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137A -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137A
KR20020083137A KR1020020022430A KR20020022430A KR20020083137A KR 20020083137 A KR20020083137 A KR 20020083137A KR 1020020022430 A KR1020020022430 A KR 1020020022430A KR 20020022430 A KR20020022430 A KR 20020022430A KR 20020083137 A KR20020083137 A KR 2002008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adapter
cap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436B1 (ko
Inventor
요네오카스미요
오구라가즈나오
기구시모모에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77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07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7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0444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 용기 본체(1)의 개구부에 스트로우 어댑터(2)를 착탈 가능하게 죄임함과 동시에, 그 스트로우 어댑터(2)에 스트로우(22)를 죄임한다.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2)에 그 스트로우 어댑터(2)에 죄임된 스트로우를 덮을 수 있는 스트로우 캡(12)을 죄임한다. 스트로우 캡(12)의 동작에 의해 공기 구멍 개폐 밸브(6)를 개폐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본 발명은 평소에 미리 용기에 스트로우를 삽입 죄임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 스트로우에 의해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에 스트로우를 삽입 죄임해 두고 유아 등이 아무때나 음료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가 제안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는, 특히 열탕을 용기에 넣은 경우에는 그 열에 의해 스트로우 캡을 개방했을 때에 스트로우로부터 열탕이 분출하는 일이 있다. 용기 본체 혹은 스트로우 캡에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마련해 두고, 갑자기 열탕 등이 분출하는 일이 없도록 사용 전에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열어 압력 방출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 공기 구멍이 열려 있는 상태는 "open", 폐쇄하고 있는 상태는 "close" 등의 표가 각인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 중에 어느 쪽이 개방 상태인지가 헷갈리거나, 조작을 실수하거나 하여, 증기가 분출하는 일이 있는데 이것은 결점이다.
또, 스트로우를 죄임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스트로우 어댑터를나사 결합하고, 그 스트로우 어댑터에 스트로우를 죄임한다. 어댑터를 단단히 조일 때에 어느 위치까지 단단히 조이면 누출이 없을까 알기 어렵다. 어댑터를 단단히 조일 때의 미끄럼 방지로서 측면에 작은 돌기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상기 어댑터를 누출이 없는 위치까지 단단히 조이는 것이 곤란한 일이 있는데 이또한 결점이다.
용기 본체에는 용기 본체를 손으로 갖기 위한 핸들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그 핸들은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손목 틀기가 아직 용이하지 않은 유아에게는 혼자서 용기를 갖고 음료를 마시는 것이 어렵다.
또한 스트로우의 길이가 적당하여야 하고 결합 해제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 조작을 할 필요가 없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스트로우 어댑터를 누출이 없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단단히 조일 수 있어 유아가 원활하게 마실 수 있게 하며, 스트로우의 길이가 적당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2는 도1의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 스트로우 캡의 록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도3의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 스트로우 캡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도5의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음료 용기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스트로우 캡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스트로우 캡의 분해 사시도.
도10a~도10c는 도7에 나타내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작동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종단면도.
도12는 도1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기 본체
2…스트로우 어댑터
3…패킹
4…밸브 케이싱
5…원통형 패킹
6…밸브 보디
7…연통로
8…닙(nip)
9…록 부재
10…공기 구멍
11…스트로우 구멍
12…스트로우 캡
13…록 피스
20…스트로우 캡
21…공기 구멍
23…스트로우 구멍
26…공기 구멍 개폐 밸브
28…스트로우 푸셔
29…록 피스
30…베어링부
35…핸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는 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개구와 결합하고 스트로우를 보유 지지하는 스트로우 어댑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어댑터에 스트로우를 덮을 수 있는 스트로우 캡이 요동(swing)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트로우 어댑터는 공기 구멍과, 스트로우 캡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스트로우 캡과 협동하여 공기 구멍의 개폐를 하는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가 스트로우 어댑터에 마련되어 스트로우 캡을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록 부재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어댑터는 원통형 케이싱을 포함하고, 공기 구멍이 밸브 케이싱에 형성되고, 공기 구멍 개폐 밸브는 밸브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보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통로가 밸브 보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공기 구멍을 대기와 연통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케이싱의 밸브 보디는 록 부재에 의해 회동되고, 록 부재는 스트로우 캡을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스트로우 캡의 요동 핀에 고정되고, 스트로우 캡과 함께 요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푸셔가 스트로우 어댑터의 내측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캡은 스트로우 캡이 개방될 때 스트로우 푸셔를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기 위한 구동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 어댑터는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고, 위치 결정 돌기가 스트로우 어댑터와 용기 본체의 외면에 각각 마련되어 스트로우 어댑터가 용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에 놓이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가 스트로우 어댑터의 외면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이 용기 본체의 외면에 마련되고 핸들은 스트로우를 향해 뻗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로우는 용기 본체 내측에 위치한 긴 스트로우 성분과 용기 본체 외측에 위치한 짧은 스트로우 성분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교차될 수 있고, 짧은 스트로우 성분이 스트로우 어댑터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짧은 스트로우 성분은 일단이 스트로우 어댑터의 스트로우 구멍에 결합되고, 짧은 스트로우 성분의 타단은 외부가 플랜지(flange), 내부가 칼라(collar)로 되어 짧은 스트로우 성분을 스트로우 어댑터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짧은 스트로우 성분의 축으로 기운 스트로우 삽입 구멍이 칼라에 마련되고 긴 스트로우 성분은 스트로우 구멍에 삽입된다.
제1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는 개구(1b)를 갖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개구(1b)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스트로우 어댑터(2)를 구비한다. 스트로우 어댑터(2) 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킹(3)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에 죄임된 스트로우 어댑터(2)와 용기 본체(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실링을 하도록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 및 스트로우 어댑터(2)와의 외측면에는 스트로우 어댑터(2)가 용기 본체(1)에 대해 소정의 죄임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서로 동일 축선상이 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용 돌기(1a, 2a)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를 용기 본체(1)에 죄임하여, 스트로우 어댑터(2)와 용기 본체(1)의 위치 결정용 돌기(1a, 2a)가 동일 축선상이 될 때까지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스트로우 어댑터(2)를 소정의 죄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소정의 죄임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의 단부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 스토퍼(도시 생략)를 마련해 둔다. 스트로우 어댑터(2)의 나사가 상기 용기 본체(1)의 나사 스토퍼에 접촉함으로써 스트로우 어댑터(2)의 죄임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스트로우 어댑터(2)의 외측면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각선 위치에 노브(2b)가 설치되어 있다. 노브(2b)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스트로우 어댑터(2)의 회동 죄임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원통형의 밸브 케이싱(4)이 내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밸브 케이싱(4) 내에 원통형의 패킹(5)을 개재하여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보디(6)가 동축적으로 또한 그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있다. 밸브 보디(6)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통로(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6)의 정상부에는 닙(8)을 갖는 록 부재(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싱(4) 및 패킹(5)의 측벽부에는 공기 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닙(8)에 의해 록 부재(9)를 개재하여 밸브 보디(6)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기 구멍(10)이 개폐되어, 그 공기 구멍(10) 및 연통로(7)를 거쳐서 용기 본체(1) 내측이 대기에 연통 혹은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편심 위치에 스트로우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로우 구멍(11)에 스트로우(22)(도5)가 삽입 죄임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밸브 보디(6)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스트로우 캡(12)이 요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12)는 그 폐쇄 위치에서, 스트로우 구멍(11)에 삽입된 스트로우(22)를 덮을 수 있다.
스트로우 캡(12)에는 요동핀측에, 록 부재(9)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반원 형상의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반원형상의 오목부(12a)의 내주 중앙부에 록 피스(13)가 돌출되어 있다. 록 부재(9)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록 피스(13)가 삽통될 수 있는 오목부(9a)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6)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오목부(9a)가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보디(6) 및 스트로우 캡(12)은 폐쇄 상태에 있고,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13)의 상방에 록 부재(9)의 둘레 모서리가 위치되고 있어, 스트로우 캡(12)의 개방 방향의 요동이 저지되어 록킹되고 있다.
그래서, 이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닙(8)을 개방 위치로 돌리면 밸브 보디(6)가 90°회동하고, 연통로(7)를 통해 공기 구멍(10, 5a)이 개방되어 용기 내의 압력 방출이 행하여진다. 이 때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9)의 회동에 의해 록 부재(9)의 오목부(9a)가 록 피스(1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스트로우 캡(12)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 캡(12)을 개방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스트로우 캡(12)을 개방하면, 도5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22)가 나온다. 그래서, 스트로우 캡(12)을 반대측으로 요동시키고, 록 부재(9)를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면, 록 부재(9)의 둘레 모서리가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3)의 상방에 록 결합해 스트로우 캡(12)의 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트로우 캡(12)의 록상태로 되어 스트로우(22)에 의해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마시기가 끝나면, 록 부재(9)를 일단 개방 위치로 회동해 록을 해제한 후, 스트로우 캡(12)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스트로우 캡(12)이 록 부재(9)에 의해 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는 스트로우 캡(12)을 개방하기 위해서 록 부재(9)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 조작을 할 필요가 없어, 압력 방출을 잊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용기 본체(1)의 상단부에 죄임하는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스트로우 캡(20)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스트로우 캡(20)의 요동에 의해 개폐되는 공기 구멍(21) 및 스트로우(22)를 죄임하는 스트로우 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도8은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스트로우 캡(20)을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스트로우는 도시 생략)다. 스트로우 어댑터(2)의 상면에는 거의 평행으로 연장하는 2개의 리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24) 사이에 스트로우 캡(20)이 죄임된 핀(25)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20)에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단측 양단부에 보스(20a)가 설치된다. 보스(20a, 20a)에 핀(25)이 삽입된다. 보스(20a, 20a) 사이의 중앙부에 공기 구멍(21)을 개폐하는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가 스트로우 캡(20)에 고착되어 있다.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의 소정 구간에 걸쳐 반경이 커지는 큰 직경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20)에는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의 양측부에, 스트로우 캡(20)이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에 핀(25)의 하방에서 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27)가 돌출되어 있다.
핀(25)에는 스트로우 캠(20) 내에 위치하는 스트로우 푸셔(28)가 요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트로우 푸셔(28)의 기단부에는 록 고정 피스(29)가 설치된다. 스트로우 캡(20)이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록 피스(29)는 돌기부(27)와 록 결합하고, 스트로우 푸셔(28)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록 고정 피스(29)의 각각의 외측에는 핀(25)이 삽입되는 베어링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스트로우 어댑터(2)의 상면에는 보유 지지부(32)가 돌출되어 있다. 그 스트로우 푸셔(28)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스트로우 푸셔(28)의 양측부에 설치된소돌기부(31)가 록 결합하여, 스트로우 푸셔(28)를 보유 지지한다. 그리하여, 음료 용기 본체 내에 음료를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트로우 캡(20)이 스트로우 구멍(23)을 덮는 위치에 있고,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가 큰 직경부(26a)에 의해 공기 구멍(21)이 닫힌다(도10a). 그래서, 스트로우 캡(20)을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면, 그와 함께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가 회동하여 공기 구멍(21)이 개방되고, 용기 내의 압력 방출이 행하여진다(도10b). 그 후, 스트로우 캡(20)을 더욱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로우 캡(20)에 설치된 돌기부(27)가 스트로우 푸셔(28)의 록 고정 피스(29)에 맞닿아 스트로우 푸셔(28)가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고(도10e), 스트로우(22)(도7)가 나온다. 그 후 스트로우 캡(20)을 개방측으로 완전하게 요동시켜 스트로우 어댑터(2)에 고정함으로써, 공기 구멍 개폐 밸브(26)가 큰 직경부(26a)에 의해 공기 구멍(21)이 폐쇄되어, 용기 본체(1)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도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을 할 필요가 없고, 스트로우 캡(20)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기 구멍이 개방된다. 따라서, 압력 방출을 잊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한 핸들(35)의 하부가 스트로우(22)의 스트로우 구멍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을 곧게 쥐는 것만으로 스트로우가 기운다. 따라서 손목을 돌려주지 않아도 유아가 원활하게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로우 어댑터는 그 스트로우 어댑터에 죄임된 스트로우를 덮을 수 있는 스트로우 캡과 죄임함과 동시에, 스트로우 캡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개방되는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갖는다. 스트로우 캡의 개방 동작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공기 구멍이 개방되어 용기 본체의 압력 방출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을 할 필요가 없어, 압력 방출을 잊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의 용기 본체(1)의 개구부(1b)에는 스트로우 어댑터(2)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 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킹(3)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에 죄임된 스트로우 어댑터(2)와 용기 본체(1)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실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 내로부터 원통형의 밸브 케이싱(4)이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밸브 케이싱(4) 내에 원통형의 패킹(5)을 개재하여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보디(6)가 동축적으로 또한 그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밸브 보디(6)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통로(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6)의 정상부에는 닙(8)을 갖는 록 부재(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4) 및 패킹(5)의 측벽부에는 공기 구멍(10, 5a)이 형성되어 있다. 닙(8)에 의해 록 부재(9)를 개재하여 밸브 보디(6)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기 구멍(10)이 개폐되어, 그 공기 구멍(10, 5a) 및 연통로(7)를 개재하여 용기 본체(1) 내부가 대기에 연통 및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편심 위치에 스트로우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스트로우 구멍(11)에 후술하는 스트로우(22)(도5 참조)가 삽입 죄임되어 있다. 스트로우 어댑터(2)에는 밸브 보디(6)의 축선에 직교하는 핀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스트로우 캡(12)이 배치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12)은 그 폐쇄 위치에서, 스트로우 구멍(11)에 삽입된 스트로우(22)를 덮게 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12)에는 요동핀측에, 록 부재(9)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반원형상의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반원형상의 오목부(12a)의 내주 중앙부에 록 피스(13)가 돌출되어 있다. 록 부재(9)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록 피스(13)가 삽통될 수 있는 오목부(9a)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6)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오목부(9a)가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올 수 있게 된다.
스트로우(22)는 짧은 스트로우(22a)와 긴 스트로우(22b)로 형성되어 있다. 짧은 스트로우(22a)에 대해 긴 스트로우(22b)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짧은 스트로우(22a)의 기단부에는 큰 지름의 칼라(collar)(22c)와 작은 지름의 플랜지(22d)가 설치되어 있다. 그 칼라(22c)와 플랜지(22d)의 사이에 스트로우 어댑터(2)의 스트로우 구멍(11)의 안쪽 둘레 모서리가 보유 지지되고, 짧은 스트로우(22a)가 스트로우 어댑터(2)에 고착되어 있다. 칼라(22c)에는 짧은 스트로우(22a)의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한 스트로우 삽입 구멍(22e)이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우 삽입 구멍(22e)에 긴 스트로우(22b)가 삽입 죄임되어 있다.
스트로우 캡(12)은 도11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 있고,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13)의 상방에 록 부재(9)의 둘레 모서리가 위치되어, 스트로우 캡(12)의 개방 방향의 요동이 저지되고 있다.
그래서, 이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는 닙(8)을 개방 위치로 돌리면 밸브 보디(6)가 90° 회동한다. 연통로(7)에 의해 공기 구멍(10, 5a)이 개방되어 용기 내의 압력 방출이 행하여진다. 이 때에는 록 부재(9)의 회동에 의해 록 부재(9)의 오목부(9a)가 록 피스(13)의 상방에 위치하여, 스트로우 캡(12)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 캡(12)을 개방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스트로우 캡(12)을 개방하면, 짧은 스트로우(22a)가 스트로우 어댑터(2)의 표면에서 상승한다. 스트로우 캡(12)을 완전히 해방하고, 록 부재(9)를 폐쇄 위치에 복귀시킴으로써, 록 부재(9)의 둘레 모서리가 스트로우 캡(12)의 록 피스(13)의 상방에 록 결합해 스트로우 캡(12)의 록이 행하여진다. 스트로우 캡(12)의 록을 행한 후에, 스트로우 어댑터(2)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짧은 스트로우(22a)에 의해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마시기가 끝나면, 록 부재(9)를 일단 개방 위치로 회동시켜 록을 해방한 후, 스트로우 캡(12)을 원래 위치에 복귀시켜 록 부재(9)에 의해 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에서는 스트로우 캡(12)을 개방하기 위해서 록 부재(9)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므로,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을 할 필요가 없어, 압력 방출을 잊는 등의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트로우(22)는 짧은 스트로우(22a)와 긴 스트로우(22b)로 분할되어 있고, 짧은 스트로우(22a)가 스트로우 어댑터(2)에 고착되어 있다. 유아가 스트로우(22)를 당겨도 스트로우(22)가 빠지는 일이 없고, 또, 스트로우 어댑터(2)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스트로우의 길이가 변화되는 일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우(22)는 장단 2개의 성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최초에는 짧은 스트로우(22a)만을 사용하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젖꼭지나 스파우트(spout) 같이 기울인 상태로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트로우로부터 음료가 나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 단계에서 긴 스트로우(22b)를 붙여 사용함으로써, 젖꼭지, 스파우트로부터 원활하게 스트로우의 사용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짧은 스트로우(22a)와 긴 스트로우(22b)가 서로 경사하고 있으므로, 긴 스트로우(22b)의 선단이 용기 본체(1)의 구석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료를 완전하게 다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로우를 서로 접속 가능한 긴 스트로우와 짧은 스트로우의 2개의 성분으로 형성하고, 짧은 스트로우를 스트로우 어댑터에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유아가 스트로우를 당겨도 스트로우가 빠지는 일이 없다. 스트로우 어댑터로부터 돌출한 스트로우의 길이가 변화하지 않으며 늘 마시기 편한 길이로 유지되므로 음료를 원활하게 다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식적으로 압력 방출 조작을 할필요가 없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스트로우 어댑터를 누출이 없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단단히 죄일 수 있어 유아가 원활하게 마실 수 있게 하며, 스트로우의 길이가 적당한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개구와 결합하고 스트로우를 보유 지지하는 스트로우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 상에 상기 스트로우를 덮을 수 있는 스트로우 캡이 요동(swing)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는 공기 구멍과, 스트로우 캡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스트로우 캡과 협동하여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공기 구멍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록 부재가 스트로우 어댑터에 마련되어 스트로우 캡을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록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는 원통형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구멍이 밸브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구멍 개폐 밸브는 상기 밸브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보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연통로가 밸브 보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공기 구멍을 대기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싱의 밸브 보디는 상기 록 부재에 의해 회동되고, 록 부재는 스트로우 캡을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 개폐 밸브가 스트로우 캡의 요동 핀에 고정되고, 스트로우 캡과 함께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스트로우 푸셔가 스트로우 캡 내에 있도록 스트로우 어댑터 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캡은 스트로우 캡이 개방될 때 스트로우 푸셔를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기 위한 구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는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고,
    위치 결정 돌기가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각각 마련되어 스트로우 어댑터가 용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죄임 위치에 놓이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노브가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의 외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핸들이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마련되고 상기 핸들은 스트로우를 향해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스트로우는 용기 본체 내측에 위치한 긴 스트로우 성분과 용기 본체 외측에 위치한 짧은 스트로우 성분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짧은 스트로우 성분이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스트로우 성분은 일단이 상기 스트로우 어댑터의 스트로우 구멍에 결합되고, 짧은 스트로우 성분의 타단은 외부가 플랜지(flange), 내부가 칼라(collar)로 되어 짧은 스트로우 성분이 스트로우 어댑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짧은 스트로우 성분의 축으로 기운 스트로우 삽입 구멍이 칼라에 마련되고, 긴 스트로우 성분은 상기 스트로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KR1020020022430A 2001-04-25 2002-04-24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KR100886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7695 2001-04-25
JPJP-P-2001-00127722 2001-04-25
JP2001127722A JP4610777B2 (ja) 2001-04-25 2001-04-25 ストロー付飲料容器
JP2001127695A JP4990444B2 (ja) 2001-04-25 2001-04-25 ストロー付飲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137A true KR20020083137A (ko) 2002-11-01
KR100886436B1 KR100886436B1 (ko) 2009-03-04

Family

ID=2661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430A KR100886436B1 (ko) 2001-04-25 2002-04-24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97065B2 (ko)
EP (1) EP1252842A3 (ko)
KR (1) KR100886436B1 (ko)
CN (1) CN1229059C (ko)
TW (1) TWI236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13809U1 (de) * 2004-09-02 2006-01-05 Rönn, Thomas von Verschließbarer Trinkbehälter
DE102005010857A1 (de) * 2004-09-02 2006-04-20 Birgit Clemens Trinkbehälter
US7533783B2 (en) * 2005-04-11 2009-05-19 Camelbak Products, Llc Drink bottles with bite-actuated mouthpieces
US7708035B2 (en) * 2005-11-21 2010-05-04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TWM303893U (en) * 2006-06-14 2007-01-01 Ming-Luen Tsai Improved lid structure of material feeding bottle
WO2007148441A1 (ja) * 2006-06-23 2007-12-27 Pigeon Corporation 飲料容器
US8376173B2 (en) * 2007-04-23 2013-02-19 Learning Curve Brands, Inc. Drinking container with straw
US20090026218A1 (en) * 2007-07-25 2009-01-29 Fu Hong Industries Ltd. Lid of beverage container
GB2465363A (en) * 2008-11-13 2010-05-19 Emma Clark A cup with a conduit and a mouthpiece
US8191727B2 (en) 2009-01-21 2012-06-05 Camelbak Products, Llc Drink containers
CN102482008A (zh) * 2009-09-11 2012-05-30 汉迪-克拉夫特公司 杯子和用于杯子的盖组件
US8505783B2 (en) * 2010-07-13 2013-08-13 Source Vagabond Systems Ltd. Squeezable bottle
US20120048898A1 (en) * 2010-08-30 2012-03-01 Reginald Franklin Hydratio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US8354130B2 (en) 2010-09-07 2013-01-15 Yi-Ming Tseng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take of edible substances
WO2012103364A1 (en) * 2011-01-26 2012-08-02 Ignite Usa, Llc Drink bottle
US9708107B2 (en) * 2011-01-26 2017-07-18 Ignite Usa, Llc Drink bottle with controlled opening
TWI577613B (zh) * 2011-05-31 2017-04-11 飛鴿股份有限公司 飲料容器
EP2716567B1 (en) * 2011-05-31 2018-07-04 Pigeon Corporation Drink container
WO2013044079A1 (en) 2011-09-21 2013-03-28 Hydros Bottle, Llc Water bottle
US8608016B2 (en) 2011-11-18 2013-12-17 Wilton Industries Inc. Flexible straw mug
JP5333611B2 (ja) * 2012-01-10 2013-11-06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CN103462427A (zh) * 2012-06-08 2013-12-25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儿童用吸管式便捷保冷杯
US10737840B2 (en) * 2012-10-02 2020-08-11 Performance Packaging Of Nevada, Llc Apparatus for oral delivery of fluids and semi-solid foods
US8672174B1 (en) 2013-01-11 2014-03-18 Leedsworld, Inc. Multi-function lid for beverage containers
USD725966S1 (en) 2013-05-20 2015-04-07 Thermos L.L.C. Combined drink bottle and lid
US9724629B2 (en) 2013-05-20 2017-08-08 Thermos L.L.C. Bottle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or treating a beverage
JP5662536B1 (ja) * 2013-09-05 2015-01-2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USD749363S1 (en) 2014-01-13 2016-02-16 Sharon Tacker Fluid container
WO2015119673A1 (en) * 2014-02-05 2015-08-13 Defelice Marty Child's cup
US20160060002A1 (en) * 2014-09-03 2016-03-03 Aaron Michael Karotko Spout assembly for converting prepackaged beverage containers
US9221585B1 (en) * 2014-09-03 2015-12-29 Yeo-Ming WANG Cap closing structure
USD811810S1 (en) 2015-01-16 2018-03-06 Ignite Usa,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802993S1 (en) 2015-01-16 2017-11-21 Ignite Usa,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WO2017053588A1 (en) 2015-09-24 2017-03-30 Hydros Bottle, Llc Gravity-flow filter assembly
US20170121069A1 (en) * 2015-10-20 2017-05-04 Sagan Industries Llc Quick connect mouthpiece for liquid container
USD877565S1 (en) 2017-03-23 2020-03-10 Hydros Bottle, Llc Container with a cap and filter assembly
USD877550S1 (en) 2017-06-14 2020-03-10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Sippy cup straw-valve assembly
USD862985S1 (en) 2018-05-31 2019-10-15 Camelbak Products, Llc Beverage container
USD864658S1 (en) 2018-05-31 2019-10-29 Camelbak Products, Llc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358270B1 (en) 2018-05-31 2019-07-23 Camelbak Products, Llc Closure assemblies and drink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US10532862B2 (en) 2018-06-19 2020-01-14 Camelbak Products, Llc Closure assemblies with distinct dispensing modes and drink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USD881639S1 (en) 2018-06-19 2020-04-21 Camelbak Products, Llc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717566B1 (en) * 2019-06-11 2020-07-21 Johnathan Williams Erecting spout cap
US11089892B2 (en) 2019-12-20 2021-08-17 Nicholas Michael Manochio Cylindrical container
US20230107675A1 (en) * 2020-02-20 2023-04-06 Master Plans Llc Venting devic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lid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WO2022150451A1 (en) 2021-01-08 2022-07-14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4267A (en) * 1956-11-05 1958-07-22 Petriccione Peter Combined drinking straw and bottle cap
US3021991A (en) * 1961-06-13 1962-02-20 Cohen Max Combined container and straw
US4448316A (en) * 1980-07-28 1984-05-15 Nakayama Hiroshige Straw-equipped liquid drink container
JPH0773534B2 (ja) * 1989-04-26 1995-08-09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水筒
US4925040A (en) * 1989-06-06 1990-05-15 Wang Paul S Canteen
US5150815A (en) * 1991-10-25 1992-09-29 Selandia Designs Drink container
DE4136985C1 (ko) * 1991-11-11 1993-05-13 Marsteller & Killmann Gmbh & Co Kg, 4300 Essen, De
US5203468A (en) * 1992-07-01 1993-04-20 Hsu Chun Feng Water container cap
US5282541A (en) * 1993-05-17 1994-02-01 Chen Wen Yen Cap locking device for a water bottle
US5337918A (en) * 1993-09-21 1994-08-16 Wang Ching Chen Water bottle with a hidden suction straw
US5346081A (en) * 1994-01-26 1994-09-13 Shing Hong Industrial Co., Ltd. Kettle with upward bounding cover and automatically extensible sucker
US5361934A (en) * 1994-04-12 1994-11-08 Lisco, Inc. Pop-up straw for juvenile drinking cup
US5465866A (en) * 1994-07-11 1995-11-14 Belcastro; Domenic Automatically sealing cup
US5462194A (en) 1995-01-11 1995-10-31 Candea Inc. Self-venting straw tip
US5582320A (en) * 1995-02-21 1996-12-10 Shing Hong Industrial Co., Ltd. Beverage container with extendable drinking straw
US5497901A (en) * 1995-08-04 1996-03-12 Chen; Cin-Chen Structure for automated sticking out and retreating of pipette to a canteen by turning
CN2229173Y (zh) 1995-09-26 1996-06-19 天津市天磁公司综合加工厂 儿童随身杯
US5579948A (en) * 1995-10-26 1996-12-03 Shing Hong Industrial Co., Ltd. Beverage container with extendable drinking straw
AU720225B2 (en) * 1996-09-02 2000-05-25 Hanger Company Limited, The A container closure
DE19646261A1 (de) * 1996-09-21 1998-03-26 Walter Sues Automatik-Trinkflasche
DE29705178U1 (de) * 1997-03-21 1997-06-26 Alfi Zitzmann Gmbh Isoliergefa Trinkflasche
US5897013A (en) * 1997-04-14 1999-04-27 Playtex Products, Inc. Straw for drinking cup
AU689754B3 (en) * 1997-12-02 1998-04-02 Wang Wen-Pin Cap assembly having a sucking member for a bottle
US6116446A (en) * 1998-05-18 2000-09-12 Snappull Technologies Inc. Stoppers for individual bottle-type beverage container
JP2000335616A (ja) * 1999-05-26 2000-12-05 Kiyota Engineering:Kk 飲料容器の蓋体及びキャップ付き蓋体
JP4396955B2 (ja) * 1999-06-18 2010-01-13 ピジョ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カップ容器
JP4400801B2 (ja) * 1999-07-28 2010-01-20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US6196413B1 (en) * 2000-04-10 2001-03-06 Tsai Chong Tung Structure of a water bottle-straw assembly
US6523711B1 (en) * 2000-04-13 2003-02-25 Douglass E. Hughes Automatic valved bottle cap for use with liquid containers
US6276560B1 (en) * 2000-08-22 2001-08-21 Niko Products, Inc. Automatically sealing cup
JP4748433B2 (ja) * 2000-09-26 2011-08-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US6382476B1 (en) * 2001-05-30 2002-05-07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Single axis dual dispensing closure
US7021481B2 (en) * 2001-06-01 2006-04-04 The Coca-Cola Company Container lid with multiple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2842A3 (en) 2005-11-23
CN1382411A (zh) 2002-12-04
US7097065B2 (en) 2006-08-29
KR100886436B1 (ko) 2009-03-04
US20050133505A1 (en) 2005-06-23
CN1229059C (zh) 2005-11-30
EP1252842A2 (en) 2002-10-30
TWI236886B (en) 2005-08-01
US7255241B2 (en) 2007-08-14
US20020158069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436B1 (ko)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US11390432B2 (en) Coaxial rotary lid and drinking cup thereof
US20120261416A1 (en) Container cap
JP4610777B2 (ja) ストロー付飲料容器
US6755213B1 (en) Timing switch for gas stove
JP4990444B2 (ja) ストロー付飲料容器
JP3585330B2 (ja) 飲料用容器
JPH1151240A (ja) 流体制御器
JPH09299253A (ja) 液体容器
JP3423072B2 (ja) 飲料コンテナ用のホース接続具
JP3023631U (ja) ガス栓
JPH0120313Y2 (ko)
JPS5942998Y2 (ja) 容器の安全装置
JP3027247U (ja) ペットボトル装着栓
JPS6238929Y2 (ko)
JP3120977U (ja) 水漏れ密封容器
JP4288527B2 (ja) 飲料容器の嫌気開栓器
JP4400805B2 (ja) 飲料容器
JPS633642Y2 (ko)
KR200208790Y1 (ko) 음료병의 가스방출 방지장치
JP2002068198A (ja)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用ハンドル
KR100549441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및 용기 개폐장치
JPH0616569Y2 (ja) 液体容器の栓
JP2022138551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196302Y1 (ko) 파우치 음료용기의 스파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