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501A -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501A
KR20020086501A KR1020027010161A KR20027010161A KR20020086501A KR 20020086501 A KR20020086501 A KR 20020086501A KR 1020027010161 A KR1020027010161 A KR 1020027010161A KR 20027010161 A KR20027010161 A KR 20027010161A KR 20020086501 A KR20020086501 A KR 2002008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laser
light
hologra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408B1 (ko
Inventor
나까무라마끼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69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24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69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8391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0406Image plane or focused image holograms, i.e. an image of the object or holobject is formed on, in or across the recording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0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 G02B7/32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using active means, e.g. light emit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36Holographic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3Diffusing screen revealing the real holobject, e.g. container filed with gel to reveal the 3D holobject
    • G03H2001/2215Plane screen
    • G03H2001/2218Plane screen being perpendicular to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3Diffusing screen revealing the real holobject, e.g. container filed with gel to reveal the 3D holobject
    • G03H2001/2221Screen having complex surface, e.g. a structure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44Means for detecting or recording the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202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10Spectral composition
    • G03H2222/12Single or narrow bandwidth source, e.g. laser, 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25Protecting the laser, e.g. during switch-on/off, detection of malfunctioning or degra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자 스틸 카메라에 사용하기 적절한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 셔터 버튼(9)이 눌려진 것을 검지하면,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6)로부터의 휘도 신호가 오토 포커스 검지 회로(7)에 공급되어 얻은 콘트라스트 신호가 최대가 되도록 포커스 렌즈(3)가 제어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13)에 공급되고, 이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기간만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어 레이저 광원이 발생된다. 또한 이 발생된 레이저 광원은 집광 렌즈(15)에서 평행광으로 집광되고, 이 평행광이 홀로그램 플레이트(16)에 조사되어 회절된다. 그리고 회절된 레이저 광원은 서로 간섭되어 홀로그램 재생상(17)이 재생된다. 이에 의해,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촬영 장치 {IMAGE PROJECTOR, PROJECTED IMAGE PATTERN, LASER DRIVER, IMAGING DEVICE}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의 스틸 카메라 촬영에 있어서는 피사체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 카메라에서는 포커스가 맞지 않고, 또한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도 곤란해진다. 그래서 종래부터 LED 등의 보조광 투광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비추어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작은 경우에는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곤란한 것이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포커스 맞춤에 충분한 밝기를 얻는 데 필요한 출력이 큰 투광 장치는 소비 전력도 크고, 또한 열의 발생이 크므로, 피사체의 가까운 곳에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어 렌즈에서 집광하여 피사체에 투광하는 방법도 있지만, 피사체의 휘도를 올리기 위해 좁은 범위로 집광하면, 광각 촬영의 경우에 투광 범위가 너무 좁아 포커스 맞춤이 곤란해지고 역으로 광각 촬영에 맞춘 투광 범위로 하면 피사체의 휘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LED나 전구 등의 앞에 렌즈와 슬릿을 설치하여 슬릿의 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보조광 투광 장치도 실시되어 있지만, 투광되는 상의 콘트라스트가 약해 포커스 맞춤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한 것이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슬릿에 의한 투광 손실이 있으므로, 필요한 광량을 얻기 위한 소비 전력이 매우 커져 버린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여 내장 전지 등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대해,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임의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 재생상은 투영되는 상의 콘트라스트를 높게 얻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여 포커스 맞춤에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피사체에 투영된 홀로그램 재생상을 이용하여 메뉴얼 포커스나 오토 포커스에서의 검출을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화상 투영 장치는 기존의 소위 레이저 포인터에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부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예를 들어 도14a 및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었다. 즉 도14a에 있어서, 경통(70) 속에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71)과, 이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72)가 설치된다. 이 집광 렌즈(72)에서 변환된 평행 레이저광이 레이저 포인터로서 임의의 포인트 지시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경통(70)에 끼워 맞춤되는 경통(74)에 홀로그램 플레이트(73)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홀로그램 플레이트(73)에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상이 형성되어 투영된다. 그런데 이 화상 투영 장치에서는 레이저 광원(71)과 집광 렌즈(72)가 경통(70)에서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되고, 이에 경통(74)의 홀로그램 플레이트(73)가 부가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경통(74)이 파손되면 홀로그램 플레이트(73)만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여 포커스 맞춤에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로그램 플레이트(73)만이 이탈하여 집광 렌즈(72)로부터의 평행 레이저광이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면, 예를 들어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에는 평행 레이저광을 봄으로써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가 생긴다. 또 홀로그램 플레이트(73)가 있는 경우에는, 홀로그램 재생상이 형성됨으로써 빛의 확산에 의해 불쾌감은 완화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의 스틸 카메라 촬영에서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은 곤란한 것이고, 이에 대해 종래의 보조광 투광 장치를 이용한 촬영 장치에서는 충분한 포커스 맞춤을 행할 수 없고, 또한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이용한 화상 투영 장치에서는 홀로그램 플레이트의 이탈 등에 의해 피사체가 되는 사람이 평행 레이저광을 본 경우에 눈부심에 의한 많은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자 스틸 카메라에 사용하여 적절한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 촬영을 행할 때의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그 동작의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은 그 동작의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투영 화상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선도이다.
도5는 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동작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레이저 광원의 출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8은 그 조절을 행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 선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구체 회로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1a 및 1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펄스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12a 및 12b는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구성도이다.
도13은 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14a 및 14b는 종래의 화상 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 촬영을 행할 때의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촬영 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1에 있어서, 예를 들어 피사체(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영상광은 주렌즈(1), 줌 렌즈(2), 포커스 렌즈(3)를 통해 집광되고, 촬상 수단으로서의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 이하, CCD라 약칭함)(4) 상에 피사체 상이 결상된다. 이 피사체 상은 CCD(4)에 의해 광전 변환되고, 또한 샘플링 홀드 및 게인 컨트롤(이하, S/H&AGC라 약칭함) 회로(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 디지털 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6)에 의해 색 신호와 휘도 신호로 변환되어 도시하지 않은 신호 기록계로 출력된다. 또한, 이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6)로부터의 휘도 신호가 오토 포커스(이하, AF라 약칭함) 검파 회로(7)에 공급되고, 이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AF에 필요한 콘트라스트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콘트라스트 신호가 제어용의 마이크로 컴퓨터(8)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는, 예를 들어 셔터 버튼(9)이 절반 눌려진 것을 검지하면, 상술한 콘트라스트 신호가 최대가 되도록 포커스 렌즈(3)를 제어함으로써 AF가 행해진다. 또한, 포커스 렌즈(3)의 제어는, 예를 들어 모터 드라이버 회로(10)에 제어량을 이송함으로써 포커스 모터(11)를 구동하여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줌 렌즈(2)의 제어도, 예를 들어 모터 드라이버 회로(10)로 제어량을 이송하고, 줌 모터(12)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13)에 공급되고, 이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있는 기간만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어 레이저 광선이 발생된다. 또한 이 발생된 레이저 광선은 집광 렌즈(15)에서 평행광으로 집광되고, 이 평행광이 홀로그램 플레이트(16)에 조사되어 홀로그램 플레이트(16)에 설치된 홀로그램에 의해 회절된다. 그리고 회절된 레이저 광선은 서로 간섭되어 홀로그램 재생상(17)이 재생된다.
이에 의해, 재생된 홀로그램 재생상(17)을, 예를 들어 주렌즈(1)의 광축 방향의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재생상(17)을 선으로 구성함으로써 투광 범위에 비해 투광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피사체 조도를 크게 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상을 투광할 수 있다. 즉 콘트라스트가 높은 상을 투광함으로써 충분한 포커스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홀로그램 재생상(7)의 투영 수단(장치) 자체는, 예를 들어 기존의 레이저 포인터의 보조 장치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장치를 응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레이저 포인터에 이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은 매우 적은 소비 전력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여 내장 전지 등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홀로그램 재생상(17)의 피사체로의 투영을 제어하는 메뉴얼 스위치(18)가 설치되고, 이 메뉴얼 스위치(18)가 조작되었을 때에 고전위가 되는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8)에 공급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플래시 장치(19)에 공급되고, 필요에 따라서 플래시 장치(19)의 발광이 제어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8) 속에서 형성되는 측정치나 제어치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비휘발 메모리(예를 들어 EEPROM, 20)에 기억된다.
그래서 또한 도2에는 상술한 장치에서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실시 형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즉, 도2에 있어서 처리가 시작되면, 최초에 스텝〔1〕에서 셔터 버튼(9)이 절반 눌려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눌려져 있지 않을 때(아니오)는, 이 스텝〔1〕이 반복되고 있다. 또한 스텝〔1〕에서 셔터 버튼(9)이 눌려졌을 때(예)는, 스텝〔2〕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어 레이저 투광이 온된다.
또한, 스텝〔3〕에서 AF 동작이 행해지고, 스텝〔4〕에서 AF 동작이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AF 동작이 종료되어 있지 않을 때(아니오)는, 스텝〔2〕〔3〕이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4〕에서 AF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예)는, 스텝〔5〕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정지되어 레이저 투광이 오프된다. 또한 스텝〔6〕에서 예를 들어 플래시가 발광되어 화상의 도입(촬영)이 행해지고, 처리는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술한 장치를 오토 포커스에 응용한 경우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 스텝〔3〕에서 AF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은 스텝〔2〕에서 온된 홀로그램 재생상(17)이 피사체에 투영되어 있고, 이 홀로그램 재생상(17)을 이용하여 매우 양호한 AF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재생상(17)은 화상의 도입(촬영)시에는, 스텝〔5〕에 의해 오프되므로 촬영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3에는 상술한 장치를 메뉴얼 포커스로 사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실시 형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즉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장치에서 메뉴얼 스위치(18)가 조작됨으로써 처리가 시작된다. 그리고 처리가 시작되면, 최초에 스텝〔11〕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어 레이저 투광이 온된다. 다음에 스텝〔12〕에서 셔터 버튼(9)이 절반 눌려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스텝〔12〕에서 셔터 버튼(9)이 압박되어 있지 않을 때(아니오)는, 메뉴얼 포커스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텝〔11〕〔12〕가 반복된다. 이에 대해, 메뉴얼 포커스가 종료하여 스텝〔12〕에서 셔터 버튼(9)이 압박되었을 때(예)는 스텝〔13〕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정지되어 레이저 투광이 오프되고, 스텝〔14〕에서 화상의 도입(촬영)이 행해져 처리는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술한 장치를 메뉴얼 포커스로 사용하는 경우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 스텝〔11〕에서 온된 홀로그램 재생상(17)이 피사체에 투영되어 있고, 이 홀로그램 재생상(17)을 확인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메뉴얼 포커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홀로그램 재생상(17)은 화상의 도입(촬영)시에는, 스텝〔13〕에 의해 오프되므로, 촬영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도록 한 것에 의해,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의 스틸 카메라 촬영에서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은 곤란한 것으로, 이에 대해 종래의 보조광 투광 장치를 이용한 촬영 장치에서는 충분한 포커스 맞춤을 행할 수 없고, 또한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투영에 이용되는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 화상 패턴에는,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이용된다. 즉, 도4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투영 화상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도4에 있어서 투영 화상 패턴은 소정 수의 광점이 직선으로 배열된 적어도 제1 내지 제5 선분(A 내지 E)이 각각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선분(A)이 투영 화상의 중앙에 촬영면의 수평 및 수직축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마련된다.
이 제1 선분(A)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a)의 원주에 외접하는 직사각형(파선 도시 : 파선 도시의 직사각형은 투영 화상 패턴이 아니고, 이하도 마찬가지임, X1)의 각 정점의 위치에 제1 선분(A)에 직교하는 각도로 4개의 제2 선분(B1내지 B4)이 마련된다. 또한 제1 선분(A)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2배인 거리(2a)의 원주에 외접하는 직사각형(파선 도시, X2)의 각 정점 및 각 변의 2등분의 위치에 제1 선분(A)에 평행한 각도로 8개의 제3 선분(C1내지 C8)이 마련된다.
또한, 제1 선분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3배인 거리(3a)의 원주에 외접하는 직사각형(파선 도시, X3)의 각 정점 및 각 변의 3등분의 위치에 제1 선분(A)에 직교하는 각도로 12개의 제4 선분(D1내지 D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선분(A)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4배인 거리(4a)의 원주에 외접하는 직사각형(파선 도시, X4)의 각 변의 2등분의 위치에 제1 선분(A)에 평행하는 각도로 4개의 제5 선분(E1내지 E4)이 마련되고, 전체 29개의 선분에 의한 투영 화상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이 투영 화상 패턴에 있어서 각 선분(A 내지 E)은, 예를 들어 15개의 광점이 직선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이들 선분(A 내지 E)의 길이가, 예를 들어 투영각도에서 0.8도가 되는 동시에, 선분(A)에 있어서는 배열된 광점의 중심점이 제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선분(A 내지 E)을 재생상으로 하기 위한 홀로그램이 계산에 의해 구해지고, 이 계산에 의거하는 홀로그램이 홀로그램 플레이트(16)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X1)에 내접하는 소정 거리(a)의 원주를 투영 각도에서 3도가 되도록 된다. 이에 의해, 직사각형(X2)에 내접하는 원주는 투영 각도에서 6도, 직사각형(X3)에 내접하는 원주는 투영 각도에서 9도, 직사각형(X4)에 내접하는 원주는 투영 각도에서 12도가 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직사각형(X2)에 내접하는 원주 내의 패턴은 선분으로 환산하여 7개가 되고, 이 7개의 선분이 사람의 망막에 맞닿았을 때의 열량이 안전 기준 이하가 되도록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이 설정된다.
따라서 이 투영 화상 패턴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투영 각도에 있어서 시점의 위치를 이동해도 열량이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열량에 대해 수용각에 대한 최대 파워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한 결과, 도5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고, 연속 발광만으로도 JIS 규격의 클래스(1)인 1000초 AEL의 안전 기준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투영 화상 패턴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접한 선분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선분 길이의 절반 거리만큼 실질적인 선분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오토 포커스의 검출 범위가 투영 각도에서 3도 정도로 하여 촬영 렌즈의 광축이 투영 화상 패턴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검출 범위 내에 선분이 전혀 들어가지 않게 되어 버리는 상태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영 화상 패턴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앙의 제1 선분(A)을 형성하는 광점 내 중심의 광점이 제외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재생상에서는 원래의 화상 패턴 외에 0차광이 화상의 중앙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와 같은 0차광에 의해 제1 선분(A) 중심의 광점 휘도가 높아지는 일이 없어 양호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심 광점만의 휘도가 없어도, 예를 들어 오토 포커스의 검출에 지장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즉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 동작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에 있어서 동작이 시작되면, 처음에 스텝〔21〕에서 셔터 버튼(9)이 절반 눌려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눌려져 있을 때(예)는 스텝〔22〕에서 임의의 레지스터의 온 카운터치가 100초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100초 미만일 때(예)는 스텝〔23〕에서 온 카운터치에 소정치가 가산되고, 스텝〔24〕에서 임의의 레지스터의 오프 카운터치가 0으로 리셋되어 스텝〔25〕에서 레이저의 조사가 유지된다.
또한 스텝〔26〕에서 전원 오프가 지시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오프가 지시되어 있을 때(예)는 동작이 종료(엔드)되고, 오프가 지시되어 있지 않을때(아니오)는 스텝〔21〕로 복귀된다. 또한, 스텝〔21〕에서 셔터 버튼(9)이 압박되어 있지 않을 때(아니오)와 스텝〔22〕에서 온 카운터치가 100초 미만이 아닐 때(아니오)는 스텝〔27〕에서 오프 카운터치가 5초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27〕에서 오프 카운터치가 5초 미만일 때(예)는, 스텝〔28〕에서 오프 카운터치에 소정치가 가산된다. 또한 스텝〔27〕에서 오프 카운터치가 5초 미만이 아닐 때(아니오)는, 스텝〔29〕에서 온 카운터치가 0으로 리셋된다. 또한 스텝〔28〕〔29〕가 실행된 후에, 스텝〔3O〕에서 레이저의 조사가 정지되어 스텝〔26〕에서의 전원 오프의 판단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이 흐름도에 있어서, 온 카운터치가 100초 이상이 되면 레이저의 조사가 정지되는 동시에, 오프 카운터치가 5초 미만인 동안은 온 카운터치가 리셋되지 않으므로, 레이저 조사의 정지 기간이 반드시 5초 이상 마련되도록 동작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가 연속하여 행해진 경우에 가열 등에 의해 출력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종래의 가열 대책으로서 이용되고 있던 방열판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조절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즉 도7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8에는 그 조절을 행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다.
우선 도8에 있어서, 내부가 흑색 도포된 상자(100) 중 하나의 벽면에 스크린(200)이 설치된다. 이 스크린(200)에 대향하는 벽면에 마련되는 구멍(300)에 상술한 촬영 장치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술한 홀로그램 재생상(17)을 스크린(200)에 투영하고, 이 스크린(200) 상의 투영상을 CCD(4)로 촬영한다. 또한 이 CCD(4)로부터의 촬영 출력을 검출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조절이 행해진다.
그래서 도7에 있어서 조절 동작이 개시되면, 최초에 스텝〔31〕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 레이저 드라이버(13)에 공급되는 제어치(DA)가 초기치로 설정되고, 스텝〔32〕에서 렌즈 위치가 상술한 구멍(300)에 배치된 촬영 장치와 스크린(200)의 거리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33〕에서 상술한 제어치(DA)가 DA 출력을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 레이저 드라이버(13)에 공급된다. 또한 스텝〔34〕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초기치에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고, 이 초기치의 레이저 출력에 의한 홀로그램 재생상(17)이 스크린(200)에 투영되고, 이 투영상이 CCD(4)로 촬영된다. 그리고 스텝〔35〕에서 촬영 출력으로부터 자동 노광(AE) 검파치(檢波値, AE DATA)가 검출되고, 스텝〔36〕에서 AE 목표치(AE TARGET)와 비교된다. 여기서 값이 같지 않을 때(아니오)는, 스텝〔37〕에서 제어치(DA)가 계산된다.
즉, 스텝〔37〕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DA = DA × (AE TARGET) ÷ (AE DATA)가 계산되고, 이 값이 새로운 제어치(DA)가 되어 스텝〔33〕으로 복귀된다. 또한 이 동작이 스텝〔36〕에서 (AE DATA) = (AE TARGET)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값이 같아졌을 때(예)에, 스텝〔38〕에서 제어치(DA)가 비휘발 메모리(20)에 기억되어 동작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변동을 조절하는 값이 비휘발 메모리(20)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제 운용시에는, 이 메모리(20)에 기억된 값에 의거하여 다른 조건 등을 감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를 구동하는 제어치(DA)가 계산된다. 즉 촬영시에는 이 메모리(20)에 기억된 값이 판독되어 조절의 기초치가 되는 동시에, 교축이나 줌 위치 등의 정보를 감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이 제어된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변동 조절은 상술한 자동 노광 검파치뿐만 아니라, 콘트라스트의 검파치 등을 이용해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검파치가 목표치가 되는 제어치(DA)가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20)에는 상술한 제어치뿐만 아니라, 검파치 그 자체나 그 밖의 측정치도 기억시켜 둠으로써, 예를 들어 제조시의 제품 체크나 출하 후의 서비스나 수리를 행할 때 등의 성능 체크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CCD(4)의 감도를 포함시킨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조절이 행해진다. 즉 제어치에 대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에는 개체 사이에서의 변동이 있지만, 마찬가지로 CCD(4)의 감도도 20 퍼센트 정도 변동되는 것이다. 그래서 조립된 촬영 장치의 상태에서 CCD(4)로부터의 촬영 출력을 이용하여 출력 조절이 행해짐으로써, 양자의 변동을 흡수한 조절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드라이버(13)는 구체적으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된다. 즉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구체 회로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9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14)는 예를 들어 5 V의 전원으로 구동되고, 마이크로 컴퓨터(8)를 포함하는 다른 회로는 3.2 V의 전원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이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51)를 통해 5 V의 전원 라인에 설치된 스위칭 트랜지스터(52)에 공급되어 5 V의 전원의 온 오프가 행해진다. 이 온 오프된 5 V의 전원이 트랜지스터(53)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14)에 공급된다.
이 레이저 다이오드(14)에 근접하여 포토 다이오드(5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포토 다이오드(54)의 출력이 연산 증폭기(55)의 비반전 입력에 공급되는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치가 D/A 변환기(DAC, 56)를 통해 연산 증폭기(55)의 반전 입력에 공급되고, 이 연산 증폭기(55)의 출력이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54)의 출력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이 조절된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52)의 출력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이하, 모노 멀티라 약칭함, 57)의 하강 트리거 입력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모노 멀티(57)의 Q출력이 트랜지스터(58)를 통해 트랜지스터(59)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59)의 콜렉터에서 얻게 되는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52)로부터의 5 V의 전원 라인과 트랜지스터(53)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트랜지스터(60)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이 회로에서는, 예를 들어 스위칭 트랜지스터(52)의 출력이 연속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가 연속 구동되었을 때에, 이 구동 시간이 모노 멀티(57)의 반전 시간을 초과하면 트랜지스터(58)가 온되고, 트랜지스터(59)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60)가 온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 전위가 상승하고, 이 트랜지스터(53)가 오프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연속 구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회로에 있어서, 포토 다이오드(54)의 출력이 마이크로 컴퓨터(8)의 A/D 변환 입력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는 포토 다이오드(54)의 출력을 감시하여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즉 도10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도10에 있어서, 처음에 스텝〔41〕에서 셔터 버튼(9)이 절반 눌려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눌려져 있을 때(예)는 스텝〔42〕에서 포토 다이오드(54)로부터 얻게 되는 모니터 전압이 임의의 레퍼런스 전압과 같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같을 때(예)는 스텝〔43〕으로 진행하게 되어 레이저의 조사가 유지된다.
이에 대해, 스텝〔41〕에서 셔터 버튼(9)이 눌려져 있지 않을 때(아니오)나 스텝〔42〕에서 전압이 같지 않을 때(아니오)는, 스텝〔44〕로 진행하게 되어 레이저의 조사가 정지된다. 또한 스텝〔45〕에서 전원 오프가 지시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오프가 지시되어 있을 때(예)는 동작이 종료(엔드)되고, 오프가 지시되어 있지 않을 때(아니오)는 스텝〔41〕로 복귀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포토 다이오드(54)로부터 얻게 되는 모니터 전압이 임의의 레퍼런스 전압과 같지 않았을 때에 레이저의 조사가 정지된다. 즉 모니터 수단의 출력이 임의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이상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14)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9의 레이저 구동 장치의 구체 회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는 예를 들어 도11a 및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 신호가 출력되고, 이 펄스 신호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이 행해진다. 즉 도11a 및 1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레이저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펄스 신호의 파형도이다.
여기서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는 카운터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0.8 μsec 정밀도로 펄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펄스 폭을 0.16 msec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신호의 피크 출력은, 예를 들어 0 내지 3 ㎽ 사이에서 0.1 ㎽ 단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예를 들어 상술한 도7의 동작으로 메모리(20)에 기억된 값에 의거하여 펄스 신호의 피크 출력을 정하는 동시에, 그 밖의 조건을 감안하여 펄스 폭이 제어된다.
그래서 도11a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메모리(20)에 기억된 값에 의거하여 펄스 신호의 진폭은 2.5 ㎽가 된다. 또한 각 펄스 신호의 펄스 폭이 내장된 플래시 장치(19)나 외부 부착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서 펄스 폭이 제어된다.즉, 예를 들어 내장된 플래시 장치(19)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 msec로 제어되고, 외부 부착 플래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촬영 거리가 긴 것이 상정되므로 1O msec로 제어된다.
또한 촬영 방식이 예를 들어 NTSC 방식에 준거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프레임에 동기한 33 msec의 주기로 펄스 신호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토 포커스의 제어는(50) 프레임 이내에 가능하므로, 1회의 동작에 있어서의 펄스 수는 최대 50개에서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출력 조절이 행해진다. 즉 이와 같은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11b에 있어서는 셔터 버튼(9)의 절반 누름이 반복하여 행해진 경우의 펄스 신호의 모습을 도시한다. 즉 통상 촬영시는 기억 장치로의 도입에 4초 정도 걸리므로, 필연적으로 4초간의 인터벌이 형성되지만, 셔터 버튼(9)의 절반 누름이 신속히 행해진 경우라도 1초간의 인터벌을 두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도 마이크로 컴퓨터(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지고, 예를 들어 메모리(20)의 값에 의해 0.25초 단위로 0 내지 4초까지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펄스 구동를 행함으로써, 상술한 도9의 모노 멀티(57)에서는, 예를 들어 반전 시간을 33 msec로 함으로써, 펄스 신호의 하강이 생기지 않았을 때에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을 정지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레이저광의 광량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내장된 브러시 장치(19)나 외부 부착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서 펄스 폭을 제어하여 광량을 조절하거나, 또한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4)의 구동을 정지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4)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투영 장치, 투영 화상 패턴, 혹은 레이저 구동 장치를 각각 본 발명의 촬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어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게 되는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고,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패턴에 따르면, 상술한 도4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투영 각도에 있어서 시점의 위치를 이동해도 열량이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일이 없는 동시에, 선분 길이의 절반의 거리만큼 실질적인 선분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 촬영 렌즈의 광축이 투영 화상 패턴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지 않는경우에도 검출 범위 내로 선분이 전혀 들어 가지 않게 되어 버리는 상태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구동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를 갖고, 레이저광의 방출 지속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가 연속하여 행해진 경우에 가열 등에 의해 출력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종래의 가열 대책으로서 이용되고 있던 방열판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구동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과 촬영 수단을 갖는 레이저 구동 장치로서, 미리 레이저광을 투영하여 촬영한 촬영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요구한 조절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기억된 조절치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을 행함으로써, 촬영 수단의 감도를 포함한 레이저 광원의 출력 조절이 행해져 양자의 변동을 흡수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구동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모니터 수단을 갖고, 모니터 수단의 출력이 임의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함으로써, 이상한 레이저 광원의 구동에 의한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구동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는 레이저 구동 장치로서,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레이저광의 광량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내장된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른 광량의 조절이나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촬영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투영 수단을 가짐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어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는,
① 피사체의 조도가 낮은 조건이라도 AF에서의 핀트 맞춤이 가능해진다.
② 콘트라스트가 낮은 피사체라도 AF에서의 핀트 맞춤이 가능해진다.
③ 콘트라스트가 높은 투광을 행하기 위해, 종래부터 정밀도가 높은 오토에서의 핀트 맞춤이 가능해진다.
④ 종래, 저출력의 보조광 장치에서 곤란했던 원거리의 투광이 가능해진다.
⑤ 종래의 보조광 장치보다 투광 효율이 수배나 높고, 저출력의 투광 장치에서 충분한 조도를 얻을 수 있어, 에너지 소비량이 수분의 1이 된다.
⑥ 실투광 면적이 작기 때문에, 피촬영자가 눈부심을 느낄 가능성이 낮다.
⑦ 종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이 어려웠던 저조도 및 저콘트라스트피사체의 핀트 맞춤이 용이해진다.
⑧ 종래의 보조광 장치에서는 어려웠던 광각 및 망원 양 대응의 투광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12a 및 12b에는, 본 발명의 화상 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다. 즉 도12a에 있어서는,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4)만이 거울 프레임(21) 속에 설치된다. 그리고 거울 프레임(21)에 끼워 맞추는 거울 프레임(22) 속에,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15)가 설치되는 동시에, 홀로그램 플레이트(16)가 예를 들어 압축링(23)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의 유닛이 되어 설치된다.
또한 거울 프레임(21)과 거울 프레임(22)의 간격이 조정된 후, 이들 거울 프레임(21)과 거울 프레임(22)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 거울 프레임(21)과 거울 프레임(22)이 투명 아크릴 커버(24)를 거쳐서 카메라 하우징(25)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즉 카메라 하우징(25) 소정의 위치에 투명 아크릴 커버(24)가 설치된 창부가 형성되고, 이 투명 아크릴 커버(24)에 대해 거울 프레임(21)과 거울 프레임(22)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이 상태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4)가 구동되면, 발생된 확산 레이저광이 집광 렌즈(15)에서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 레이저광이 홀로그램 플레이트(16)에 조사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상(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홀로그램 재생상이 카메라 하우징(25)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투명 아크릴 커버(24)를 통해, 피사체를 향해 투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집광 렌즈(15)와 홀로그램 플레이트(16)가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거울 프레임(22)이 파손되면,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광 렌즈(15)와 홀로그램 플레이트(16)의 양 쪽이 레이저 다이오드(1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거울 프레임(22)이 파손되어 홀로그램 플레이트(16)가 이탈되는 경우에는, 동시에 집광 렌즈(15)도 레이저 다이오드(14)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집광 렌즈(15)가 이탈된 레이저 다이오드(14)로부터는 확산 레이저광만이 발생되므로, 이 확산 레이저광이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어도, 예를 들어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에도 이러한 확산 레이저광을 봄으로써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가 없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의 스틸 카메라 촬영에서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이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은 곤란한 것이며, 이에 대해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이용한 화상 투영 장치에서는, 홀로그램 플레이트의 이탈 등에 의해 피사체가 되는 사람이 평행 레이저광을 보았을 경우에 눈부심에 따른 많은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었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원 촬영용의 작은 홀로그램 상과, 광각 촬영용의 큰 홀로그램 상을 동시에 투영함으로써, 광범위한 투광과 망원 촬영의 양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13에 있어서는, 중심 원의 투광각을 5도 정도, 외주 원의 투광각을 20도 정도가 되는 홀로그램 상을 투영한다. 또한 이들 홀로그램 상을 가는 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출력이 작은 장치에서도 충분한 밝기의 투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술한 화상 투영 장치에 따르면,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상 투영 장치로서, 집광 렌즈와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함으로써,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촬영 장치에 따르면,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집광 렌즈와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한 화상 투영 장치를 갖고, 평행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여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 촬영을 행할 때의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게 되는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어,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투영된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AF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얼 포커스시에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상을 확인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메뉴얼 포커스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홀로그램 재생상이 촬영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상 투영 장치로서, 집광 렌즈와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함으로써,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여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투영된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AF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도4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투영 각도에 있어서 시점의 위치를 이동해도 열량이 안전 기준을 넘는 일이 없는 동시에, 선분 길이의 절반 거리만큼 실질적인 선분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 촬영 렌즈의 광축이 투영 화상 패턴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검출 범위 내에 선분이 전혀 들어가지 않게 되어 버리는 상태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선분을 형성하는 소정 수의 광점 내의 중심 광점을 제외함으로써, 0차광에 의해 제1 선분의 중심의 광점 휘도가 높아지는 일이 없어 양호한 검출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을 갖고, 레이저광의 방출 지속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가 연속하여 행해진 경우에 가열 등에 의해 출력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종래의 가열 대책으로서 이용되고 있던 방열판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임의의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어,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과 투영 수단을 갖는 레이저 구동 장치로서, 미리 레이저광을 투영하여 촬영한 촬영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요구한 조절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기억된 조절치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을 행함으로써, 촬영 수단의 감도를 포함한 레이저 광원의 출력 조절이 행해져, 양자의 변동을 흡수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임의의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고,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자동 노광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짐으로써, 기존의 촬영 장치에 회로를 유용하여 양호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콘트라스트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짐으로써, 기존의 촬영장치에 회로를 유용하여 양호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모니터 수단을 갖고, 모니터 수단의 출력이 임의의 허용 범위를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함으로써, 이상한 레이저 광원의 구동에 의한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임의의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고,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는 레이저 구동 장치로서,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레이저광의 광량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내장된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른 광량의 조절이나,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조명 수단을 갖고, 조명 수단의 광량에 따라 펄스 폭을 제어하여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내장된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른 광량의 조절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서 이용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소비 전력으로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를 예를 들어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내장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투영된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AF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얼 포커스시에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상을 확인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메뉴얼 포커스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홀로그램 재생상이 촬영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방출 지속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가 연속하여 행해진 경우에 가열 등에 의해 출력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종래의 가열 대책으로서 이용되고 있던 방열판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과 촬영 수단을 갖고, 미리 상기 레이저광을 투영하여 촬영한 상기 촬영 수단의 출력에 따라 구한 조절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기억된 상기 조절치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을 행함으로써, 촬영 수단의 감도를 포함한 레이저 광원의 출력 조절이 행해지고, 양자의 변동을 흡수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자동 노광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짐으로써, 기존의 촬영 장치에 회로를 유용하여 양호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콘트라스트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짐으로써, 기존의 촬영 장치에 회로를 유용하여 양호한 조절이 행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모니터 수단을 갖고, 모니터 수단의 출력이 임의의 허용 범위를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함으로써, 이상한 레이저 광원의 구동에 의한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고,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레이저광의 광량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내장된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른 광량의 조절이나,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조명 수단을 더 갖고, 조명 수단의 광량에 따라서 펄스 폭을 제어하여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내장된 플래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른 광량의 조절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레이저 광원의 파손이나 내구성이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용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동시에, 이 홀로그램 플레이트와 레이저광을 변환하는 집광 렌즈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콘트라스트의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여 핀트 맞춤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홀로그램 플레이트가 이탈된 경우에도, 눈부심에 의한 불쾌감을 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투영된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AF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얼 포커스시에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상을 확인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메뉴얼 포커스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홀로그램 재생상이 촬영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둠 속에서의 스틸 카메라 촬영에서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의 오토 포커스나 메뉴얼 포커스에서의 핀트 맞춤은 곤란한 것이며, 이에 대해 종래의 보조광 투광 장치를 이용한 촬영 장치에서는, 충분한 포커스 맞춤을 행할 수 없으며, 또한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소형의 전자 스틸 카메라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없고, 또한 홀로그램 플레이트의 이탈 등에 의해 피사체가 되는 사람이 평행 레이저광을 보았을 경우에 눈부심에 의한 많은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었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1)

  1.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 투영 장치이며,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투영 장치.
  2.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상 투영 장치에 의해 투영되는 투영 화상 패턴이며,
    소정 수의 광점이 직선으로 배열된 선분이 각각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된 제1 내지 제5 선분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선분이 투영 화상의 중앙에 촬영면의 수평 및 수직축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선분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원주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의 위치에 상기 제1 선분에 직교하는 각도로 4개의 상기 제2 선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선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의 2배 거리의 원주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 및 각 변의 2등분의 위치에 상기 제1 선분에 평행하는 각도로 8개의 상기 제3 선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선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의 3배 거리의 원주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 및 각 변의 3등분의 위치에 상기 제1 선분에 직교하는 각도로 12개의 상기 제4 선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선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의 4배 거리의 원주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각 변의 2등분의 위치에 상기 제1 선분에 평행하는 각도로 4개의 상기 제5 선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화상 패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분을 형성하는 상기 소정 수의 광점 내 중심의 광점을 제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화상 패턴.
  4.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 구동 장치이며,
    상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을 갖고,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을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5.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 구동 장치이며,
    상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고,
    미리 상기 레이저광을 투영하여 촬영한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수단의 출력에 따라 구한 조절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기억된 상기 조절치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자동 노광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7. 레이저광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에 사용된 레이저 구동 장치이며,
    상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임의의 조명 수단을 갖고,
    상기 조명 수단의 광량에 따라 상기 펄스 폭을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 장치.
  10.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상 투영 장치를 갖고,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동시에,
    상기 피사체에 투영된 상기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1.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상 투영 장치를 갖고,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동시에,
    메뉴얼 포커스 시에 상기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 지속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을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과 촬영 수단을 갖고,
    미리 상기 레이저광을 투영하여 촬영한 상기 촬영 수단의 출력에 따라 구한 조절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 기억된 상기 조절치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자동 노광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 조절은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검파된 콘트라스트 검파치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모니터 수단을 갖고,
    상기 모니터 수단의 출력이 임의의 허용 범위를 넘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레이저 광원을 임의의 펄스 폭으로 펄스 구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임의의 조명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조명 수단의 광량에 따라 상기 펄스 폭을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수단의 불량 동작시에는 상기 레이저광의 발생을 정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0.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한 화상 투영 장치를 갖고,
    상기 평행 레이저광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동시에,
    상기 피사체에 투영된 상기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상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1. 확산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확산 레이저광을 평행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평행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를 일체의 유닛으로 형성한 화상 투영 장치를 갖고,
    상기 평행 레이저광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조사하여 얻은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동시에,
    메뉴얼 포커스시에 상기 홀로그램 재생상의 투영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KR1020027010161A 2000-12-07 2001-12-05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 및 레이저 구동 장치 KR10088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3075 2000-12-07
JP2000373075 2000-12-07
JPJP-P-2001-00269177 2001-09-05
JPJP-P-2001-00269178 2001-09-05
JP2001269177A JP3992466B2 (ja) 2000-12-07 2001-09-05 撮影装置、画像投影方法、及び撮影方法
JP2001269178A JP3928391B2 (ja) 2000-12-07 2001-09-05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01A true KR20020086501A (ko) 2002-11-18
KR100889408B1 KR100889408B1 (ko) 2009-03-20

Family

ID=2734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61A KR100889408B1 (ko) 2000-12-07 2001-12-05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 및 레이저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6892027B2 (ko)
EP (2) EP1890178B1 (ko)
KR (1) KR100889408B1 (ko)
CN (2) CN1208654C (ko)
DE (2) DE60141121D1 (ko)
WO (1) WO2002046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8654C (zh) * 2000-12-07 2005-06-29 索尼公司 图像投影装置、投影镜像图形、激光驱动装置、摄影装置
JP3900880B2 (ja) * 2001-10-03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像装置
US20050012823A1 (en) * 2003-07-17 2005-01-20 Young Kevin L. Communication systems, camera de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s
US20090322937A1 (en) * 2003-07-17 2009-12-31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Sealed camera assembly and heat removal system therefor
JP3831946B2 (ja) * 2003-09-26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97890B2 (ja) * 2003-10-30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100618160B1 (ko) * 2004-12-07 2006-08-29 씨씨알 주식회사 초점거리 그리드 송출이 가능한 촬상장치
CN100388760C (zh) * 2004-12-30 2008-05-14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测距式数码相机
JP4576280B2 (ja) * 2005-04-11 2010-11-0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2008276115A (ja) * 2007-05-07 2008-11-13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US7995798B2 (en) * 2007-10-15 2011-08-09 Given Imaging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size of an object in a body lumen
EP2343596B1 (en) * 2008-10-31 2013-12-18 NEC Display Solutions, Ltd. Projector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8608320B2 (en) * 2009-03-26 2013-12-17 Nec Display Solutions, Ltd.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077257A1 (ja) * 2010-12-06 2012-06-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KR101760348B1 (ko) * 2011-06-14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JP5293782B2 (ja) * 2011-07-27 2013-09-1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合焦位置調整方法、合焦位置調整装置、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
TW201315962A (zh) * 2011-10-05 2013-04-16 Au Optronics Corp 投影式影像辨識裝置及其影像辨識方法
WO2013100323A1 (ko) * 2011-12-27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US8913138B2 (en) * 2012-12-21 2014-12-16 Technologies Humanware Inc. Handheld magnification device with a two-camera module
CN103676710B (zh) * 2013-11-18 2016-08-17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光学遥感器双路调焦控制系统及控制方法
DE102015101424B4 (de) * 2015-01-30 2017-04-27 pmdtechnologies ag Beleuchtungsvorrichtung
CN107407728B (zh) * 2015-03-26 2020-05-22 富士胶片株式会社 距离图像获取装置以及距离图像获取方法
US9648223B2 (en) * 2015-09-04 2017-05-09 Microvision, Inc. Laser beam scanning assisted autofocus
CN109270767A (zh) * 2018-09-29 2019-01-25 苏州福瑞智电电气有限公司 具备多套成像的激光镜头瞄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976A (en) * 1978-07-19 1982-05-04 Fuji Photo Optical Co., Ltd. Light beam projecting device for auto-focusing camera
DE2933077A1 (de) * 1978-09-04 1980-03-13 Hauser Raimund Fokussiereinrichtung
JPS5830715A (ja) * 1981-08-18 1983-02-23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合焦装置
US4629324A (en) * 1983-12-29 1986-12-16 Robotic Vision Systems, Inc. Arrangement for measuring depth based on lens focusing
JPS6148883A (ja) 1984-08-16 1986-03-10 Toppan Printing Co Ltd フオトレジストを用いたレインボウ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
JPH0637262Y2 (ja) * 1988-08-26 1994-09-2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GB2237119B (en) * 1989-10-06 1994-06-08 Asahi Optical Co Ltd Strob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US5157435A (en) * 1990-09-29 1992-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a video camera and the method thereof
US5283608A (en) * 1992-02-07 1994-02-01 Samsung Aerospace Industries, Inc. Camera capable of outputting brightness and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JPH0659814A (ja) 1992-08-07 199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インタ制御装置
KR100300618B1 (ko) * 1992-12-25 2001-11-22 오노 시게오 노광방법,노광장치,및그장치를사용하는디바이스제조방법
US5500737A (en) * 1993-07-21 1996-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easuring the contour of a surface
US5546156A (en) * 1994-02-25 1996-08-1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pointing aid
US5543889A (en) * 1994-05-16 1996-08-0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pointing aid
US5485235A (en) * 1994-05-19 1996-01-16 Eastman Kodak Company Pointing system for correctly aiming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towards a human subject
US5569904A (en) 1994-07-19 1996-10-29 Eastman Kodak Company Multispot autofocus system having a radiation emitter which emits radiation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crete beams
US5752100A (en) * 1996-01-26 1998-05-12 Eastman Kodak Company Driver circuit for a camera autofocus laser diode with provision for fault protection
US5718496A (en) * 1996-06-25 1998-02-17 Digital Optics Corporation Projection pointer
US5701015A (en) * 1996-08-19 1997-12-23 Eastman Kodak Company Infrared illumination system for digital camera
US5752115A (en) * 1996-11-26 1998-05-12 Eastman Kodak Company Autofocus camera with power control for emitted beam
JPH10254337A (ja) 1997-03-14 1998-09-25 Komatsu Ltd ホログラム物体光再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共焦点光学装置
JPH1164938A (ja) * 1997-08-20 1999-03-05 Nikon Corp Af補助光照明装置と、それを内蔵した電子閃光装置およびカメラ
JPH11353422A (ja) 1998-06-04 1999-12-24 Victor Co Of Japan Ltd 光記録媒体の情報読取り装置
CN1208654C (zh) * 2000-12-07 2005-06-29 索尼公司 图像投影装置、投影镜像图形、激光驱动装置、摄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70647B2 (en) 2005-11-29
EP1260844A4 (en) 2006-09-13
EP1890178A1 (en) 2008-02-20
US6973263B2 (en) 2005-12-06
US6892027B2 (en) 2005-05-10
US20050163497A1 (en) 2005-07-28
US7248795B2 (en) 2007-07-24
CN1208654C (zh) 2005-06-29
DE60140705D1 (de) 2010-01-14
EP1260844A1 (en) 2002-11-27
US20060263076A1 (en) 2006-11-23
DE60141121D1 (de) 2010-03-11
US20050084258A1 (en) 2005-04-21
US20050163496A1 (en) 2005-07-28
US7228070B2 (en) 2007-06-05
EP1890178B1 (en) 2009-12-02
CN1603875A (zh) 2005-04-06
US20030147050A1 (en) 2003-08-07
US20050163495A1 (en) 2005-07-28
CN100498408C (zh) 2009-06-10
WO2002046820A1 (fr) 2002-06-13
CN1418321A (zh) 2003-05-14
EP1260844B1 (en) 2010-01-20
KR100889408B1 (ko) 2009-03-20
US6990292B2 (en)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08B1 (ko) 홀로그램 재생상을 피사체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플레이트 및 레이저 구동 장치
EP0948198B1 (en) Digital camera and methods of focusing the same
CN102799047B (zh) 更换接头
JP4168617B2 (ja) 撮像装置用閃光装置、閃光装置付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583893B2 (en) Digital camera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 assembly
US4912496A (en) Automatic focussing adjusting device
JP5063184B2 (ja) 撮像装置、発光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392839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558474B2 (en) Imaging device
JP3992466B2 (ja) 撮影装置、画像投影方法、及び撮影方法
KR100509362B1 (ko) 디지탈 카메라의 패시브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202009831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446470A (ja) スチルカメラ
JP2008107724A (ja) 光源保持具、光源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JPH03122433U (ko)
JP2008129487A (ja) 撮影装置、補助光発光装置、および調整方法
JPH03120969A (ja) 電子カメラ
JPH08184750A (ja) カメラ
JPS6391639A (ja) 絞り決定装置
JP2000249908A (ja) 電子的撮像装置の焦点調節装置
JP2008048023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4293369A (ja) 撮影装置
JPS638572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を有する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