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517A -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517A
KR20020085517A KR1020010025059A KR20010025059A KR20020085517A KR 20020085517 A KR20020085517 A KR 20020085517A KR 1020010025059 A KR1020010025059 A KR 1020010025059A KR 20010025059 A KR20010025059 A KR 20010025059A KR 20020085517 A KR20020085517 A KR 2002008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ushroom
edible
spawn
mushroom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명
Original Assignee
오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명 filed Critical 오종명
Priority to KR102001002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517A/ko
Publication of KR2002008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식용(食用)이 가능한 곡물(穀物)(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배지 재료(材料)로 하여 곡물(穀物)에 포함 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끊는 물에 침지하거나 수증기로 쪄서 수분함량을 50~60%로 조절한 다음 선풍기등을 이용하여 유리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병이나 P.P병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균병 뚜껑으로 입구를 막고, 살균기 속에 넣어, 살균기 안의 내부 온도 및 배지 온도가 섭씨 121도에 도달 되도록 온도를 가하여 20분 이상 이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꺼내어 섭씨 25도 이하로 냉각시켜 무균실 또는 무균상(Clean bench) 안에서 증류수와 식용할 수 있는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식용가능한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원균액(균주)을 주입시켜 균사 접종을 완료 한 다음 접종된 종균병을 섭씨20도에서 섭씨30도까지 임의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 균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10일에서 20일간 균사를 배양시켜 일반 가정에서 버섯균사체곡물 제조시 접종원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의 수단으로한 식용할 수 있는 버섯종균 제조 방법.
이하, "식용버섯종균"이라 함은 식용할 수 있는 버섯의 종균을 말함이 아니라, 버섯종균(균사 및 배지) 그 자체를 식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종균을 말한다.

Description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 방법 {The manufacture method of edible mushroom bacillus seed with grain}
본 발명은 식생활 문화가 다양화 기능화 되면서 버섯류의 자실체(字實體)의 식용(食用)이 아니라, 균사체(菌絲體) 자체(自體)로의 식용(食用)이 가능하여, 여기에 사람이 주식(主食)으로 하는 곡물(穀物)(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배지 재료로 하여, 사람이 먹을 수있는 식균류(食菌類)(느타리버섯,송이 버섯,양송이 버섯, 아가리 쿠스,영지버섯, 동충하초,운지버섯, 상황버섯,포고버섯 등)의 균사(菌絲)를 고밀도 배양시켜, 균사와 배지를 주식(主食) 또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식용(食用)되고 있는 버섯균사체곡물(버섯균사체쌀,버섯균사체보리,버섯균사체수수,버섯균사체조,버섯균사체콩, 등)배양에 필요한 접종원(균주)으로 사용될 버섯종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종균(種菌)이라 함은 버섯 자실체(字實體) 생산을 전제(前提)로 하여 균사체(菌絲體) 가 아닌, 자실체(字實體)를 식용(食用)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이 먹을 수 없는 고체 또는 액체 재료("예" 볏집, 폐면, 톱밥,칙밥, 화학적혼합수 등)를 주(主) 배지로하여 곡립배지,톱밥배지 종균(種菌)을 만들고, 완성된 종균을 접종원으로하여, 다량의 또다른 고체를 주 재료로하여 식용할 수 없도록 만들어진 배지에 종균를 접종(接種)하여, 균사체를 증식시킨 다음 여기서 발생되는 자실체(字實體)를 생산하여, 그 자실체를 식용하기 위한 균사의 이동 및 보관,증식수단으로만 이용되어져 왔을 뿐, 균사와 배지 자체를 식용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그 제조 공정을 또한 살펴 보면,
1) 톱밥배지종균
나무의 톱밥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수분 함량을 70~80%로 조절한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병 및 P.P종균병에 일정량을 넣고,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종균병 꾸껑으로 입구를 막은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 다음 단계의 종균 제조 공정을 거처 버섯 종균을 완성하고, 완성된 종균을 식용할 수 없는 배지에 버섯 자실체 생산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나무의 톱밥을 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종균이며,
2)밀 배지종균
곡물(穀物)중에 밀을 1차로 끊는 물에 침지 하거나 수증기로 쪄서 수분 함량을 45~60%로 조절한 다음 유리 수분 제거후 곡립의 결착을 방지하여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는 식용할 수 없는 석고(CaSo4)를 배지 무개의 0.6~3%를 첨가하고 배지의 산도(PH)가 6.0~7.0이 되도록 탄산석회(CaCO3)를 석고(CaSo4) 투입량의 50%정도로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균병에 일정량을 넣고,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종균병 꾸껑으로 입구를 막은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 다음 단계의 종균 제조 공정을 거처 버섯 종균을 완성하고, 완성된 종균을 식용할 수 없는 배지에 버섯 자실체 생산만을 목적으로 하여, 종균을 접종하고 이를 배양한 후 버섯 자실체를 생산하여 그 자실체만를 식용(食用)으로 함, 또한 이는 곡립(穀粒)의 결착 방지 및 산도(PH)를 맞추기 위해 곡물(穀物)에 첨가되는, 석고(CaSo4)와 탄산석회(CaCO3)로 인하여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식균류(食菌類)의 균사체(菌絲體)를 곡물(穀物)에 증식 시키기 위한 접종원으로 사용될 수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종균이라 하면 종균 그 자체를 식용할 수 없고, 또한 식용할 수 없는 고체 또는 액체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2차로 균사를 배양하여 그곳에서 발생되는 버섯자실체를 생산하기 위한 접종원 또는 균주로 쓰일 종균으로만 이용 되어져 왔다.
3)액체배지 종균
일반 증류수에 균사번식이 용이한 여러 혼합 시약(감자, 설탕, 포도당, 비타민C, Dextrose등)을 첨가 하여 살균처리한 액체 상태의 배지(P.D.A / P.S.A /M.C.M /M.M.M /Y.M 배지/맥아배지 등)에 균사를 액체 상태로 증식시켜 종균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는 식용이 가능하나 종균의 보관성이 없어 배양 완료 후 1주일 이상을 가지 못하기 때문에 균사의 이동과 증식수단에만 쓰일뿐, 일반 가정에서의 식용균사체곡물 제조에 필요한 균주의 공급에 따른 시차의 보관성에 하자가 있어 버섯균사체 제조 공장에서만 자가생산하여 균사의 이동,증식수단 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의 수단을 충족할 수 있는 곡물(穀物)을 이용한 먹을 수 있는 종균(種菌)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배지(재료)
식용(食用)이 가능한 곡물(穀物)(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재료(材料)로 한다.
2)제 1 공정 (배지 제조 공정 )
선택된 곡물(穀物)에 포함 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위생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깨끗한 물에 여러번 씻은 다음 끊는 물에 침지하거나 수증기로 쪄서 수분함량을 50~70%로 조절한 다음 선풍기등을 이용하여 유리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병이나 P.P병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雜菌)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 뚜껑으로 입구를 막고, 살균기(殺菌器) 속에 넣어, 살균기(殺菌器) 안의 내부(內部) 온도 및 배지 온도가 섭씨 121도에 도달 되도록 온도를 가하여 20분 이상 이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다시 꺼내어 청결하게 소독된 냉각실로 옮겨 서서히 식혀서 배지 온도가 섭씨 25도 이하가 되도록 냉각 시킨 후 무균실(無菌室) 또는 무균상(Clean bench) 안에서 증류수와 식용(食用)할 수 있는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식용가능한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원균액(균주)을 주입시켜 균사 접종을 완료 한다.
3)제 2공정 (종균 배양공정)
균사 접종이 완료된 종균병을 섭씨 20도에서 섭씨 30도까지 임의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 균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10일에서 20일간 균사를 배양시켜 식용가능한종균 제조를 완성 한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도 버섯균사체곡물(쌀,보리,조,수수,콩등)을 직접 배양, 생산하여 균사와 배지를 같이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제공을 목적으로, 먹을 수있는 버섯균사체곡물 제조시 반드시 필요한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에 대한 수단이 없어 일반 가정에서의 버섯균사체곡물 제조가 불가능 하였으나, 이를 가능토록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균사체 곡물을 손쉽게 식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먼저 기존의 버섯종균의 정의와 쓰임을 살펴보면, 식균류의 증식과 증식된 균사와 배지를 식용하기 위함이 아니라, 버섯자실체 재배를 통하여 버섯을 수확하기 위한 버섯재배용으로 쓰였기 때문에 균사 배양시 필요한 배지의 선택 및 제조 과정에 있어 식용할 수 없는 고체의 나무 톱밥을 주 재료로 하였거나, 곡물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곡물의 결착방지와 산도(PH)조절로 물리적 성질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여, 석고(CaSo4)와 탄산석회(CaCO3)의 혼합(混合)으로 종균 그 자체를 식용할 수 없어, 버섯균사체를 고농도 배양시킨 버섯균사체곡물 제조에 접종원으로 쓰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버섯 자실체(字實體) 생산을 목적으로 하고 그자실체만를 식용하기 위한 배지에 접종원으로 쓰이는 종균이 아니라, 버섯균사체곡물 생산 공장 및 일반 가정에서 누구나 쉽게 버섯균사체곡물( 버섯균사체백미쌀,버섯균사체현미쌀, 버섯균사체보리쌀, 버섯균사체조,버섯균사체수수,버섯균사체콩 등) 일명 버섯쌀 제조시 균사의 이동, 보관, 증식에 필요한 접종원으로 유통되어 쓰일 수 있도록하는 식용버섯종균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곡물을 이용한 먹을 수 있는 버섯종균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배지(재료)
식용(食用)이 가능한 곡물(穀物)(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재료로 한다.
2)제 1 공정 (배지 제조 공정 )
선택된 곡물(穀物)에 포함 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위생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깨끗한 물에 여러번 씻은 다음 끊는 물에 침지하거나 수증기로 쪄서 수분함량을 50~70%로 조절한 다음 선풍기등을 이용하여 유리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병이나 P.P병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뚜껑으로 입구를 막고, 살균기 속에 넣어, 살균기 안의 내부 온도 및 배지 온도가 섭씨 121도에 도달 되도록 온도를 가하여 20분 이상 이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음 다시 꺼내어 청결하게 소독된 냉각실로 옮겨 서서히 식혀서 배지 온도가 25도 이하가 되도록 냉각 시킨 후 무균실 또는 무균상(Clean bench) 안에서 증류수와 식용할 수 있는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식용가능한 액체배지(P.D.A / P.S.A /M.C.M /M.M.M /Y.M 배지/맥아배지 등)에 배양된 균사액(균주)을 주입시켜 종균 접종을 완료 한다.
3)제 2공정 (종균 배양공정)
균사 접종이 완료된 종균병을 섭시 20도에서 섭시 30도까지 임의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서 균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10일에서 20일간 균사를 배양시켜 보관성이 뛰어난 식용가능한종균 제조를 완성하여 일반 가정에서 버섯균사체곡물을 직접 배양하여, 그 곡물을 식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접종원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수단으로서의 종균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용할 수도 없고, 또한 버섯 자실체 생산만을 위한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수단에 제공되고 있는 종균이 아니라, 균사체(菌絲體)및 배지 자체(自體)로의 식용(食用)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이 주식(主食)으로 하는 곡물(穀物)(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배지 재료로 하여, 사람이 먹을 수있는 식균류(食菌類)(느타리버섯,송이 버섯,양송이 버섯, 아가리 쿠스,영지버섯, 동충하초,운지버섯, 상황버섯,포고버섯 등)의 균사(菌絲)를 고밀도 배양시킨 버섯균사체곡물(버섯균사체쌀,버섯균사체보리,버섯균사체수수,버섯균사체조,버섯균사체콩,등)제조에 필요한 접종원(균주)으로 사용될 식용버섯종균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 손수 버섯균사체곡물(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생산하여 식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접종원으로 쓰일 균사의 이동,보관,증식 수단으로의 공급이 가능하여, 일반가정에서도 저 비용으로 버섯균사체곡물(버섯균사체백미쌀,버섯균사체현미쌀, 버섯균사체보리쌀, 버섯균사체조,버섯균사체수수,버섯균사체콩, 등)일명 버섯쌀을 손쉽게 배양하여 식용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식용이 가능한 곡물(쌀,보리,밀,수수,조,콩 등)을 배지 재료로 하여 곡물에 포함 되어 있는 유지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위생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깨끗한 물에 씻은 다음 끊는 물에 침지하거나 수증기로 쪄서 수분함량을 50~70%로 조절한 다음 선풍기등을 이용하여 유리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병이나 P.P병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미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잡균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균병 뚜껑으로 입구를 막고, 살균기 속에 넣어, 살균기 안의 내부 온도 및 배지 온도가 섭씨 121도에 도달 되도록 온도를 가하여 20분 이상 이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다시 꺼내어 청결하게 소독된 냉각실로 옮겨 서서히 식혀 배지 온도가 섭씨 25도 이하가 되도록 한 다음, 무균실 또는 무균상(Clean bench) 안에서 증류수와 식용할 수 있는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식용가능한 액체배지(P.D.A / P.S.A /M.C.M /M.M.M /Y.M 배지/맥아배지 등)에 배양된 원균액(균주)을 주입시켜 균사 접종을 완료 한 다음 접종된 종균병을 섭씨 20도에서 섭씨 30도까지 임의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 균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10일이상 균사를 배양시켜 버섯균사체곡물(버섯균사체백미쌀,버섯균사체현미쌀, 버섯균사체보리쌀, 버섯균사체조,버섯균사체수수,버섯균사체콩, 등)제조시 균사의 이동,보관,증식의 수단으로 이용될 종균으로 종균의 균사 및 배지자체를 식용할 수 있도록한 식용버섯종균 제조 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배양 완성된 식용버섯종균을 균주로 이용하여 계대 배양(1대/2대/3대/ 4대배양 등) 방법으로 증식하는 식용버섯종균 제조 방법
KR1020010025059A 2001-05-09 2001-05-09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KR20020085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059A KR20020085517A (ko) 2001-05-09 2001-05-09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059A KR20020085517A (ko) 2001-05-09 2001-05-09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517A true KR20020085517A (ko) 2002-11-16

Family

ID=2770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059A KR20020085517A (ko) 2001-05-09 2001-05-09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51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864A (ko) * 2002-04-12 2002-12-31 이광현 버섯균 또는 곰팡이균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20030032678A (ko) * 2001-10-19 2003-04-26 김안식 곡립종균을 이용한 인삼 상황버섯 재배방법
KR20040019583A (ko) * 2002-08-28 2004-03-06 류충현 곡물버섯의 제조방법
KR100462497B1 (ko) * 2002-02-22 2004-12-17 주식회사 덕승바이오 약용버섯류(동충하초, 상황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한기능성 쌀의 생산방법
KR100889930B1 (ko) * 2008-08-27 2009-03-24 이태봉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0407B1 (ko) * 2003-12-12 2009-06-02 광동제약 주식회사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의 배양 방법
KR101160069B1 (ko) * 2011-02-08 2012-06-26 팜스코리아영농조합법인 코디세핀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생산방법
CN104757519A (zh) * 2015-03-27 2015-07-08 林静 一种糖醋香菇的加工方法
CN104783149A (zh) * 2015-03-27 2015-07-22 林静 一种糖醋羊肚菌的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325A (ja) * 1990-04-16 1991-12-27 Shigeaki Mori 食用茸の菌糸を増殖熟成してなる培地食品
KR100189514B1 (ko) * 1996-12-03 1999-06-01 김신일 곡류배지를 이용한 버섯균사체의 대량증식방법
KR20000018859A (ko) * 1998-09-03 2000-04-06 하상오 담자균 배양 곡물을 이용한 취반 제조법
KR20020027970A (ko) * 2000-10-06 2002-04-15 송재만 곡물을 이용한 버섯균사체의 배양방법 및 그 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325A (ja) * 1990-04-16 1991-12-27 Shigeaki Mori 食用茸の菌糸を増殖熟成してなる培地食品
KR100189514B1 (ko) * 1996-12-03 1999-06-01 김신일 곡류배지를 이용한 버섯균사체의 대량증식방법
KR20000018859A (ko) * 1998-09-03 2000-04-06 하상오 담자균 배양 곡물을 이용한 취반 제조법
KR20020027970A (ko) * 2000-10-06 2002-04-15 송재만 곡물을 이용한 버섯균사체의 배양방법 및 그 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678A (ko) * 2001-10-19 2003-04-26 김안식 곡립종균을 이용한 인삼 상황버섯 재배방법
KR100462497B1 (ko) * 2002-02-22 2004-12-17 주식회사 덕승바이오 약용버섯류(동충하초, 상황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한기능성 쌀의 생산방법
KR20020096864A (ko) * 2002-04-12 2002-12-31 이광현 버섯균 또는 곰팡이균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20040019583A (ko) * 2002-08-28 2004-03-06 류충현 곡물버섯의 제조방법
KR100900407B1 (ko) * 2003-12-12 2009-06-02 광동제약 주식회사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의 배양 방법
KR100889930B1 (ko) * 2008-08-27 2009-03-24 이태봉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0069B1 (ko) * 2011-02-08 2012-06-26 팜스코리아영농조합법인 코디세핀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생산방법
CN104757519A (zh) * 2015-03-27 2015-07-08 林静 一种糖醋香菇的加工方法
CN104783149A (zh) * 2015-03-27 2015-07-22 林静 一种糖醋羊肚菌的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3265B (zh) 纯天然酵母粉
CN105532266B (zh) 一种鸡枞菌栽培方法
KR101050856B1 (ko) 버섯균사체곡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798057B (zh) 一种银耳培养基及其栽培方法
CN104938211A (zh) 一种香菇优质高产栽培方法
CN102907626A (zh) 一种脱水丹贝的制作方法
CN102577840A (zh) 一种使用醋糟栽培食用菌的方法
CN104641929A (zh) 一种羊肚菌的人工高产栽培方法
CN105453894A (zh) 一种瓶载金针菇高产的方法
CN109337895A (zh) 一种优质高产富硒猴头菇菌种的生产方法
CN110521491A (zh) 一种真姬菇优质栽培方法
CN104119126A (zh) 金针菇培养基的生产工艺
CN103503694A (zh) 一种棕色金针菇的栽培方法
CN106810325A (zh) 一种杏鲍菇的栽培方法
CN103283608A (zh) 一种金针菇工厂化栽培菌种及其栽培方法
KR20020085517A (ko) 곡물을 이용한 식용버섯종균 제조방법
CN106922392A (zh) 一种富硒姬菇的培养料及富硒姬菇的培养方法
CN107586725A (zh) 一种冬虫夏草液体培养基及利用培养基培养冬虫夏草的方法
CN103918481B (zh) 黄伞液体菌种拌菌栽培工艺
CN106489520A (zh) 一种采用绵竹竹屑培养食用菌菌种的方法
KR20070008381A (ko) 인삼 성분이 함유된 새송이 버섯의 재배방법
CN106212051A (zh) 一种香菇的定向出菇栽培方法
CN109417998A (zh) 鸡枞菌栽培方法
CN110367492A (zh) 一种能抑制霉斑白膜的酸豇豆腌制方法
CN108514073A (zh) 一种添加菌类培养液制备天然保鲜营养湿米粉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