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445A -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445A
KR20020090445A KR1020010028988A KR20010028988A KR20020090445A KR 20020090445 A KR20020090445 A KR 20020090445A KR 1020010028988 A KR1020010028988 A KR 1020010028988A KR 20010028988 A KR20010028988 A KR 20010028988A KR 20020090445 A KR20020090445 A KR 2002009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pipeline
prefabricat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0400B1 (ko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2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4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지중매설 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관, 하수관, 가스관 및 각종 케이블관등을 수납하는 관로가 용이하게 분해·조립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각종 관이 수납되는 공간인 관로가 조립식으로 조립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지지대의 상면에 구획블록과 수납블록이 가변적으로 결합되어 관로박스의 내부에 여러 가지 공간이 형성되므로 여러 종류의 관이 수납되며 수납블록의 적층이 가능하므로 많은 관을 포함한다. 또한 덮개블록이 복수 개의 덮개유닛으로 이루어져 단시간 내에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시공되므로 인도의 하부에 불규칙적으로 매설되거나 중복적으로 매설된 과로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각 부재가 모듈개념의 유닛형식으로 만들어져 규격화된 관로로 관리가 용이하며 시공의 정밀도가 확보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Prefabricated Unit Way Of Underground Pipes}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관, 하수관, 가스관 및 각종 케이블관 등을 수납하는 관로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고, 관로 내부의 설계변경이 용이한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로의 지중매설방식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나 인도 등의 지면(11)을 굴착하여 관로(10)를 지하에 묻은 후 흙(12)을 덮어 매설하는 직접매설식과 지면을 굴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든 후 상수관, 하수관, 가스관 및 각종 케이블관 등(이하 '관'이라 한다.)을 삽입하고 그 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공동구식과 관로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매설된 관로(10)를 개수 또는 보수하는 경우, 직접매설식은 노면을 굴착하여 관로(10)의 내부를 공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동구식과 관로식은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부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도시의 생활기반시설(주택, 도로 등)의 급격한 증가와 관로(10)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의 미비 및 관리부서의 다원화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어, 종래의 지중매설방식으로 매설된 관로(10)는 인도 및 차도의 하부에 불규칙적으로 매설되거나 중복적으로 매설되었고 노면의 반복적인 굴착 및 복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도시미관의 저해와 교통 및 통행에 장애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을 낳았다. 특히, 직접매설식은 매설된 관(9〃)의 매설 깊이가 상이하고 매설위치, 매설물의 종류, 매설깊이 등을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고 그 내부에 조립식으로 조합되는 관로를 형성하여, 그 관로 내에 각종 관을 수납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 증설, 및 개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각 부재가 조립식으로 조합되기 때문에 그 형태가 가변적이며 모듈 개념의 유닛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서 관로의 규격화가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의 정밀도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관로박스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덮개블록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유닛보도블록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구획블록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수납블록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쇄기블록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시공순서도.
도 10은 종래 직접매설식 관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관로박스 1a : 바닥 1b : 좌·우측벽
2 : 지지대 2a : 배수공 2b : 배수로
3 : 보조 내측벽 4 : 구획블록 4a : 지지부
4b : 구획부 5 : 수납블록 5a : 수직부
5b : 거치부 6, 6´ : 쐐기블록 7 : 덮개블록
7a : 덮개유닛 8 : 유닛보도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된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된 좌·우측벽으로 이루어진 관로박스; 상기 바닥에 안치되고 표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그 하면과 상기 바닥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좌·우측벽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로박스의 내부를 차폐하는 덮개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그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상기 좌·우측벽 보다 높게 연장되고 그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편재된 보조 내측벽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블록은 상기 관로박스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덮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그 하면과 상기 덮개블록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기 덮개블록의 상면에 결합되는 유닛보도블록을 더 포함한다.
또한, 그 하면과 상기 지지대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된 구획부로 이루어진 구획블록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각구성들의 작용과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관로박스(1)와 관로박스(1)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덮개블록(7)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전단부에 암 결합구조와 후단부에 수 결합구조가 각각 형성된 바닥(1a)과, 상기 바닥(1a)의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전단부에 암 결합구조가 후단부에 수 결합구조가 각각 형성된 좌·우측벽(1b)으로 이루어진 관로박스(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1a)에 안치되고 표면에 복수 개의 배수공(2a)이 형성되며 그 하면과 상기 바닥(1a)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수로(2b)를 형성하는 지지대(2)와, 상기 좌·우측벽(1b)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에 결합되어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를 차폐하는 덮개블록(7)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는 그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상기 좌·우측벽(1b) 보다 높게 연장되고 그 전단부에 암 결합구조가 후단부에 수 결합구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1b)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편재된 보조 내측벽(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블록(7)은 상기 관로박스(1)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덮개유닛(7a)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상기 바닥(1a), 좌·우측벽(1b), 보조 내측벽(3) 및 덮개유닛(7a)에 형성된 암·수 결합구조로 지하에서 여러 개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관을 수납하는 관로가 된다. 이 때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바닥(1a)은 '∽' 자형의 암·수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대각선방향으로 결합·분리되며 수평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좌·우측벽(1b)은 전단부 암 결합구조의 내부 끝단에 하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후단부 수 결합구조의 외부 끝단에 하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그 전·후단부에 결합하는 다른 관로박스(1)의 좌·우측벽(1b)에 형성된 암·수 결합구조와 결합된 후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상기 덮개 유닛(7a)은 상술한 상기 바닥(1a)의 결합과 동일한 결합구조로 서로 대각선방향으로 결합·분리되며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보조 내측벽(3)은 길이 방향으로 편재되어 있어 연결된 상기 관로박스(1)의 좌·우 요동을 막아 다른 관로박스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상기 좌·우측벽(1b) 보다 높은 구조로 상기 좌·우측벽(1b)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블록(7)의 좌·우 요동을 막는다.
그리고, 관(9, 9′)이 파열되어 그 내부에서 흘러나온 유체는 상기 지지대(2)의 배수공(2a)을 통하여 상기 바닥(1a)으로 배수되며 상기 배수로(2b)를 통하여 흘러나가므로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에 안치된 관(9, 9′)은 청결하게 유지되며 부식되지 않는다. 상기 덮개블록(7)은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를 덮으며 복수 개의 상기 덮개 유닛(7a)으로 구성되어 관로를 보수할 경우 필요한 부분만 제거되어 신속한 보수공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유닛보도블록(8)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과 상기 덮개블록(7)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한 요철과 오목한 요철에 의해 상기 덮개블록(7)의 상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유닛보도블록(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닛보도블록(8)은 지상의 위치와 용도에 따라 인도나 도로의 역할을 하며 특히, 관로의 종류가 표시된 유닛보도블록(8)이나 장애인 유도용 점자가 형성된 유닛보도블록(8)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구획블록(4)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과 상기 지지대(2)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한 요철과 오목한 요철에 의해 상기 지지대(2)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부(4a)와, 상기 지지부(4a)에서 수직상향으로 상기 덮개블록(7)까지 연장된 구획부(4b)로 이루어진 구획블록(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블록(4)은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관로 내에 수납된 다양한 관(9)을 서로 격리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인다. 또한 상기 구획블록(4)은 사용되는 개수에 따라 다수의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수납블록(5)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과 상기 지지대(2)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한 요철과 오목한 요철에 의해 상기 지지대(2)의 상면에 결합되는 수직부(5a)와, 상기 지지대(2)와 평행하고 수직으로 적층 가능하게 상면의 일측에 요철이 형성된 거치부(5b)로 이루어진 수납블록(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블록(5)의 상기 거치부(5b)는 상기 지지대(2)와 덮개블록(7)사이의 공간을 수직적으로 분할· 구획하고 그 상면에 관(9′)을 수납하며 상기 수직부(5a)는 상기 지지대(2)에 대하여 상기 거치부(5b)를 지지한다. 또한 이러한 수납블록(5)은 상기 거치부(5b)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에 다른 상기 수납블록(5)이 수직적으로 적층 되어 다수의 관(9′)을 수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쐐기블록(6,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과 상기 지지대(2)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한 요철과 오목한 요철에 의해 상기 지지대(2)의 상면에 한 쌍으로 마주보며 결합되어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에 수납된 관(9)의 하부에 끼워져 관(9)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쐐기블록(6, 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각 부재를 결합할 때 각각의 부재사이에 고무재질의 패킹이 사용되어 수밀성이 확보되고, 상기 관로박스(1)의 내부 부재인 상기 지지대(2), 구획블록(4), 수납블록(5) 및 쐐기블록(6, 6´)이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전기적인 절연체이다. 그리고 사용되는 부재가 모듈개념의 유닛으로 만들어져 정밀하고 대량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시공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시공된다.
1) 굴착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의 높이 보다 깊게 지면을 굴착하고 그 굴착된 바닥면을 정리한다.
2) 바닥면 고르기
인력으로 요철이 없도록 바닥면을 고른다.
3) 바닥면 다지기
바닥면이 침하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다진다.
4) 바닥면을 수평하게 유지
5) 관로박스 설치
지지대(2)와 좌·우측벽(1b)이 설치된 복수개의 관로박스(1)를 바닥면에 안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킨다.
6) 관로박스의 내부설치
① 구획블록 설치
관로박스(1)의 내부공간을 관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구획한다.
② 쐐기블록 설치
③ 배관
④ 수납블록 설치와 배관
상기 지지대(2)의 상면에서부터 수직으로 다수 층의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블록(5)의 설치와 배관을 반복하며 적층한다.
⑤ 덮개블록 설치
상기 관로박스(1) 내부를 상기 덮개유닛(7a)으로 하나씩 덮는다.
⑥ 유닛보도블록 설치
상기 덮개블록(7)을 도로의 위치와 용도에 맞게 유닛보도블록(8)으로 덮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조립식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지지대의 상면에 구획블록과 수납블록이 가변적으로 결합되어 관로박스의 내부에 여러 가지 공간이 형성되므로 여러 종류의 관을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블록의 적층이 가능하므로 다양하고 많은 관을 수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블록이 복수 개의 덮개유닛으로 이루어져 단시간 내에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시공되므로 과거 인도 및 차도의 하부에 불규칙적으로 매설되거나 중복적으로 매설된 관로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립식 매설관로유닛은 각 부재가 모듈개념의 유닛형식으로 만들어져 규격화된 관로로 관리가 용이하며 시공의 정밀도가 확보된다.
그리고,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은 덮개블록의 상면에 다양한 보도블록의 설치가 가능하여 도로에 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더해줄 수 있다.

Claims (5)

  1.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된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된 좌·우측벽으로 이루어진 관로박스;
    상기 바닥에 안치되고 표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그 하면과 상기 바닥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좌·우측벽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로박스의 내부를 차폐하는 덮개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그 양 측변에서 수직상향으로 상기 좌·우측벽 보다 높게 연장되고 그 전·후단부에 각각 암·수 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벽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편재된 보조 내측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블록은 상기 관로박스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덮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하면과 상기 덮개블록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기 덮개블록의 상면에 결합되는 유닛보도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5.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하면과 상기 지지대 상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된 구획부로 이루어진 구획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KR10-2001-0028988A 2001-05-25 2001-05-25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KR100430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88A KR100430400B1 (ko) 2001-05-25 2001-05-25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88A KR100430400B1 (ko) 2001-05-25 2001-05-25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45A true KR20020090445A (ko) 2002-12-05
KR100430400B1 KR100430400B1 (ko) 2004-05-04

Family

ID=2770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988A KR100430400B1 (ko) 2001-05-25 2001-05-25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4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775A (ko) * 2002-03-06 2003-09-19 성수복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KR100731957B1 (ko) * 2006-01-11 2007-07-03 하용수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100883271B1 (ko) * 2008-08-08 2009-02-10 나용수 지중 배선 관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02B1 (ko) 2008-05-10 2010-09-30 김재욱 전력선관로블록
KR100905548B1 (ko) 2009-02-06 2009-07-01 주식회사 삼안 택지개발 단지내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337U (ko) * 1986-12-16 1988-06-23
JPS6475157A (en) * 1987-09-18 1989-03-20 Kawasaki Steel Co Continuous casting mold powder for extra-low carbon steel
JPH0175157U (ko) * 1987-11-05 1989-05-22
JP2523083B2 (ja) * 1993-11-10 1996-08-07 茂生 森本 共同溝兼側溝用ブロック
JP3684438B2 (ja) * 2000-01-21 2005-08-17 榮一 田代 地下共同スペー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775A (ko) * 2002-03-06 2003-09-19 성수복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KR100731957B1 (ko) * 2006-01-11 2007-07-03 하용수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100883271B1 (ko) * 2008-08-08 2009-02-10 나용수 지중 배선 관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400B1 (ko) 200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9530B (zh) 城市综合管廊及施工方法
JP3684438B2 (ja) 地下共同スペース
JP2011061997A (ja) 電線共同溝用トラフ
WO2012090596A1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排水設備及びケーブル類の地中化方法
KR100430400B1 (ko)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KR100730702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부설구조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428388Y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JP2523083B2 (ja) 共同溝兼側溝用ブロック
KR100740052B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100613394B1 (ko) 맨홀 인출구 관로 침하방지용 배전 맨홀
JPS61294042A (ja) 複合機能管路
JP2000017720A (ja) 水路用ブロック
JP2835939B2 (ja) ライフライン収容ボックス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JPS61189116A (ja) 情報等の伝送用管路
KR200265418Y1 (ko) 도로의 복합형 암거 구조
CN213773455U (zh) 一种底板加厚预埋排水管的缆线管廊
JPS62268429A (ja) 複合機能管路
JP2521598B2 (ja) 地中共同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共同管路
JP6126415B2 (ja) 側溝の共同溝化工法
KR100331231B1 (ko) 중력식과 압력식 하수도관의 복층 시공방법
KR200187239Y1 (ko) 복층 하수도관시공용 시설재
KR200344166Y1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