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780B1 -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80B1
KR101152780B1 KR1020060134982A KR20060134982A KR101152780B1 KR 101152780 B1 KR101152780 B1 KR 101152780B1 KR 1020060134982 A KR1020060134982 A KR 1020060134982A KR 20060134982 A KR20060134982 A KR 20060134982A KR 101152780 B1 KR101152780 B1 KR 10115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recording server
receiving terminal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639A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7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 기록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서 기록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와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여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우선 재생되는 동안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수신 단말기에 녹화를 위한 별도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단말기의 전원을 켜놓을 필요가 없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기, 녹화, 방송 데이터

Description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 기록 서버{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broadcasting data reproducing method, and broadcasting data recording server}
도 1은 실시간 방송 시청을 위한 방송 매체와 방송 수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매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기록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기록 및 재생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록 서버에 기록되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기록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 기록 서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C, 셋탑 박스, TV, 휴대폰, PDA와 같은 방송 수신 단말기가 방송국과 같은 송신국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송을 수신하게 된다.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수신된 방송을 시청하게 되므로, 방송 수신 단말기를 통해 방송 시청을 하는 중에 방송 시청을 계속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일이 많다. 이때 사용자는 시청하고 있던 방송 프로그램을 사전에 미리 저장하거나, 보지 못하는 부분부터 저장을 해야 한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이 다 끝나기 전에 다시 방송을 보게 된다면, 일반적으로 방송되고 있는 부분을 먼저 보고, 보지 못한 부분을 나중에 볼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는 프로그램의 뒷부분을 먼저 본 다음에 앞부분을 보게 되므로, 사용자들이 사용상의 불만을 가질 수 있다.
도 2와 같은 기존의 방송 수신 단말기는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메모리(230)를 단말기 내에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 중 휴대폰, PDA와 같은 이동 방송 수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보지 못한 프로그램을 모두 저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중에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로 저장을 하면, 배터리 사용시간의 소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공간의 한계를 극복한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기록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수신 단말기가 저장으로 인해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서 기록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여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우선 재생되는 동안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속도 또는 출력되는 화면 간의 시간 간격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는 동일한 프로그램의 연속되는 방송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기록 서버에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의 기록 및 중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기록된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재생하고,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방송 기록 서버에 있어서, 방송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록 요청 신호, 기록할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기록된 방송 신호 중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기록 서버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매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기록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기에 내부의 저장 공간 내에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 대신에 별도의 기록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이때 방송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서버는 방송 매체에서 직접 제공해줄 수도 있으며, 방송 매체 또는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측과 별개의 사업자에 의해서 운용될 수도 있다. 수신 단말기 내의 저장 공간에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려면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한데, 수신 단말기와 분리된 기록 서버에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함으로써, 수신 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 PDA 등 저장 공간이 한정된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 저장 공간의 한계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방송 기록 서버에 저장하는 동안,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은 켜져 있지 않아도 된다. 방송 수신 단말기가 기록 서버에 방송 데이터의 기록에 대한 요청을 한 후에는 방송 데이터에 기록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록이 시작된 후에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기록이 계속된다. 사용자는 기록이 시작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방송 수신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부(410), 버퍼부(420), 제어부(430) 및 출력부(4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410)는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적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412)와 기록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인 서버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데이터 수신부(414)를 포함한다. 기록 서버는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제어부(430) 내의 기록 제어부(436)의 기록 요청에 의해서 방송 매체로부터 방 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 내에 기록하고, 기록 제어부(436)의 기록 중지 요청에 의해서 기록을 중지하고, 서버 데이터 수신부(414)로 기록된 서버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시청을 중지하고 시청하던 프로그램을 녹화하려는 경우에, 사용자가 단말기에 녹화를 지시하면, 기록 제어부(436)가 시청하던 프로그램의 녹화를 기록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사용자가 시청하던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에 다시 방송 프로그램을 보게 되면, 방송 데이터 수신부(412)가 방송 매체로부터 실시간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동시에 기록 제어부(436)가 녹화의 중지를 기록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 데이터 수신부(414)가 사용자가 녹화한 부분의 방송 데이터를 기록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버퍼부(420)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412)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와 서버 데이터 수신부(414)를 통해 수신된 서버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 수신된 방송 데이터와 기록 서버로부터의 서버 데이터가 동일한 프로그램의 연속된 방송 데이터인 경우에, 서버 데이터가 시간적으로 앞서는 것이므로 서버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출력하고난 다음에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버퍼부(420)가 방송 데이터의 출력이 지연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지 않고도 방송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볼 수 있다.
제어부(430)는 수신 데이터 제어부(432), 모드 선택부(434) 및 기록 제어부(436)를 포함한다. 수신 데이터 제어부(432)는 데이터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 및 서버 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고, 서버 데이터가 방송 데이터보다 얼마 동안 앞서는지를 판단하여 서버 데이터가 버퍼부(420)에 의해서 출력이 지연되는 시간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기록 서버에 녹화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볼 때, 사용자는 녹화된 부분을 빠른 속도로 보거나 스킵(skip)하여 보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드 선택부(434)를 통해서 원하는 디스플레이 사양으로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부(434)에는 정상 모드 선택부, 배속 모드 선택부, 화면 전환 모드 선택부와 같은 서브 모드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상 모드를 선택하면, 수신된 서버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여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원래의 속도와 화면으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배속 모드를 선택하면, 방송 프로그램이 몇 배 빠른 속도로 재생되며, 이때 사용자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와 수신된 방송 데이터 간에 시간적 차이가 없을 때까지 빠르게 출력되도록 설정해놓을 수 있다. 화면 전환 모드는 배속 모드와 비슷한 기능으로서, 캡쳐된 화면의 연속으로 방송 데이터가 출력된다. 캡쳐된 화면 간의 시간 간격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화면 전환 모드에서도 배속 모드와 마찬가지로 실제 방송 데이터와 수신된 방송 데이터 간의 시간적인 차이가 없을 때까지 캡쳐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시간적 차이가 없어지면 방송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원래의 화면 그대로 재생시킬 수 있다.
기록 제어부(436)는 방송 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 기록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방송을 보게 되어 녹화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지를 기록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기록 및 재생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수신 단말기가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방송 매체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중, 시청을 중단해야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기는 서버에 녹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수신 단말기는 기록 서버에 기록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기록 서버는 수신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녹화를 위한 준비가 됐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는 FFID(final fra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여 기록 서버에 전송하는데, FFID는 마지막으로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된 방송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록 서버가 방송 프로그램의 어느 부분부터 녹화를 시작해야하는지를 알려준다. FFID 정보에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서비스 정보, 마지막 프레임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기록 서버가 FFID를 수신하면, 이를 수신했다는 신호를 단말기에 보내주고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을 시작하게 된다. 방송 데이터의 기록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전원이 데이터의 기록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수신 단말기의 전원은 꺼져도 상관없다.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동안에는 방송 데이터가 수신 단말기에 수신되지 않는다.
다시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수신 단말기는 기록 서버에 기록 중지 요청을 보내고, 기록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절차를 완료한다. 기록 서버는 수신 단말기의 ID에 대응하여 기록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녹화가 어디서부터 녹화가 되었는지, 분량이 어느 정도인지 등을 계산하여 단말기에 알려준다.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 수신하는(방송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 사이에는 시간적 차이가 있는데, 버퍼부(420)가 이러한 시간차를 조정하여, 방송 데이터가 순서대로 방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록 서버에 기록되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수신 단말기가 방송 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던 중에, 방송 시청을 못하게 된 경우에,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기 위한 부재중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수신 단말기가 기록 서버에 기록을 요청하고 기록 서버가 이를 확인하는 부재중 프로세스가 진행된(data 3, data 4 수신 중) 다음, 기록 서버에 데이터가 기록되기 시작한다. 기록 서버에 방송 데이터가 녹화되고 있는 중에는 방송 수신기의 전원이 꺼져도 무관하다.
사용자가 다시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수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게 되면, 단말기는 방송 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단말기가 기록 서버에 기록 중지 요청을 보내면 기록이 중지되고, 단말기는 기록 서버로부터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방송 데이터를 순서대로 재생시키기 위해서 방송 매체 로부터 수신한 방송중인 데이터를 버퍼부(420)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기록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우선 출력한다. 기록 서버로부터의 서버 데이터(data 5~data 12)를 출력한 다음에, 버퍼부(420)에 출력 지연을 위해 저장된 방송 데이터(data 13~)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710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방송 기록 서버에 방송 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록할 것을 요청한다.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를 통한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중지하고 이를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에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지시하고, 방송 수신 단말기는 방송 기록 서버에 녹화를 요청하는 것이다. 기록 서버는 수신 단말기를 인증하는 절차를 거친 후에, 사용자가 녹화를 원하는 데이터부터 기록하기 시작한다. 데이터는 기록 서버에서 저장되는 것이지 방송 수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므로, 녹화가 진행되는 동안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는 계속해서 서버에 기록된다. 즉, 단말기의 전원에 무관하게 방송 데이터가 녹화되는 것이다.
단계 720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 방송 기록 서버에 방송 데이터 기록 중지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단말기 전원을 켜고, 방송 매체로부터 다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화의 중지를 지시하면, 단말기는 기록 서버에 기록 중지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730에서는 단말기가 방송 기록 서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방송 매체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 데이터는 버퍼부(420)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기록 서버로부터의 기록 데이터와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고 녹화한 시간만큼의 시간차가 존재한다. 현재 방송 중인 방송 데이터를 이러한 시간차만큼 출력을 지연시켜,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현재 방송 중인 데이터와 출력되는 데이터와의 시간 간격이 없을 때까지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캡쳐된 화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말기의 출력 사양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는 기록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재생된 다음에, 버퍼부(420)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보기 위한 편의를 위해 현재 방송 중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기록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서버는 수신부(810), 기록부(820) 및 송신부(830)를 포함한다. 기록 서버는 방송 수신 단말기와는 별도의 서버로 방송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방송 매체 내에 포함되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다.
기록 서버의 수신부(810)는 방송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록 요청 신호 및 기록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록부(820)는 이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를 기록한다. 수신부(810)가 방송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록 중지 신호 및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기록부(820)는 기록을 중지하고, 송신부(830)가 기록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의 서버 데이터 수신부(414)에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청하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서버에 방송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수신 단말기 내에 녹화를 위한 별도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 전체를 녹화할 필요가 없이 원하는 부분부터 손쉽게 녹화가 가능하며, 녹화를 위해 수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놓을 필요가 없다. 특히 이동 수신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 사용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서 기록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매체로부터 직접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정렬하여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우선 재생되는 동안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조절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기록되기 시작하면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턴-오프되고, 이후에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턴-온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기록된 방송 데이터가 우선 재생되고 후속하여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속도 또는 출력되는 화면 간의 시간 간격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는 동일한 프로그램의 연속되는 방송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4.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기록 서버에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의 기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기록되기 시작하면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턴-오프되고, 이후에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턴-온되면, 방송 기록 서버에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의 기록을 중지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기록된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방송 기록 서버로부터의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기록 서버에 기록된 방송 데이터가 우선 재생되고 후속하여 상기 방송 매체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5. 삭제
KR1020060134982A 2006-12-27 2006-12-27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KR10115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82A KR101152780B1 (ko) 2006-12-27 2006-12-27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82A KR101152780B1 (ko) 2006-12-27 2006-12-27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639A KR20080060639A (ko) 2008-07-02
KR101152780B1 true KR101152780B1 (ko) 2012-06-11

Family

ID=3981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982A KR101152780B1 (ko) 2006-12-27 2006-12-27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7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499A (ko) * 2002-09-13 2004-03-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프로그램 기록방법, 통신관리장치, 및 이동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499A (ko) * 2002-09-13 2004-03-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프로그램 기록방법, 통신관리장치, 및 이동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639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266B1 (ko) 통신 기기 및 처리 방법
JP5265879B2 (ja) 受信機の放送データ再生方法
KR101120019B1 (ko)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28807B1 (ko) 방송 재생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방송수신 단말기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JP2012130048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00246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時に即時に提供すべき放送を優先する放送受信装置
KR101152780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JP200927828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277980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システム、タイムシフト視聴方法、タイムシフト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071695B2 (ja) 情報データ再生装置及び情報データ再生方法
JP448001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テレビ放送録画システム
JP4635098B1 (ja) 電子機器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2219A (ja) 情報記録装置
KR100762146B1 (ko) 방송 녹화/재생 시스템 및 녹화/재생 방법
KR100808169B1 (ko)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100430610B1 (ko) 방송프로그램의 선택적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059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재생 중 화면캡쳐 방법
KR20070098247A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방법
KR20070063086A (ko) 방송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23464A (ko)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4793B1 (ko) 방송 프로그램 예약 방법
JP2008092511A (ja) 携帯型電子装置、サーバ、ダイジェスト視聴システム
KR100626516B1 (ko) 디엠비 단말기의 실시간 방송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