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870A -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870A
KR20020087870A KR1020020026244A KR20020026244A KR20020087870A KR 20020087870 A KR20020087870 A KR 20020087870A KR 1020020026244 A KR1020020026244 A KR 1020020026244A KR 20020026244 A KR20020026244 A KR 20020026244A KR 20020087870 A KR20020087870 A KR 2002008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producing
data
time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524B1 (ko
Inventor
우에오카쇼지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절단이나, 수신채널 절환시에도, 보다 적절하게 수신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더욱더 기능적으로 충실한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수신정지부터 소정기간, 수신상태를 계속하여 상기 기록수단으로의 재생데이터의 기록을 계속하는 기록계속수단을 장비(裝備)한다.

Description

재생장치{Playback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적으로 더욱더 충실한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일시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이나 영상의 기록재생장치는, 일반적으로는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신호 혹은 디지털신호로 기록하는 것이었지만, 디지털데이터기술의 향상이나 데이터기록밀도의 향상, 혹은 반도체기록소자의 고용량화에 의해,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혹은 RAM에 디지털데이터를 기록하는 타입의 기록재생장치가 보급되어 왔다. 이들 타입의 기록재생장치는, 기록한 음악이나 영상을 신속하게 임의의 위치부터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현재는 데이터의 기록, 읽기속도가, 음성 및 영상데이터(이후, 양자 모두 AV데이터라고 함)의 재생속도보다 충분히 빠르기 때문에, 입력된 AV데이터를 기록하면서, 이미 기록된 임의의 AV데이터의 재생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하는, 소위 동시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동시기록재생을 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의 기술을 응용하여, 통상의 방송시청시(기록조작을 행하지 않아도)에, 예컨대 방송중인 TV방송을 일시기록하여 두고,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조금 전의 방송내용을 재생하는 것과 같은 사용방법이 가능해지고, 스포츠중계방송 등에서, 유저에 의한 시청의 개시가 유저의 형편에 따라 늦은 경우나, 보고 싶은 장면을 놓쳐 버린 경우 등, 다시 한 번 그 장면을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 과거의 방송내용의 시청하고 싶은 부분을 통상의 속도로 재생한 다음 생방송내용으로 되돌아가는, 혹은 과거의 방송내용을 고속재생으로 재생하여 생방송내용에 시간적으로 서서히 근접하여 가고, 최종적으로 생방송을 따라 잡는 사용방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원을 끄거나, 수신방송파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면, 다음방송내용의 기록을 위해 일시기록한 데이터는 소거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로 본래 방송의 수신상태로 되돌려도 과거의 방송내용을 시청할 수 없어서, 유저가 불만을 품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능적으로 더욱더 충실한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재생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2는 제어부가 행하는 데이터기록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어부가 행하는 캐시(cache)정지조건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캐시데이터의 기록상태를 나타낸 상태설명도이다.
도 5는 제어부가 행하는 복귀시간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재생장치는,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수신정지부터 소정기간, 수신상태를 계속하여 상기 기록수단으로의 재생데이터의 기록을 계속하는 기록계속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재생장치에 의하면, 전원을 끄거나, 수신방송파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여도 소정기간, 재생데이터의 기록이 계속되기 때문에, 그 기간 중에 본래 수신상태로 되돌리면 수신중단 조작상태중이었던 방송내용도 시청(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2재생장치는, 상기 제1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期間)이, 소정 시간(時間)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재생장치에 의하면, 소정시간 이내의 수신중단 조작상태이면 그 중단상태중이었던 방송내용을 시청 혹은 청취(이하, 양자 모두 시청이라고 한다)할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3재생장치는, 상기 제2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간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의 기호에 따라 본래 방송내용을 시청할 수 있는 수신중단 조작상태의 중단상한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다음 수신방송의 일시기록 개시시각과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4재생장치는, 상기 제1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기간이, 수신정지 이후에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용량이 소정용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재생장치에 의하면, 기록수단으로의 데이터기록용량에 따른 시간 이내의 수신중단 조작상태이면 그 중단상태중이었던 방송내용을 시청할 수 있고, 기록수단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5재생장치는, 상기 제4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용량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용량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의 기호에 따라 본래 방송내용을 시청할 수 있는 수신중단 조작상태의 중단상한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다음 수신방송의 일시기록 개시시각과의 균형을 잡을 수 있고, 또한 다른 기능에 의한 기록수단의 사용량과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6재생장치는, 상기 제1재생장치 내지 제5재생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의 기록용량을 검출하는 기록용량 검출수단과, 이 기록용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자동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6재생장치에 의하면, 기록수단의 기록용량을 효율좋게 사용할 수 있고, 기록수단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7재생장치는,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수신방송파를 변경한 경우에, 수신방송파 변경기간 전후의 재생데이터를 연결하는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7재생장치에 의하면, 수신회로가 1회로밖에 없는 재생장치 등의 경우 등, 전원절단(電源切斷)이나 수신방송의 절환에 의해 일시수신이 중단된 경우에도, 중단 전후의 방송내용이 접속되고, 같은 방송을 연속된 상태(내용적으로는 비연속이기는 하지만)로 재생할 수 있으며, 유저는 가능한 한 자연스런 상태로 방송내용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8재생장치는, 상기 제7재생장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수신방송파를 변경한 경우에, 그 일시변경시간을 계측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이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시간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수신방송파 변경기간 전후의 재생데이터를 연결시키는 연결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재생장치에 의하면, 중단시간이 짧은 경우에 중단 전후의 방송내용을 실질적으로 빈틈없이 연결하기 때문에, 중단시간이 긴 경우의 방송내용 연결처리에 있어서 발생하는 갑자기 방송내용이 바뀌고, 부자연스런 재생이 되는 것과 같은 사태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중단시간이 긴 경우에는, 연결처리를 멈추는, 혹은 사이에 틈(무화상, 무음 혹은 소정의 화면이나 음성)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9재생장치는, 상기 제7재생장치 또는 제8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의해 연결된 재생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그 연결부분에 무재생상태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연결부 재생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9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가 그 시점에서 수신중단이 있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재생상태가 약간 부자연스럽게 되어도 그 이유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불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0재생장치는, 상기 제9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유지시간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무재생시간 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0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그 기호에 따라 무재생상태 계속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1재생장치는, 상기 제9재생장치 또는 제10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장치가 화상재생장치로서, 상기 연결부 재생처리수단이, 무재생상태로 하여, 직전의 재생화상의 정지화면을 재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재생장치에 의하면, 정지화면이 재생된 시점에서 유저는 수신중단이 있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재생상태가 약간 부자연스럽게 되어도 그 이유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불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시청중이었던 방송 정지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그 방송내용을 약간이기는 하지만 파악할 수 있어서, 재생재개시에도 보다 자연스럽게 시청을 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2재생장치는, 상기 제9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계속시간이, 수신방송파의 일시변경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재생장치에 의하면, 재생이 시간적으로는 실제 방송과 동기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는 보다 자연스런 재생이 행하여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3재생장치는, 상기 제9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계속시간이, 0(zero)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3재생장치에 의하면, 내용적으로는 불연속이지만 재생상태는 연속하기 때문에, 시청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되어 단시간에서의 시청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4재생장치는, 상기 제7재생장치 내지 제13재생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의해 연결된 재생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그 연결부분의 재생시에 연결부분인 것을 알리는 연결부분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4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그 부분에서 연결처리가 행하여진 것을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유저에게 불만을 품게 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재생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재생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면 중 1은 수신부를 나타내고 있고, 수신부(1)는 디지털 TV방송파를 수신하여, 수신한 TV방송파를 복조한 디지털신호를 출력한다. 수신부(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는, RAM에 의해 구성된 입력 버퍼(2)에 차례로 기록된다. 데이터 입출력처리부(7)는, 반도체논리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입력 버퍼(2), 출력 버퍼(3), 하드디스크(8)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읽기, 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하드디스크(8)는, 자기디스크에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대용량이면서 AV데이터의 수신ㆍ재생보다 고속으로 바꿔쓰기 가능한, 그리고 임의의 위치에 쓰여진 데이터를 신속하게 읽을 수 있는 기록장치인데, 이들 조건을 충족시키는 기록장치, 예컨대 광학(혹은 광자기)디스크 기록장치나, 대용량의 반도체메모리(RAM)에 의해 실현가능하다. 하드디스크(8)로부터 제어부(9)로는, 하드디스크(8)의 기록용량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 버퍼(3)에는, 데이터 입출력처리부(7)에 의해 재생할 AV데이터가 차례로 쓰여지고, 디코더(4)는 출력 버퍼(3)에 쓰여진 AV데이터를 차례로 복호화하여, 화상데이터를 화상출력부(5)에 출력하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부(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출력부(5)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디코더(4)로부터의 화상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또, 음성출력부(6)는, 음성증폭회로,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코더(4)로부터의 음성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9)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재생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부(10)는 제어부(9)에 접속되고, 스위치나 볼륨 등으로 구성되며, 유저가 행하는 각종 조작, 예컨대 재생지령 등을 제어부(9)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1)는 제어부(9)에 접속되고, 액정표시장치나 형광표시관 등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부(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재생장치의 동작상태, 예컨대 수신채널, 음량조정량 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처리부(7)는, 제어부(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버퍼(2)의 데이터를 하드디스크(8)에 써 넣고, 하드디스크(8)에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 버퍼(3)에 써 넣고, 또한 하드디스크(8)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消去)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9)는, 출력 버퍼(3)로의 데이터쓰기속도, 혹은 디코더(4)의 복호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재생속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부(9)는, 화상데이터 혹은 음성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사전에 정해진 화상을 화상출력부(5)에 표시하고, 음성을 음성출력부(6)로부터 출력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9)가 행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어부(9)가 행하는 데이터기록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그리고, 이 처리는 재생장치의 동작중, 다른 처리와 함께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우선 스텝(S1)에서는, 재생(방송파수신)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재생상태라고 판단하면 스텝(S2)으로 옮기고, 재생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처리를 끝낸다. 스텝(S2)에서는, 수신하고 있는 AV데이터를 차례로 하드디스크(8)에 기록하는 데이터캐시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데이터 입출력처리부(7)를 제어하고, 스텝(S3)으로 옮긴다. 스텝(S3)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10)의 조작을 판단하여, 조작이 없으면 스텝(S2)으로 되돌아가고, 재생정지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4)으로 옮기며, 또한 타채널로의 절환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7)으로 옮긴다.
스텝(S4)에서는, 데이터캐시의 정지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충족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5)으로 옮기고,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2)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데이터캐시의 정지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본래 재생상태로의 복귀조작(재생재개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재생정지상태가 해제되고, 스텝(S3)으로부터 스텝(S2)으로 되돌아가는 처리가 되어, 데이터캐시의 정지조건을 위한 데이터도 초기화되게 된다.
스텝(S5)에서는, 데이터캐시를 정지하고, 스텝(S6)으로 옮긴다. 스텝(S6)에서는, 하드디스크(8)에 기록된 데이터(캐시데이터)를 소거하고, 처리를 끝낸다. 스텝(S4)에서의 데이터캐시의 정지조건으로서는, 재생정지조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정지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방법, 혹은 재생정지조작으로부터의 데이터캐시량이 소정량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정지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방법(수신데이터속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소정시간과 같은 판단이 된다) 등을 적용할 수 있고, 또 이들 시간 및 데이터캐시량의 판단기준을하드디스크(8)의 기록용량, 혹은 데이터캐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설정된) 기록용량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스텝(S3)으로부터 스텝(S6)의 처리에 의해, 정지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도 소정시간은 데이터캐시가 행해지게 된다.
스텝(S7)에서는, 채널절환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12)으로 옮기고,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8)으로 옮긴다. 스텝(S12)에서는, 채널절환 전의 수신방송데이터의 캐시데이터를 소거하고, 스텝(S2)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8)에서는, 수신하고 있는 AV데이터를 차례로 하드디스크(8)에 기록하는 데이터캐시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데이터 입출력처리부(7)를 제어하고, 스텝(S9)으로 옮긴다. 스텝(S9)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3)의 조작을 판단하여, 절환 전의 수신채널로의 복귀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11)으로 옮기고, 복귀조작이 없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7)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11)에서는 캐시복귀처리, 즉 수신채널절환 후의 캐시데이터를 소거하고, 수신채널절환 전의 캐시데이터와, 복귀 이후의 수신방송파의 AV데이터의 캐시데이터를 연결하는 연결처리를 행하여 스텝(S2)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연결처리로서는, 유저에 의한 설정조작에 따라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캐시데이터 기록상태를 나타낸 상태설명도이며, (A)는 수신채널 천이(遷移)상태를 나타내고, (B), (C)는 (A)의 수신채널 천이상태에 있어서의 캐시데이터 기록상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A : 절환 전의 캐시데이터와, 복귀 후의 캐시데이터를 빈틈없이 연결한다.이 경우, 재생하면 무화면ㆍ무음부분은 실질적으로 없고, 연속하여 재생된다(도 4(C) 참조 : 단 D부는 없음). 단, 내용적으로는 타채널 수신시간의 부분에서 불연속이 된다.
B : 절환 전의 캐시데이터와, 복귀 후의 캐시데이터의 사이에 타채널 수신시간만큼 무화상(혹은 데이터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안내화상) 또는 절환 직전의 정지화면과, 무음(혹은 데이터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 안내음성)부분을 삽입하여 연결한다(도 4(B) 참조).
C : 절환 전의 캐시데이터와, 복귀 후의 캐시데이터의 사이에 유저가 설정한 접속시간만큼 무화상(혹은 데이터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안내화상) 또는 절환 직전의 정지화면과, 무음(혹은 데이터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 안내음성)부분을 삽입하여 연결한다(도 4(C) 참조).
이상과 같은 스텝(S3), 스텝(S7)으로부터 스텝(S11)의 처리에 의해, 채널절환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소정시간 이내에 본래 채널의 수신상태로 복귀되면 본래 수신방송파의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캐시가 연결되어 계속되고, 소정시간 이내에 본래 채널의 수신상태로 복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본래 수신방송파의 캐시데이터는 소거되고, 새로운 수신방송파의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캐시가 계속된다.
다음으로, 제어부(9)가 행하는 캐시정지조건(도 2에 있어서의 스텝(S4)의 판단용량ㆍ시간) 설정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어부(9)가 행하는 캐시정지조건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그리고, 이 처리는 유저에 의한 캐시정지조건의 설정조작이 선택되었을 때에 행하여진다. 본 처리에서는, 기록용량의 설정을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시간의 설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용량을 시간으로 치환(置換)하면 좋다.
우선 스텝(S21)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을 판단하여, 용량증가조작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22)으로 옮기고, 용량감소조작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25)으로 옮기며, 또한 그 이외(조작없음도 포함)라고 판단하면 스텝(S29)으로 옮긴다. 스텝(S22)에서는, 설정용량이 상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한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24)으로 옮기고, 상한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23)으로 옮긴다. 그리고, 설정용량의 상한은 하드디스크(8)의 기록용량(혹은 캐시에 이용할 수 있는 기록용량)에 의해 사전에 정해져 있다. 스텝(S23)에서는, 설정용량을 1단계 증가시켜 스텝(S28)으로 옮긴다. 또한 스텝(S24)에서는 설정용량이 이미 상한인 것을 통지(표시)하여 스텝(S28)으로 옮긴다. 스텝(S28)에서는 설정용량을 표시하고, 스텝(S29)으로 옮긴다. 스텝(S29)에서는, 유저에 의한 용량설정 완료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용량설정 완료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끝내고, 없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2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25)에서는, 설정용량이 하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하한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27)으로 옮기고, 하한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26)으로 옮긴다. 스텝(S26)에서는, 설정용량을 1단계 감소시켜 스텝(S28)으로 옮긴다. 또한 스텝(S27)에서는 설정용량이 이미 하한이라는 것을 통지(표시)하여 스텝(S28)으로 옮긴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유저는 캐시정지조건을, 상한ㆍ하한 사이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9)가 행하는 복귀시간(도 2에 나타낸 스텝(S7)의 판단시간) 설정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어부(9)가 행하는 복귀시간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그리고, 이 처리는 유저에 의한 복귀시간의 설정조작이 선택되었을 때에 행하여진다. 본 처리에서는, 시간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용량의 설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을 용량으로 치환하면 좋다. 그리고, 유저가 행하는 접속시간의 설정도 같은 처리에 의해 가능하지만, 유저에 의한 접속시간의 설정조작이 선택되었을 때에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우선 스텝(S41)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을 판단하여, 시간증가조작이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42)으로 옮기고, 시간감소조작이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45)으로 옮기며, 또한 그 이외(조작없음도 포함)이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49)으로 옮긴다. 스텝(S42)에서는, 설정시간이 상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한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44)으로 옮기고, 상한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43)으로 옮긴다. 그리고, 설정시간의 상한은 사전에 정해져 있다. 스텝(S43)에서는, 설정시간을 1단계 증가시켜 스텝(S48)으로 옮긴다. 또한 스텝(S44)에서는 설정시간이 이미 상한인 것을 통지(표시)하여 스텝(S48)으로 옮긴다. 스텝(S48)에서는 설정시간을 표시하여, 스텝(S49)으로 옮긴다. 스텝(S49)에서는, 유저에 의한 복귀시간 설정완료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완료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끝내고, 없다고 판단하면 스텝(S4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45)에서는, 설정시간이 하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하한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47)으로 옮기고, 하한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46)으로 옮긴다. 스텝(S46)에서는, 설정시간을 1단계 감소시켜 스텝(S48)으로 옮긴다. 또한 스텝(S47)에서는 설정시간이 이미 하한인 것을 통지(표시)하여 스텝(S48)으로 옮긴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유저는 복귀시간을, 상한ㆍ하한 사이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을 끄거나, 수신방송파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더라도, 다음 방송내용의 기록을 위해 일시기록한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바로 본래 방송의 수신상태로 되돌리면 과거의 방송내용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유저의 불만이 개선되고, 기능적으로 더욱더 충실한 동시기록 재생의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수신정지부터 소정기간, 수신상태를 계속하여 상기 기록수단으로의 재생데이터의 기록을 계속하는 기록계속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期間)이, 소정 시간(時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간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기간이, 수신정지 이후에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용량이 소정용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용량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용량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의 기록용량을 검출하는 기록용량 검출수단과,
    이 기록용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자동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수신한 재생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면서, 조작에 따라 이 기록수단에 기록된 재생데이터와 수신중인 재생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기록 재생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수신방송파를 변경한 경우에, 수신방송파 변경기간 전후의 재생데이터를 연결하는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수신방송파를 변경한 경우에, 그 일시변경시간을 계측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이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시간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수신방송파 변경기간 전후의 재생데이터를 연결시키는 연결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의해 연결된 재생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그 연결부분에 무(無)재생상태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연결부 재생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유지시간의 유저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무재생시간 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재생장치가 화상재생장치로서,
    상기 연결부 재생처리수단이, 무재생상태로 하여, 직전의 재생화상의 정지화면을 재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계속시간이, 수신방송파의 일시변경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재생상태의 계속시간이, 0(ze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연결처리수단에 의해 연결된 재생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그 연결부분의 재생시에 연결부분인 것을 알리는 연결부분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KR10-2002-0026244A 2001-05-15 2002-05-13 재생장치 KR100455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4112A JP3900853B2 (ja) 2001-05-15 2001-05-15 再生装置
JPJP-P-2001-00144112 2001-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70A true KR20020087870A (ko) 2002-11-23
KR100455524B1 KR100455524B1 (ko) 2004-11-06

Family

ID=1899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244A KR100455524B1 (ko) 2001-05-15 2002-05-13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7841B2 (ko)
EP (1) EP1258880A3 (ko)
JP (1) JP3900853B2 (ko)
KR (1) KR100455524B1 (ko)
CN (1) CN100499785C (ko)
TW (1) TW574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0391B2 (ja) * 2004-05-11 2010-10-2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
US20070028290A1 (en) * 2005-07-28 2007-02-01 Ess Technology, Inc. Method and device for timeshifting using external memory card
KR20090050374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의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4949505B2 (ja) * 2010-07-13 2012-06-13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5464A (en) * 1990-03-16 1997-04-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tinuous television transmission reproduction and playback
US5371551A (en) * 1992-10-29 1994-12-06 Logan; James Time delayed digital video system using concurrent recording and playback
JPH07212713A (ja) 1994-01-19 1995-08-11 Hitachi Ltd 音声映像記録再生装置
JP3085087B2 (ja) 1994-05-16 2000-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v信号受信方法
JPH09261546A (ja) * 1996-03-27 1997-10-03 Toshiba Corp ゲームモード付き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31204B1 (ko) * 1996-05-28 1999-11-15 구자홍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디지탈 영상기록재생장치
JPH10243352A (ja) 1997-02-27 1998-09-11 Hitachi Ltd 映像情報記録再生装置
US6233389B1 (en) *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KR20000034589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Tvcr에서의 재생 모드시 방송 채널 탐색 방법
JP2000184320A (ja) * 1998-12-11 2000-06-30 Nec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KR100545811B1 (ko) * 1999-02-13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연결재생 정보 기록 및 전송방법과, 그
JP3589393B2 (ja) * 1999-03-19 2004-11-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番組信号記録再生装置
US7020892B2 (en) * 1999-09-03 2006-03-28 Lsi Logic Corporation Time-shifted video signal processing
JP3612455B2 (ja) * 1999-10-07 2005-01-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記録・再生装置、映像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
JP4519389B2 (ja) * 2000-03-08 2010-08-04 ゼネラル インスツル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ーソナル多機能レコーダ、並びにそれを実装及び使用する方法
US20020009285A1 (en) * 2000-03-08 2002-01-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ersonal versatile recorder: enhanced features, and methods for its use
MXPA02000077A (es) * 2000-04-25 2002-07-30 Hughes Electronics Corp Un registrador de video digital con funcion mejora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524B1 (ko) 2004-11-06
JP2002344853A (ja) 2002-11-29
TW574829B (en) 2004-02-01
JP3900853B2 (ja) 2007-04-04
US20020172494A1 (en) 2002-11-21
EP1258880A3 (en) 2003-04-23
CN1402540A (zh) 2003-03-12
CN100499785C (zh) 2009-06-10
EP1258880A2 (en) 2002-11-20
US7187841B2 (en) 200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736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цифрового широковещания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JP3688678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63980A1 (en) Method of transitioning from time shifted multimedia playback to live multimedia playback and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ereof
JP2001292388A (ja) 再生装置
KR100455524B1 (ko) 재생장치
JP4900246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時に即時に提供すべき放送を優先する放送受信装置
JP3189348B2 (ja) マルチメディア装置
KR10072498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생하는 방법및 그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3474971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100189893B1 (ko) 배속재생을 위한 디스크 가변전송 재생시스템
JP2002135728A (ja) 録画再生装置
JP2696800B2 (ja) 映像信号制御装置
KR20040090552A (ko) 피브이알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8235676A (ja) コマーシャル判別装置
JP2001155419A (ja) プレーヤーにおける音声切換方法
KR20060059127A (ko)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스킵 제어 방법
JP2004015821A (ja) データを記録再生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152780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JP200402346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1094949A (ja) デ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
KR20070075732A (ko) 타임 쉬프트용 데이터 녹화 방법
JP2002077817A (ja) 映像記録装置
JP2001061127A (ja) 録再装置
JP2004289594A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970032054A (ko)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