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151A -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151A
KR20020092151A KR1020010067424A KR20010067424A KR20020092151A KR 20020092151 A KR20020092151 A KR 20020092151A KR 1020010067424 A KR1020010067424 A KR 1020010067424A KR 20010067424 A KR20010067424 A KR 20010067424A KR 20020092151 A KR20020092151 A KR 20020092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terial
earthquake
building
foundation
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루 이와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Publication of KR2002009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Abstract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耐震性)을 높이고, 충분한 보강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시공할 때 노력, 시간을 대폭 경감시키며, 시공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을 제공한다.
건축물의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걸치는 길이의 판재에,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삽입홀(2)을 형성하여 내진 벽재(1a)를 구성한다. 내진 벽재의 시공법은 내진 벽재(1a)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내진 벽재(1a)를 건축물의 모서리부(9)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그 내진 벽재(1a)를 연결하도록 내진 벽재(1a)를 설치하여도 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EARTHQUAKE-PROOF WALL MATERIAL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목조 건축물에 있어서 지진, 태풍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강한 진동이 부하되었을 경우에도, 기둥, 대들보, 횡목 등이 이탈 또는 손괴되어 목조 건축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조 건축물의 구조재를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경사진 버팀대나 앵글 브레이스(angle brace) 등을 배설하거나, 토대와 기둥, 기둥과 대들보 등의 접합부에 보강 금속구를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보강 금속구를 고정하는 방법은, 접합부에서 기둥, 대들보 등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채용되며, 가령 금속제 판재를 L형으로 구부린 L형 금속구를 토대와 기둥의 접합부 모서리부에 배치하여, 볼트, 목재 고정용 나사, 못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 금속제 판재를 T형으로 절결한 T형 금속구를 토대와 기둥의 접합부 외측면에 맞붙이고, 볼트, 목재 고정용 나사, 못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목조 건축물의 구조재를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넓은 면적의 강제 판재를 외벽면 전체를 덮도록 배설하고, 토대, 기둥, 대들보, 횡목에 볼트, 목재 고정용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도 채용되고 있으며, 이 방법에 따르면 넓은 면적으로 외부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강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L형 금속구나 T형 금속구를 토대와 기둥, 기둥과 대들보 등의 접합부에 고정하는 방법은 토대와 기둥 등의 접합부에 과대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금속구 자체가 파손되어 절단되거나, 금속구를 보정하는 볼트, 목재 고정용 나사, 못 등이 벗겨져 금속구가 이반되어 보강 효과를 거둘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넓은 면적의 강제 판재를 외벽면 전체를 덮도록 배설하는 경우에는, 시공할 때 다대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시공 비용도 고액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커다란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파단, 이반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충분한 보강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시공할 때의 노력, 시간을 대폭 경감시키고, 시공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내진 벽재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진 벽재를 목조 건축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a, 1b, 1c, 1d, 1e : 내진 벽재2 : 삽입홀
3 : 기초4 : 횡목
5 : 기둥6 : 중간부
7 : 윈도우 홀9 : 모서리부
10 : 내진 벽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진 벽재는, 건축물의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걸치는 길이의 판재에,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고, 외벽면에 전혀 지장없이 장착시킬 수 있도록 중간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단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중앙부에 윈도우 홀을 형성할 수 있다.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내진 벽재는, 장방형 판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L형의 판재로 내진 벽재를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은, 상기 내진 벽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진 벽재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내진 벽재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설치하는 동시에, 그 내진 벽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내진 벽재를 설치하면, 각 내진 벽재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어 더욱 커다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진 벽재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진 벽재를 목조 건축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내진 벽재(1a)는 대략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기초, 대들보, 횡목에 고정하기 위한 삽입홀(2, 2,…)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2)에 볼트, 목재 고정용 나사, 못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하여 통과시켜 건축물에 고정한다.
내진 벽재의 재료로는 강도, 중량을 고려할 때, 철강 재료, 특히 고장력의 강(鋼),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섬유 강화 금속(FRM) 등이 바람직하다.
내진 벽재(1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그 길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초 또는 토대로부터 대들보 또는 횡목까지 도달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또, 그 두께는 강도, 중량을 고려하여, 0.1∼1.0m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2, 2,…)은 도 2의 내진 벽재(1a)에서는 기초(3), 횡목(4)에서 고정되므로 그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도 2의 내진 벽재(1b)에서는 기둥(5)에서도 고정되므로 그 측부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적당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내진 벽재(1c)는 내진 벽재(1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중간부(6)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형상이란 점이 특징적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틀림 하중에 대하여 보다 강도가 높아져 보강 효과가 향상되는 동시에, 외벽면이 기초, 대들보, 횡목 등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혀 지장없이 장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내진 벽재(1d, 1e)는 내진 벽재(1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중앙부에 윈도우 홀(7)을 설치한 점이 특징적이며, 재료비를 삭감하는 동시에 경량화에 의해 시공에 드는 노력을 경감할 수도 있다.
또, 도 4(B)에 도시된 내진 벽재(1e)에서는 2개의 윈도우 홀(7)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결부(8)를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강도의 저하가 극력히 억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재의 시공법은 내진 벽재를 건축물의 기초, 토대로부터 대들보, 횡목에 이르기까지 고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모서리부(9, 9,…)에 내진 벽재(1)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건축물의 모서리부(9, 9, …)에 설치되는 내진 벽재로서 장방형 판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L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내진 벽재(10)를 사용하고, 이로써 모서리부(9)를 덮도록 하여도 된다.
내진 벽재(10)의 재료, 길이, 두께는 내진 벽재(1a)와 같아도 되고, 또 삽입홀(2)도 마찬가지로 적당한 위치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내진 벽재(1a, 또는 10)를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내진 벽재(1a)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수평 방향으로 내진 벽재(1a)를 설치하면, 건축물에 지진, 태풍 등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각 내진 벽재(1a, 10)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어 더욱 커다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또, 상기 내진 벽재는 일실시예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부착면에 완충재를 접착하여도 되고, 내진 벽재의 중간부를 만곡 팽출(膨出) 구조로 하여 탄성을 부여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커다란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파단, 이반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충분한 보강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시공할 때의 노력, 시간을 대폭 경감시키고, 시공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Claims (6)

  1. 건축물의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걸치는 길이의 판재에, 기초, 토대, 대들보, 횡목 등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내진 벽재.
  2. 제 1항에 있어서, 중간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단면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벽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윈도우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벽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장방형 판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L형의 판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벽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기재된 내진 벽재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벽재의 시공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기재된 내진 벽재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설치하는 동시에, 그 내진 벽재를 연결하도록 제 1항 내지 제 4항에 기재된 내진 벽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벽재의 시공법.
KR1020010067424A 2001-06-01 2001-10-31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 KR20020092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67261A JP2002356908A (ja) 2001-06-01 2001-06-01 建築物の耐震壁材及びその施工法
JPJP-P-2001-00167261 2001-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151A true KR20020092151A (ko) 2002-12-11

Family

ID=1900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424A KR20020092151A (ko) 2001-06-01 2001-10-31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356908A (ko)
KR (1) KR20020092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420B1 (ko) 2019-09-20 2021-01-29 이영숙 내진 구조를 구비한 목조 주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912A (en) * 1977-04-27 1978-11-28 Nissan Chem Ind Ltd Preparation of 3,7-dimethyl-2,6-octadienylamine derivatives
JPS58164856A (ja) * 1982-03-24 1983-09-29 住友商事株式会社 構築用素材
JPH0636570Y2 (ja) * 1989-08-31 1994-09-2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形回路
JPH09221854A (ja) * 1996-02-15 1997-08-26 Yoshinori Okura 木造建築の軸部補強部材
JPH10140653A (ja) * 1996-11-07 1998-05-26 Isao Okawa ツーバイフォーの建物
JP2001123567A (ja) * 1999-10-26 2001-05-08 Soken Sekkei:Kk 木造建築物の制震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420B1 (ko) 2019-09-20 2021-01-29 이영숙 내진 구조를 구비한 목조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56908A (ja) 200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1149A1 (en) Wood frame construction system with prefabricated components
JP3581426B2 (ja) 木造建築物の構造材と床構造及び屋根構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構築工法
JPH11256687A (ja) 軸組構造及び軸組工法
US20060137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wall structures
KR20020092151A (ko) 건축물의 내진 벽재 및 그 시공법
JPH09195386A (ja) 耐震構築構法とその構法に用いる鉄筋ブレース
JP4654674B2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の取付け方法
JP3349685B2 (ja) 建築物の補強金物
JP2948716B2 (ja) 木造軸組パネル構造
JP7383651B2 (ja) 簡易構造物の壁面構造及び簡易構造物
JP2001065066A (ja) 建築物の耐震補強金物
JPH0978694A (ja) 建築物の耐震補強金物
JP3917718B2 (ja) 耐力壁パネル
KR100892006B1 (ko) 스틸 하우스의 벽 패널 상부 보강 구조
JPH11166305A (ja) 手すり壁構造
JP3222807B2 (ja) 耐力壁パネル
JP2980564B2 (ja) 建築物の構築方法、建築物の基礎構造、及び、建築物の基礎用防振部材
JP2023072168A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および木造建築物の補強方法
JPH10331318A (ja) 木造建物における木造軸組用壁フレーム
JPS61122358A (ja) ラチス梁
JP2021113435A (ja) 耐力壁構造
JP2000204690A (ja) 耐震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からなる耐震断熱構造
JPH11166276A (ja) 耐力壁構造
JP3049439U (ja) 筋かい固定金具
JP3048719U (ja) 木造建築物の耐震強化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