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028B1 -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28B1
KR100356028B1 KR1020000050765A KR20000050765A KR100356028B1 KR 100356028 B1 KR100356028 B1 KR 100356028B1 KR 1020000050765 A KR1020000050765 A KR 1020000050765A KR 20000050765 A KR20000050765 A KR 20000050765A KR 100356028 B1 KR100356028 B1 KR 10035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um
neon laser
polyoxyethylene
silve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431A (ko
Inventor
윤민영
안홍찬
강태성
Original Assignee
한미필름테크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필름테크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미필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4Apply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s to the base; Drying proces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65Low-molecular-weight organic substances, e.g. absorption of additives in the surface of the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005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2200/00Details
    • G03C2200/27Gelatine cont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2200/00Details
    • G03C2200/44Details pH va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2200/00Details
    • G03C2200/60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화은 사진유제를 폴리에스터 필름에 도포하여 제조된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에 있어, 상기 할로겐화은 조성비율이 염화은 70 몰%이상, 브롬화은 30 몰%이하이고,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 및 증감색소를 함유하는 입자크기 0.25 ∼ 0.3 ㎛의 정육면체형의 할로겐화은 사진유제를 제조한 후 폴레에스터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포그없이 633 ㎚ 파장의 헬륨-네온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를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The preparation of graphic arts film for He-Ne laser scanner}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제판 사진감광필름 제조시 633 ㎚파장의 헬륨-네온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스캐너방식에 의해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를 갖는 흑화망점(dot)으로 화상을 형성시키게 하는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쇄제판용 필름의 사진유제는 젤라틴 수용액 중에 염화나트륨 및 브롬화칼륨 용액과 질산은 용액을 싱글(single) 혹은 더블(double) 주입방법으로 혼결형의 할로겐화은(AgBrCl)을 제조하여 탈염, 화학증감 및 분광증감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상기 할로겐화은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사진화학[1987년, 강태성 저, 광화출판사]과 미국특허 제2,222,264호, 제2,592,250호 및 제3,276,877호, 그리고 일본특허 평2-28653호와 포토그래픽 사이언스[Jr.of photogr, sci. 1964년]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진유제는 화학증감 공정인 환원증감, 황증감, 분광증감을 할 때 포그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감광성 할로겐화은 입자의 조성이 염화은 50 ∼ 55 몰%와 브롬화은 45 ∼ 50 몰%를 갖는 입자로서, 평균크기는 0.4 ∼ 0.5 ㎛의 불균일한 입자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불균일한 입자형태는 해상력과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고급인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이저광에 우수한 사진특성을 얻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진유제 제조시 감광성 할로겐화은의 조성성분인 염화은/브롬화은의 조성비율을 70 몰%이상/30 몰%이하로 조절하여 입자크기 분포 0.25 ∼ 0.3 ㎛인 정육면체(cube)형의 할로겐화은 미립자의 사진유제를 제조하고, 특히 사진유제 중에 포그 억제를 위해 폴리옥시에틸렌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사진유제를 제조하면, 포그없이 헬륨-네온 레이저에 감광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입자형태로 633 ㎚의 He-Ne 레이저광에 감광되어도 포그없이 고해상도와 고콘트라스의 인쇄특성을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은 입자의 크기 및 모양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은 입자의 크기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은 입자를 에너지 분산형 엑스선 분광분석기(EDS)로 분석한 성분조성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은 입자를 포함한 사진유제에 화학증감제 및 증감색소를 첨가하여 얻은 사진특성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은 입자를 포함한 사진유제에 화학증감제 및 증감색소를 첨가하여 얻은 흡수분광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와 증감색소가 함유되고, 염화은과 브롬화은의 조성비율이 70 ∼ 75/25 ∼ 30 몰%이며 입자크기 0.25 ∼ 0.3 ㎛의 정육면체형의 할로겐화은 미립자 사진유제가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도포, 건조된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인쇄제판 사진감광필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블주입 방법으로 할로겐화은 미립자 사진유제를 제조한 다음, 상기 사진유제를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도포, 건조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인쇄제판 사진감광필름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해상력과 고콘트라스트의 인쇄특성을 갖는 필름을 얻기 위해 질산은 용액과 할로겐염 용액을 동시에 주입하는 더블-젯(double-jet)방법을 도입하여 일정 pAg하에서 생성되는 균일하면서 입자의 평균크기가 0.25 ∼ 0.3 ㎛이내인 정육면체(cube)형의 할로겐화은을 제조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광원용 인쇄제판 사진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응 용액 에 포그억제 작용을 하는 폴리옥시에틸렌계의 화합물을 함유시키고 질산은과 반응하는 할로겐염의 염화나트륨의 몰 조성비율을 70 몰% 이상으로 조절한 후, 탈염공정, 화학증감 및 분광증감 과정을 거쳐 사진유제를 제조하고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고해상도 및 고콘트라스의 사진필름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필름에 도포하기 위하여 사진유제를 제조하는데, 사진유제는 일정 pAg를 유지하면서 더블 주입방법에 의해서 제조한다. 즉,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 및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혼합용액에, 염화나트륨과 브롬화칼륨의 혼합용액, 그리고 질산은 용액을 더블 주입방법으로 주입하고 추가로 화학증감제, 증감색소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할로겐화은 사진유제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할로겐화은 사진유제는 염화은과 브롬화은의 조성비율이 70 ∼ 75/25 ∼ 30 몰%로서, 그 구성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제조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감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포그억제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는 폴리옥시에틸렌(2)올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10)올릴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질산은 1mole에 0.2∼0.6g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할로겐화은 사진유제는 다음과 같은 탈염, 화학증감 및 분광증감 방법에 의하여 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사진유제의 탈염과정은 수세방법을 이용하여 탈염하고[미국특허 제2,618,556호, 제2,565,418호], 수세된 사진유제는 감도상승을 위하여 화학증감법인 황증감, 환원증감을 한다. 예컨데, 황증감을 위해서 티오황산나트륨, P-톨루엔티오황산염 등이 사용되며[미국특허 제1,574,944호, 제2,278,947호, 제3,021,215호 등에 공시], 환원증감에 사용되는 화합물로는 주석염, 티오우레아, 하이드라진류 화합물을 사용한다[미국특허 제2,518,698호, 제2,419,974호, 제2,983,610호 등에 공시].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진유제 중에 He-Ne 레이저 광원의 발광파장인 633 ㎚에서 최대흡수파장을 갖게 하는 첨가제로서, 퀴놀린계 및 벤조셀레나졸 계열의 증감색소를 첨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학증감 중에 생성되는 포그를 방지하고 보관 중 감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로서 티아졸륨염[미국특허 제2,131,038호에 공시]과 아자인돌리진계[미국특허 제2,886,437호에 공시]를 사용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친 사진유제에 이미 공지된 포름알데히드와 구르타르알데히드 같은 알데히드화합물과 트리아진계열 등의 경막제[미국특허 제3,288,775호], 사포닌, 알킬옥사이드계와 같은 비이온계열, 알킨계의 음이온계열 등의 계면활성제[미국특허 제2,271,623호, 제2,240,472호, 제3,068,101호], 증점제(셀룰로오스설페이트계), 정전방지제(티몰계), 산화안정제(페놀계), 매트제(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첨가함으로써, 감도가 상승된 사진유제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100 ㎛두께의 고 안티할레이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베이스 뒷면에 사진유제와 보호층을 동시에 문헌[modern coating and drying technology, 1993년 VOH사]에 기재된 압출성형(extrusion) 도포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4.5 ∼ 5 ㎛두께로 박막도포,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사진감광필름은 633 ㎚ 파장을 갖는 헬륨-네온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스캐너 방식에 의해서 종래 인쇄제판용 필름보다 포그없이 고해상력 고콘트라스트 사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증류수 860㎖에 젤라틴 8g과 폴리옥시에틸렌(2)올릴에테르 2 중량% 용액 30㎖, 구연산 2g, 염화나트륨 0.034 mole을 첨가하여 50 ℃에서 용해하여 A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증류수 430㎖에 염화나트륨 0.71 mole과 브롬화칼륨 0.27 mole을 첨가하여 B 용액을 제조하고, 증류수 445㎖에 질산은 1 mole을 용해하여 C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50 ℃로 유지된 A 용액에 교반하면서 상기 B 용액과 C용액을 더블주입 방법으로 pAg = 7.2를 유지시키면서 35분간 주입하였다. 온도를 30 ℃로 낮추고, 증류수 300㎖에 황산암모늄 100g을 녹인 용액을 첨가하여 할로겐화은을 침전시키고 수세공정을 거쳐 탈염하였다. 수세된 사진유제에 물 2000㎖와 젤라틴 120g을 넣어 40 ℃에서 용해하고 pAg를 7.4로 조정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티오황산나트륨 0.1 중량% 용액 3㎖, 염화나트륨 10 중량% 용액 6.7㎖와 7-하이드록시-5-메틸-1,3,7-트리아자인도리진 1 중량% 용액 35㎖를 첨가하고 50 ℃에서 요구되는 사진특성까지 숙성하였다. 완성된 사진유제에 증감색소로서 퀴놀린계 0.1 중량% 용액 25㎖, 벤조셀레나졸계 0.1 중량% 용액 25㎖를 첨가하고, 계면활성제로서 사포닌 10 중량% 용액 20㎖, 경막제로 글리옥살 30 중량% 용액 35㎖와 매트제로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드(입자크기 1.5 ∼ 2.0 ㎛) 3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사진유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진유제를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 한면에 청록색의 색소가 도포된 안티할레이션층 뒷면에 ㎡당 은함량이 3.2g이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사진감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시료는 노광하여 한국사진화학 인쇄제판 현상액으로 35 ℃에서 90초 동안 현상하고 정착하여 수세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A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10)올릴에테르 2 중량% 용액 25㎖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A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2)올릴에테르 2 중량% 용액15 ㎖와 폴리옥시에틸렌(10)올릴에테르 2 중량% 용액 12㎖를 혼합하여 첨가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A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2)올릴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10)올릴에테르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에 대한 사진특성 효과를 JIS-Ⅲ형 Sensito meter로 노광하여 35℃에서 각각 30초동안 현상정착한 필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용 인쇄제판 사진감광유제 제조시 염화은과 브롬화은의 조성 비율을 조절하고 폴리옥시에틸렌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포그를 억제하여 고해상력 및 고콘트라스의 특성을 갖는 사진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염화은과 브롬화은의 조성비율이 70 ∼ 75/25 ∼ 30 몰%이고 입자크기 0.25 ∼ 0.3 ㎛인 정육면체형의 할로겐화은 미립자 사진유제가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도포, 건조된 것으로, 상기 사진유제 중에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와 퀴놀린계 및 벤조셀레나졸계 증감색소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억제제는 폴리옥시에티렌(2)올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10)올릴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3. 폴리옥시에틸렌계 포그억제제, 염화나트륨, 젤라틴 및 구연산 혼합용액에 pAg=7.2를 유지하면서 50℃에서 염화나트륨과 브롬화칼륨의 혼합용액 및 질산은 용액을 더블주입방법으로 주입한 후, 30℃에서 화학증감제 및 증감색소를 가하여 입자크기 0.25 ∼ 0.3㎛의 할로겐화은 미립자 사진유제를 제조하고, 안티할레이션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필름 지지체에 4.5 ∼ 5㎛로 도포,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00050765A 2000-08-30 2000-08-30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KR10035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765A KR100356028B1 (ko) 2000-08-30 2000-08-30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765A KR100356028B1 (ko) 2000-08-30 2000-08-30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31A KR20020017431A (ko) 2002-03-07
KR100356028B1 true KR100356028B1 (ko) 2002-10-18

Family

ID=1968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765A KR100356028B1 (ko) 2000-08-30 2000-08-30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0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522A (en) * 1974-02-26 1976-11-02 Agfa-Gevaert N.V. Manufacture of a planographic printing plate by making silver halide areas of emulsion oleophicic
KR940002541A (ko) * 1992-07-09 1994-02-17 기따오까 다까시 액체연료연소장치
US5409809A (en) * 1992-10-01 1995-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ver halide emulsions stabilized with improved antifoggants
KR0130173B1 (ko) * 1994-06-29 1998-07-01 강박광 정색성 고감도 인쇄제판용 사진감광재료의 제조방법
KR100307841B1 (ko) * 1999-07-29 2001-09-24 김충섭 할로겐화은 사진용 포그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엑스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522A (en) * 1974-02-26 1976-11-02 Agfa-Gevaert N.V. Manufacture of a planographic printing plate by making silver halide areas of emulsion oleophicic
KR940002541A (ko) * 1992-07-09 1994-02-17 기따오까 다까시 액체연료연소장치
US5409809A (en) * 1992-10-01 1995-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ver halide emulsions stabilized with improved antifoggants
KR0130173B1 (ko) * 1994-06-29 1998-07-01 강박광 정색성 고감도 인쇄제판용 사진감광재료의 제조방법
KR100307841B1 (ko) * 1999-07-29 2001-09-24 김충섭 할로겐화은 사진용 포그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엑스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31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4933A (en) Method for making lithographic printing plate using light wavelengths over 700 μm
JPS58211753A (ja)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S6045414B2 (ja) リス型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587629A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の製造方法
KR100356028B1 (ko) 헬륨-네온 레이저 스캐너 인쇄제판용 사진감광필름 및 그제조방법
DE2553127A1 (de) Verfahren zur erhoehung der empfindlichkeit einer photographischen silberhalogenidemulsion, die dabei erhaltenen produkt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photographischen materials
JPH0455491B2 (ko)
US4097284A (en) Method for supersensitizing silver halide photographic emulsions
DE2734089A1 (de) Bildausbildungsmaterialien und bildausbildungsverfahren
DE3309630A1 (d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photographischen bildes aus einem lichtempfindlichen photographischen silberhalogenidmaterial vom lippmann-typ
DE2437868A1 (de) Spektral sensibilisierte photographische halogensilberemulsionen
JP4563323B2 (ja) ホログラム作製方法
US3738846A (en) Fogged direct positive silver halide emulsion containing a sulfonatedtriphenylmethane dye
JPS62222243A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4258950A (ja) セーフライト性に優れた感光材料
JPS5816171B2 (ja) リス型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829463B2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KR100456662B1 (ko) 의료용 할로겐화은 사진유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적외선 필름
JP2831798B2 (ja) 走査型露光用平版印刷版
JPS62141561A (ja) 平版印刷版
JPS6046548A (ja) リップマン型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368937A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の処理方法
JPH06230507A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254245A (ja)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63231445A (ja) オキソノ−ル染料を含有する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