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775A -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775A
KR20030072775A KR1020020011964A KR20020011964A KR20030072775A KR 20030072775 A KR20030072775 A KR 20030072775A KR 1020020011964 A KR1020020011964 A KR 1020020011964A KR 20020011964 A KR20020011964 A KR 20020011964A KR 20030072775 A KR20030072775 A KR 2003007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uried pipe
underground buried
box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복
Original Assignee
성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수복 filed Critical 성수복
Priority to KR102002001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775A/ko
Publication of KR2003007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관 및 통수량의 변화에 따라 지중 매설관을 교체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없어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있어서, 굴착 침하시키는 방식에 의해 터파기를 동시에 시행하여 사각 콘크리트 박스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 1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오픈된 바닥면 내측에 바닥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이 실시된 상태에서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 2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안착홈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된 지중 매설관이 안착되는 제 3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상부에 상부덮개 콘크리트판이 설치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의 상부덮개 콘크리트판이 설치된 상부에 포장이 되어 마감되는 제 5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UNDERGROUND LAYING PIPE MOUNTING METHOD OF ROAD USING SQUARE BOX}
본 발명은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관 및 통수량의 변화에 따라 지중 매설관을 교체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없어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보도에는 지중 매설관이 설치되어 하수관로, 가스관로 및 상수관로 등이 형성되는데, 상기의 지중 매설관의 시공 및 교체는 터파기를 실시하고 터파기한 지반에 대한 다짐작업을 실시한 연후에 지중 매설관이 설치되는게 일반적이라 할수 있다.
상술한 지중 매설관은 작업상 터파기를 실시한 연후에 오랜 기간동안 작업이 시행되는 관계로 교통 체증 등의 문제점을 항상 안고 있고, 주위를 통행하는 보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 일반적인 문제점이 항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그로인해 지중 매설관을 시공하거나 기존 지중 매설관에 대한 교체시에도 최대한 교통 체증과 보행자의 불편함을 억제할 수 있도록 주로 야간작업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에 지중 매설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10; 도면상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도로만을 설명한다)에 지중 매설관(40)이 설치되는 시공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지중 매설관(40)이 설치될 장소에 터파기를 시행하는 단계이고,제 2 단계는 터파기한 하부 지반(B)에 대한 지반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지반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을 시행한 상부에 거푸집(20)을 설치하는 단계이고, 제 4 단계는 상기의 거푸집(2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받침 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는 받침 콘크리트(30)의 상부에 지중 매설관(40)을 안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의 지중 매설관(40)이 하수관으로 이용되는 경우 콘크리트 흄관이 이용되고, 제 6 단계는 상기의 지중 매설관(4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 거푸집(20)에 부력방지 와이어(50)가 체결되는 단계이다.
제 7 단계는 거푸집(20), 받침 콘크리트(30) 및 지중 매설관(40)이 안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벽체 콘크리트(60)가 타설되는 단계이고, 제 8 단계는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20)을 해체하는 단계이다.
제 9 단계는 거푸집(20)이 해체되면 되메우기 및 다짐 작업을 시행하여 지중 매설관(4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단계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지중 매설관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지중 매설관의 시공 단계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고 시공 순서와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매설관에 대한 교체작업시에도 터파기에서 지중 매설관의 철거까지 많은 공정이 소요되는 관계로 공사 기간이 과다하게 투입되는 한편, 잡 자재의 사용 및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지중 매설관을 시공하거나 교체시에 도로에 대한 터파기 기간에 따른 시공 및 교체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관계로 그 주위에 대한 교통 체증을 증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의 지중 매설관을 배수관으로 사용하는 도중 지중 매설관을 통과하는 통수량이 늘어난 경우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배수라인에서 역류현상이 일어나 도로가 침수하는 등 교통의 방해 요인을 제공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중 매설관의 교체가 원활하여 터파기를 시행한 장소에 대한 교통체증의 문제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고, 터파기에서 시공 및 교체에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 자재비 및 인건비의 상승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에 지중 매설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각박스를 이용하여 도로에 지중 매설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통수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구조물의 분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통수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로 200 : 사각 콘크리트 박스
250 : 안착홈부 260 : 체결볼트홀
270 : 체결볼트 300 : 바닥 콘크리트
400 : 지중 매설관 500 : 상부덮개 콘크리트판
550 : 인양고리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로의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있어서, 굴착 침하시키는 방식에 의해 터파기를 동시에 시행하여 사각 콘크리트 박스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 1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오픈된 바닥면 내측에 바닥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이 실시된 상태에서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 2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안착홈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된 지중 매설관이 안착되는 제 3 단계;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의 상부에 상부덮개 콘크리트판이 설치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의 상부덮개 콘크리트판이 설치된 상부에 포장이 되어 마감되는 제 5 단계;로 구성된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각박스를 이용하여 도로에 지중 매설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100)에 지중 매설관(400)을 시공하기 위해 하부가 오픈된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가 터파기한 장소에 위치되면 그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하부에 바닥 콘크리트(300)가 타설되고,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에는 측면의 안착홈부(250)에 흄관, 상수도관 및 도시 가스관 등과 같은 지중 매설관(400)이 안착되며,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에는 상부에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결합되어 마감되게 되는 한편,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이 결합되어 상,하수도 라인 및 가스라인 등의 지지 구조물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중 매설관(400)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내측에 삽입하여 외부의 응력에 대하여 최대한 대응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 흄관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 지중 매설관(300) 및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일체로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터파기한 장소에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로서,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가 터파기할 장소에 설치되어 굴착 침하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터파기를 동시에 시행하게 된다.
제 2 단계는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오픈된 바닥면 내측으로 바닥 콘크리트(300)가 타설되는 단계로서, 이때 바닥 콘크리트(300)가 타설되어 바닥판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300)가 타설되기전에 터파기한 바닥면에 대한 바닥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이 실시된 상태에서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제 3 단계는 기존 통수량에 의해 설계된 지중 매설관(400)이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안착홈에 설치되는 단계로서, 상기의 지중 매설관(40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된 특수관이 사용된다.
제 4 단계는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상부에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는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된 상부에 포장이 되어 마감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 지중 매설관(400) 및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노후된 관 및 통수량의 변화 등과 같은 이유로 지중 매설관에 대한 교체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포장 컷팅 및 걷어내기를 실시하는 단계이고, 제 2 단계는 제일 상부에 위치된 상부덮개 콘크리트(500)가 해체되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지중 매설관(400)이 해체되는 단계이고, 제 4 단계는 통수량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지중 매설관(400)이 설치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는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되는 단계이고, 제 6 단계는 컷팅된 장소에 대한 상부에 아스팔트층이 포장되는 단계이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노후된 관 및 통수량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지중 매설관을 설치하는 교체할 시 포장을 해체한 후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만 걷어내면 통수량에 맞는 관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수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구조물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통수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는 상부와 하부가 오픈된 구조물로 길이방향의 양측에 안착홈부(250)가 형성되고, 상기의 안착홈부(250)는 하부에 지중 매설관의 외경과 동일한 형태로 라운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안착홈부(250)가 형성된 측면에 각각 2개씩의 체결 볼트홀(260)이 형성된다.
이때,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장되는 경우에는 체결 볼트(270)를 이용하여 연장되는 한편, 상기의 안착홈부(250)는 일반적으로 대구경의 지중 매설관(4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폭(D)을 넓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부에 다수개의 인양 고리(550)가 매설되어 작업시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은 하부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상부 고정틀()이 형성되어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후된 지중 매설관(40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 지중 매설관(400) 및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새롭게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박스 설치단계 → 바닥 콘크리트 타설단계 → 지중 매설관 안착단계 → 상부덮개 콘크리트판 설치단계 → 상부 포장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 지중 매설관(400) 및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된 위치에 통수량의 변화에 따른 대구경의 지중 매설관(400)이 새롭게 교체될 경우에는, 포장 컷팅 및 걷어내기 단계 → 상부덮개 콘크리트 해체단계 → 지중 매설관 해체단계 → 새로운 지중 매설관 설치단계 → 상부덮개 콘크리트판 설치단계 → 상부 포장단계로 구성되어 시공단계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은, 사각 콘크리트 박스, 상부덮개 콘크리트판 및 지중 매설관이 종래의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비하여 단계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어 터파기에 의해 발생되던 교통 체증 및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기존의 지중 매설관 방법에 비하여 월등히 지중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통수량의 변화에 따라 간단하게 대구경의 지중 매설관을 교체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지중 매설관을 설치하고 교체 시공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공사비 및 인건비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시공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도로 또는 보도의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에 있어서,
    굴착 침하시키는 방식에 의해 터파기를 동시에 시행하여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 1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오픈된 바닥면 내측에 바닥 고르기 및 다짐 작업이 실시된 상태에서 바닥 콘크리트(300)가 타설되는 제 2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안착홈부(250)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된 지중 매설관(400)이 안착되는 제 3 단계;
    상기의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의 상부에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의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된 상부에 포장이 되어 마감되는 제 5 단계;로 구성된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노후관 및 통수량의 변화에 따라 지중 매설관(400)의 교체를 위해 포장 컷팅 및 걷어내기를 실시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 완료후 제일 상부에 위치된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을 해체시키는 제 2 단계;
    제 2 단계 완료후 사각 콘크리트 박스(200)에 안착된 지중 매설관(400)이 해체되는 제 3 단계;
    제 3 단계 완료후 새로운 지중 매설관(400)이 안착되어 설치되는 제 4단계;
    제 4 단계 완료후 상부덮개 콘크리트판(500)이 설치되는 제 5 단계; 및
    제 5 단계 완료후 컷팅된 장소에 대한 상부에 아스팔트층이 포장되는 제 6 단계;로 구성된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 매설관 설치방법.
KR1020020011964A 2002-03-06 2002-03-06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KR20030072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64A KR20030072775A (ko) 2002-03-06 2002-03-06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64A KR20030072775A (ko) 2002-03-06 2002-03-06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775A true KR20030072775A (ko) 2003-09-19

Family

ID=3222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964A KR20030072775A (ko) 2002-03-06 2002-03-06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61B1 (ko) * 2010-09-01 2011-07-01 강종표 관로 공법
KR101056661B1 (ko) * 2009-08-05 2011-08-12 한국가스공사 도로의 지하관로매설 일일시공구간 마무리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824A (ja) * 1982-10-29 1984-05-10 Kumagai Gumi Ltd 管埋設方法
JPH0337490A (ja) * 1989-06-30 1991-02-18 Nkk Corp 配管類の敷設方法
JPH06101206A (ja) * 1992-09-17 1994-04-12 Nippon Samikon Kk ロードヒーテイング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
KR20020090445A (ko) * 2001-05-25 2002-12-05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824A (ja) * 1982-10-29 1984-05-10 Kumagai Gumi Ltd 管埋設方法
JPH0337490A (ja) * 1989-06-30 1991-02-18 Nkk Corp 配管類の敷設方法
JPH06101206A (ja) * 1992-09-17 1994-04-12 Nippon Samikon Kk ロードヒーテイング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
KR20020090445A (ko) * 2001-05-25 2002-12-05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식 매설관로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61B1 (ko) * 2009-08-05 2011-08-12 한국가스공사 도로의 지하관로매설 일일시공구간 마무리공법
KR101045861B1 (ko) * 2010-09-01 2011-07-01 강종표 관로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4295A (zh) 防止路面检查井周边和局部沉降的施工方法
CN101424063A (zh) 临时与永久道路一次性施工工法
KR100324889B1 (ko) 매설관의 보호층 충진방법
US4050839A (en) Process for raising manholes
JP5168697B2 (ja) 小河川橋梁架け替え工法
CN106498981A (zh) 一种砖砌式市政综合管线通道及其施工方法
JP3366580B2 (ja) 既設山岳トンネルの底盤中にインバートを設置する方法
KR20030072775A (ko) 통수량 변화의 대처를 위한 사각박스를 이용한 도로 지중매설관 설치방법
KR20030071986A (ko)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박스형암거와 그 시공법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JP3856791B2 (ja) 張出歩道の敷設方法
JP3403345B2 (ja) 既設の山岳トンネルにおけるインバートの形成方法およびブロック
CN207419538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检查井盖板系统
KR20020035216A (ko) 도로 저면에 지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약지반의 배수로시공 공법 및 그 배수관
KR100538398B1 (ko) 연약지반 압입추진공법 및 그 장치
CN210946879U (zh) 一种用于市政道路建设的抗疏力挡土墙
KR200194046Y1 (ko) 도로 포장면 구조물의 뒷채움 구조
KR102118064B1 (ko) 재활용 복합수지를 이용한 고·저압 무정전 접속함의 무정전 시공방법
KR20040052885A (ko)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100609125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암거 및 그 시공법
JP6278484B2 (ja) 公共汚水桝の改修方法
KR100686540B1 (ko) 통신케이블 이설작업 방법
JP2000080602A (ja) 拡張地盤の盛土工法
KR200265492Y1 (ko) 수로 박스 유출입부의 차수벽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