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101A -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101A
KR20020084101A KR1020027009543A KR20027009543A KR20020084101A KR 20020084101 A KR20020084101 A KR 20020084101A KR 1020027009543 A KR1020027009543 A KR 1020027009543A KR 20027009543 A KR20027009543 A KR 20027009543A KR 20020084101 A KR20020084101 A KR 2002008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rse
front wheels
hydraulic
control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015B1 (ko
Inventor
엔메이지요시유키
니시카와타케시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6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91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5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2341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0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with different steering modes, e.g. crab-steering, or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트래버스 주행으로 전환할 때, 전환밸브 수단(53)을 전환하여, 유압펌프(41)로부터의 유압의 전유량을 플로 디바이더(55)에 보내고, 플로 디바이더에 의해 유량제어하여, 일정 유량의 압유를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56)로 흐르게 한다. 제어밸브에서는, 조향에 필요한 압유만 제어하여 유압작동장치로 흐르게 하고, 유압작동장치(33)를 작동시켜 양쪽 선회부재(35)를 종축심(3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양쪽 전차륜(3)ㅇ르 90도 상태로 조향시킨다. 양쪽 전차륜을 조향시킨 뒤, 양쪽 전차륜을 제어회전함으로써 좌우로 트래버스 주행할 수 있다. 트래버스 모드시에, 유압작동장치를 조금 작동시켜, 양쪽 전차륜을 내향이나 외향으로 적은 각도로 조향시킴으로써, 노면상황이나 중량 밸런스로부터 오는 직진성의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플로 디바이더에 의해, 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 유량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압유를 제어밸브에 흐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WORKING VEHICLE WITH TRAVERSE SYSTEM}
종래,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으로서, 대형 운반차, 일부 로더(loader) 등이 알려져 있고, 포크리프트(forklift)에 있어서는 리치식(reach style) 전기차가 존재한다. 또한, 차량의 이동에 대해 마스트(mast)나 포크(fork)가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가 긴 물체를 취급하는 사이드 포크리프트(side forklift)가 있다. 그러나, 카운터 밸런스식(counter balance type)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통상의 작업에 더해 트래버스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측면 포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크리프트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륜인 전차륜을 횡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종해야 한다.
즉,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포크리프트(1)는, 그 차체(2)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구동륜)(3)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조향륜)(4)이 설치되고, 그리하여 차체(2)의 전방부에서 상방으로는 운전석(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2)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마스트(6)가, 차폭방향의 연결축(7)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는 동시에, 전후 선회를 행하는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8)가, 차체(2)와 마스트(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스트(6)는, 포크리프트(1)측의 좌우 한 쌍의 외부프레임(9)과, 이 외부프레임(9)에 안내되어 승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내부프레임(10)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외부프레임(9)과 내부프레임(10) 사이에 리프트 실린더(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10)측에 안내되어 승강 가능한 리프트 브라켓(lift bracket)(12)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리프트 브라켓(12)에 상하 한 쌍의 핑거 바(finger bar)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포크(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5)에는, 좌석(15)이나, 이 좌석(15)의 전방에 위치한 핸들(steering wheel) 등이 설치되고, 그리고 상방에는, 본체(2)측으로부터 직립한 전방 파이프(17)나 후방 파이프(18)를 통해 헤드 가드(headguard)(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석(15)의 후방에서 본체(2) 상에는 평형추(counterweight)(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크리프트(1)에는, 좌우의 전차륜(3)이 공통의 주행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이들 전차륜(3)을 횡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종할 수 없고, 따라서, 트래버스 주행은 행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트래버스 주행으로 전환될 수 있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전차륜 부분의 일부 절단 배면도;
도 3은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에 대한 통상 주행시의 계통 설명도;
도 4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에 대한 트래버스 주행시의 계통 설명도;
도 5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통상 주행시의 개략 평면도;
도 6은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트래버스 주행시의 개략 평면도;
도 7a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트래버스 주행 조정시의 개략 평면도;
도 7b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의 트래버스 주행 조정시의 개략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의 통상주행시의 측면도;
도 9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의 통상 주행시의 설명도;
도 10은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의 트래버스 주행시의설명도;
도 11은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에 대한 아암레스트 부분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 12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에 대한 그래프 설명도;
도 13a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의 트래버스 주행 조정시의개략 평면도;
도 13b는 동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포크리프트의 트래버스 주행 조정시의 개략 평면도; 및
도 14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포크리프트의 측면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동식의 전차륜을 횡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종할 수 있고, 또한, 트래버스 주행시에는, 직진성의 보조(assist), 및 차체(차량)의 방향 변경 등의 자세 제어를 일정 속도로 행하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하는 바는, 구동식의 전차륜을 횡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종할 수 있고, 또한, 전차륜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은, 차체에 전차륜과 후차륜이 각각 조향(steering)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전차륜은 좌우 한 쌍으로, 각각 주행구동장치측의 구동축에 연동연결되고, 양쪽 주행구동장치는, 차체측에 대해 종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swing member)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선회부재의 회전을 행하게 하는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은, 유압작동장치에 의해 양쪽 선회부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유압펌프와 작업용 제어밸브의 배관 사이에 전환밸브 수단(switching valve mean)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전환밸브 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측의 배관은, 플로 디바이더(flow divider)를 통해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통상 주행 시에 전환밸브 수단은 일방향 전환 상태이고,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pressure oil)의 전유량(full flow)을 작업용 제어밸브로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작동장치는 중립위치에서, 좌우의 전차륜을 전후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러한 작업차량은 전후로 주행 이동할 수 있고, 그리하여, 작업용 제어밸브를 통해 다양한 작업부를 작동할 수 있다.
통상 주행시로부터 트래버스 주행으로 전환할 때, 전환밸브 수단을 다른 방향 전환 상태로 함으로써,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의 전유량을 플로 디바이더로 보내고, 그리하여, 플로 디바이더에 의해 유량 제어하여, 일정 유량의 압유를 유압작동장치용 제어 밸브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유압작동장치용 제어 밸브에는, 조향에 필요한 압유만 제어하여 유압작동장치로 흐르고, 이로 인해 유압작동장치를 일방향으로 작동시켜, 양쪽 선회부재를 종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양쪽 전차륜을 차체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횡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다. 여기서 양쪽 전차륜은, 각각 주행구동장치와 일체이기 때문에, 그 90도 상태의 조향은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양쪽 전차륜을 횡방향으로 조향한 뒤, 주행 구동 장치에 의해 양쪽 전차륜을 서로 역방향으로 제어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차량을 좌우로 트래버스 주행시킬 수 있고, 그 때 후차륜을, 선회 캐스터 형식(turning castor system)에 의한 추종조향(follow-up steering), 또는 전차륜과 마찬가지로 하여 강제적으로 조향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주행을 행할 때, 즉, 양쪽 전차륜을 차체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시킨 트래버스 모드(mode)시에, 유압 작동 장치를 조금 작동시켜, 양쪽 전차륜을 내향이나 외향으로 적은 각도로 조향시킴으로써, 노면상황이나 중량 밸런스(전후의 부하변동)으로부터 오는 직진성의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양쪽 전차륜을 내외로 조향시킴으로써, 트래버스 주행시에 작업차량의 방향을 다소 바꾸거나, 트래버스 주행시에 선회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로 디바이더에 의해,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유량에 관계없이,일정량의 압유를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로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양쪽 전차륜의 조향이나 트래버스 주행시의 자세 제어(직진성 보정)를, 항상 일정 속도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트래버스 시스템을 자긴 작업차량은,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 상태로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주행 구동 장치 측의 구동축에 연동연결되고, 양쪽 주행 구동 장치는, 차체측에 대해 종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을 행하게 하는 회전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수단은, 트래버스 전환 레버에 의해 밸브 제어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밸브를 통해 신축되는 선회용 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트래버스 전환 레버와는 별도로, 설정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트래버스 제어 레버가 설치되고,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의 틸트위치(tilt location) 검출수단과 전차륜의 조향각(steering angle)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이들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값이 상기 밸브 제어장치에 입력되는 동시에, 이 밸브 제어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어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트래버스 주행을 행할 때는, 트래버스 제어 레버를, 일방측으로 조금 기울여서(틸팅하여) 선회용 실린더를 조금 수축시키고, 양쪽 전차륜을 외향(조향을 더 행한 상태)으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래버스 주행시에 대한 노면 상황이나 중량 밸런스(전후의 부하변동)으로부터 오는 직진성의 오차를 보정하면서, 트래버스 주행할 수있다. 그리하여, 트래버스 주행의 상태로 말단추종(rear end following up) 선회 방향으로의 주행을 행할 때, 트래버스 제어 레버를 더욱 기울여서, 전차륜의 외향 상태를 크게 한다. 또한, 트래버스 주행의 상태로 전단추종(front end following up) 선회방향으로의 주행을 행할 때, 양쪽 전차륜을 내향(조향을 조금 되돌린 상태)으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래버스 제어 레버를 기울여 선회용 실린더를 신축시킬 때,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의 틸트위치(틸트각)를 틸트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동시에, 전차륜의 조향각(조향량)을 조향각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들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값 신호를 밸브 제어장치로 입력한다. 그리하여, 밸브 제어장치에서는, 양쪽 검출값 신호의 오차를 확인하고, 트래버스 제어 레버의 틸트각으로 전차륜의 조향각을 대응(일치)시키도록 제어 밸브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설정 범위 내에서 조작함으로써, 최대 틸트 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트래버스 제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선회용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전차륜의 각도를 조정할 때, 선회용 실린더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이로써, 전차륜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희망하는 각도로 멈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예(도 14)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참조부호 1은 작업차량의 일례인 포크리프트, 참조부호 2는 차체, 참조부호 3은 전차륜(구동륜), 참조부호 4는 후차륜(조향륜), 참조부호 5는 운전석, 참조부호 6은 마스트, 참조부호 7은 연결축, 참조부호 8은 틸트 실린더, 참조부호 9는 외부프레임, 참조부호 10은 내부프레임, 참조부호 11은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 참조부호 12는 리프트 브라켓(lift bracket), 참조부호 13은 포크(fork), 참조부호 15는 좌석, 참조부호 16은 핸들, 참조부호 17은 전방 파이프, 참조부호 18은 후방 파이프, 참조부호 19는 헤드가드, 및 참조부호 20은 평형추를 각각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각각 차체(2)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 가능(횡방향으로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그 림(rim)(3A)이 각각 유압모터(주행구동장치의 일례)(21)의 회전 플랜지(flange)(구동축의 일례)(22)에 연결기(connector)(23)를 통해 직접 장착됨으로써, 유압모터(21)측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유압모터(21)의 장착은, 역 L자 형상의 선회부재(24)에 대한 종판부분(vertical plate portion)에 가로방향으로 장착되고, 또한 선회부재(24)에 대한 횡판부분(horizontal plate portion)은, 베어링(25)와 종축(vertical axle)(26)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해 종축심(vertical axis)(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 종축심(27)은, 전차륜(3)의 바로 위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부재(24)의 회전을 행하게 하는 회전 수단(30)이 설치되고, 이 회전 수단(30)은, 공통의 유압작동장치에 의해 양쪽 선회 부재(24)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양쪽 선회부재(24)에 대한 횡판부분에는, 각각 종핀(vertical pin)(31)이 설치되고, 이 때 양쪽 종핀(31)은, 종축심(27)에 대해 서로 전후방향의 역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폭 방향의 링크(link)(32)가 설치되고, 이 링크(32)의 양단은 상기 종핀(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32)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회용 실린더(유압작동장치의 일례)(33)가 차폭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실린더 본체가 본체(2)의 한 쪽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piston rod)가 다른 쪽의 선회부재(24)로부터 연결 설치된 브라켓(34)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31∼34 등에 의해 회전 수단(rotating mean)(30)의 일례가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그 림(4A)이 각각 선회부재(35)에 대한 종판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회부재(35)에 대한 횡판부분은, 베어링(36)과 종축(37)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해 종축심(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 종축심(38)은, 후차륜(4)의 바로 위 부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선회 캐스터 형식에 의해 추종조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엔진(40)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엔진(40)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유압펌프(41)와, 1 개의 유압펌프(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개의 유압모터(21)에 각각 유압펌프(41)가 대응되도록, 즉, 2펌프 2모터식의 유압구동 시스템(HST시스템)이 되도록, 대응하는 유압펌프(41)와 유압모터(21)가 배관(유압호스 등)(42)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펌프(50)는, 틸트 실린더(8)나 리프트 실린더(11) 등을 제어하는 작업용 제어밸브(51)에 배관(52)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52)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전환밸브 수단의 일례)(53)가 설치되고,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53)에 의해 전환되는 측의 배관(54)은, 플로 디바이더(55)를 통해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5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로 디바이더(55)에서의 과잉유량을 흐르게 하는 리턴 배관(return piping)(57)은, 상기 작업용 제어밸브(51)로의 배관(52)에 합류되고, 리턴 배관(57)에는 역류방지밸브(anti reverse back-flow valve)(58)가 구비되어 있다. 참조부호 59는 탱크(tank)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 제 1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3이나 도 4의 실선, 및 도 5는 통상 주행시를 나타낸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53)는 off상태이고, 유압펌프(50)로부터의 압유는 전유량이 배관(52)을 통해 작업용 제어밸브(51)로 흐른다. 그리고, 선회용 실린더(33)는 중앙위치로 되고, 링크(32)가 중앙으로 이동되어,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으로 향한다. 이러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주행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하고, 작업용 제어밸브(51)를 통해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 브라켓(12) 등을 통해 포크(13)를, 마스트(6)를 따라 승강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기의 포크 작업을 행한다. 또한, 틸트용 레버를 조작하고, 작업용 제어밸브(51)를 통해 틸트 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스트(6)를 연결축(7)을 중심으로 회전(틸트)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프트 브라켓(12) 등을 통해 포크(13)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상주행시로부터 트래버스 주행으로의 전환시, 우선 레버식의 트래버스 모드 스위치(도시 안됨)를 조작하고, 솔레노이드 밸브(53)에 신호를 주어,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상태로 전환한다. 이로 인해, 유압펌프(50)로부터의 압유는 전유량이 배관(54)을 통해 플로 디바이더(55)로 보내진다. 그리고 압유는, 플로 디바이더(55)에 의해 유량제어되고, 이로써, 일정 유량의 압유가 배관(54)을 통해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56)으로 흐른다. 또한, 플로 디바이더(55)로 유량제어된 압유 이외의 과잉유량은, 리턴 배관(57)을 통해 작업용 제어밸브(51)로 흐른다.
상기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56)에는, 조향에 필요한 압유만 제어레버로 제어되어 선회용 실린더(33)로 흐른다. 이로 인해, 가령, 선회용 실린더(33)를 수축시키고, 링크(32)의 이동에 따라, 선회부재(24)를 종축심(27)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에 대해 링크(32)가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도 2, 도 3이나 도 4의 가상선,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선회부재(24)는 종축심(27)을 중심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써, 양쪽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횡방향 상태로 조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차륜(3)은, 각각 유압모터(21)와 일체이기 때문에, 이 90도 상태의 조향은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해지고, 또한, 종축심(27)이 전차륜(3)의 바로 위 부분에 위치되기 때문에, 전차륜(3) 등은 소형으로 되어 90도 상태의 조향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전차륜(3)의 조향을 행한 것, 즉, 전차륜(3)이 횡방향 상태로 조향된 것을 감지기로 감지하여, 표시기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로 인해 트래버스 모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40)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유압펌프(41)로부터의 유압을, 운전석(5)에 대한 정ㆍ역제어(to-and-fro control)에 의해, 대응하는 유압모터(21)에 배관(42)을 통해 곰급함으로써, 전차륜(3)을 정ㆍ역으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트래버스 주행시킬 수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에 대응되는 유압모터(21)는, 그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선회 캐스터 형식인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종축심(38)을 중심으로 추종조향된다.
이러한 트래버스 주행을 행할 때, 즉, 양쪽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횡방향으로 조향)시킨 트래버스 모드시에, 선회용 실린더(33)를 조금 신장시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전차륜(3)을 내향(조향을 조금 되돌린 상태)으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시키기도 하고, 또한, 선회용 실린더(33)를 조금 수축시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전차륜(3)을 외향(조향을 더 행한 상태)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시킨다. 이로 인해, 트래버스 주행에 대한 노면상황이나 중량 밸런스(전후의 부하변동)로부터 오는 직진성의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전차륜(3)을 적은 각도(5도 범위)로 내외로 조향시킴으로써, 트래버스 주행시에 포크리프트(1)의 방향을 다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조상 가능하다면, 양쪽 전차륜(3)의 조향각도를 5도 이상으로 크게 취함으로써, 트래버스 주행시의 선회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 디바이더(55)에 의해, 엔진(40)의 회전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압유가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56)로 흐르기 때문에, 전차륜(3)의 조향이나 트래버스 주행시의 자세제어(직진성 보정)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가령, 저속으로 트래버스 주행을 할 경우, 가속페달(accelerator pedal)이 약간 눌려지고 엔진 회전수는 낮지만, 자세제어는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엔진 회전수를 최대로 올려도, 급격하게 조향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트래버스 주행을 행함으로써, 가령, 길이가 긴 물건의 운반을, 포크(13)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포크리프트(1)의 구동형식으로서, 2펌프 2모터 형식의 유압구동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상술한 통상주행시에 대한 선회는, 전차륜(3)의 회전방향, 회전수 차이를 핸들로 조종했지만, 트래버스 주행을 행할 때는, 이 선회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정지시킨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53)이 예시되었지만, 이는 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전환되는 밸브 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이 예시되었지만, 이는 차폭 중앙부분의 한 곳에, 좌우 대칭으로 병렬의 후차륜(4)이 설치된 형식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 8∼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시예(도 1∼도 7)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운전석(5)의 전방 가드부(front guard area)에는 트래버스 전환 레버(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 전환 레버(60)는, 좌우 방향의 지지축(supporting axis)(61)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틸트(tilt)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립위치로부터 틸트시킴으로써, 하부의 조작체(operating body)(62)가 트래버스 모드 스위치(63)를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 모드 스위치(63)는 밸브 제어장치(7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5)에는, 핸들(16) 부근에 위치하여 아암레스트(armrest)(70)가 설치되고, 이 아암레스트(70)에는,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용레버(71)나, 틸트 실린더(8)를 작동시키기 위한 틸트용 레버(7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선회용 실린더(33)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래버스 제어 레버(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73)는, 좌우방향의 지지축(74)을 통해 전후로 틸트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때, 아암레스트(70)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길이(100mm정도)(L)의 가이드홈(70A)이 형성됨으로써, 전후 최대 틸트 각도(±15°)가 설정범위 내로 되도록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트래버스 제어 레버(73) 부분에는,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73)의 틸트위치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트래버스 제어 레버(73) 또는 지지축(74)에 대향되어, 트래버스 제어 레버(73)의 틸트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틸트위치 검출 감지기(틸트위치 검출수단의 일례)(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차륜(3) 부분에는, 이 전차륜(3)의 조향각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가령, 종축(26) 부분에는, 이 종축(26)의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각(꺾인각)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 감지기(tilt volume sensor)(조향각 검출수단의 일례)(7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틸트위치 검출 감지기(75)와 회전량 검출 감지기(76)는 상기 밸브 제어장치(77)에 접속되고, 또한, 밸브 제어장치(77)는, 상기 선회용 실린더(33)로의 배관(78) 사이에 설치된 제어밸브(79)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 2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의 실선이나 도 9는 통상주행시를 나타낸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으로 향해있고, 그리고 트래버스 전환 레버(60)나 트래버스 제어 레버(73)도, 도 9,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립위치로 된다. 이러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속(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작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71)를 조작하고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킴으로써, 포크(13)를 마스트(6)를 따라 승강시켜 소기의 포크 작업을 행한다. 또한, 틸트용 레버(72)를 조작하고 틸트 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스트(6)를 연결축(7)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포크(13)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상주행시로부터 트래버스 주행으로 전환할 때, 우선 트래버스 전환 레버(60)를 조작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62)에 의해 트래버스 모드 스위치(63)를 on상태로 한다. 이로 인해, 트래버스 모드 스위치(63)의 on신호를 밸브 제어장치(77)로 입력시키고, 밸브 제어장치(77)로부터 제어밸브(79)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선회용 실린더(33)를 신축시킨다. 이 선회용 실린더(33)의 신축에 의해 선회부재(24)를 종축심(27)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이로써, 도 8의 가상선,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이렇게 하여 전차륜(3)이 횡방향 상태로 조향된 것을 감지기로 감지하여,표시기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로 인해 트래버스 모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압펌프(41)로부터의 유압을 유압모터(21)에 공급함으로써, 전차륜(3)을 정ㆍ역으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트래버스 주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트래버스 주행을 행할 때, 즉, 양쪽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해 90도 상태로 조향(횡방향으로 조향)시킨 트래버스 모드시에는, 부하시와 무부하시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후차륜(4)이 저항으로 되어, 도 10에 있어서 전방선회방향(front spinning direction)(A)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때 트래버스 제어 레버(73)를, 도 11의 가상선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조금 기울여서 선회용 실린더(33)를 조금 수축시키고, 도 13a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전차륜(3)을 외향(조향을 더 행한 상태)으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시킨다. 이로 인해, 트래버스 주행시에 대한 노면 상황이나 중량 밸런스(전후의 부하변동)으로부터 오는 직진성의 오차를 보정하면서, 트래버스 주행, 즉, 횡방향(B)으로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버스 주행 상태에서 후방선회방향(rear spinning direction)(C)으로의 주행을 행할 때는, 트래버스 제어 레버(53)를 더 앞쪽으로 기울여서, 도 13a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차륜(3)의 외향 상태를 크게 한다. 또한, 후차륜(4)의 부하상태에 따라, 전차륜(3)의 외향상태는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트래버스 주행 상태에서 전방선회방향(A)으로의 주행을 행할 때는, 도 11의 가상선 Y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53)를 뒤쪽으로 기울여서, 선회용 실린더(33)를 조금 신장시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전차륜(3)을 내향(조향을 조금 되돌린 상태)으로 적은 각도(5도 범위)로 조향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60)를 전후로 기울여서 선회용 실린더(33)를 신축시킬 때,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60)의 틸트위치(틸트각)를 틸트위치검출 감지기(75)에 의해 검출하는 동시에, 전차륜(3)의 조향각(조향량)을 회전량 검출 감지기(76)에 의해 검출하고, 이들 검출 감지기(75, 76)에 의한 검출값 신호를 밸브 제어장치(77)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밸브 제어장치(77)에서는, 도 12에 기초하여, 양쪽 검출값 신호의 차이가 확인되고, 트래버스 제어 레버(73)의 틸트각에 전차륜(3)의 틸트각이 대응(일치)하도록, 제어밸브(79)에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이로써, 선회용 실린더(33)를 신축시킨다. 또한, 제어밸브(79)로의 제어신호의 출력은, 양쪽 검출신호의 차이가 20% 이상일 때는 최대출력, 20% 이하일 때는 출력의 절반을 내도록 한다. 따라서, 트래버스 제어 레버(73)는, 그 전후의 최대 틸트각도가 가이드홈(70A)에 의해 규제된다. 즉, 설정범위내에서 조작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트래버스 제어 레버(73)의 조작에 의해, 선회용 실린더(33)를 작동시키고, 전차륜(3)의 각도를 조정할 때, 선회용 실린더(33)는 정확하게 작동하여, 이로써, 전차륜(3)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희망하는 각도에서 멈출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작업차량으로서 카운터 밸런스식 포크리프트(1)가 예시되었지만, 작업차량으로서는, 대형 운반차, 로더, 사이드 포크리프트 등이어도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주행구동장치로서, 엔진(40)에 의해 운전되는 유압펌프(41)에 연통된 유압모터(21)가 예시되었지만, 가령, 배터리 탑재차로,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주행구동장치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회전 수단(30)의 선회용 실린더(유압작동장치)(33)로서 좌우 공용형식이 예시되었지만, 이는 좌우 별개의 형식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으로서, 추종조향되는 선회 캐스터 형식이 채용되었지만, 이는 전차륜(3)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조향되는 형식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 중, 한 쪽의 후차륜(4)을 핸들에 의한 조향형식, 다른 쪽의 후차륜(4)을 선회 캐스터 형식으로해도 좋고, 이 경우, 트래버스 주행으로 전환할 때, 한 쪽의 후차륜(4)을,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조향시킨다.

Claims (2)

  1. 차체에, 전차륜과 후차륜을 각각 조향 가능하게 설치한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으로서, 차체에 전차륜과 후차륜이 각각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차륜은 좌우 한 쌍으로, 각각 주행구동장치측의 구동축에 연동연결되고, 양쪽 주행구동장치는, 차체측에 대해 종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선회부재의 회전을 행하게 하는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은, 유압작동장치에 의해 양쪽 선회부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유압펌프와 작업용 제어밸브의 배관 사이에 전환밸브수단이 설치되고, 이 전환밸브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측의 배관은, 플로 디바이더를 통해 유압작동장치용 제어밸브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2.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을, 각각 90도 상태로 조향 가능하게 설치한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으로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주행구동장치측의 구동축에 연동연결되고, 양쪽 주행구동장치는, 차체측에 대해 종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을 행하게 하는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은, 트래버스 전환 레버에 의해 밸브 제어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밸브를 통해 신축되는 선회용 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트래버스 전환 레버와는 별도로, 설정범위내에서 조작 가능한 트래버스 제어 레버가설치되고, 이 트래버스 제어 레버의 틸트위치 검출수단과 전차륜의 조향각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이들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값이 상기 밸브 제어장치에 입력되는 동시에, 이 밸브 제어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KR1020027009543A 2000-02-15 2000-05-08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KR100665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36006 2000-02-15
JP2000036006A JP3249105B2 (ja) 2000-02-15 2000-02-15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0065850A JP3272341B2 (ja) 2000-03-10 2000-03-10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JP-P-2000-00065850 200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101A true KR20020084101A (ko) 2002-11-04
KR100665015B1 KR100665015B1 (ko) 2007-01-09

Family

ID=2658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543A KR100665015B1 (ko) 2000-02-15 2000-05-08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93036B1 (ko)
EP (1) EP1256542A1 (ko)
KR (1) KR100665015B1 (ko)
CN (1) CN1321051C (ko)
TW (1) TW528724B (ko)
WO (1) WO200106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595B2 (ja) * 2000-08-01 2007-01-31 Tcm株式会社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US20070098528A1 (en) * 2005-10-27 2007-05-03 Israel Aircraft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vehicles
CN100386481C (zh) * 2005-12-30 2008-05-07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铣刨机单、双手柄可切换转向的控制方法和装置
US7533892B2 (en) * 2006-01-05 2009-05-19 Intuitive Surgical, Inc. Steering system for heavy mobile medical equipment
US7631714B2 (en) * 2006-06-27 2009-12-15 Gordon Ewbank Dower Motor vehicle steering control
GB0625764D0 (en) * 2006-12-22 2007-02-07 Bamford Excavators Ltd Control apparatus for a machine
JP5052147B2 (ja) * 2007-01-25 2012-10-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80277890A1 (en) * 2007-05-07 2008-11-13 Boster Ii Roger D Four-Way Forklift With Outwardly Pivoting Wheel Arms
CN101348126B (zh) * 2007-07-16 2011-05-04 浙江佳力科技股份有限公司 叉车转向装置
WO2009020034A1 (ja) * 2007-08-06 2009-02-12 Kabushiki Kaisha Aichi Corporation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US8312957B1 (en) * 2008-07-08 2012-11-20 Stoltzfus Daniel R Apparatus for moving concrete pump hoses
WO2010004656A1 (ja) * 2008-07-11 2010-01-14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マッシュシーム溶接方法及び装置
DE102010016470B4 (de) * 2010-04-16 2012-03-08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Lenkverfahren und Lenksysteme für ein Flurförderzeug
CN103754284A (zh) * 2014-01-28 2014-04-30 浙江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四向行驶的工业车辆及该种工业车辆的行走机构
CN104149846B (zh) * 2014-06-17 2016-03-23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四工位双作用油缸的横向行驶转向机构的液压控制系统
CN105253195B (zh) * 2015-11-05 2017-12-22 新西兰投资贸易中心 电动汽车同轴车轮的连动装置
DE102015121523A1 (de) 2015-12-10 2017-06-14 Profilato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rupp- und Feinbearbeiten von Zahnrädern
DE102016113260B4 (de) * 2016-07-19 2022-05-25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Betriebsverfahren und Flurförderzeug
CN106395680A (zh) * 2016-12-06 2017-02-15 南京丰翔船用设备有限公司 用于汽车滚装船的甲板顶升装置
US11427445B2 (en) * 2017-12-11 2022-08-30 Jacques Tranchero Crane comprising a steering system
CN108190792B (zh) * 2018-01-18 2019-01-18 合力叉车有限公司 一种仓储物流搬运机器人
CN108178105B (zh) * 2018-01-18 2018-12-18 浙江华港染织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仓储物流的搬运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518A (en) * 1957-06-25 1958-12-09 Pellizzetti Italo Motor vehicle equipped with wheels capable of steering substantially through 90 deg.from their straight drive position
US3490555A (en) * 1967-12-04 1970-01-20 Fortschritt Veb K Vehicular chassis movable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US4079807A (en) * 1976-05-13 1978-03-21 American Hoist & Derrick Company Steering mechanism
US4823899A (en) * 1986-07-10 1989-04-25 Ashot Ashkelon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JPH0667740B2 (ja) * 1987-12-22 1994-08-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における旋回制御装置
JPH0764272B2 (ja) * 1989-05-22 1995-07-12 有限会社カーネル 自走式作業台車
US4986387A (en) 1989-08-07 1991-01-22 Teledyne Princeton, Inc. Fork-lift truck having three drive wheels with third wheel steerable
JPH0775988B2 (ja) * 1990-02-09 1995-08-1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IT1281790B1 (it) * 1995-05-03 1998-03-03 Carer Snc Dell Ing Angelo Gaet Carrello elevatore a quattro ruote con stretto raggio di sterzata e stabilita' miglior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4785A (zh) 2003-08-06
CN1321051C (zh) 2007-06-13
TW528724B (en) 2003-04-21
WO2001060733A1 (fr) 2001-08-23
EP1256542A1 (en) 2002-11-13
US6793036B1 (en) 2004-09-21
KR100665015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15B1 (ko) 트래버스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JP387459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US6675927B1 (en) Fork lift with laterally travelling system
KR100665552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EP0683087B1 (en) Operating device in vehicle provided with a pair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EP1302434A1 (en) Steering gear of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
JP7453015B2 (ja) 高所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KR100700390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JP4126499B2 (ja) 四輪駆動車輌
JP3272341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24910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121806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0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H11291931A (ja) クローラ式建設機械の操向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121809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786572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14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13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2362889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5247162A (ja) 油圧駆動形式の産業用車両
JP2001019397A (ja) サイドフォーク式搬送用車両
JP2002234698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2087316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2029446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1010791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