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246A -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 Google Patents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246A
KR20020089246A KR1020020065085A KR20020065085A KR20020089246A KR 20020089246 A KR20020089246 A KR 20020089246A KR 1020020065085 A KR1020020065085 A KR 1020020065085A KR 20020065085 A KR20020065085 A KR 20020065085A KR 20020089246 A KR20020089246 A KR 2002008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
film
range
moles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진
Original Assignee
(주)아산필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필름공업 filed Critical (주)아산필름공업
Priority to KR102002006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246A/ko
Publication of KR2002008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005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 G03C1/06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with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005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 G03C1/06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with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03C1/08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4Apply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s to the base; Drying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6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 G03C1/7614Cover layers; Backing layers; Base or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ubricating, for rendering anti-abrasive or for preventing adhe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 G03C5/26Processes using silver-salt-containing photosensitive materials or agent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6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 G03C1/7614Cover layers; Backing layers; Base or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ubricating, for rendering anti-abrasive or for preventing adhesion
    • G03C2001/7635Protect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스캐닝에 의한 화상형성을 위한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이 도포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영상필름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층을 형성하는 사진유제가 0.0001 내지 0.0005몰의 범위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되, 상기 감광제 혼합물이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범위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 3수화물을 주입하여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Image film for He-Ne laser scanner}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스캐닝에 의한 화상형성을 위한 고해상력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에 관한 것이다.
인쇄 산업 분야에서는 고화질,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인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400 내지 560㎚의 정색성 광영역의 광원을 이용하던 인쇄 제판용 장비들이 헬륨-네온 광원 및 아르곤 광원을 사용하는 스캐너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에 사용되는 할로겐화은을 이용한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진 특성이 향상된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인쇄제판용 필름의 사진유제는 젤라틴 수용액 중에 염화나트륨 및 브롬화칼륨 용액과 질산은 용액을 싱글 또는 더블주입방법(double-injection method)으로 혼결형의 할로겐화은을 제조하고, 탈염, 화학증감 및 분광증감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상기 할로겐화은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사진화학(1987년, 강태성 저, 광화출판사)과 미국특허 제2,222,264호, 제2,592,250호 및 제3,276,87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진유제는 화학증감 공정인 환원증감, 황증감, 분광증감을 할 때 포그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감광성 할로겐화은 입자의 조성이 염화은 50 내지 55몰%와 브롬화은 45 내지 50몰%를 갖는 입자로서, 평균크기는 0.4 내지 0.5㎛의 불균일한 입자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불균일한 입자형태는 해상력과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선명한 화질의 고급인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이저광에 우수한 사진특성을 얻을 수가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2-17431호에는 염화은과 브롬화은의 조성비율이 70내지 75/25 내지 30몰%이고, 입자크기가 0.25 내지 0.3㎛인 정육면체형의 할로겐화은 미립자 사진유제가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도포, 건조된 것으로, 상기 사진유제 중에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와 퀴놀린계 및 벤조셀레나졸계 증감색소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할로겐화알칸을 포함하는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는 사진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스캐닝에 의한 화상형성을 위한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스캐닝에 의한 화상형성을 위한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영상필름의 감광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및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영상필름(나)의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및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영상필름(나)의 기본감도(해상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및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영상필름(나)의 색소 흡착 감도(콘트라스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및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영상필름(나)의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의 스캐닝 영역에 대한 감광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은,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이 도포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영상필름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층을 형성하는 사진유제가 0.0001 내지 0.0005몰의 범위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되, 상기 감광제 혼합물이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범위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주입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사진유제를 구성하는 할로겐화염은 염화나트륨, 브롬화칼륨, 요오드화칼륨, 포타슘헥사클로로이리데이트(K2IrCl6)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진유제에는 증감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의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진유제에는 pH조절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의 소듐카보네이트(Na2CO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진유제에는 젤라틴을 분산시키고, 질산은입자를 보호하도록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사진유제를 포함하는 영상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1) 0.0001 내지 0.0005몰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제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사진유제 제조단계; (2) 상기 사진유제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사진유제에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로, 소듐카보네이트(Na2C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로, 그리고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를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으로 추가하고, 40 내지 70℃에서 30 내지 90분간 숙성시키는 화학숙성단계; 및 (3)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을 도포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을 도포하는 도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은,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이 도포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영상필름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층을 형성하는 사진유제가 0.0001 내지 0.0005몰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할로겐화알칸을 포함하는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되, 상기 감광제 혼합물이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범위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주입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던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에틸렌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할로겐화알칸을 포함하는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사진유제를 제조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벤조트리아졸은 상기 젤라틴에 함유된 유황성분으로 인한 포그를 억제하는 역할 및 화학숙성 시의 안정화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젤라틴은 사진유제를 담지하는 매질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염화로듐ㆍ3수화물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질산은과 할로겐화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할로겐화염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할로겐화염의 혼합비가 0.99몰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감광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05몰을 초과하는 경우, 광염이 많이 발생하여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진유제를 구성하는 젤라틴에는 염화나트륨 및 시트르산과 같은 공지의 보조제들이 첨가될 수 있으며, 사진유제의 응고 및 분리를 위한 pH의 조절 및 황산염(예를 들면, 황산나트륨 또는 황산암모늄 등) 등의 사용에 의해 사진유제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응고 및 분리된 사진유제는 수세 등에 의해 탈염 및 탈포그(사진유제 중에 존재할 수 있는 포그성분을 제거하는 것)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고 및 분리된 사진유제는 화학숙성시킬 수 있으며, 화학숙성시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 소듐카보네이트(Na2CO3) 및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들이 더 포함된다.
상기 소듐티오설페이트는 증감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로 포함되며, 상기 함량 범위 영역의 하한 미만인 경우, 증감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역시 증감효과가 지나쳐 양질의 화질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듐카보네이트는 pH조절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로 포함되며, 상기 함량 범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pH의 조절이 충분히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사진유제의 분리, 응고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는 젤라틴을 분산시키고, 질산은입자를 보호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함량 범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젤라틴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거나, 질산은 입자의 보호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학숙성에서 숙성시의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 반응이 서서히 일어나 숙성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짐에 따라 감도의 최고점을 찾기가 어렵고, 생산에 과도한 시간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70℃를 초과하는 것은 포그의 발생율이 높아지고, 제품들이 일정한 특성값을 갖지 못하게 되어 재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숙성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 역시 원하는 특성값에 도달하지 못해 소정의 제품을 수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90분을 초과하는 경우, 감도의 최고점을 통과한 이후가 되어 포그가 급격히 증가하고, 감도가 저하하기 시작하여 역시 소정의 제품을 수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화학숙성시 공지의 증감제(sensitizer), 안정제(예를 들면, 인돌리진계 화합물 및/또는 머캅토벤조티아졸계 화합물 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사포닌 등), 포르말린 등과 같은 화합물들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수득된 사진유제는 공지의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이 도포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이 도포되어 영상필름을 구성한다. 상기한 안티할레이션층 및 보호층은 모두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진유제를 구성하는 할로겐화염은 염화나트륨, 브롬화칼륨, 요오드화칼륨, K2IrCl6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사진유제를 포함하는 영상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1) 0.0001 내지 0.0005몰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제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사진유제 제조단계; (2) 상기 사진유제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사진유제에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로, 소듐카보네이트(Na2C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로, 그리고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를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으로 추가하고, 40 내지 70℃에서 30 내지 90분간 숙성시키는 화학숙성단계; 및 (3)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을 도포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을 도포하는 도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사진유제 제조단계는 0.0001 내지 0.0005몰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할로겐화염 및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제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영상필름에서의 중요성분인 사진유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특히 감광제 혼합물들의 혼합에 의한 감광성분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게에서 감광제 혼합물, 즉 질산은과 할로겐화염의 주입에 의하여 할로겐화은이 형성되고, 이 할로겐화은이 감광성분이 된다.
계속해서, 상기 (2)의 화학숙성단계에서는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바에 의거 수득된 사진유제를 화학적으로 숙성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사진유제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사진유제에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 소듐카보네이트(Na2CO3) 및 KFG를 추가하고, 숙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 공지의 증감제(sensitizer), 안정제(예를 들면, 인돌리진계 화합물 및/또는 머캅토벤조티아졸계 화합물 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사포닌 등), 포르말린 등과 같은 화합물들이 첨가될 수 있다.
이후, 상기한 바에 의거 수득된 사진유제는 (3)의 도포단계에서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도포되어 사진유제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을 도포하여 영상필름을 구성하게 된다. 이들 안티할레이션층 및 보호층의 제조 및 도포 등은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티할레이션층은 난반사를 방지하여 보다 나은 해상도를 갖는 영상필름의 제조를 위하여 도입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티할레이션층은 유제의 감광 파장에 따라 동일한 파장을 갖는적절한 색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또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이온교환수 5000㎖가 들어 있는 하나의 용기(A)에 젤라틴 264g을 투입하여 5.28%로 만들어 30분간 팽윤(swelling)시킨 후, 여기에 1,2,3-벤조트리아졸 1% 용액 15㎖과 염화나트륨 30g 및 시트르산 23g을 투입하여 제1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58℃로 유지시켰다. 이온교환수 2000㎖가 들어 있는 다른 하나의 용기(B)에 질산은 850g을 투입하고, 용해시켜 제2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48℃로 유지시켰다. 이온교환수 1950㎖가 들어 있는 다른 하나의 용기(C)에 염화나트륨 145g, 브롬화칼륨 232g, 요오드화칼륨 1.5g, 포타슘 이리듐 클로라이드 0.005g, 염화로듐ㆍ3수화물 0.001g을 투입하고, 용해시켜 제3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48℃로 유지시켰다. 다른 하나의 용기(D)에 10% 황산 용액 82.5㎖을 제4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이온교환수 7260㎖가 들어 있는 다른 하나의 용기(E)에 황산나트륨 1452g을 투입하고 용해시켜 제5용액으로 준비하고, 이를 31℃로 유지시켰다. 상기 제1용액에 상기 제2용액과 제3용액을 동시에 주입한 후, 60분간 방치한 후, 제4용액을 투입하여 전체 용액의 pH를 2.1로 조절하고 온도를 31℃로 조절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제5용액을 투입하고, 방치하여 사진유제가 응고되도록 하였다. 응고된 사진유제는 물로부터 분리하고,분리된 사진유제가 전기전도도 1400 내지 1200*10-6이 될 때까지 10℃의 이온교환수로 2 내지 3시간 수세시켜 과잉 염분 및 포그입자를 포함하는 염기들을 제거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사진유제 2300g을 다시 이온교환수 5000㎖가 들어있는 용기에 76.2g의 젤라틴과 함께 투입하고, 팽윤시킨 후,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 1% 용액 5㎖, 소듐카보네이트(Na2CO3) 5% 용액 350㎖ 및 180 KFG 1% 용액 150㎖를 추가하고, 60분간 방치한 후, 다시 거기에 더해 공지의 증감제(sensitizer), 안정제(예를 들면, 인돌리진계 화합물 및/또는 머캅토벤조티아졸계 화합물 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사포닌 등), 포르말린 등을 통상 사용되는 양으로 투입한 후, 과 같은 화합물들이 첨가시키고, 60분간 방치시켜 화학숙성시켜 사진유제를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이 사진유제를 공지의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공지의 방법에 따라 도포시켜 사진유제층을 형성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공지의 보호층을 도포시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필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용적으로 판매되는 아그파사의 영상필름(독일 소재)을 대조군으로서 비교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필름의 감광입자를 전자현미경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상당히 고른 입도와 뚜렷한 결정 모양을 갖는 것으로 0.3㎛ 전후의 고른 입경을 갖는 육면체형의 감광입자들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영상필름의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2에서 (가)는 상기 실시예의 특성곡선을 나타내고, (나)는 비교예의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특성곡선의 측정은 컬러확대기 씨6700(일본국 LPL사의 Color enlarger C6700)을 사용하였고, 농도계는 스크린 디엠-550(일본국 Dainippon Screen MFG Co. Ltd.의 Screen DM-550)을 사용하였으며, 광확대기로 노광량(일정한 조도 아래 시간을 변환시킴) 조절로 농도 변환치를 측정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필름이 동일한 곡선 구배를 가지면서도 동일 농도 대비 약간 더 높은 노광량(log E)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기본감도(해상력)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상기 광확대기를 사용하여 측정광을 주어 감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기본감도가 더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색소 흡착 감도(콘트라스트)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상기 광확대기를 사용하여 측정광을 주어 감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 흡착 감도가 더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한국화학연구원 영상 재료실 분광기(1996년 표준연구원 제작품) 2종을 사용하여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의 스캐닝 영역에 대한 감광영역을 비교한 사진으로서, 상용화된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의 스캐닝 영역에 대한 충분한 감광영역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필름은 상용화된 영상필름과 비교하여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가지면서도 상용화된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의 감광영역에 충실히 대응하여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한 영상필름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스캐닝에 의한 화상형성을 위한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트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이 도포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영상필름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층을 형성하는 사진유제가 0.0001 내지 0.0005몰의 범위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감광제 혼합물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되, 상기 감광제 혼합물이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범위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주입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사진유제를 구성하는 할로겐화염이 염화나트륨, 브롬화칼륨, 요오드화칼륨, 포타슘헥사클로로이리데이트(K2IrCl6)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영상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에 증감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의 소듐티오설페이트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영상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에 pH조절제로서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의 소듐카보네이트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영상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유제에 젤라틴을 분산시키고, 질산은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의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영상필름.
  6. 사진유제를 포함하는 영상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1) 0.0001 내지 0.0005몰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젤라틴에 1몰의 질산은에 대하여 0.99 내지 1.05몰의 할로겐화염 및 0.0000038몰의 염화로듐ㆍ3수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제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사진유제 제조단계;
    (2) 상기 사진유제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사진유제에 소듐티오설페이트(Na2S2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0001 내지 0.00005몰의 범위로, 소듐카보네이트(Na2CO3)를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0.01 내지 0.05몰의 범위로, 그리고 상기 질산은 1몰에 대하여 초산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를 0.1 내지 0.5g의 범위의 양으로 추가하고, 40 내지 70℃에서 30 내지 90분간 숙성시키는 화학숙성단계; 및
    (3)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필름 지지체 상에 사진유제층을 도포하고, 상기 사진유제층 상에 보호층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20065085A 2002-10-24 2002-10-24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KR20020089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85A KR20020089246A (ko) 2002-10-24 2002-10-24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85A KR20020089246A (ko) 2002-10-24 2002-10-24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46A true KR20020089246A (ko) 2002-11-29

Family

ID=2772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85A KR20020089246A (ko) 2002-10-24 2002-10-24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24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656A (en) * 1986-10-30 1988-10-04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ing material containing leuco dye
KR900002250A (ko) * 1988-07-26 1990-02-28 최근선 자기기록매체 제조방법
KR910006538A (ko) * 1989-09-08 1991-04-29 시마 마사히로 후수(厚手)의 신축성이 적고 견고히 한 편지(編地)의 편성 방법
US5912108A (en) * 1996-12-30 1999-06-15 Agfa-Gevaert, N.V. Processing of a light-sensitive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KR20000064049A (ko) * 2000-08-18 2000-11-06 변창규 명실용 인쇄제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656A (en) * 1986-10-30 1988-10-04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ing material containing leuco dye
KR900002250A (ko) * 1988-07-26 1990-02-28 최근선 자기기록매체 제조방법
KR910006538A (ko) * 1989-09-08 1991-04-29 시마 마사히로 후수(厚手)의 신축성이 적고 견고히 한 편지(編地)의 편성 방법
US5912108A (en) * 1996-12-30 1999-06-15 Agfa-Gevaert, N.V. Processing of a light-sensitive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KR20000064049A (ko) * 2000-08-18 2000-11-06 변창규 명실용 인쇄제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0712A (en) Spectrally sensitized photothermographic materials and preparation thereof
JPS63184740A (ja) 写真要素およびハロゲン化銀乳剤の製造方法
JPS58211753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S61203446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H06194785A (ja) 迅速処理用フィルター染料
DE2553127A1 (de) Verfahren zur erhoehung der empfindlichkeit einer photographischen silberhalogenidemulsion, die dabei erhaltenen produkt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photographischen materials
KR20020089246A (ko)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영상필름
KR0150457B1 (ko) 화상형성방법
JP2925353B2 (ja) ハロゲン化銀写真材料
BE1007901A3 (nl) Werkwijze voor het processen van een zwart-wit zilverhalogenide fotografisch materiaal met spectraalgesensibiliseerde emulsies.
JPH04110935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S6046415B2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DE3406246A1 (de) Photographisches, lichtempfindliches silberhalogenidmaterial
KR100356028B1 (ko)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JP3912802B2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S61251843A (ja) 直接反転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3561862B2 (ja)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EP0536647A1 (en) Direct positive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s
JPS632045A (ja) 写真用吸光染料
JPH04110934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53626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KR20030065767A (ko)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필름의 제조방법
JPH0396942A (ja) 写真用吸光染料
JPH0588811B2 (ko)
EP0750221A1 (en) Silver halide photographic emulsion having reduced pressure fo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