 완벽하지 않아, 누설 광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어두운계조에서는 채도(색순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즉, 예컨대, 칼라액정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비는, 일반적인 투과형에서는 300 정도이고, 또한 일반적인 반사형에서는 10 정도이다. 이는 백색 표시의 휘도를 1로 하면, 흑색 표시의 휘도가 1/300 정도 또는 1/10 정도라는 것이며, 칼라액정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는 완전한 흑색 표시(휘도 0)로는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실제의 사용환경에서는, 외광이 칼라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서 반사·산란되기 때문에, 흑색 표시의 휘도는 더욱 증가(콘트라스트비는 저하)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일반적인 칼라액정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영상은, 이상적인 영상(텔레비전이면 재현해야 하는 원래의 영상)보다도 채도가 낮은(색이 연한) 것으로 된다. 이는, 색도좌표상에서, 각 색성분의 색도좌표점이 백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한, 칼라액정표시장치에서는, 칼라필터에서 색을 분리하여,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많다. 이 경우, 투과율의 향상과 색순도의 향상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 즉, 예컨대, 칼라필터의 색을 진하게 하면, 채도가 향상되고, 색재현성이 향상되지만(색이 양호하게 되지만), 투과율은 저하된다. 한편, 휘도향상이나 광원의 저소비전력화(광원을 구비하는 경우)의 관점으로부터, 투과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면, 칼라 필터의 색을 연하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경우, 채도(색순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해, 칼라필터를 사용한 칼라액정표시장치에서는, (1) 흑색 표시가 완전하게 흑색 표시로 되지 않고, (2) 투과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면, 칼라필터의 색순도가 낮게 되는, 2개의 원인에 의해, 채도가 저하되는(색이 연하게 되는) 문제가있음을 안다.
또한, 이와 같이 채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는, 최근 주목되고 있다. 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나 칼라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즉, 반사스크린 표면에 전방으로부터 광빔을 투사하는 전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나, 확산투과 스크린상에 배면측으로부터 광빔을 투사하는 배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 형광체층의 배후의 근방에 반사성 전극을 구비하는 칼라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에서는, 특히 암표시시의 외광의 반사 또는 산란에 의해 채도가 저하된다.
즉, 배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에서는, 표시면인 스크린(투사스크린) 자체가 산란체이기 때문에, 가령 흑색 표시의 상태이더라도, 외광이 있으면, 외광을 스크린이 산란하여, 산란광의 일부가 관측자의 눈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외광이 있으면,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된다. 또한, 전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에서는, 표시면인 스크린 자체가 반사부재이기 때문에, 가령 흑색 표시의 상태이더라도, 외광이 있으면, 외광을 스크린이 반사하여,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채도(색순도)가 저하된다.
또, 투사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흑색 표시의 상태는, 보통으로 보면 백색으로 보이는 스크린에 광이 투사되어 있지 않은 어두운 백색 상태이고, 백색 표시의 상태는, 이 상태를 더욱 밝게 한 상태이다.
또한, 형광체층의 배면측의 근방 위치에 배면전극을 구비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에서는, 배면전극이 알루미늄 전극 등의 반사성전극인 것이 많고, 그와 같은 반사성전극을 배면전극으로서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 가령 흑색 표시이더라도, 외광이 있으면, 외광을 배면전극이 반사하여,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채도(색순도)가 저하된다.
또한, 형광체를 여기하여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에서는, 형광체의 색순도를 추구하면, 형광체의 발광효율이 나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고휘도의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저색순도·고효율의 형광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경우, 채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하여, 저색순도·고효율의 형광체를 사용하여 색재현성이 양호한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채도를 향상(강조)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이, (l) 칼라액정디스플레이에 대표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 (2) 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3)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4)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채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에 기재된 색도조정회로를 사용하면, 채도가 보다 한층 저하되어, 역효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비추어 볼 수 있는 것이며, 그 목적은, 상기(l) ∼ (4)의 어느 타입의 칼라디스플레이와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칼라디스플레이의 채도가 낮더라도 높은 채도의 표시를 얻을 수 있는 칼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칼라표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원(균일 휘도의 백라이트(back light)나, 태양 등의 외부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셔터로 조광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중간조의 색을 진하게 함으로써 화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가장 큰 색성분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작은 색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적색이 주된 색성분이고, 청색 및 녹색이 조금 포함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적색을 증가시키는 한편, 청색 및 녹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조의 원색(단색)의 영상신호에 관해서도 계조레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각 색성분의 크기(색신호의 계조레벨)가 동등한 무채색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각 색신호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색순도(채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예컨대, 불그스름한 색을, 보다 원색의 적색에 가까운 불그스름한 색, 또는 원색의 적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 자체의 채도가 낮더라도, 높은 채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저색순도·고투과율의 칼라필터를 사용한 경우, 광원의 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명도 및 채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는, 전형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이며, 액정의 배면에 제공된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액정으로 조광하는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 액정의 배면에 제공된 광반사판으로 주위광(외광)을 반사하는 동시에 액정으로 조광하는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 액정의 배면에 반투과성 반사판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 반투과성 반사판의 배면에 백라이트를 구비하여, 주위가 밝을 때에는 주위광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한편, 주위가 어두울 때에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투과반사겸용형 액정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비는 300 전후이고, 또한 표시면의 표면에 의한 외광의 반사에 의해, 색이 연하게 되는(채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에 의해 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화질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비는 10 전후이고, 색이 연하게 되고(채도가 저하되고) 색재현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에 의해 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화질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는, 상기 2종의 칼라액정디스플레이의 특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에 의해 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화질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일렉트로크로미즘 디스플레이도 들 수 있다. 일렉트로크로미즘이란, 전위차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켜 색이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이 일렉트로크로미즘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즉 일렉트로크로미즘 디스플레이도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표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가장 큰 색성분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작은 색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조의 원색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계조레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각 색성분의 크기가 동등한 무채색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각 색신호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색순도(채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칼라디스플레이 자체의 채도가 낮더라도, 채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에 저색순도·고투과율의 칼라 필터를 사용한 경우, 광원의 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명도 및 채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로서는, 반사부재로서의 반사스크린 또는 확산투과부재로서의 확산투과스크린(표시면)상에 광빔을 투사하는 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 및 형광체층(표시면)과, 형광체층의 배면측의 근방위치에 제공된 반사부재로서의 반사성 배면전극을 구비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액정표시소자(액정패널)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등을 사용한 모든 타입의 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에서는, 외광이 스크린에서 반사 또는 산란하기 때문에, 채도가 저하되는(색이 연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에 의해 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화질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에서는, 일반적으로, 배면전극(화소전극)이나 버스라인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광을 반사하기 쉽기 때문에, 채도가 저하되는(색이 연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에 의해 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화질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표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표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는, 형광체를 여기하여 표시를 행하는 것이지만, 모두 소비전력이 큰 디스플레이이며, 색순도를 추구하면 효율이 나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가장 큰 색성분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작은 색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조의 원색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계조레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각 색성분의 크기가 동등한 무채색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각 색신호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색순도(채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칼라디스플레이자체의 채도가 낮더라도, 채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에서는,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에 색변환처리수단을 조합시킨 것으로, 높은 채도(진한 색)를 유지하면서 형광체의 휘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표시품위를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뛰어난 점은, 이하에 나타낸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색변환 전후의 적색신호의 계조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해 도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태양이나 실내조명광원 등의 외부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칼라영상신호에 따라 조광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와, 적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적색신호 R, 녹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녹색신호 G, 및 청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에 출력하는 색변환처리회로(신호처리수단, 색변환처리수단)(2)를 구비하고 있다.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R·G·B 중 1개 또는 2개)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R·G·B 중 1개 또는 2개)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입력칼라영상신호는, N 계조(흑색0 ∼ 백색(N-1))의 RGB 3색으로 구성된다. 즉, 입력영상신호는, 적색의 계조레벨을 0(최저계조레벨 ; 흑색) ∼ N-1(최고계조레벨 ; 백색)의 정수치(계조치) r로 나타내는 n 비트 N 계조(N = 2n)의 디지털 신호(적색신호) R, 녹색의 계조레벨을 0 ∼ N-1의 정수치 g로 나타내는 n 비트 N 계조의 디지털신호(녹색신호) G, 및 청색의 계조레벨을 0 ∼ N-1의 정수치 b로 나타내는 n 비트 N 계조의 디지털 신호(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3n 비트의 칼라디지털영상신호이다.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 r, g, 및 b를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계조치 r', g', 및 b' (단, 연산결과가 부(負)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함)로 변환하고, 이 계조치 r', g', 및 b'를 각각 계조치로 하는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를 출력칼라영상신호로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에 출력하는 것이다.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각각 1/(2의 정수(整數)승)으로 표현되는 정수(定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칼라영상신호는 2진수의 디지털신호이고, 이 디지털신호에 1/(2의 정수승)을 곱하는 연산은, 자리수 이동(자리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n 비트(n > 3)의 디지털신호에 1/23(= 0.125)을 곱하는 계산은, 하위 3비트를 삭제하고, 상위 (n-3)비트를 하위측으로 3자리수 이동시켜, 상위 3비트를 “000"으로 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n 비트(n > 2)의 디지털신호에 1/22(= 0.25)를 곱하는 계산은, 하위 2비트를 삭제하고, 상위 (n-2)비트를 하위측으로 2자리수 이동시켜, 상위 2비트를 “00"으로 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로 한 경우, 색신호 R·G·B가 각각 8비트 256계조의 디지털신호 “200", “120", “100" (10진 표기)인 입력칼라영상신호는, 색신호 R'·G'·B'가 각각 “222",“105", “85" (10진 표기)인 출력칼라영상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불그스름한 중간색을 보다 적색의 원색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2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실시형태 1의 칼라표시장치에 흑신장·백신장(黑伸張·白伸張)회로(신호처리수단, 흑신장·백신장수단)(3)를 추가한 것이다.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가 아니라, 흑신장·백신장회로(3)로부터 출력된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행하는 점 이외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즉, 색변환처리회로(2)는, 흑신장·백신장회로(3)로부터 출력된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의 계조치 r', g', 및 b'를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계조치 r", g", 및 b"(단, 연산결과가 부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함)로 변환하고, 이들 계조치 r", g", 및 b"를 각각 계조치로 하는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를 출력칼라영상신호로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에 출력하는 것이다.
흑신장·백신장회로(3)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의 각각의 계조치 r, g, 및 b에 대해, 제1 문턱치 x (N-3 이하의 자연수) 이하의 정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변환하는 한편, 제2 문턱치 y (단, x보다 크고 N-2 이하인 정수) 이상이고, 또한 N-1보다 작은 경우에는 1로 변환하고, x보다 크고 y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 o(r), p(g), 및 q(b)는 각각, R = x∼y, G = x∼y, 및 B = x∼y의 구간에서 0에서 N-1까지 단조증가하는 함수)
로 표현되는 함수에 의해 계조치 r', g', 및 b'로 변환하고,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계조치 r', g', 및 b'를 각각 계조치로 하는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를 색변환처리회로(2)에 출력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함수 o(r), p(g), 및 q(b)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 z는 임의의 정의 정수이다. 또한, 연산결과의 소수점 이하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를 t(= r, g, b)로 나타내고,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를 t'(= r', g', b')로 나타내면,
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흑신장·백신장회로(3)를 제공한 것으로, 중간조를 포함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고저)를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함수 o(r), p(g), 및 q(b)로서, 일차 함수를 이용했지만, 함수 o(r), p(g), 및 q(b)는, R = x∼y, G = x∼y, 및 B = x∼y의 구간에서 0에서 N-1까지 단조증가하는 함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수함수나 삼각함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3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형태 1 또는 2에서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실시형태 2의 칼라표시장치에 대하여, 외광강도를 검지하기 위한 외광센서(검지수단)(4)와 색변환조정기(조정수단)(5)를 추가한 것이다.
색변환처리회로(2)는, 흑신장·백신장회로(3)로부터 출력된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의 계조치 r', g', 및 b'를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계조치 r", g", 및 b"(단, 연산결과가 부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함)로 변환하고, 이들 계조치 r", g", 및 b"를 각각 계조치로 하는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의 출력칼라영상신호로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에 출력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0 이상의 수치범위에서 변화하는 변수이며,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상기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각각, g', b', r', b', r', 및 g'에 따라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이다. Crg = i(g'), Crb = j(b'),Cgr = k(r'), Cgb = l(b'), Cbr = m(r'), Cbg = n(g')로 하면, i(g'), j(b'), k(r'), l(b'), m(r'), 및 n(g')는,
(단, k,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로 하였다. 또, 연산결과가 소수점 이하인 경우에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각각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칼라영상신호는 2진수의 디지털신호이고, 이 디지털신호에 1/(2의 정수승)을 곱하는 연산은, 자리수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αr, αg, 및 αb는, 각각, r, g, 및 b에 따라 0 이상의 수치 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이다. αr = f(r), αg = g(g), αb = h(b)로 하면, f(r), g(g), 및 h(b)는,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로 하였다. 또, 연산결과가 소수점 이하인 경우에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f0, g0, 및 h0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0, g0, 및 h0는, 각각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칼라영상신호는 2진수의 디지털신호이고, 이 디지털신호에 1/(2의 정수승)을 곱하는 연산은, 자리수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달리, Crg, Crb, Cgr, Cgb, Cbr, 및 Cbg와 αr, αg, 및 αb를, r', g', 및 b'가 0 또는 N-1에 가까이 갈수록 작게 되도록 변화시켰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회로(2)의 신호처리에 의해 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가 최소치 0 또는 최대치 N-1에 포화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즉, 지나친 채도 향상(색강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색이나 보색에는 채도 향상(색강조)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흑신장·백신장회로(3)는, 실시형태 2의 흑신장·백신장 회로(3)와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x 및 y를 외광센서(4)로 검지된 외광강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였다.
색변환조정기(5)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로 β를 0 이상 1 이하의 수치범위내에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β가 0일 때에는 색변환처리회로(2)의 채도 향상(색강조) 기능이 OFF로 되고, β가 1일 때에는 색변환처리회로(2)의 채도 향상(색강조) 기능이 최대한으로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함수 f(r'), g(g'), h(b'), i(g'), j(b'), k(r'), l(b'), m(r'), 및 n(g')으로서, 0 이상 (N-1)/2 미만의 구간에는 단조증가하는 일차함수를 이용하고. (N-1)/2 이상 N-1 이하의 구간에는 단조감소하는 일차함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함수 f(r), g(g), 및 h(b)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0 이상 (N-1)/2 미만의 구간에서 단조증가하고, (N-1)/2 이상 N-l 이하의 구간에서 단조감소하는 지수함수나 삼각함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r, g, 및 b를 (N-1)/2과 비교함으로써 조건 분배를 하였지만, 조건 분배의 문턱치를 (N-l)/2로부터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의해서는, 함수 f(r'), g(g'), h(b'), i(g'), j(b'), k(r'), l(b'), m(r'), 및 n(g')으로서, 0 ∼ N-l의 구간에서 단조증가하는 함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β를 사용자가 기호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지만, 많은 경우, 외광강도가 강할수록 β를 크게 한 편이 사용자에게는 양호한 화질로 느껴진다.
그래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변환조정기(5)를 생략하고, 외광센서(4)의 검지결과에 따라 β를 0 이상 1 이하의 수치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색변환처리회로(2)의 연산처리가 다른 점 이외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색변환처리회로(2)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 r, g, 및 b를
(단,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계조치 r', g', 및 b'(단, 연산결과가 부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함)로 변환하고, 이들 계조치 r', g', 및 b'를 각각 계조치로 하는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를 출력칼라영상신호로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에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실시형태 1과 달리,
(C는 정의 정수, αr, αg, 및 αb는, 각각, r, g, 및 b에 따라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다.
상기 αr, αg, 및 αb는, 각각, r, g, 및 b에 따라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이며,
로 표현되는 함수로 하였다. 또, 연산결과(r', g', 및 b'의 연산치)가 소수점 이하인 경우에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정수 C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 C는, 각각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칼라영상신호는 2진수의 디지털신호이고, 이 디지털신호에 1/(2의 정수승)을 곱하는 연산은, 자리수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표시면으로서 형광체층(도시 안됨)과, 형광체층의 배면측에 제공된 반사부재로서의 배면전극(도시 안됨)을 구비한 칼라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41)와, 적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적색신호 R, 녹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녹색신호 G, 및 청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41)에 출력하는 색변환처리회로(신호처리수단, 색변환처리수단)(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색변환처리회로(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입력칼라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입력칼라영상신호와 동일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를, 보다 원색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명도 및 채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로서, 칼라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예컨대, 반사스크린 표면에 전방으로부터 광빔을 투사하는 전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나, 확산투과 스크린상에 배면측으로부터 광빔을 투사하는 배면투사형 칼라디스플레이 등에 대해서도, 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6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불활성 기체의 방전에 수반하여 방사되는 광을 이용하는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51)와, 적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적색신호 R, 녹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녹색신호 G, 및 청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51)에 출력하는 색변환처리회로(신호처리수단, 색변환처리수단)(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색변환처리회로(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입력칼라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입력칼라영상신호와 동일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를, 보다 원색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채도(진한 색)를 유지하면서 형광체의 휘도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표시품위를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7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칼라표시장치는,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61)와, 적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적색신호 R, 녹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녹색신호 G, 및 청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61)에 출력하는 색변환처리회로(신호처리수단, 색변환처리수단)(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색변환처리회로(2)는,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 R·G·B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색변환처리회로(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입력칼라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입력칼라영상신호와 동일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색신호를 다른 비율로 포함하는 중간색의 영상신호를, 보다 원색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채도(진한 색)를 유지하면서 형광체의 휘도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표시품위를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입력칼라영상신호는, 256계조(흑색 0 ∼ 백색 255)의 RGB 3색으로 구성된다. 즉, 입력영상신호는, 각각이 8비트 256계조인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24비트(풀 칼라)의 칼라디지털신호이며,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n = 8(N = 256)로 한 경우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로서, TFT(박막트랜지스터) 구동의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를 사용하였다.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는, 광원으로서의 백라이트(11)와, 백라이트(11)로부터의 광을 조광하기 위한 액정층 및 액정층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TFT를 구비하는 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광셔터) (12)와, 상기 각 TFT의 소스전극에 대하여 표시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13)와, 상기 각 TFT의 게이트전극에 대하여 게이트전압(주사신호)을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드라이버(14)와, 칼라디지털영상신호를 소스드라이버(13)에 공급하는 동시에 소스드라이버(13) 및 게이트드라이버(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소스드라이버(13) 및 게이트드라이버(14)에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콘트롤러(15)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밍콘트롤러(15)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변환처리회로(2)에 의해 처리된 칼라디지털영상신호(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 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12)에는, 종래의 칼라액정표시장치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칼라필터층과 비교하여, 얇은 층 두께(1.2㎛)를 가지며, 5% 높은 투과율을 갖는 칼라필터층을 미리 작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계수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색재현성 및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0.125(= 1/23)로 설정하였다.
또, 본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색변환처리회로(2)가 ON 상태)와의 비교를 위해, 이하와 같은 2종류의 비교용 칼라표시장치를 준비하였다.
1. 상기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로부터 색변환처리회로(2)를 제거하고, 칼라필터층의 층 두께를 통상의 층 두께(1.3㎛)로 변경한 구성(종래의 구성)의 칼라액정표시장치(이하, 「비교예 1의 칼라표시장치」라고 칭함).
2. 상기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색변환처리회로(2)를 OFF 상태로 하고, 색변환처리회로(2)를 관통시켜, 입력칼라디지털영상신호가 그대로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에 입력되도록 한 구성(이하, 「비교예 2의 칼라표시장치」라고 칭함).
본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와 비교예 1·2의 칼라표시장치의 비교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색재현 범위는, CIE 색도좌표상에 있어서의 삼원색(적색, 녹색, 청색)의 색도좌표점을 이은 삼각형(색재현 범위)의 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이다. 또한, 색재현성의 주관평가란, 일반적인 몇 개의 화상(자연화상)과, 그것들의 화상을 본 실시예및 비교예 1·2의 칼라표시장치로 표시한 화상을 피험자 10명에게 관찰하게 하고, 색이 연하게 된 것을 아는지 어떤지(실시예의 신호처리의 유효성)를 아래에 기재된 평가기준으로 채점시킨 것의 평균이다.
5 : 모른다
4 : 알지만 신경 쓰이지 않는다
3 : 알지만 방해가 되지 않는다
2 : 방해가 된다
1 : 대단히 방해가 된다
또, 「신경 쓰이지 않는다」란, 잘 보면 색이 연하게 된 것을 알지만, 색이 연하게 된 것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표시를 볼 수 있는 정도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방해가 되지 않는다」란, 색이 연하게 된 것을 분명히 알지만, 표시를 관찰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레벨인 것을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칼라표시장치는, 비교예 1의 칼라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투과율이 5%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칼라표시장치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동등하게 한 경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칼라표시장치의 휘도는, 비교예 1의 칼라표시장치보다 5% 높게 되어, 밝은 표시가 얻어졌다. 또한, 이들 칼라표시장치의 휘도를 동등하게 한 경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칼라표시장치에서는, 비교예 1의 칼라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백라이트의 휘도를 5% 낮게(어둡게)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칼라표시장치에서는, 비교예 1의 칼라표시장치와 비교하여 5% 정도의 소비전력 절감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들 칼라표시장치에서는 칼라필터에 의해 칼라표시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색변환처리회로(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색재현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비교예 1과 같이 칼라필터층의 층 두께를 두텁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 투과율이 저하되고, 명도(표시품위)의 저하나 소비전력의 증가를 초래한다. 반대로, 단지 비교예 2와 같이 칼라필터층의 층 두께를 얇게 하면, 높은 색재현성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과 비교하면, 원색의 색재현성은 저하되어 있지만, 주관평가결과를 보면, 약간명의 피험자만이 색이 연하게 됐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색이 연하게 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한계(검지한) 정도의 색재현성을 유지하고 있고, 신호처리 없는 비교예 2보다 매우 뛰어난 평가결과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안다. 이는, 일반적인 자연화상에서는 중간조가 주체인 것이 많고, 실시예 1에서는, 색변환처리회로(2)에 의해 중간조의 색을 진하게 한 것으로, 실용상(주관적인 평가상)은 거의 색재현성의 저하를 느끼지 않게 되어, 신호처리 없는 비교예 2보다 매우 뛰어난 평가결과가 얻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액정표시장치의 원색의 색재현 범위 자체는 신호처리로 확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 고유의 색재현 범위보다 오히려 중간조의 채도를 강조하는 것으로, 마치 관찰자에게는 색재현 범위가 넓어져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표시를 실현하면서, 휘도의 향상이나 소비전력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입력칼라영상신호는, 256계조(흑색 0 ∼ 백색 255)의 색신호 R·G·B로 구성된다. 즉, 입력영상신호는, 각각이 8비트 256계조인 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로 이루어지는 24비트(풀 칼라)의 칼라디지털신호이며,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N = 256(n = 8)으로 한 경우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 2의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로서, 종래 공지된 TFT 구동의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를 사용하였다.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는, 백라이트 (11) 및 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12)에 대신하여, 반사형 칼라액정표시소자(광셔터)(22)를 구비하는 점 이외는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반사형 칼라액정표시소자(22)는, 액정층 및 TFT에 가하여, 액정층의 배면측에 외광(태양이나 실내 조명광원 등의 외부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층을 구비하고, 반사층에 의한 반사광을 액정으로 조광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의 타이밍콘트롤러(15)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신장·백신장회로(3) 및 색변환처리회로(2)에 의해 처리된 칼라영상신호(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흑신장·백신장회로(3)에서는,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 t에 대하여, 각 색신호 R'·G'·B'의 계조치 t'가,
로 된다..
본 실시예의 색변환처리회로(2)에서, 계수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색재현성 및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러한 흑신장·백신장회로(3) 및 색변환처리회로(2)를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와 조합시킨 칼라표시장치에서는, 중간조의 색을 진하게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화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입력칼라영상신호는, 256계조(흑색 0 ∼ 백색 255)의 색신호 R·G·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 3의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로서, 종래 공지된 TFT 구동의 반투과형칼라액정디스플레이(30)를 사용하였다.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30)는, 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12)에 대신하여, 반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광셔터)(32)를 구비하는 점 이외는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반투과형 칼라액정표시소자(32)는, 액정층 및 TFT에 가하여, 액정층의 배면측에 주위광을 반사하는 동시에 백라이트(11)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반투과성 반사판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30)는, 외광센서(4)로 검지된 외광강도에 따라, 외광강도가 4000럭스 이상일 때에는 백라이트(11)를 점등시키지 않고 외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한편, 외광강도가 4000럭스 미만일 때에는 백라이트(11)를 점등시켜 백라이트(11)의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30)의 타이밍콘트롤러(15)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신장·백신장회로(3) 및 색변환처리회로(2)에 의해 처리된 칼라영상신호(적색신호 R", 녹색신호 G", 및 청색신호 B")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흑신장·백신장회로(3)에서는, Z = 1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흑신장·백신장회로(3)에서는, x 및 y를 외광센서(4)로 검지된 외광강도에 따라 이하와 같이 조정하였다.
외광강도가 4000럭스 이상(외광 강(强))이고, 백라이트(11)가 OFF인 경우, x = 40, y = 220으로 하였다.
외광강도가 2000럭스 이상 4000럭스 미만(외광 중(中))이고, 백라이트(11)가 ON인 경우, x = 25, y = 230으로 하였다.
외광강도가 2000럭스 미만(외광 약(弱))이고, 백라이트(11)가 ON인 경우, x = 10, y = 240으로 하였다.
또, 외광강도가 4000럭스 이상인 조건은, 외광이 강하고, 반사모드가 지배적인 사용조건이다. 또한, 외광강도가 2000럭스 이상 4000럭스 미만인 조건은, 외광이 비교적 약하고, 반사모드와 투과모드가 공존하는 조건이다. 또한, 외광강도가 2000럭스 미만인 조건은, 외광이 더욱 약하고, 투과모드가 지배적인 조건이다.
본 실시예의 색변환처리회로(2)에서, 계수 k, Crg', Crb', Cgr', Cgb', Cbr', Cbg', f0, g0, 및 h0는, 색재현성 및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러한 흑신장·백신장회로(3) 및 색변환처리회로(2)를 반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30)와 조합시킨 칼라표시장치에서는, 외광강도, 및 반사모드와 투과모드의 밸런스(백라이트(11)의 휘도)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변화하더라도, 각각의 조건으로 알맞게 중간조의 색을 진하게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화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β를 사용자가 기호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지만,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변환조정기(5)를 생략하고, 외광센서(4)의 검지결과에 따라 β를 0 이상 1 이하의 수치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2·3의 흑신장·백신장회로(3)에서는, Z = 1로 설정하였지만, Z는 크게 할수록 콘트라스트비(색강조의 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적시 조정하면 좋다. 예컨대, 반사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에 대신하여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를 사용하고, 이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를 비교적 밝은 장소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Z를 1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면, 보다 화질이 향상된 것 같이 느낄 수 있었다. 예컨대, 투과형 칼라액정디스플레이(10)를 특히 밝은 방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Z를 1.2로 설정하면, 보다 화질이 향상된 것 같이 느낄 수 있었다. 마찬가지의 효과는, x를 16보다 크게 하거나, y를 235보다 작게 하거나 한 경우에도 얻어졌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는, 실시예 1의 색변환처리회로(2)의 연산처리에 있어서의 계수 Krg, Krb, Kgr, Kgb, Kbr, 및 Kbg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계수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색재현성 및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0.25(= 1/22)로 설정하였다.
도12에, 입력칼라영상신호의 녹색신호 G의 계조치 g 및 청색신호 B의 계조치 b를 64로 고정하고,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의 계조치 r을 0(흑색) ∼ 255(백색)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출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의 계조치 r'의 변화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칼라표시장치는, 실시예 1의 색변환처리회로(2)를, 실시형태 5의 색변환처리회로(2)로 변경하는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출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의 계조치 r', 녹색신호 G'의 계조치 g', 및 청색신호 B'의 계조치 b'는,
로 표현된다.
또한, 입력칼라영상신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56계조의 RGB 3색으로 구성되고, n = 8(N = 256)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색변환처리회로(2)에서, 계수 C는, 색재현성 및 색변환처리회로(2)의 회로규모의 최소화를 고려하여, C = 0.25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계수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로 표현되고, 상기 αr, αg, 및 αb는,
로 표현된다.
도12에, 입력칼라영상신호의 녹색신호 G의 계조치 g 및 청색신호 B의 계조치 b를 64로 고정하고,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의 계조치 r을 0(흑색) ∼ 255(백색)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출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R'의 계조치 r'의 변화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에서는, 백색(255) 근방이나 흑색(0) 근방에서 변환 후의 계조치가 포화되어 있다. 즉, 원래의 계조치가 백색(255) 근방이나 흑색(0) 근방인 경우, 변환 후의 계조치가 백색(255) 또는 흑색(0)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는, 실질적인 계조수의 감소를 의미한다.
한편, 실시예 5에서는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실시예 4와 같은 포화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질적인 계조수의 감소를 방지하고, 화상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칼라표시장치에 관해, 실시예 1에서 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하였더니, 색재현 범위의 주관평가치는 4.8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칼라표시장치에서는, 비교예 1과 거의 동등 레벨의 표시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4에서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로서 액정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1)로서 일렉트로크로미즘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칼라표시장치는, (1)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 (2)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3)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4)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라고 부르는, 이상 4개의 칼라디스플레이 중 어느 1개와,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이,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라영상신호는, 적색신호(적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녹색신호(녹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및 청색신호(청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로 이루어진다.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그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각각,R, G, 및 B로 하면, 입력칼라영상신호를,
(단,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R', G', 및 B'를 각각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계조레벨로 하는 출력칼라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8-240198호에 기재된 신호처리는, 계조레벨의 변경량(가산량)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색신호에 의해 계조레벨의 변경량을 알맞게 조정하지 않으면,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없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의 차가 클수록 채도향상(색강조)의 정도가 커진다. 따라서, 중간색의 채도향상의 정도는, 무채색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는 한편, 원색에 가까울수록 크게 된다. 그 결과, 색재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채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화상 메모리 등의 대규모회로도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간단한 회로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정의 정수이면, 색변환처리수단의 연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색변환처리수단을 규모가 작은 회로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가 각각 n비트 N계조(N = 2n)의 디지털신호인 경우, 각 신호는 0, 1, 2, …, N-2, N-1의 N 개의 값을 가지며, 각각, 0(흑색), 1/(N-1), 2/(N-1), …, (N-2)/(N-1), 1(백색)의 계조레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값을 각각 r, g, 및 b로 하면, 계조레벨 R, G, 및 B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또한, 계조레벨 R', G', 및 B'는 부의 값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계조레벨 R', G', 및 B'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식의 오른쪽 식이 부로 된 경우에는, 왼쪽 식을 0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정의 정수인 경우, 각각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수단의 연산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색변환처리수단을 규모가 작은 회로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칼라영상신호가 2진수의 디지털신호인 경우, 이 디지털신호에 대하여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를 곱하는 연산은, 자리수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Krb, Kgr, Kgb, Kbr, 및 Kbg의 각각을, R, G,및 B의 적어도 1개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 보다 적절한 채도향상(색강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rb를 R에 따라 변화시키고, Kgr 및 Kgb를 G에 따라 변화시키고, Kbr 및 Kbg를 B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 보다 적절한 채도향상(색강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R이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R이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rg 및 Krb를 변화시키고, G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G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gr 및 Kgb를 변화시키고, B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B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br 및 Kbg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채도가 지나치게 향상(색강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백색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로 변환되어, 색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고, αr이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 αg가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 αb가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백색의 계조레벨(최고계조레벨)을 1로 하고, αr = f(R), αg = g(G), αb = h(B)로 하면, f(0) = f(1) = 0, g(0) = g(1) = 0, h(0) = h(1) = 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f(R), g(G), 및 h(B)는, 0에서 T(단, T는 0<T<1을 만족하는 정수)까지의 구간에서 단조증가하고, T에서 1까지의 구간에서 단조감소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는, 약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R), g(G), 및 h(B)는,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가,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변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중간조의 계조레벨이, 백색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로 변환되지 않고, 중간조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계조수의 감소를 방지하여,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C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로 표현되는 변수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를 정함으로써, 예컨대 Krg는 적색(R) 또는 녹색(G)의 적어도 일방이 0 또는 1일 때 최소치 0으로 되고, 같이 0.5일 때에 최대치 1로 된다. 이에 의해,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중간조의 계조레벨이, 백색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로 변환되지 않고, 중간조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계조수의 감소를 방지하여,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f(R), g(G), 및 h(B)는,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백색의 계조레벨(최고계조레벨)을 1로 하고, αr = f(R), αg = g(G), αb = h(B)로 하면, f(0) = 0, f(1) > 0, g(0) = 0, g(1) > 0, h(0) = 0, 또한, h(1) > 0이더라도 좋다. 또한, f(R), g(G), 및 h(B)는 단조증가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어, 색순도가 나쁜 디스플레이를 매우 밝은 장소(외부환경)에서 관찰하는 것 같은 엄한 조건에서 유효하다. 예컨대, 현재 상태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는 색순도가 나쁘지만, 이 디스플레이를 염천(炎天) 하에서 관찰하는 것 같은 경우가 상술한 엄한 조건으로서 상정된다.
상기 f(R), g(G), 및 h(B)는,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이 함수를 사용한 연산에 의해, 상기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f(R), g(G), 및 h(B)는,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이 함수를 사용한 연산에 의해, 상기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αr, αg, 및 αb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0, g0, 및 h0도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rg, Lrb, Lgr, Lgb, Lbr, 및 L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성의 칼라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bg를 G에 따라 변화시키고, Krb 및 Kgb를 B에 따라 변화시키고, Kgr 및 Kbr을 R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다 적절한 채도향상(색강조)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셔터형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1.2㎛ 이하인 칼라표시를 행하기 위한 칼라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밝은 표시가 얻어지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G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G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rg 및 Kbg를 변화시키고, B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한편, B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rb 및 Kgb를 변화시키고, R이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R이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Kgr 및 Kbr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채도가 지나치게 향상(색강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색변환처리수단의 신호처리에 의해 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백색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로 변환되어, 색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단, γr은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γ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γ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고, Crg 및 Cbg가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 Crb 및 Cgb가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 Cgr 및 Cbr이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백색의 계조레벨(최고계조레벨)을 1로 하고, Crg = i(G), Crb = j(B), Cgr = k(R), Cgb = l(B), Cbr = m(R), Cbg = n(G)으로 하면, i(0) = i(1) = 0, j(0) = j(1) = 0, k(0) = k(1) = 0, l(0) = l(1) = 0, m(0) = m(1) = 0, n(0) = n(1) = 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0에서 T(단, T는 0<T<1을 만족하는 정수)까지의 구간에서 단조증가하고, T에서 1까지의 구간에서 단조감소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는, 약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단, k,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단, k,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백색의 계조레벨(최고계조레벨)을 1로 하고, Crg = i(G), Crb = j(B), Cgr = k(R), Cgb = l(B), Cbr = m(R), Cbg = n(G)으로 하면, i(0) = 0, i(1) > 0, j(0) = 0, j(1) > 0, k(0) = 0, k(1) > 0, l(0) = 0, l(1) > 0, m(0) = 0, m(1) > 0, n(0) = 0, n(1) > 0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단조증가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어, 색순도가 나쁜 디스플레이를 매우 밝은 장소(외부환경)에서 관찰하는 것 같은 엄한 조건에서 유효하다. 예컨대, 현재 상태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는 색순도가 나쁘지만, 이 디스플레이를 염천 하에서 관찰하는 것 같은 경우가 상술한 엄한 조건으로서 상정된다.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단, k,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이 함수를 사용한 연산에 의해, 상기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i(G), j(B), k(R), l(B), m(R), 및 n(G)은,
(단, k, Crg', Crb', Cgr', Cgb', Cbr', 및 Cbg'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이더라도 좋다. 이 함수를 사용한 연산에 의해, 상기 색이 극단적으로 진해진 것 같이 보일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γr은, γg, 및 γb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rg, Crb,Cgr, Cgb, Cbr, 및 C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rg', Crb', Cgr', Cgb', Cbr', 및 Cbg'도,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성의 칼라표시장치는,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채도향상(색강조)의 정도를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가,
(단, Mrg, Mrb, Mgr, Mgb, Mbr, 및 Mbg는, 각각이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 G, 및 B의 적어도 1개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고, 상기 조정수단이, β를 조정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Mrg, Mrb, Mgr, Mgb, Mbr, 및 M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β는 0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성의 칼라표시장치는, 외광강도를 검지하는 광센서 등과 같은, 외부환경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따라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제어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해 칼라디스플레이의 표면반사량 등이 변화하여, 그 결과로서 실질적인 콘트라스트가 변화되는 적이 있다. 예컨대, 외광강도가 강할수록,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채도도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성과 같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컨대, 외광강도가 강할수록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크게 하면, 외광강도가 강할 때의 채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광강도가 약할 때에 채도가 지나치게 향상되어 색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단, Mrg, Mrb, Mgr, Mgb, Mbr, 및 Mbg는, 각각이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수치범위내에서 R, G, 및 B의 적어도 1개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했을 때에, β를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제어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Mrg, Mrb, Mgr, Mgb, Mbr, 및 Mbg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β는 0 이상 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백색의 계조레벨(최고계조레벨)을 1로 하면,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에 대해, 0보다 큰 제1 문턱 레벨이하의 계조레벨을 0으로 변환하는 한편, 제1 문턱 레벨보다 높고 1보다 낮은 제2 문턱 레벨 이상의 계조레벨을 1로 변환하고, 제1 문턱 레벨을 초과하고 제2 문턱 레벨 미만인 계조레벨을, 0을 초과하고 1 미만인 계조레벨에 할당하는 흑신장·백신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간조를 포함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고저)를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흑신장·백신장수단 자체의 효과는, 종래 공지된 「백·흑신장처리」의 효과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수단은, 종래 공지된 「백·흑신장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즉, 「백·흑신장처리」를 한 경우, 계조특성을 바꿔 버리기 때문에, 중간조의 색 밸런스가 변화되어, 색이 변하여 보이는 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수단은, 이 색변화를 보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색 밸런스도 고려하여 「백·흑신장처리」를 행하였다고 해도, 예컨대,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셔터형 디스플레이나,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콘트라스트가 무한대가 아닌 경우, 중간조의 색조가 변화된다. 이 「백·흑신장처리」에 기인하는 중간조의 색변화를 본 발명에 따른 색변환처리수단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흑신장·백신장수단은, 그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각각, R, G, 및 B로 하고, R, G, 및 B의 각각에 대해, 제1 문턱치 X(단, 0<X<1) 이하의 정의 값인 경우에는 0으로 변환하는 한편, 제2 문턱치 Y(단, X<Y<1) 이상이고, 또한, 1보다 작은 경우에는 1로 변환하고, X보다 크고 Y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 표현되는 함수에 의해 계조레벨 R', G', 및 B'로 변환하는 것이며, o(R), p(G), 및 q(B)는 각각, R = X∼Y, G = X∼Y, 및 B = X∼Y의 구간에서 0에서 1까지 매끄럽게 단조증가하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0에서 1까지 매끄럽게 단조증가하는 함수 o(r), p(g), 및 q(b)로서는, 예컨대,
(단, Z는 임의의 정의 정수)
가 바람직하다. 또한, 함수 o(r), p(g), 및 q(b)는,
(단, Z는 임의의 정의 정수)
이더라도 좋다. 또한, 함수 o(r), p(g), 및 q(b)는,
(단, Z는 임의의 정의 정수)
이더라도 좋다.
또한, 외광강도를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 등과 같은, 외부환경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을 더 제공하여, 상기 흑신장·백신장수단이,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따라 X, Y, 및 Z 중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X, Y, 및 Z 중 1개 또는 복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제공하더라도 좋다.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해 칼라디스플레이의 표면반사량 등이 변화하여, 그 결과로서 실질적인 콘트라스트가 변화되는 적이 있다. 예컨대, 외광강도가 강할수록,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성과 같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X, Y, 및 Z 중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컨대, 외광강도가강할수록 X를 크게 하고 Y를 작게 하면, 외광강도가 강할 때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광강도가 약할 때에 콘트라스트가 지나치게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나타낸 실시예와 구체적인 예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상세하게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실시예와 구체예에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2)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셔터로 조광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셔터형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2. 표시면 또는 그 근방에 반사부재 또는 확산투과부재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3.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4.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색성분의 각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복수의 색신호로 이루어지는 칼라영상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칼라영상신호를 칼라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이 동등하지 않은 경우, 가장 높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가장 낮은 계조레벨을 가지는 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색변환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영상신호는,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그 입력칼라영상신호의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계조레벨을 각각, R, G, 및 B로 하면, 입력칼라영상신호를,
    (단,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연산으로 얻어지는 R', G', 및 B'를 각각 적색신호, 녹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계조레벨로 하는 출력칼라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칼라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2 이하인 칼라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0.5 이하인 칼라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형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1.2㎛ 이하인 칼라표시를 행하기 위한 칼라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각각 1/(2의 정수승)으로 표현되는 정수인 칼라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Krb, Kgr, Kgb, Kbr, 및 Kbg의 각각을, R, G, 및 B의 적어도 1개에 따라 변화시키는 칼라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rb를 R에 따라 변화시키고, Kgr 및 Kgb를 G에 따라 변화시키고, Kbr 및 Kbg를 B에 따라 변화시키는 칼라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rb를, R이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R이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고,
    Kgr 및 Kgb를, G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G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고,
    Kbr 및 Kbg를, B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B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는 칼라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가,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변수인 칼라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함수인 칼라표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단, f0, g0, h0, 및 k는 정의 정수)로 표현되는 함수인 칼라표시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단, Lrg 및 Lr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R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gr 및 Lgb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G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Lbr 및 Lbg는 정의 정수 또는 0 이상의 수치범위내에서 B에 무관계하게 변화하는 변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단, f0,g0,h0, 및 k는 정의 정수)로 표현되는 함수인 칼라표시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bg를 G에 따라 변화시키고, Krb 및 Kgb를 B에 따라 변화시키고, Kgr 및 Kbr을 R에 따라 변화시키는 칼라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Krg 및 Kbg를, G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G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고,
    Krb 및 Kgb를, B가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B가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고,
    Kgr 및 Kbr을, R이 중간조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대로 되는 한편, R이 백색의 계조레벨 또는 흑색의 계조레벨일 때에 최소로 되도록 변화시키는 칼라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Krg, Krb, Kgr, Kgb, Kbr, 및 Kbg는,
    (C는 정의 정수)
    로 표현되는 변수이고, 상기 αr, αg, 및 αb가,
    로 표현되는 변수인 칼라표시장치.
  20. 제 5 항에 있어서,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칼라표시장치.
  21. 제 5 항에 있어서, 외부환경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색변환처리수단은, 상기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따라 Krg, Krb, Kgr, Kgb, Kbr, 및 Kbg를 제어하는 칼라표시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백색의 계조레벨을 1로 하면, 입력칼라영상신호의 각 색신호의 계조레벨에 대해, 0보다 큰 제1 문턱 레벨 이하의 계조레벨을 0으로 변환하는 한편, 제1 문턱 레벨보다 높고 1보다 낮은 제2 문턱 레벨 이상의 계조레벨을 1로 변환하고, 제1 문턱 레벨을 초과하고 제2 문턱 레벨 미만인 계조레벨을, 0을 초과하고 1 미만인 계조레벨에 할당하는 흑신장·백신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칼라표시장치.
KR10-2002-0030337A 2001-05-30 2002-05-30 칼라표시장치 KR100434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63344 2001-05-30
JPJP-P-2001-00163344 2001-05-30
JPJP-P-2002-00020599 2002-01-29
JP2002020599A JP3679060B2 (ja) 2001-05-30 2002-01-29 カラー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217A true KR20020092217A (ko) 2002-12-11
KR100434888B1 KR100434888B1 (ko) 2004-06-07

Family

ID=2661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337A KR100434888B1 (ko) 2001-05-30 2002-05-30 칼라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71955B2 (ko)
JP (1) JP3679060B2 (ko)
KR (1) KR100434888B1 (ko)
CN (1) CN1230793C (ko)
TW (1) TW591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823B2 (en) * 2001-05-30 2011-06-07 Sharp Kabushiki Kaisha Color display device, color compensation method, color compensa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readable by computer
US8243004B2 (en) * 2003-03-10 2012-08-14 Fergason Patent Propert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storing,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mages
KR101138852B1 (ko) 2003-11-04 2012-05-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마트 클리퍼
JP4184334B2 (ja) 2003-12-17 2008-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74790B2 (ja) * 2004-03-31 2011-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2005333611A (ja) 2004-05-18 2005-12-02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WO2006025120A1 (ja) * 2004-09-01 2006-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DE102005055666B4 (de) * 2004-11-30 2013-10-02 Funai Electric Co., Ltd. Fernsehgerät mit Flüssigkristallanzeige
JP4703219B2 (ja) * 2005-03-04 2011-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7052122A (ja) * 2005-08-16 2007-03-01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WO2007039970A1 (ja) * 2005-09-30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色度変換装置、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色度変換方法
JP2007163647A (ja) * 2005-12-12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8046345A (ja) * 2006-08-15 2008-02-28 Sony Corp 消費電力削減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消費電力削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490737B (zh) * 2006-09-12 2013-06-26 夏普株式会社 液晶驱动电路、驱动方法及液晶显示装置
JP4479709B2 (ja) * 2006-10-27 2010-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電子機器
JP5034646B2 (ja) * 2007-04-20 2012-09-26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子ペーパー
JP4715850B2 (ja) * 2008-01-15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4687753B2 (ja) * 2008-06-30 2011-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色変換テーブル作成プログラム、色変換テーブル作成装置、および色変換テーブルの作成方法
JP2011112727A (ja) * 2009-11-24 2011-06-09 Fujitsu Ltd 反射型表示装置、および、反射型表示装置の制御回路
JP5404546B2 (ja) 2010-07-16 2014-0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TWI538473B (zh) * 2011-03-15 2016-06-1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影像資料轉換的方法與設備
EP2716028B1 (en) 2011-05-27 2020-07-2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calable systems for controlling color management comprising varying levels of metadata
US9024961B2 (en) 2011-12-19 2015-05-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lor grad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3927964B (zh) * 2014-01-22 2017-02-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法
JP6360321B2 (ja) * 2014-02-10 2018-07-18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613640B2 (ja) * 2014-06-16 2019-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US9986195B2 (en) * 2014-11-17 2018-05-29 Nec Display Solutions, Ltd. Method and device that simulate video delivered by video instrument
JP7117544B2 (ja) * 2016-06-15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多色表示装置、多色表示装置の階調値の設定方法、および多色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350B2 (ja) * 1998-03-12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657046B2 (ja) * 1987-06-05 1994-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ラ−信号処理回路
JP3029118B2 (ja) * 1990-04-27 2000-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256982B2 (ja) * 1991-05-14 2002-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5127635A (ja) * 1991-10-30 1993-05-25 Nec Corp デイスプレイ輝度自動調節装置
JPH0683287A (ja) * 1992-09-04 1994-03-25 Sharp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の表示制御装置
JPH06291997A (ja) * 1993-04-06 1994-10-18 Fuji Xerox Co Ltd カラー出力装置の色調整装置
JPH06335013A (ja) * 1993-05-19 1994-12-02 Fujitsu General Ltd 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081254A (en) * 1993-08-12 2000-06-27 Hitachi, Ltd. Color correction system of imaging apparatus
JP3353471B2 (ja) * 1994-06-30 2002-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印画方法及び印画装置
JP3456818B2 (ja) 1996-03-04 2003-10-1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色調補正装置
JPH1013849A (ja) * 1996-06-20 1998-01-16 Fujitsu General Ltd Pdpのガンマ補正方式
JP3679884B2 (ja) 1997-02-28 2005-08-03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00112423A (ja) * 1998-09-30 2000-04-21 Toshiba Corp カラー画像表示装置
JP3649043B2 (ja) * 1999-06-07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8499A (zh) 2003-01-01
JP3679060B2 (ja) 2005-08-03
TW591954B (en) 2004-06-11
US7071955B2 (en) 2006-07-04
JP2003052050A (ja) 2003-02-21
US20030043165A1 (en) 2003-03-06
CN1230793C (zh) 2005-12-07
KR100434888B1 (ko)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888B1 (ko) 칼라표시장치
JP3523170B2 (ja) 表示装置
EP2378508A1 (en) Display control for multi-primary display
JP5301681B2 (ja) 液晶表示装置
US778697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9430986B2 (en) Color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60714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358293B2 (en)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blocks, driving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riving unit
CN104575402B (zh) 控制电路和配备有该控制电路的显示装置
US8330689B2 (en)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mission luminance of backlight
US20010035850A1 (en) Image reproducing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icture signal compensation device
US91962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502314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0883103A1 (en) Direct view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utomatic colour adjustment
US2012002621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08038568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WO2011111268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WO2011036916A1 (ja) 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表示方法
KR20080058236A (ko)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89723A (ko) 다수의 원색 컬러들을 사용한 다수의 원색 컬러 디스플레이시스템과 디스플레이 방법
JP2001042833A (ja) カラー表示装置
JP201909555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5210514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3099010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474342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