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466A - 펩티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펩티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466A
KR20020081466A KR1020027012331A KR20027012331A KR20020081466A KR 20020081466 A KR20020081466 A KR 20020081466A KR 1020027012331 A KR1020027012331 A KR 1020027012331A KR 20027012331 A KR20027012331 A KR 20027012331A KR 20020081466 A KR20020081466 A KR 2002008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g
pro
phe
gly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따다찌에꼬
니시자와나오끼
히누마슈지
호소야마사끼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46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이 리간드로 인식하는 신규 펩티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 유도체는 ① 재조합형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계를 이용한 수용체 결합검사계의 개발과 의약품 후보 화합물의 스크리닝, ② 중추 기능 조절제, 순환 기능 조절제, 심장 기능 조절제, 면역 기능 조절제, 소화기 기능 조절제, 대사 기능 조절제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제 등과 같은 의약 개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펩티드 유도체{PEPTIDE DERIVATIVE}
대부분의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이적 수용체를 통해 생체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 이들 수용체의 대부분은 공액되어 있는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결합 단백질(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이하, 'G 단백질'로 약칭하는 경우도 있음)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내의 시그널 전달을 행하고, 또 7개의 막관통 영역을 갖는 공통된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또는 7회 막관통형 수용체로 총칭된다.
이와 같은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체의 항상성(homeostasis)의 유지, 생식, 개체의 발달, 대사, 성장, 신경계, 순환기계, 면역계, 소화기계, 대사계의 조절 등과 같은 생체에서 중요한 기능조절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생체기능 조절에는 다양한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수용체 단백질이 존재하고, 상기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작용물질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 등)및 이에 대한 수용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이 많다.
최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이 그의 구조중 일부에서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여, 중합연쇄반응(이하, PCR 로 약칭함) 법에 의해 신규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를 탐색하는 방법이 행해지게 되면서, 수많은 리간드가 명확하지 않았던 이른바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이 클로닝되었다(Libert, F., et al. Science, 244, 569-572, 1989, Welch, S.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9, 606-613, 1995, Marchese, A., et al., Genomics, 23, 609-618, 1994, Marchese, A., Genomics, 29, 335-344, 1995). 또한, 게놈 DNA 또는 cDNA 의 랜덤 서열 결정에 의해서도 신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이 계속해서 발견되었다(Nomura, N., et al., DNA Research 1권, p27-35, 1994). 이들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리간드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1차 구조상의 유사성으로부터 추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은 공지된 수용체와의 상동성이 낮은 것이 많아, 실제로, 공기된 리간드의 수용체 서브타입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1차 구조상의 유사성만으로 그의 리간드를 추정하기가 어려웠다. 한편, 유전자 해석으로부터 많은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대응되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리간드가 아직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의 리간드를 동정한 예는 그 수가 적다.
최근 동물세포에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cDNA를 도입하여 신규 오피오이드(opioid) 펩티드를 탐색한 예가 보고되어 있다(Reinsheid, R.K. et al., Science, 270권, p792-794, 1995, Menular, J.-C., et al., Nature 377권, p532-535, 1995). 그러나, 이 경우는, 이미 알려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과의 유사성이나 조직 분포로부터, 리간드가 오피오이드 펩티드의 패밀리에 속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예상되었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통한 생체에 작용하는 물질의 연구ㆍ개발 역사는 길고, 각종 안타고니스트ㆍ아고니스트가 개발되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합성한 화합물군 중에서 이 수용체에 대한 아고니스트를 발견하고, 이것을 프로브로하여 수용체 cDNA 도입 세포에서의 수용체 발현을 검증한 후에, 아고니스트와 동일한 세포내 정보전달계의 활성화 물질을 탐색하고, 이것을 정제하여 리간드의 구조를 결정한다.
또한, 달팽이의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GRL104)를 코딩하는 cDNA를 CHO 세포에 도입하고, 수용체 발현세포에서의 특이적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의 상승을 지표로 하여 신규 생리활성 펩티드를 동정한 예가 보고되어 있지만(Cox,K.J.A., et al., J. Neurosci., 17(4), 1197-1205, 1997), 상기 신규 생리활성 펩티드는 이미 알려진 루코키닌(leucokinin)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며, GRL104는 이미 알려진 루코키닌(leucokinin)과의 반응성도 있었다. 이와 같이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중에서 리간드가 대충 추정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고, 특히 이미 알려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패밀리와 유사성이 낮은 경우, 리간드에 관한 정보는 거의 없어 리간드를 추정하기는 어려웠다.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로서 보고되어 있는 것 중 하나로 APJ가 있다(O'Dowd, B.F., et al., Gene, 436, 355-359, 1993). APJ는 안지오텐신 수용체(angiotensin receptor; AT1)와 낮은 상동성을 갖는다. APJ에 대한 천연 리간드 및 그의 부분 펩티드는 문헌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aearch Communications 251, 471-476(1998)] 및 WO 99/33976호(일본 특허출원 평10-220853) 등에 기재되어 있지만, 천연형 리간드에 인공적으로 수식(修飾)을 부여한 수식체(예컨대, 천연형 리간드의 1개∼몇개의 구성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것, 천연형 리간드의 1개∼몇개의 구성 아미노산의 측쇄를 적당한 치환기로 치환한 것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orphan G prtein-coupled receptor protein)인 APJ에 대한 리간드 활성을 갖는 신규 펩티드 및 그의 용도 등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중추신경계, 순환기계, 생식기계, 면역계, 소화기 등에서 발현되는 오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인 APJ에 대한 천연형 리간드에 인공적으로 수식을 부여한 펩티드는, 천연형 리간드에 비해 의약 등으로서 보다 유용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지금까지 천연형 리간드에 비해 의약 등으로서 보다 유용한 펩티드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에 기초하여, 상기 천연형 리간드의 수식체인 펩티드와 상기 수용체 단백질의 결합성 변화를 지표로 하여, 각종 신규 펩티드를 합성하고, 천연형 리간드의 활성 부위를 예상ㆍ특정함으로써, 의약으로서 보다 유용한 천연형 리간드의 수식체를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식 P1-Arg-Pro-Arg-Leu-Phe-P2-P3-Gly-Pro-P4-P5(Ⅰ)
[식중, P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P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P3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P4는 결합수(結合手)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P5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를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Phe- 또는 -Gly-Pro-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2) P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상기 (1)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3) P2가 치환될 수도 있는 His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Ala인 상기 (1)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4) P3이 치환될 수도 있는 Arg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ys인 상기 (1)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5) -P4-P5가 -Cha-Pro-Phe(Cl), -Cha-Pro-Phe, -Met-Pro-Phe, -Met-Pro-Phe(Cl), -Cha-Phe 또는 -Met-Phe인 상기 (1)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6)
① Arg-Pro-Arg-Leu-Phe-Ala-Arg-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
④ 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Cl),
⑤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ro-Phe,
⑥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he(Cl) ,
⑦ pGlu-Arg-Pro-Arg-Leu-Phe-Arg-Arg-Gly-Pro-Met-Pro-Phe,
⑧ pGlu-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 또는
⑨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he로 표시되는 상기 (1)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7) 식 Q1-Arg-Pro-Arg-Leu-Ser-Ala-Q2-Gly-Q5-Q3-Q4(Ⅱ)
[식중, Q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Q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Q3은 결합수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Q4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를 나타내며, Q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Ser-Ala-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8) Q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상기 (7)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9) Q2가 치환될 수도 있는 Arg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ys인 상기 (7)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0) -Q3-Q4가 -OH, -Met, -Met-Pro-Phe, -Met-Pro-Phe(Cl), -Cha-Pro-Phe, -Cha-Pro-Phe(Cl), -Ala-Pro-Phe(Cl), -Cha-Phe(Cl) 또는 -Cha인 상기 (7)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1) Q5가 치환될 수도 있는 Pro, 치환될 수도 있는 Gly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Ala인 상기 (7)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2)
(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he(Cl),
(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Cl),
(v)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
(v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
(v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vi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
(x)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 pGlu-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xiii) pGlu-Arg-Pro-Arg-Leu-Ser-Ala-Lys-Gly-Pro-Met-Pro-Phe,
(x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Ala-Pro-Phe(Cl),
(xv) Arg-Pro-Arg-Leu-Ser-Ala-Arg-Gly-Gly-Met-Pro-Phe(Cl),
(xvi) Arg-Pro-Arg-Leu-Ser-Ala-Arg-Gly-NMe-Ala-Met-Pro-Phe(Cl),
(xv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yn,
(xv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yn,
(x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Gly-Cha, 또는
(xx) Arg-Pro-Arg-Leu-Ser-Ala-Lys(Me)2-Gly-Pro-Met-Pro-Phe로 표시되는 상기 (7)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3) 식 R1-Arg-Pro-Arg-Leu-Ser-His-Lys-Gly-Pro-R2-Pro-R3(Ⅲ)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R2는 치환될 수도 있는 Cha, 치환될 수도 있는 Met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Nle를 나타내며, R3은 치환될 수도 있는 Phe(Cl), 치환될 수도 있는 Phe, 치환될 수도 있는 Nal(2), 치환될 수도 있는 Cha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Tyr을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Ser-His-Lys-Gly-Pro 또는 -Pro-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4) R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상기 (13)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5)
①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④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
⑤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⑥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⑦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⑧ pGlu-Arg-Pro-Arg-Leu-Ser-His-Lys-GIy-Pro-Met-Pro-Nal(2), 또는
⑨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Cha로 표시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6)
(i)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O),
(ii) Arg-Arg-Lys(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ii) Arg-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v) Arg-Arg-Lys-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v) Arg-Arg-Ala-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v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vii) pGlu-Arg-Pro-Arg-Leu-Ser-Arg-Lys-Gly-Pro-Met-Pro-Phe,
(viii) Arg-Arg-Phe-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x) pGlu-Arg-Pro-Arg-Leu-Ser-His-Arg-Gly-Pro-Met-Pro-Phe,
(x)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x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ii) pGlu-Arg-Pro-Arg-Leu-Ser-Leu-Lys-Gly-Pro-Met-Pro-Phe,
(xii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iv) pGlu-Arg-pro-Arg-Leu-Ser-Arg-Arg-Gly-Pro-Met-Pro-Phe,
(xv) pGlu-Arg-Pro-Arg-Leu-Ser-Phe-Lys-Gly-Pro-Met-Pro-Phe,
(xv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vi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viii) pGlu-Arg-Pro-Arg-Leu-Ser-His-Phe-Gly-Pro-Met-Pro-Phe,
(xix) pGlu-Arg-Pro-Arg-Leu-Ser-His-Leu-Gly-Pro-Met-Pro-Phe,
(x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NMe2,
(xx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Mor, .
(xxii) Arg-Pro-Arg-Leu-Ser-His-Ala-Gly-Pro-Cha-Pro-Phe(Cl),
(xxiii) Arg-Pro-Arg-Ala-Ser-His-Lys-Gly-Pro-Cha-Pro-Phe(Cl), .
(xxiv) Arg-Pro-Lys(Me)2-Leu-Ser-Ala-Arg-Gly-Pro-Met-Pro-Phe,
(xxv) Arg-Pro-Arg-Leu-Ser-Dap-Arg-Gly-Pro-Cha-Pro-Phe(Cl),
(xxvi) Arg-Pro-Arg-Leu-Ser-Dap(Ac)c-Arg-Gly-Pro-Cha-Pro-Phe(Cl),
(xxvii) Arg-Pro-Arg-Leu-Ser-Dap(C6)-Arg-Gly-Pro-Cha-Pro-Phe(Cl),
(xxviii) Arg-Pro-Arg-Leu-Ser-Dap(Adi)-Arg-Gly-Pro-Cha-Pro-Phe(Cl), 또는
(xxix) Arg-Pro-Ala-Leu-Ser-His-Lys-Gly-Pro-Cha-Pro-Phe(Cl)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7) 상기 (1), 상기 (7), 상기 (13) 또는 상기 (16)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의약,
(18) 중추신경 기능 조절제, 순환 기능 조절제, 심장 기능 조절제, 면역 기능 조절제, 소화기 기능 조절제, 대사 기능 조절제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제인 상기 (17)에 기재된 의약,
(19) HIV 감염증 또는 에이즈의 예방ㆍ치료약인 상기 (17)에 기재된 의약,
(20)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그의 염의 작용제인 상기 (17)에 기재된 의약,
(21) 상기 (1), 상기 (7), 상기 (13) 또는 상기 (16)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1), 상기 (7), 상기 (13) 또는 상기 (16)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의 사용 및,
(22) 상기 (1), 상기 (7), 상기 (13) 또는 상기 (16)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IV 감염증 또는 에이즈의 예방ㆍ치료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 치매, 우울증, 다동아(多動兒: 미세 뇌장애)증후군, 의식장애,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공포증, 성장호르몬분비장애, 과식증, 다식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글리세리드혈증, 고지혈증, 고프로락틴혈증, 당뇨병, 암, 췌장염, 신장질환, 터너증후군, 신경증, 류머티스관절염, 척추손상, 일과성 뇌허혈발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급성 심근경색, 척추소뇌변성증, 골절, 창상,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천식, 간질, 불임증, 동맥경화, 폐기종, 폐수종, 유즙분비부전 등과 같은 질병의치료ㆍ예방제인 상기 (17)에 기재된 의약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아미노산 잔기란, 아미노산이 물분자를 잃고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나 펩티드 내에 포함되었을 때의 N 말단 또는 C 말단 이외 부분의 구조를 말한다. 예컨대, α-아미노산 잔기란 α-아미노산(H2NC(R0)(R1)COOH: R0및 R1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의 치환기를 나타냄)이 물분자를 잃고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나 펩티드 내에 포함되었을 때의 N 말단 또는 C 말단 이외 부분의 -NHC(R0)(R1)CO- 구조를 말한다. 한편,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H2NC(R0)(R1)CO-, C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NHC(R0)(R1)COOH로 표시된다. 또한, β-아미노산(H2NC(R0)(R1)C(R2)(R3)COOH: R0, R1, R2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의 치환기를 나타냄)이 물분자를 잃고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나 펩티드 내에 포함되었을 때의 N 말단 또는 C 말단 이외 부분의 -NHC(R0)(R1)C(R2)(R3)CO- 구조를 말한다. 한편,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H2NC(R0)(R1)C(R2)(R3)CO-, C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NHC(R0)(R1)C(R2)(R3)COOH로 표시된다. 또한, γ-아미노산(H2NC(R0)(R1)C(R2)(R3)C(R4)(R5)COOH: R0, R1, R2, R3,R4및 R5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의 치환기를 나타냄)이 물분자를 잃고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나 펩티드 내에 포함되었을 때의 N 말단 또는 C 말단 이외 부분의 -NHC(R0)(R1)C(R2)(R3)C(R4)(R5)CO- 구조를 말한다. 한편,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H2NC(R0)(R1)C(R2)(R3)C(R4)(R5)CO-, C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NHC(R0)(R1)C(R2)(R3)C(R4)(R5)COOH로 표시된다. 그리고, ε-아미노산(H2NC(R0)(R1)C(R2)(R3)C(R4)(R5)C(R6)(R7)C(R8)(R9)COOH: R0,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임의의 치환기를 나타냄)이 물분자를 잃고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이나 펩티드 내에 포함되었을 때의 N 말단 또는 C 말단 이외 부분의 -NHC(R0)(R1)C(R2)(R3)C(R4)(R5)C(R6)(R7)C(R8)(R9)CO- 구조를 말한다. 한편,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H2NC(R0)(R1)C(R2)(R3)C(R4)(R5)C(R6)(R7)C(R8)(R9)CO-, C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는 -NHC(R0)(R1)C(R2)(R3)C(R4)(R5)C(R6)(R7)C(R8)(R9)COOH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아미노산으로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D-체 또는 L-체중 어느 것이도 되고, α-, β-, γ-, ε-형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α-아미노산,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 ε-아미노산의 측쇄를 형성하는 기로는, 예컨대 (1) C1-6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킬 등), (2) 시아노기, (3)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4) 히드록시-C1-6알킬기(예,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등), (5) C1-6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콕시 등), (6) C1-6알콕시-카르보닐기(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콕시-카르보닐 등), (7) C1-4아실기(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과 같은 포르밀 및 C2-4알카노일 등), (8) 히드록시기, (9) 식: -S(O)a-R21(식중, a는 0∼2 정수를, R21은 C1-6알킬(구체적예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음)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예, 메틸티오, 메탄술피닐, 메탄술포닐, 에틸티오, 에탄술피닐, 에탄술포닐 등), (10) 벤질옥시카르보닐, (11) 토실기, (12) 카르바모일기, (13) 메르캅토기, (14) 아미노기, (15) 술포기, (16) 포스포노기, (17) 포스포기, (18) 카르복실기, (19) 테트라졸릴기, (20) 아미노-C1-6알킬기(예,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등), (21) 아미노알릴기, (22) 티아졸릴기, (23) 티에닐기, (24) 옥사졸릴기, (25) 푸릴기, (26) 피라닐기, (27) 피리딜기, (28) 피라질기, (29) 피라지닐기, (30) 피리미디닐기, (31) 피리다지닐기, (32) 인돌릴기, (33) 인도지닐기, (34) 이소인돌릴기, (35) 피롤릴기, (36) 이미다졸릴기, (37) 이소티아졸릴기, (38) 피라졸릴기, (39) 크로메닐기, (40) 푸리닐기, (41) 퀴놀리지닐기, (42) 퀴놀릴기, (43) 이소퀴놀릴기, (44) 퀴나졸리닐기, (45) 퀴녹사리닐기, (46) 신노리닐기, (47) 모르폴리닐기, (48) 벤조티에닐기, (49) 벤조푸라닐기, (50) 벤즈이미다졸릴, (51) 벤즈이미다졸릴기, (52) C3-8시클로알킬기, (53) 상기 (2), (3), (5)∼(17), (20)∼(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C1-4알킬기, (54) 상기 (2), (3), (5)∼(17), (20)∼(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포르밀, C2-4알카노일 등의 C1-4아실기, (55) 상기 (1)∼(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등의 C6-10아릴기(메시틸, 톨릴, 자일릴, 스티레닐 등), (56) 상기 (1)∼(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 등의 C7-15아르알킬기(메틸벤질, 메톡시벤질 등), (57) C7-15아르알킬기(벤질, 페네틸, 벤즈히드릴, 나프틸메틸 등), (58) C6-10아릴기(페닐, 나프틸, 인데닐 등) 및, (59) 수소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잔기를 형성하는 측쇄와 질소원자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거나(예, 프롤린 등), 2개의 측쇄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예, 3-아미노노르보르난카르복실산 등).
α-아미노산의 예로는,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루신, 이소루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신, 아르기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히스티딘, 트립토판,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프롤린, 피페콜린산, 노르루신, γ-메틸루신, tert-루신, 노르발린, 호모아르기닌, 호모세린, 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α-아미노부티르산, 오르니틴, α-아미노아디프산, 페닐글리신, 티에닐글리신, 시클로헥실글리신, 시클로헥실알라닌, 티에닐알라닌, 나프틸알라닌, 비페닐알라닌, p-포스포노메틸페닐알라닌, 옥타히드로인돌-2-카르복실산, O-포스포티로신, 아다만틸알라닌, 벤조티에닐알라닌, 피리딜알라닌, 피페리딜알라닌, 피라질알라닌, 퀴놀릴알라닌, 티아졸릴알라닌, 호모시스테인, 호모페닐알라닌, 시트룰린, 호모시트룰린,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α,β-디아미노프로피온산, α,γ-디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말론산,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페니실라민, 시클로루신, 2-아미노-4-펜텐산 등을 들 수 있다.
β-아미노산의 예로는, 예컨대 β-알라닌, β-아미노부티르산, 이소아스파라긴, 3-아미노아디프산, 3-아미노페닐프로피온산, 3-아미노-2-히드록시-4-페닐부티르산, 3-아미노노르보르난카르복실산, 3-아미노비시클로헵탄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γ-아미노산의 예로는, 예컨대 γ-아미노부티르산, 이소글루타민, 스타틴, 4-아미노-3-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펜탄산, 4-아미노-3-히드록시-5-페닐펜탄산, 6-아미노페니실란산, 3-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ε-아미노산의 예로는 예컨대 ε-아미노카프론산, 4-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루신, 이소루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신, 아르기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히스티딘, 트립토판,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프롤린, 오르니틴, 시트룰린 등을 들 수 있다.
비천연 아미노산으로는, 노르루신, γ-메틸루신, tert-루신, 노르발린, 호모아르기닌, 호모세린, 아미노이소부티르산, 아미노아디프산(예, α-아미노아디프산), 페닐글리신, 티에닐글리신, 시클로헥실글리신, 아미노부티르산, β-알라닌, 시클로헥실알라닌, 티에닐알라닌, 나프틸알라닌, 아다만틸알라닌, 벤조티에닐알라닌, 피리딜알라닌, 피페리딜알라닌, 피라질알라닌, 퀴놀릴알라닌, 티아졸릴알라닌, 이소아스파라긴, 이소글루타민, 호모시스테인, 호모페닐알라닌, 호모시트룰린,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디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벤조산, 상기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의 N-메틸화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로 치환될 수도 있는 치환기의 예로는, (1) C1-6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킬 등), (2) 시아노기, (3)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4) 히드록시-C1-6알킬기(예,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등), (5) C1-6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콕시 등), (6) C1-6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콕시-카르보닐 등), (7) C1-4아실기(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의 포르밀 및 C2-4알카노일 등), (8) 히드록시기, (9) 식: -S(O)a-R21(식중, a는 0∼2 정수를, R21은 C1-6알킬(구체예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음)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예, 메틸티오, 메탄술피닐, 메탄술포닐, 에틸티오, 에탄술피닐, 에탄술포닐 등), (10) 벤질옥시카르보닐, (11) 토실기, (12) 카르바모일기, (13) 메르캅토기, (14) 아미노기, (15) 술포기, (16) 포스포노기, (17) 포스포기, (18) 카르복실기, (19) 테트라졸릴기, (20) 아미노-C1-6알킬기(예,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등), (21) 아미노알릴기, (22) 티아졸릴기, (23) 티에닐기, (24) 옥사졸릴기, (25) 푸릴기, (26) 피라닐기, (27) 피리딜기, (28) 피라질기, (29) 피라지닐기, (30) 피리미디닐기, (31) 피리다지닐기, (32) 인돌릴기, (33) 인도지닐기, (34) 이소인돌릴기, (35) 피롤릴기, (36) 이미다졸릴기, (37) 이소티아졸릴기, (38) 피라졸릴기, (39) 크로메닐기, (40) 푸리닐기, (41) 퀴놀리지닐기, (42) 퀴놀릴기, (43) 이소퀴놀릴기, (44) 퀴나졸리닐기, (45) 퀴녹사리닐기, (46) 신노리닐기, (47) 모르폴리닐기, (48) 벤조티에닐기, (49) 벤조푸라닐기, (50) 벤즈이미다졸릴, (51) 벤즈이미다졸릴기, (52) C3-8시클로알킬기, (53) 옥소기, (54) 상기 (2), (3), (5)∼(19), (22)∼(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C1-4알킬기, (55) 상기 (2), (3), (5)∼(19), (22)∼(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포르밀, C2-4알카노일 등의 C1-4아실기, (56)상기 (1)∼(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페닐 등의 C6-10아릴기(메시틸, 톨릴, 자일릴, 스티레닐 등), (57) 상기 (1)∼(52)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 등의 C7-15아르알킬기(메틸벤질, 메톡시벤질 등), (58) C7-15아르알킬기(벤질, 페네틸, 벤즈히드릴, 나프틸메틸 등), (59) C6-10아릴기(페닐, 나프틸, 인데닐 등), (60) 아르기닐기, (61) 히스티딜기 및, (62) 아르기닐-아르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중성 치환기로는, (1) C1-6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등, 바람직하게는 C1-3알킬 등), (2) 시아노기, (3) 할로겐(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4) 히드록시-C1-6알킬기(예,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등), (5) 히드록시기, (6) 카르바모일기, (7) 메르캅토기, (8) 식: -S(O)a-R21(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 (9) C6-10아릴기(예, 페닐, 나프틸, 인데닐, 크로메닐 등), (10) 티에닐기, (11) 옥사졸릴기, (12) 푸릴기, (13) 인돌릴기, (14) 인도지닐기, (15) 이소인돌릴기, (16) C3-8시클로알킬기, (17) 옥소기, (18) 상기 (2), (3), (5)∼(16)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C1-6알킬, (19) 상기 (1)∼(16)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등의 C6-10아릴기(메시틸, 톨릴, 자일릴, 스티레닐 등), (20) 상기 (1)∼(16)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 등의 C7-15아르알킬기(메틸벤질, 메톡시벤질 등)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치환기로는, 각각 카르복실기, 술포기, 테트라졸릴기 등으로 치환된 C1-4알킬기, 페닐, 나프틸 등의 C6-10아릴기 또는 벤질 등의 C7-15아르알킬기, 카르복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치환기로는, (1) 아미노-C1-6알킬기(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등), (2) 아미노알릴기, (3) 피리딜기, (4) 피라질기, (5) 피라지닐기, (6) 피리다지닐기, (7) 이미다졸릴기, (8) 피라졸릴기, (9) 피라졸릴기, (10) 모르폴리닐기, (11) 아미노기, (12) 상기 (3)∼(10)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C1-4알킬, (13) 상기 (1)∼(11)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벤질 등의 C7-15아르알킬기, (14) 상기 (1)∼(11)에 기재된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등의 C6-10아릴기, (15) 아르기닐기, (16) 히스티딜기 및, (17) 아르기닐-아르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산성 아미노산(잔기)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측쇄에 카르복실기, 술포기, 테트라졸릴기와 같은 산성기를 갖는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그의 구체예로는 글루타민산, 피로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3-(5-테트라졸릴)알라닌, 2-아미노-4-(5-테트라졸릴)부티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로는, 예컨대 히스티딘, 아르기닌, 오르티닌, 리신,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디아미노부티르산, 호모아르기닌 등을 들 수있다. 측쇄가 치환된 염기성 아미노산(잔기)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Nα-아세틸아르기닌, Nε-토실아르기닌, Nε-아세틸리신, Nε-메틸리신, Nε-토실리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성 아미노산(잔기)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알라닌, 발린, 노르발린, 루신, 이소루신, 알로이소루신, 노르루신, tert-루신, γ-메틸루신, 프롤린, 페닐글리신, 페닐알라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세린, 트레오닌, 글리신,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시클로헥실알라닌, 나트틸알라닌 등과 같은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잔기)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티로신, 1-나프틸알라닌, 2-나프틸알라닌, 2-티에닐알라닌, 히스티딘, 피리딜알라닌(2-피리딜알라닌), O-메틸티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측쇄가 치환된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잔기)로는, 구체적으로 예컨대 3-요오드티로신, p-포스포노메틸페닐알라닌, O-포스포티로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잔기)로는, 예컨대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펩티드 및 펩티드 사슬은 펩티드 표기의 관례에 따라 좌단이 N 말단(아미노 말단), 우단이 C 말단(카르복실 말단)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사슬은 C 말단이 통상 카르복실기(-COOH) 또는 카르복실레이트(-COO-)이지만, C 말단이 아미드(-CONH2) 또는 에스테르(-COOR)일 수도 있다. 에스테르의 R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 등과 같은 C1-6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과 같은 C3-8시클로알킬기, 페닐, α-나프틸 등과 같은 C6-12아릴기, 벤질, 페네틸, 벤즈히드릴 등과 같은 페닐-C1-2알킬, 또는 α-나프틸메틸 등의 α-나프틸-Cl-2알킬 등과 같은 C7-14아르알킬기 이외에, 경구용 에스테르로 자주 사용되는 피바로일옥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가 C 말단 이외에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를 갖고 있는 경우, 이들 기가 아미드화 또는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에 포함된다. 이때,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상기 C 말단의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사슬에는,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의 아미노기가 치환기(예컨대, ① 포르밀, 아세틸 등의 C2-6알카노일기, 구아니디노아세틸, 티에닐아크릴, 피리딜아세틸 등의 C1-8아실기, ②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의 C1-6알킬기, ③ 페닐, 나프틸 등의 C6-10아릴기 또는 벤질, 페네틸 등의 C7-16아르알킬기, ④ 토실기, ⑤ 벤질옥시카르보닐기, ⑥ 식: -S(O)a-R22(식중, a는 0∼2 정수를, R22는 C1-6알킬(구체예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음)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예, 메틸티오, 메탄술피닐, 메탄술포닐, 에틸티오, 에탄술피닐, 에탄술포닐 등), ⑦ t-부톡시카르보닐기, ⑧ N-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등)로 치환되는 것, 생체 내에서 절단되어 생성되는 N 말단의 글루타민 잔기가 피로글루타민산화된 것, 분자 내의 아미노산의 측쇄 상의 치환기(예컨대, -OH, -SH, 아미노기, 이미다졸릴기, 인돌릴기, 구아니디노기 등)가 적당한 보호기(예컨대, 포르밀기, 아세틸기 등의 C1-6알카노일기 등의 C1-6아실기 등)로 보호되는 것 또는 당쇄가 결합된 이른바 당단백질 등의 복합 단백질 등도 포함된다.
상기 식 P1-Arg-Pro-Arg-Leu-Phe-P2-P3-Gly-Pro-P4-P5 (Ⅰ), 식 Q1-Arg-Pro-Arg-Leu-Ser-Ala-Q2-Gly-Q5-Q3-Q4 (Ⅱ) 및, 식 R1-Arg-Pro-Arg-Leu-Ser-His-Lys-Gly-Pro-R2-Pro-R3 (Ⅲ) 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상기 치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1, Q1 및 R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낸다.
상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에서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로 치환될 수도 있는 치환기」와 동일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P1, Q1 및 R1이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낼 때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치환될 수도 있는 피로글루타민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있는 글루타민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로글루타민산 또는 글루타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치환될 수도 있는 피로글루타민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글루타민」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치환될 수도 있는 치환기」와 동일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치환될 수도 있는 피로글루타민산」의 바람직한 치환기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P1, Q1 및 R1이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2∼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사슬」을 나타낼 때 구체예로는, 예컨대 식 Y1-Y2(식중, Y1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1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Y2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Y1및 Y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 내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로 치환될 수도 있는 치환기」와 동일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Y1로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a) 식 A1-A2-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A1∼A17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냄),
(b) 식 A2-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c) 식 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d) 식 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e) 식 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f) 식 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g) 식 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h) 식 A8-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i) 식 A9-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j) 식 A10-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k) 식 A11-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l) 식 A12-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m) 식 A13-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n) 식 A14-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o) 식 A15-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p) 식 A16-A17(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또는
(q) 식 A17(A1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1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룰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측쇄를 갖는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티로신 등을 나타낸다.
상기 A2및 A3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A2로는 L-루신 등, A3으로는 L-발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4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또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로신 또는 Nε-아세틸리신 등을 나타낸다.
상기 A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L-프롤린 등을 나타낸다.
상기 A6및 A9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을 나타낸다.
상기 A7및 A10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등을 나타낸다.
A7로는 치환될 수도 있는 글리신, 특히 글리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A8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L-프롤린이나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L-세린, L-프롤린 또는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등을 나타낸다.
상기 A10으로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등을 나타낸다.
상기 A11∼A14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A11로는 글리신, A12로는 L-프롤린, A13으로는 글리신, A14로는 L-알라닌, L-프롤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1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트립토판 등을 나타낸다.
상기 A16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모일기를 갖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을 나타낸다.
카르바모일기를 갖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로는 예컨대 L-글루타민, L-아스파라긴 등을 들 수 있다.
A17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을 나타낸다.
상기 Y2로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① 식 B1-B2-B3-B4-B5-B6-B7-B8(식중, B1∼B8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냄),
② 식 B2-B3-B4-B5-B6-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③ 식 B3-B4-B5-B6-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④ 식 B4-B5-B6-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⑤ 식 B5-B6-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⑥ 식 B6-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⑦ 식 B7-B8(식중, 각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또는
⑧ 식 B8(B8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1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환될 수도 있는 글리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을 나타낸다.
상기 B2∼B4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B2로는 L-아르기닌, B3으로는 L-아르기닌, B4로는 L-리신 등을 나타낸다.
B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페닐알라닌 등을 나타낸다.
상기 B6및 B7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을 나타낸다.
상기 B8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글루타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 등을 나타낸다.
Y1과 Y2의 조합으로는,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즉, X1이 A1-A2-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B1-B2-B3-B4-B5-B6-B7-B8로 표시되는 경우: 하기에서 조합 설명은 생략함),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②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③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④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⑤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⑥으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⑦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및,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⑧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c)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d)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e)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f)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g)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h)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i)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j)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k)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l)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m)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으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o)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p)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및,
상기 (q)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및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보다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및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상기 (b)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란, P1, Q1 및/또는 R1이 식 A2-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B1-B2-B3-B4-B5-B6-B7-B8(식중, A2∼A17및 B1∼B8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 경우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A2및 A3이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A2로는 L-루신 등, A3으로는 L-발린 등이고,
A4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또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 L-리신 또는 Nε-아세틸리신 등이며,
A5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 바람직하게는 L-프롤린 등이고,
A6및 A9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이며,
A7이 치환될 수도 있는 글리신,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고,
A8이 L-프롤린이나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세린, L-프롤린 또는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등이며,
A10이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세린, L-트레오닌, L-아스파라긴 등이고,
A11이 글리신, A12가 L-프롤린, A13이 글리신, A14가 L-알라닌 또는 L-프롤린 등이며,
A15가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트립토판 등이고,
A16이 카르바모일기를 갖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이며,
A17이 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고,
B1이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치환될수도 있는 글리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며,
B2∼B4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B2로는 L-아르기닌, B3으로는 L-아르기닌, B4로는 L-리신 등이고,
B5가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페닐알라닌 등이며,
B6및 B7이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이고,
B8이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글루타민,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 등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로 표시되는 식+상기 ①로 표시되는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란, X1이 A1-A2-A3-A4-A5-A6-A7-A8-A9-A10-A11-A12-A13-A14-A15-A16-A17-B1-B2-B3-B4-B5-B6-B7-B8(식중, A1∼A17및 B1∼B8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 경우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A1이 방향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L-티로신 등이고,
A2및 A3이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A2로는 L-루신 등, A3으로는 L-발린 등이며,
A4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중성 또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 L-α아미노아디프산, L-리신 또는 Nε-아세틸리신 등이고,
A5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 바람직하게는 L-프롤린 등이며,
A6및 A9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염기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이고,
A7이 치환될 수도 있는 글리신,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며,
A8이 L-프롤린이나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세린, L-프롤린 또는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등이고,
A10이 히드록시기를 측쇄에 갖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세린, L-트레오닌, L-아스파라긴 등이며,
A11이 글리신, A12가 L-프롤린, A13이 글리신, A14가 L-알라닌, L-프롤린 등이고,
A15가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트립토판 등이며,
A16이 카르바모일기를 갖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이고,
A17이 중성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며,
B1이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치환될 수도 있는 글리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등이고,
B2∼B4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B2로는 L-아르기닌, B3으로는 L-아르기닌, B4로는 L-리신 등이며,
B5가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페닐알라닌 등이고,
B6및 B7이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L-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등이며,
B8이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글루타민, 바람직하게는 L-글루타민, L-피로글루타민산 등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P1, Q1 및 R1로서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1) 수소원자,
(2) Arg-Gln,
(3) Arg,
(4) Gln,
(5) pGlu, 또는
(6) Arg-Arg-Gl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1로는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이 보다 바람직하고, Q1로는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이 보다 바람직하며, R1로는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또한, 수소원자 또는 Arg-Arg-Gln)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P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알라닌,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히스티딘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3 및 Q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로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C1-4아실기, 토실기, C1-6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C1-4아실기로는,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과 같은 C2-4알카노일 등을 들 수 있다.
C1-6알킬기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을 들 수 있다.
P3 및 Q2는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리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노르루신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가 C1-4아실기(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과 같은 C2-4알카노일 등), C1-6알킬기(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또는 토실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L-리신, L-노르루신 또는 L-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리신, L-노르루신, L-아르기닌, Nε-아세틸리신, Nε-메틸리신, Nε-토실리신, Ng-토실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3 및 Q2로는 치환될 수도 있는 L-아르기닌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리신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P4 및 Q3는 결합수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P4 및 Q3으로 바람직하게는 결합수,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노르루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메티오닌,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메티오닌술폭시드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알라닌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수, L-노르루신, L-메티오닌, L-메티오닌술폭시드 또는 L-시클로헥실알라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4로는 L-노르루신, L-메티오닌 또는 L-시클로헥실알라닌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Q3으로는 결합수, L-메티오닌 또는 L-시클로헥실알라닌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P5 및 Q4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를 나타낸다.
P5 및 Q4로는, 바람직하게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족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P5 및 Q4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4-클로로페닐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2-나프틸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④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시클로헥실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⑤ 수산기 또는 ⑥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과 (a)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페닐알라닌, (b)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티로신, (c) 측쇄가 치환될 수도있는 L-2-티에닐알라닌, (d)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페닐글리신 또는 (e)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L-2-피리딜알라닌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P5 및 Q4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L-프롤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2) 4-클로로페닐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3) 2-나프틸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4) 시클로헥실알라닌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5) 수산기, (6) L-프롤린과 L-페닐알라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7) L-프롤린과 L-티로신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8) L-프롤린과 L-2-티에닐알라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9) L-프롤린과 L-페닐글리신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10) L-프롤린과 4-클로로페닐알라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11) L-프롤린과 2-나프틸알라닌이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12) L-프롤린과 3-요오드티로신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13) L-프롤린과 O-메틸티로신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또는 (14) L-프롤린과 L-2-피리딜알라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실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P4-P5」 및 「-Q3-Q4」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 -Nle-Pro-Phe,
(2) -Nle-Pro-Tyr,
(3) -Nle-Pro,
(4) -Nle,
(5) -Met-Pro-Phe,
(6) -Nle-Pro-Thi,
(7) -Nle-Pro-Phg,
(8) -Nle-Pro-Pya(2),
(9) -Met(O) ,
(10) -Met-Phe(Cl),
(11) -Met-Pro-Phe(Cl),
(12) -Met-Pro-Nal(2),
(13) -Met-Nal(2),
(14) -Met-Cha,
(15) -Cha-Pro-Phe,
(16) -Cha,
(17) -Met-Pro-Tyr(I),
(18) -Cha-Pro-Phe(Cl),
(19) -Cha-Phe(Cl),
(20) -Nle-Pro-Tyr (I),
(21) -Nle-Phe(Cl),
(22) -Cha-Pro-Tyr(I),
(23) -Cha-Tyr(I),
(24) -Cha-Phe,
(25) -Met-Phe,
(26) -Met-Pro-Tyr(Me),
(27) -OH,
(28) -Met,
(29) -Met-Pro-Phe, 및
(30) -Ala-Pro-Phe(Cl) 등을 들 수 있다.
또, 「-P4-P5」로는
(1) -Cha-Pro-Phe(Cl),
(2) -Cha-Pro-Phe,
(3) -Met-Pro-Phe(Cl),
(4) -Met-Pro-Phe,
(5) -Cha-Phe, 및
(6) -Met-Phe가 바람직하고,
(1) -Cha-Pro-Phe(Cl),
(2) -Cha-Pro-Phe,
(3) -Met-Pro-Phe(Cl), 및
(4) -Met-Pro-Phe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Q3-Q4」로는
(1) -Met-Pro-Phe(Cl),
(2) -Cha-Phe(Cl),
(3) -Cha-Pro-Phe(Cl),
(4) -Cha,
(5) -Cha-Pro-Phe,
(6) -OH,
(7) -Met,
(8) -Met-Pro-Phe, 및
(9) -Ala-Pro-Phe(Cl)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Q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치환될 수도 있는 L-프롤린, 치환될 수도 있는 L-글리신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알라닌을 나타낸다.
Q5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L-프롤린, L-글리신 또는 L-알라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R2는 치환될 수도 있는 L-시클로헥실알라닌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L-시클로헥실알라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R3은 치환될 수도 있는 L-페닐알라닌, 치환될 수도 있는 L-2-나프틸알라닌, 치환될 수도 있는 L-시클로헥실알라닌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티로신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L-4-클로로페닐알라닌, L-2-나프틸알라닌, L-시클로헥실알라닌, L-페닐알라닌 또는 L-티로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1)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2)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3)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4)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he(Cl),
(5)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Cl),
(6)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
(7) Arg-Pro-Arg-Leu-Ser-Hjs-Lys-Gly-Pro-Cha-Pro-Phe(Cl),
(8)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9) pGlu-Arg-Pro-Arg-Leu-Ser-His-tys-Gly-Pro-Cha-Pro-Phe,
(10)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11)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
(12) Arg-Pro-Arg-Leu-Phe-Ala-Arg-Gly-Pro-Cha-Pro-Phe(Cl),
(13)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Cl),
(14)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15)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
(16) 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Cl),
(17)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18)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19)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
(20)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O),
(21) Arg-Arg-Lys(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22) Arg-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23) Arg-Arg-Lys-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24)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25) Arg-Arg-Ala-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26) pGlu-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27)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28)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29) pGlu-Arg-Pro-Arg-Leu-Ser-Ala-Lys-Gly-Pro-Met-Pro-Phe,
(30) pGlu-Arg-Pro-Arg-Leu-Ser-Arg-Lys-Gly-Pro-Met-Pro-Phe,
(31)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ro-Phe,
(32)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33) Arg-Arg-Phe-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34) pGlu-Arg-Pro-Arg-Leu-Ser-His-Arg-Gly-Pro-Met-Pro-Phe,
(35)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36)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37)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he(Cl),
(38) pGlu-Arg-Pro-Arg-Leu-Ser-Leu-Lys-Gly-Pro-Met-Pro-Phe,
(39)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40)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41) pGlu-Arg-Pro-Arg-Leu-Ser-Arg-Arg-Gly-Pro-Met-Pro-Phe,
(42) pGlu-Arg-Pro-Arg-Leu-Phe-Arg-Arg-Gly-Pro-Met-Pro-Phe,
(43) pGlu-Arg-Pro-Arg-Leu-Ser-Phe-Lys-Gly-Pro-Met-Pro-Phe,
(44) pGlu-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
(45)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46)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47)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he,
(48) pGlu-Arg-Pro-Arg-Leu-Ser-His-Phe-Gly-Pro-Met-Pro-Phe,
(49)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Cha,
(50) pGlu-Arg-Pro-Arg-Leu-Ser-His-Leu-Gly-Pro-Met-Pro-Phe,
(51)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NMe2,
(52)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Mor,
(53) Arg-Pro-Arg-Leu-Ser-Ala-Arg-Gly-Pro-Ala-Pro-Phe(Cl),
(54) Arg-Pro-Arg-Leu-Ser-Ala-Arg-Gly-Gly-Met-Pro-Phe(Cl),
(55) Arg-Pro-Arg-Leu-Ser-Ala-Arg-Gly-N-MeAla-Met-Pro-Phe(Cl),
(56) Arg-Pro-Arg-Leu-Ser-His-AIa-Gly-Pro-Cha-Pro-Phe(Cl),
(57) Arg-Pro-Arg-Ala-Ser-His-Lys-Gly-Pro-Cha-Pro-Phe(Cl),
(58) Arg-Pro-Ala-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59)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NH2,
(60)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yn,
(61)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yn,
(62)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Gly-Cha,
(63) Arg-Pro-Lys(Me)2-Leu-Ser-Ala-Arg-Gly-Pro-Met-Pro-Phe,
(64) Arg-Pro-Arg-Leu-Ser-Ala-Lys(Me)2-Gly-Pro-Met-Pro-Phe,
(65) Arg-Pro-Arg-Leu-Ser-Dap-Arg-Gly-Pro-Cha-Pro-Phe(Cl),
(66) Arg-Pro-Arg-Leu-Ser-Dap(Ac)-Arg-Gly-Pro-Cha-Pro-Phe(Cl),
(67) Arg-Pro-Arg-Leu-Ser-Dap(C6)-Arg-Gly-Pro-Cha-Pro-Phe(Cl), 및
(68) Arg-Pro-Arg-Leu-Ser-Dap(Adi)-Arg-GIY-Pro-Cha-Pro-Phe(C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P1-Arg-Pro-Arg-Leu-Phe-P2-P3-Gly-Pro-P4-P5 (Ⅰ)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의 구체예로는,
① Arg-Pro-Arg-Leu-Phe-Ala-Arg-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
④ 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Cl),
⑤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ro-Phe,
⑥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he(Cl),
⑦ pGlu-Arg-Pro-Arg-Leu-Phe-Arg-Arg-Gly-Pro-Met-Pro-Phe,
⑧ pGlu-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
⑨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he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Q1-Arg-Pro-Arg-Leu-Ser-Ala-Q2-Gly-Q5-Q3-Q4 (Ⅱ)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의 구체예로는,
(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he(Cl),
(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Cl),
(v)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
(v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
(v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vi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
(x)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 pGlu-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xiii) pGlu-Arg-Pro-Arg-Leu-Ser-Ala-Lys-Gly-Pro-Met-Pro-Phe,
(x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Ala-Pro-Phe(Cl),
(xv) Arg-Pro-Arg-Leu-Ser-Ala-Arg-Gly-Gly-Met-Pro-Phe(Cl),
(xvi) Arg-Pro-Arg-Leu-Ser-Ala-Arg-Gly-NMe-Ala-Met-Pro-Phe(Cl).
(xv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yn,
(xv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yn.
(x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Gly-Cha, 또는
(xx) Arg-Pro-Arg-Leu-Ser-Ala-Lys(Me)2-Gly-Pro-Met-Pro-Phe
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R1-Arg-Pro-Arg-Leu-Ser-His-Lys-Gly-Pro-R2-Pro-R3 (Ⅲ)으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의 구체예로는,
①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④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
⑤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⑥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⑦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⑧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⑨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Cha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O),
(ii) Arg-Arg-Lys(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ii) Arg-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v) Arg-Arg-Lys-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v) Arg-Arg-Ala-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
(v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vii) pGlu-Arg-Pro-Arg-Leu-Ser-Arg-Lys-Gly-Pro-Met-Pro-Phe,
(viii) Arg-Arg-Phe-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x) pGlu-Arg-Pro-Arg-Leu-Ser-His-Arg-Gly-Pro-Met-pro-Phe,
(x)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x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ii) pGlu-Arg-Pro-Arg-Leu-Ser-Leu-Lys-Gly-Pro-Met-Pro-Phe,
(xii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iv) pGlu-Arg-Pro-Arg-Leu-Ser-Arg-Arg-Gly-Pro-Met-Pro-Phe,
(xv) pGlu-Arg-Pro-Arg-Leu-Ser-Phe-Lys-Gly-Pro-Met-Pro-Phe,
(xv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vi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viii) pGlu-Arg-Pro-Arg-Leu-Ser-His-Phe-Gly-Pro-Met-Pro-Phe,
(xix) pGlu-Arg-Pro-Arg-Leu-Ser-His-Leu-Gly-Pro-Met-Pro-Phe,
(x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NMe2,
(xx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Mor,
(xxii) Arg-Pro-Arg-Leu-Ser-His-Ala-Gly-Pro-Cha-Pro-Phe(Cl),
(xxiii) Arg-Pro-Arg-Ala-Ser-His-Lys-Gly-Pro-Cha-Pro-Phe(Cl),
(xxiv) Arg-Pro-Lys(Me)2-Leu-Ser-Ala-Arg-Gly-Pro-Met-Pro-Phe,
(xxv) Arg-Pro-Arg-Leu-Ser-Dap-Arg-Gly-Pro-Cha-Pro-Phe(Cl),
(xxvi) Arg-Pro-Arg-Leu-Ser-Dap(Ac)c-Arg-Gly-Pro-Cha-Pro-Phe(Cl),
(xxvii) Arg-Pro-Arg-Leu-Ser-Dap(C6)-Arg-Gly-Pro-Cha-Pro-Phe(Cl),
(xxviii) Arg-Pro-Arg-LeQ-Ser-Dap(Adi)-Arg-Gly-Pro-Cha-Pro-Phe (Cl), 또는,
(xxix) Arg-Pro-Ala-Leu-Ser-His-Lys-Gly-Pro-Cha-Pro-Phe(Cl)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등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염으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예컨대, 알칼리금속 등)나 산(유기산, 무기산)과의 염이 사용되는데,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으로는, 예컨대 무기산(예컨대, 염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황산)과의 염 또는 유기산(예컨대,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과의 염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로부터 펩티드를 정제하는 방법으로 천연형 리간드를 취득한 후, 후술하는 펩티드 합성법에 준하여 적절하게 수식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 천연형 리간드를 원료로 하지 않고 후술하는 펩티드 합성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형 리간드를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로부터 제조하는 경우,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를 호모게나이징한 후 산 등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액을 염석, 투석, 겔여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조합함으로써 정제 단리할 수 있다.
천연형 리간드의 취득방법은 예컨대 WO 99/33976호(일본 특허출원 평10-220853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자체 공지된 펩티드의 합성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펩티드의 합성법으로는 예컨대 고상 합성법, 액상 합성법 어느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를 구성할 수 있는 부분 펩티드 또는 아미노산과 잔여 부분을 축합시키고 생성물이 보호기를 갖는 경우에는, 보호기를 탈리(脫離)함으로써 목적하는 펩티드를 제조할 수 있다. 공지된 축합방법이나 보호기의 탈리로는 예컨대 다음 ①∼⑤ 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① M. Bodanszky 및 M.A. Ondetti, Peptide Synthesi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6년)
② Schroeder 및 Luebke, The Peptide, Academic Press, New York (1965년)
③ 이즈미야 노부오 외, 펩티드 합성의 기초와 실험, 마루젠㈜ (1975년)
④ 야지마 하루아키 및 사카키바라 순페이, 생화학 실험강좌1, 단백질의 화학Ⅳ, 205, (1977년)
⑤ 야지마 하루아키 감수, 속 의약품의 개발, 제14권, 펩티드 합성, 히로가와서점
또한, 반응 후에는 통상적인 정제법, 예컨대 용매추출ㆍ증류ㆍ칼럼 크로마토그래피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ㆍ재결정 등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를 정제 단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은 펩티드가 유리체인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적당한 염으로 변환할 수 있고, 반대로 염으로 얻은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유리체로 변환할 수 있다.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의 축합에 관해서는 펩티드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활성화 시약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트리스포스포늄류, 테트라메틸우로늄류, 카르보디이미드류 등이 바람직하다. 트리스포스포늄류로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roP), 테트라메틸우로늄류로는,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N-숙시미딜)-1,1,3,3-테트라메틸우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카르보디이미드류로는, DCC,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한 축합에는 라세미화 억제제(예컨대, HONB, HOBt, HOOBt 등)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축합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펩티드 축합반응에 사용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는 용매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무수 또는 함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과 같은 산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과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과 같은 술폭시드류, 피리딘 등과 같은 3급아민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과 같은 니트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과 같은 에스테르류 또는 이것들의 적절한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반응온도는 펩티드 결합 형성반응에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되는데, 통상 약 -20℃∼50℃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활성화된 아미노산 유도체는 통상 1.5∼4배 과잉으로 사용된다. 고상 합성의 경우에는 닌히드린 반응을 이용한 테스트 결과, 축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기를 탈리하지 않고 축합반응을 반복함으로써 충분한 축합을 행할 수 있다. 반응을 반복해도 충분한 축합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무수 아세트산 또는 아세틸이미다졸을 사용하여 미반응 아미노산을 아세틸화시켜 이후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원료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의 보호기로는, 예컨대 Z, Boc, tert-펜틸옥시카르보닐, 이소보르닐옥시카르보닐, 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Cl-Z, Br-Z, 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프탈로일, 포르밀, 2-니트로페닐술페닐, 디페닐포스피노티오일, Fmoc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로는, 예컨대 R로서 상기 C1-6알킬기, C3-8시클로알킬기, C7-14아르알킬기 이외에, 알릴, 2-아다만틸, 4-니트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페나실기 및 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드, tert-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드, 트리틸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세린 및 트레오닌의 수산기는 예컨대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 에스테르화에 적합한 기로는, 예컨대 아세틸기 등의 저급(C2-4)알카노일기, 벤조일기 등의 알로일기 등과 같은 유기산에서 유도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테르화에 적합한 기로는, 예컨대 벤질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tert-부틸기, 트리틸기(Trt) 등이다.
티로신의 페놀성 수산기의 보호기로는, 예컨대 Bzl, 2,6-디클루르벤질, 2-니트로벤질, Br-Z, tert-부틸 등을 들 수 있다.
히스티딘의 이미다졸릴의 보호기로는, Tos, 4-메톡시-2,3,6-트리메틸벤젠술포닐(Mtr), DNP, Bom, Bum, Boc, Trt, Fmoc 등을 들 수 있다.
아르기닌의 구아니디노기의 보호기로는, Tos, Z, 4-메톡시-2,3,6-트리메틸벤젠술포닐(Mtr), p-메톡시벤젠술포닐(MBS), 2,2,5,7,8-펜타메틸크로만-6-술포닐(Pmc), 메시틸렌-2-술포닐(Mts),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Pbf), Boc, Z, NO2등을 들 수 있다.
리신의 측쇄 아미노기의 보호기로는, Cl-Z, 트리플루오로아세틸, Boc, Fmoc, Trt, Mtr, 4,4-디메틸-2,6-디옥소사이클로헥실리덴에일(Dde) 등을 들 수 있다.
트리토판의 인돌릴 보호기로는 포르밀(For), Z, Boc, Mts, Mtr 등을 들 수 있다.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의 보호기로는, Trt, 크산틸(Xan), 4,4'-디메톡시벤즈히드릴(Mbh), 2,4,6-트리메톡시벤질(Tmob) 등을 들 수 있다.
원료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것으로는, 예컨대 대응하는 산무수물, 아지드, 활성에스테르[알콜(예컨대, 펜타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4-디니트로페놀, 시아노메틸알콜, 파라니트로페놀, HONB, N-히드록시숙시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와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원료 아미노기가 활성화된 것으로는 예컨대 대응하는 하이포 인산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보호기의 제거(탈리)방법으로는, 예컨대 Pd흑 또는 Pd탄소 등과 같은 촉매 존재 하의 수소기류 중에서의 접촉 환원이나, 또는 무수 플루오르화수소,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브롬화트리메실실란(TMSBr),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스(트리플루오로)붕소, 3브롬화붕소 또는 이들 혼합액 등에 의한 산 처리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에 의한 염기처리, 또는 액체 암모니아 중의 나트륨에 의한 환원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산 처리에 의한 탈리반응은 일반적으로 -20℃∼40℃ 온도에서 행해지지만, 산 처리에서는 아니솔, 페놀, 티오아니솔, 메타크레졸, 파라크레졸과 같은 양이온 포착제나 디메틸술피드, 1,4-부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등의 첨가가 유효하다. 또한, 히스티딘의 이미다졸 보호기로 사용되는 2,4-디니트로페닐기는 티오페놀 처리에 의해 제거되고, 트립토판의 인돌 보호기로서 사용되는 포르밀기는 상기 1,2-에탄디티올, 1,4-부탄디티올 등의 존재 하의 산 처리에 의한 탈보호 이외에 희석 수산화나트륨, 희석 암모니아 등에 의한 알칼리 처리에 의해서도 제거된다.
원료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관능기 보호 및 보호기, 그리고 그 보호기의 탈리,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의 활성화 등은 공지된 기 또는 공지된 수단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펩티드의 아미드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아미드체 합성용 수지를 사용하여 고상 합성하거나 카르복실 말단 아미노산의 α-카르복실기를 아미드화한 후, 아미노기측에 펩티드 사슬을 원하는 사슬길이까지 연장한 후, 이 펩티드 사슬의 N 말단의 α-아미노기의 보호기만 제거한 펩티드와 C 말단의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만 제거한 펩티드(또는 아미노산)을 제조하고, 상기 두 펩티드를 상기 바와 같은 혼합용매 내에서 축합시킨다. 축합반응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축합으로 얻은 보호 펩티드를 정제한 후, 상기 방법으로 모든 보호기를 제거하여 원하는 미정제 폴리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이 미정제 펩티드는 이미 알려진 각종 정제수단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주요 분획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원하는 펩티드의 아미드체를 얻을 수 있다.
펩티드의 에스테르체를 얻기 위해서는,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산의 α-카르복실기를 원하는 알콜류와 축합하여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만든 후, 펩티드의 아미드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하는 펩티드의 에스테르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기능 또는 성질이 잘 알려져 있는 단백질과의 융합 단백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① 본 발명의 펩티드가 갖는 생리작용의 탐색, ② 재조합형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계를 이용한 수용체 결합검사계의 개발과 의약품 후보 화합물의 스크리닝, ③ 중추신경 기능 조절제, 순환 기능 조절제, 심장 기능 조절제, 면역 기능 조절제, 소화기 기능 조절제, 대사 기능 조절제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제 등과 같은 의약 개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재조합형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계를 이용한 수용체 결합검사계에 의해 인간 등과 같은 온혈동물에게 특이한 G 단백질 공액형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안타고니스트를 스크리닝할 수 있고, 이 아고니스트 또는 안타고니스트를 각종 질병의 예방ㆍ치료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③에 관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는 중추신경계, 순환기계, 심장, 면역계, 소화기계, 대사계 또는 생식기계 등에서 발현되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예, APJ)이 리간드로서 인식하는 것이므로, 안전하고 저독성의 의약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중추신경 기능 조절작용, 순환 기능 조절작용, 심장 기능 조절작용, 면역 기능 조절작용, 소화기 기능 조절작용, 대사 기능 조절작용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작용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예컨대 노인성 치매, 뇌혈관성 치매, 계통변성형의 퇴행변성질환(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피크병, 헌팅톤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감염성 질환(예: 크로이츠펠트-야코브병 등의 지발성 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내분비성ㆍ대사성ㆍ중독성 질환(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B12 결핍증, 알콜중독, 각종 약제ㆍ금속ㆍ유기화합물에 의한 중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종양성 질환(예: 뇌종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외상성 질환(예: 만성 경막하혈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등과 같은 치매, 우울증, 다동아(미세 뇌장애)증후군, 의식장애,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공포증, 성장호르몬분비장애(예: 거인증, 말단비대증 등), 과식증, 다식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글리세리드혈증, 고지혈증, 고프로락틴혈증, 당뇨병(예: 당뇨병성 합병증, 당뇨병성 신장증, 당뇨병성 신경장애, 당뇨병성 망막증 등), 암(예: 유방암, 림프성 백혈병, 폐암, 방광암, 난소암, 전립선암 등), 췌장염, 신장질환(예: 만성 신부전, 신장염 등), 터너증후군, 신경증, 류머티스관절염, 척추손상, 일과성뇌허혈발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급성 심근경색, 척추소뇌변성증, 골절, 창상,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천식, 간질, 불임증, 동맥경화, 폐기종, 폐수종 또는 유즙분비부전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ㆍ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술 후의 영양상태 개선제, 승압제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IV 감염증, 에이즈(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부전증후군) 등의 치료ㆍ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상기 기술한 의약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수단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당의(唐衣)나 장용성 피막을 실시한 정제, 캡슐제, 엘릭시르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으로서 경구적으로, 또는 물 또는 그 이외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과의 무균성 용액 또는 현탁액제 등의 주사제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생리학적으로 인정되는 담체, 향미제, 부형제, 비히클, 방부제, 안정제, 결합제 등과 함께 일반적으로 인정된 제제 실시에 요구되는 단위용량 형태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제제의 유효 성분량은 지지받은 범위의 적당한 용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제, 캡슐제 등에 혼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젤라틴, 옥수수전분, 트라간트 고무, 아라비아 고무와 같은 결합제, 결정성 셀룰로오스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전분, 젤라틴, 아르긴산 등과 같은 팽화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자당, 젖당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페파민트, 아까모노 (학명:Gaultheria ovatifolia ssp. adenothrix) 오일 또는 체리와 같은 향미제 등이 사용된다. 조제단위형태가 캡슐인 경우에는 상기 타입의 재료에 추가로 유지와 같은 액상담체를 함유시킬 수 있다. 주사를 위한 무균조성물은 주사용수와 같은 비히클 내의 활성물질, 참기름, 야자유 등과 같은 천연산출 식물유 등을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등 통상적인 제제 실시에 따라 처방할 수 있다.
주사용 수성액으로는, 예컨대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외의 보조약을 함유한 등장액(예컨대, D-소르비톨, D-만니톨, 염화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고, 적당한 용해보조제, 예컨대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등), 폴리알코올(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80(TM), HCO-50 등)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유성액으로는 참깨유, 대두유 등을 들 수 있고, 용해보조제로서 벤조산벤질, 벤질알코올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제(예컨대, 인산염 완충액,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 등), 무통화제(예컨대, 염화벤잘코늄, 염산프로카인 등), 안정제(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보존제(예컨대, 벤질알코올, 페놀 등), 산화방지제 등과 배합할 수 있다. 조제된 주사액은 통상 적당한 앰플에 충전된다. 이렇게 해서 얻은 제제는 안전하고 저독성이기 때문에, 예컨대 포유동물(예컨대, 인간,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침팬지 등)에 대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량은 증상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 HIV 감염증 환자(체중 60㎏)에게는 하루에 약 0.1∼100㎎,바람직하게는 약 1.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0㎎ 투여한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1회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방법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컨대 주사제 형태로 성인 HIV 감염증 환자(체중 60㎏)에게 투여하는 경우, 하루에 약 0.01∼3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10㎎ 정도를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의 경우에도 60㎏ 기준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로는, 인간이나 온혈동물(예컨대, 포유온혈동물(예: 토끼, 양, 염소, 래트, 마우스, 모르모트, 소, 말, 돼지), 조류(예: 닭, 비둘기, 집오리, 거위, 메추라기) 등)의 모든 조직(예컨대, 하수체, 췌장, 뇌, 신장, 간장, 생식선, 갑상선, 담낭, 골수, 부신, 피부, 근육, 폐, 소화관, 혈관, 심장 등) 또는 세포 등에서 유래되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로, 예컨대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즉,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로는,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 등 외에,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약 90∼99.9%의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며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질인 활성을 갖는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백질이 나타내는 활성으로는 예컨대 리간드 결합 활성, 시그널 전달 활성 등을 들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질이란 리간드 결합 활성 등이 실질적으로 동질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간드 결합 활성의 강도 등의 강약, 수용체 단백질의 분자량 등의 양적 요소는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에는, N 말단의 Met가 보호기(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등과 같은 C2-6알카노일기 등의 C1-6아실기 등)로 보호되어 있는 것, Gln의 N단측이 생체 내에서 절단되고 이 Gln이 피로글루타민산화된 것, 분자 내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가 적당한 보호기(예컨대, 포르밀기, 아세틸기 등과 같은 C1-6아실기 등)로 보호되어 있는 것, 또는 당쇄가 결합된 이른바 당단백질 등의 복합단백질 등도 포함된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염으로는 상기 펩티드의 염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또는 그의 염 또는 그 부분 펩티드는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로부터 자체 공지된 단백질의 정제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기술한 펩티드 합성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로는, 예컨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분자 중 세포막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 등이 사용된다. 즉,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소수성 플롯 해석에서 세포외 영역(친수성(Hydrophilic) 부위)으로 분석된 부분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또, 소수성(Hydrophobic) 부위를 일부에 포함하는 펩티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개의 도메인을 개별로 포함하는 펩티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복수개의 도메인을동시에 포함하는 부분의 펩티드일 수도 있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의 염으로는 상기 펩티드의 염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로는,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19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 게놈 DNA, 게놈 DNA 라이브러리, 조직ㆍ세포 유래의 cDNA, 조직ㆍ세포 유래의 cDNA 라이브러리, 합성 DNA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라이브러리에 사용되는 벡터는 박테리오파지,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파지미드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조직ㆍ세포로부터 RNA 분획을 조제한 것을 사용하며 직접 자체 공지된 RT-PCR 법으로 증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로는, 본 명세서의 서열번호:2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DNA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이하, 본 발명의 펩티드 등으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의 용도에 대해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리간드 펩티드 결핍증의 예방ㆍ치료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대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이 갖는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리간드 펩티드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결핍증의 예방ㆍ치료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내에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이 감소되고 있기 때문에, 리간드의 생리작용(중추신경 기능 조절작용, 순환 기능 조절작용, 심장 기능 조절작용, 면역 기능 조절작용, 소화기 기능 조절작용, 대사 기능 조절작용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작용 등)을 기대할 수 없는 환자가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이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이 환자의 생체 내의 리간드 펩티드의 양을 증가시켜 리간드 펩티드의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은 안전하고 저독성의 리간드 펩티드 결핍증의 예방ㆍ치료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리간드 펩티드에 대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정량법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이나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염에 대하여 결합성을 갖고 있으므로, 생체내의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의 농도를 고감도로 정량할 수 있다.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로는, 예컨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분자 중 세포막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 등이 사용된다. 즉,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소수성 플롯 해석에서 세포외 영역(친수성(Hydrophilic) 부위)으로 분석된 부분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또, 소수성(Hydrophobic) 부위를 일부에 포함하는 펩티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개의 도메인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펩티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복수개도메인을 동시에 포함하는 부분의 펩티드일 수도 있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의 아미드, 에스테르는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의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의 염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의 염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정량법은 예컨대 경합법과 조합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즉, 피검체를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접촉시킴으로써 피검체 내의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다음 ① 또는 ② 등에 기재된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① 이리에 히로시 편 「라디오 이뮤노 검사」(코우단사, 1974년 발행)
② 이리에 히로시 편 「속 라디오 이뮤노 검사」(코우단사, 1979년 발행)
(3)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과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의 스크리닝 방법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이나 이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거나 또는 재조합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발현계를 구축하고 이 발현계를 이용한 수용체 결합검사계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예컨대, 펩티드, 단백질,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화합물, 발효생산물 등) 또는 그의 염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해 세포자극활성(예컨대, 아라키돈산 유리, 아세틸콜린 유리, 세포내 Ca2+유리, 세포내 cAMP 생성, 세포내 cGMP 생성, 이노시톨인산 생산, 세포막 전위변동,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c-fos의 활성화, pH의 저하 등을 촉진하는 활성 또는 억제하는 활성 등)을 갖는 화합물(즉,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과 상기 세포자극활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즉,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등이 포함된다. 「결합성을 변화시킨다」라는 것은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의 결합을 저해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의 결합을 촉진하는 경우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i)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염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접촉시킨 경우와, (ii)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및 시험화합물을 접촉시킨 경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는, (i)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접촉시킨 경우와, (ii)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및 시험화합물을 접촉시킨 경우에, 예컨대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이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에 대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결합량, 세포자극활성 등을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①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 접촉시킨 경우에,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또는 그의 염 또는 이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②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이 세포의 막 분획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상기 세포의 막 분획에 접촉시킨 경우에,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상기 세포 또는 상기 막 분획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③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위에 발현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접촉시킨 경우와,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위에 발현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접촉시킨 경우에,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대한 결합량을 측정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④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예컨대, 본 발명의 펩티드)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한 세포자극활성(예컨대, 아라키돈산 유리, 아세틸콜린 유리, 세포내 Ca2+유리, 세포내 cAMP 생성, 세포내 cGMP 생성, 이노시톨인산 생산, 세포막 전위변동,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c-fos의 활성화, pH의 저하 등을 촉진하는 활성 또는 억제하는 활성 등)을 측정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및
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예컨대,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접촉시킨 경우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세포막 상에 발현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접촉시킨 경우에,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한 세포자극활성(예컨대, 아라키돈산 유리, 아세틸콜린 유리, 세포내 Ca2+유리, 세포내 cAMP 생성, 세포내 cGMP 생성, 이노시톨인산 생산, 세포막 전위변동,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c-fos의 활성화, pH의 저하 등을 촉진하는 활성 또는 억제하는 활성 등)을 측정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사용되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로는,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를 함유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장기의 막 분획 등이 적합하다. 그러나, 특히 인간 유래의 장기는 입수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스크리닝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재조합체를 사용하여 대량 발현시킨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이의 세포막 분획 등을 사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조제법에 따르면 된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이 세포를 글루탈알데히드, 포르말린 등으로 고정화시킬 수도 있다. 고정화 방법은 그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로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발현시킨 숙주세포를 말하는데, 숙주로는 예컨대 에쉬리히아속균, 바실러스속균, 효모, 곤충 또는 곤충세포, 동물세포 등이 사용된다.
에쉬리히아속균으로는, 에쉬리히아 콜리(Escherichia coli) K12ㆍDH1 [Proc. Natl. Acad. Sci., USA, 60권, 160(1968)], JM103 [Nucleic Acids Research, 9권, 309(1981)], JA221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20권, 517(1978)], HB101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41권, 459(1969)], C600 [Genetics, 39권, 440(1954)] 등이 사용된다.
바실러스속균으로는, 예컨대 Bacillus subtilis MI114 [Gene, 24권, 255(1983)], 207-21 [Journal of Biochemistry, 95권, 87(1984)] 등이 사용된다.
효모로는, 예컨대 Saccharomyces cerevisiae AH22, AH22R-, NA87-11A, DKD-5D, 20B-12 등이 사용된다.
곤충으로는, 예컨대 누에의 유충 등이 사용된다[마에다 외, Nature, 315권,592(1985)].
곤충세포로는, 예컨대 바이러스가 AcNPV인 경우에는 야행성 나방의 유충 유래 주화세포(Spodoptera frugiperda cell;Sf세포), Trichoplusia ni의 중장 유래의 MGI 세포, Trichoplusia ni 의 난 유래의 High FiveTM세포, Mamestra brassicae 유래의 세포 또는 Estigmena acrea 유래의 세포 등이 사용된다. 바이러스가 BmNPV인 경우에는 누에 유래 주화세포(Bombyx mori N 세포; BmN 세포) 등이 사용된다. 이런 Sf세포로는 예컨대 Sf9세포(ATCC CRL1711), Sf21세포[이상, Vaughn, J.L. 외, in Vitro, 13권, p213-217, (1977)] 등이 사용된다.
동물세포로는, 예컨대 원숭이 COS-7 세포, Vero 세포, 차이니스 햄스터 세포 CHO, DHFR 유전자 결손 차이니스 햄스터 세포 CHO(dhfr-CHO 세포), 마우스 L 세포, 마우스 3T3 세포, 마우스 미엘로마 세포, 인간 HEK293 세포, 인간 FL 세포, 293 세포, C127 세포, BALB3T3 세포, Sp-2/O 세포 등이 사용된다.
막 분획으로는 세포를 파쇄한 후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얻은 세포막이 많이 함유되는 분획을 말한다. 세포의 파쇄방법으로는, Potter-Elvenjem형 호모게나이저로 세포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법, 워링 블렌더나 폴리트론(Kinematica사 제조)에 의한 파쇄, 초음파에 의한 파쇄, 프렌치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면서 세포를 가는 노즐에서 분출시키는 파쇄 등을 들 수 있다. 세포막의 분획에는 분획 원심분리법이나 밀도구배 원심분리법 등과 같은 원심력에 의한 분획법이 주로 이용된다. 예컨대, 세포 파쇄액을 저속(500rpm∼3000rpm)으로 단시간(통상 약1분∼10분) 원심하고, 상청액을 다시 고속(15000rpm∼30000rpm)으로 통상 30분∼2시간 원심하여 얻은 침전물을 막 분획으로 한다. 상기 막 분획 중에는 발현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과 세포 유래의 인 지질이나 막 단백질 등의 막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나 막 분획 내의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양은 1세포당 103∼108분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107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현량이 많을수록 막 분획당 리간드 결합활성(비활성)이 높아져 고감도의 스크리닝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동일한 경로로 대량 시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상기 ①∼③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분획과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분획으로는, 천연형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분획 또는 이와 동등한 활성을 갖는 재조합형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분획 등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동등한 활성이란 동등한 리간드 결합활성 등을 나타낸다. 표지된 리간드로는, 표지된 리간드, 표지된 리간드 아날로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예컨대, [3H], [125I], [14C], [35S] 등으로 표지된 리간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해서는, 먼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세포의 막 분획을, 스크리닝에 적합한 완충액에 현탁시킴으로써 수용체 표품(標品)을 조제한다. 완충액에는 pH4∼10(바람직하게는 pH6∼8)의 인산 완충액, 트리스-염산 완충액 등의 리간드와 수용체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는 완충액라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비특이적 결합을 저감시키는 목적으로 CHAPS, Tween-80TM(카오-아틀라스사), 디기토닌, 데옥시콜레이트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완충액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에 의한 수용체나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의 분해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PMSF, 로이펩틴, E-64(펩티드 연구소 제조), 펩스타틴 등과 같은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0.01㎖∼10㎖ 수용체 용액에 일정량(5000cpm∼500000cpm)의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첨가하고, 동시에 10-4∼10-1μM의 시험화합물을 공존시킨다. 비특이적 결합량(NSB)을 알기 위해 대과잉의 미표지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첨가한 반응튜브도 준비한다. 반응은 0℃∼50℃, 바람직하게는 4℃∼37℃에서 20분∼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3시간 행한다. 반응 후 유리섬유 여과지 등으로 여과하고 적당량의 동일 완충액로 세정한 후, 유리섬유 여과지에 잔존하는 방사활성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또는 γ-카운터로 계측한다. 길항 물질이 없는 경우 카운트(B0)에서 비특이적 결합량(NSB)을 뺀 카운트(B0-NSB)를 100%로 했을 때, 특이적 결합량(B-NSB)이 예컨대 50% 이하가 되는 시험화합물을 길항저해 능력이 있는 후보물질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통한 세포자극활성(예컨대, 아라키돈산 유리, 아세틸콜린 유리, 세포내 Ca2+유리, 세포내 cAMP 생성, 세포내 cGMP 생성, 이노시톨인산 생산, 세포막 전위변동,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c-fos의 활성화, pH의 저하 등을 촉진하는 활성 또는 억제하는 활성 등)을 공지 방법 또는 시판되는 측정용 키트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를 멀티 웰 플레이트 등에 배양한다. 스크리닝을 행함에 있어서는, 미리 신선한 배지 또는 세포에 독성을 발휘하지 않는 적당한 완충액로 교환하고, 시험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일정 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세포를 추출 또는 상청액을 회수하여, 생성된 생산물을 각각의 방법에 따라 정량한다. 세포자극활성의 지표로 하는 물질(예컨대, 아라키돈산 등)의 생성이, 세포가 함유하는 분해효소로 검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제를 첨가하여 검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cAMP 생산 억제 등의 활성에 대해서는 폴스콜린 등으로 세포의 기초적 생산량을 증대시켜 둔 세포에 대한 생산억제작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세포자극활성을 측정하여 스크리닝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발현시킨 세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발현시킨 세포로는 상기 기술한 재조합형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 발현 세포주 등이 바람직하다.
시험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펩티드, 단백질,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화합물, 발효생산물, 세포 추출액, 식물 추출액, 동물조직 추출액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신규 화합물이거나 공지 화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용 키트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 또는 그의 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의 부분 펩티드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의 막 분획 및,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용 키트의 예로는 다음 것을 들 수 있다.
1. 스크리닝용 시약
① 측정용 완충액 및 세정용 완충액
Hank's Balanced Salt Solution(기브코사 제조)에 0.05% 소 혈청 알부민(시그마사 제조)을 첨가한 것.
구멍 직경 0.45㎛의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4℃에서 보존하거나 또는 사용시 조제할 수도 있다.
②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 표품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발현시킨 CHO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5 ×105개/웰로 계대배양하고, 37℃, 5% CO2, 95% 대기에서 2 일간 배양한 것.
③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
[3H], [125I], [14C], [35S] 등으로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적당한 용매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킨 것을 4℃ 또는 -20℃에서 보존하고, 사용시에 측정용 완충액으로 1μM로 희석한다.
④ 본 발명의 펩티드 등 표준액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0.1% 소 혈청 알부민(시그마사 제조)을 함유하는 PBS로 1mM 이 되도록 용해시켜 -20℃ 에서 보존한다.
2. 측정법
① 12 웰 조직배양용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발현시킨 세포를, 측정용 완충액 1㎖ 로 2 회 세정한 후 490㎕ 측정용 완충액을 각 웰에 첨가한다.
② 10-3∼ 10-10M 시험화합물 용액을 5㎕ 첨가한 후, 표지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5㎕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비특이적 결합량을 알기 위해서는 시험화합물 대신에 10-3M 리간드를 5㎕ 첨가해 둔다.
③ 반응액을 제거하고 1㎖ 세정용 완충액으로 3 회 세정한다. 세포에 결합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0.2N NaOH-1% SDS로 용해시켜 4㎖ 액체 신틸레이터 A (와코쥰야쿠 제조)와 혼합한다.
④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베크만사 제조)를 사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하여 Percent Maximum Binding(PMB)을 다음 식 [수 1]로 구한다.
PMB=[(B-NSB)/(B0-NSB)] ×100
PMB: Percent Maximum Binding(최대 결합율)
B: 검체를 첨가했을 때의 값
NSB: Non-specific Binding (비특이적 결합량)
B0: 최대 결합량
본 발명의 스크리닝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의 결합을 변화시키는(결합을 저해 또는 촉진하는) 화합물로, 구체적으로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를 통해 세포자극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른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상기 자극활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이른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이다. 상기 화합물로는 펩티드, 단백질,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화합물, 발효생산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신규 화합물이거나 공지 화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인지 안타고니스트인지의 구체적인 평가방법은 다음 (i) 또는 (ii) 에 따르면 된다.
(i) 상기 ①∼③의 스크리닝방법으로 표시되는 결합검사를 행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의 결합성을 변화시키는(특히, 결합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얻은 후, 이 화합물이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한 세포자극활성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세포자극활성을 갖는 화합물또는 그의 염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이고, 상기 활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이다.
(ii) (a)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켜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한 세포자극활성을 측정한다. 세포자극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이다.
(b)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예컨대, 본 발명의 펩티드 등 또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 등)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시험화합물을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을 함유하는 세포에 접촉시킨 경우에,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통한 세포자극활성을 측정 비교한다.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APJ)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에 의한 세포자극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이다.
상기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대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이 갖는 생리활성과 동일한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펩티드 등과 동일하게 안전하고 저독성의 의약으로 유용하다.
반대로,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 단백질(APJ)에 대한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이 갖는 생리활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체 활성을 억제하는 안전하고 저독성의 의약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은 중추신경 기능 조절작용, 순환 기능 조절작용, 심장 기능 조절작용, 면역 기능 조절작용, 소화기 기능 조절작용, 대사 기능 조절작용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작용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아고니스트 또는 안타고니스트를 예컨대 노인성 치매, 뇌혈관성 치매, 계통변성형의 퇴행변성질환(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피크병, 헌팅톤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감염성 질환(예: 크로이츠펠트-야코브병 등의 지발성 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내분비성ㆍ대사성ㆍ중독성 질환(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B12 결핍증, 알콜중독, 각종 약제ㆍ금속ㆍ유기화합물에 의한 중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종양성 질환(예: 뇌종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외상성 질환(예: 만성 경막하혈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등과 같은 치매, 우울증, 다동아(미세 뇌장애)증후군, 의식장애,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공포증, 성장호르몬분비장애(예: 거인증, 말단비대증 등), 과식증, 다식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글리세리드혈증, 고지혈증, 고프로락틴혈증, 저혈당증, 하수체 기능 저하증, 하수체성 소인증, 당뇨병(예: 당뇨병성 합병증, 당뇨병성 신장증, 당뇨병성 신경장애, 당뇨병성 망막증 등), 암(예: 유방암, 림프성 백혈병, 폐암, 방광암, 난소암, 전립선암 등), 췌장염, 신장질환(예: 만성 신부전, 신장염 등), 터너증후군, 신경증, 류머티스관절염, 척추손상, 일과성 뇌허혈발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급성 심근경색, 척추소뇌변성증, 골절, 창상,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천식, 간질, 불임증, 동맥경화, 폐기종, 폐수종 또는 유즙분비부전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ㆍ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최면진정제, 수술 후의 영양상태 개선제, 승압제, 강압제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IV 감염증, 에이즈(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부전증후군) 등의 치료ㆍ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의 염으로는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등이 사용된다. 예컨대, 무기염기와의 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염 및 알루미늄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오르티닌 등과의 염을 들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컨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방법 또는 스크리닝용 키트를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상기 서술한 의약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의 펩티드 등을 의약으로 실시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염기나 아미노산 등을 약칭으로 표시하는 경우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에 의한 약칭 또는 당해 분야에서 관용되는 약칭에 의거한 것으로, 그 예를 다음에 기재한다. 또한, 아미노산에 관하여 광학이성질체가 있을 수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으면 L 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DNA: 디옥시리보핵산
cDNA: 상보적 디옥시리보핵산
A: 아데닌
T: 티민
G: 구아닌
C: 시토신
Y: 티민 또는 시토신
N: 티민, 시토신, 아데닌 또는 구아닌
R: 아데닌 또는 구아닌
M: 시토신 또는 아데닌
W: 티민 또는 아데닌
S: 시토신 또는 구아닌
RNA: 리보핵산
mRNA: 메신저리보핵산
dATP: 디옥시아데노신3인산
dTTP: 디옥시티미딘3인산
dGTP: 디옥시구아노신3인산
dCTP: 디옥시시티딘3인산
ATP: 아데노신3인산
EDTA: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SDS: 도데실황산나트륨
EIA: 엔자임이뮤노검사
Gly 또는 G: 글리신
Ala 또는 A: 알라닌
Val 또는 V: 발린
Leu 또는 L: 루신
Ile 또는 I: 이소루신
Ser 또는 S: 세린
Thr 또는 T: 트레오닌
Cys 또는 C: 시스테인
Met 또는 M: 메티오닌
Glu 또는 E: 글루타민산
Asp 또는 D: 아스파라긴산
Lys 또는 K: 리신
Arg 또는 R: 아르기닌
His 또는 H: 히스티딘
Phe 또는 F: 페닐알라닌
Tyr 또는 Y: 티로신
Trp 또는 W: 트립토판
Pro 또는 P: 프롤린
Asn 또는 N: 아스파라긴
Gln 또는 Q: 글루타민
pGlu: 피로글루타민산
Me: 메틸기
Et: 에틸기
Bu: 부틸기
Ph: 페닐기
Nle: 노르루신
Thi: 2-티에닐알라닌
Phg: 페닐글리신
Pya(2): 2-피리딜알라닌
Adi(NH2): 2-아미노아디프산-6아미드
Hyp: 옥시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Ac-Arg: Nα-아세틸아르기닌
Lys(Ac): Nε-아세틸리신
Lys(Me): Nε-메틸리신
Lys(Tos): Nε-토실리신
Arg(Tos): Nε-토실아르기닌
Phe(Cl): 4-클로로페닐알라닌
Nal(2): 2-나프틸알라닌
Cha: 시클로헥실알라닌
Met(O): 메티오닌술폭시드
Tyr(Me): O-메틸티로신
Tyr(I): 3-요오드티로신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치환기, 보호기 및 시약을 다음과 같은 기호로 표기한다.
Tos: p-톨루엔술포닐
HONB: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Bzl: 벤질
Z: 벤질옥시카르보닐
Br-Z: 2-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Cl-Z: 2-클로르벤질옥시카르보닐
Boc: t-부틸옥시카르보닐
HOBt: 1-히드록시벤즈트리아졸
DCC: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Fmoc: N-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DNP: 디니트로페닐
Bum: t-부톡시메틸
Trt: 트리틸
Pbf: 2,2,4,6,7-펜타메틸디히드로벤조푸란-5-술포닐
HOOBt: 3-히드록시-4-옥소-3,4-디히드로-1,2,3-벤조트리아진
TFE: 트리플루오로에탄올
HOAt: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PyBr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TMS-Br: 브롬화트리메틸실릴
TC: 티아졸리딘-4(R)-카르복사미드기
Bom: 벤질옥시메틸
NMP: N-메틸피롤리돈
PAM: 페닐아세트아미드메틸
DCM: 디클로로메탄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Clt: 2-클로로트리틸
For: 포르밀
Lys(Arg-Arg): Nε-아르기닐아르기닐리신
AM: 아미노메틸
Pyn: 1-피레닐알라닌
Mor: 모르폴린
N-MeAla: N-메틸알라닌
Lys(Me)2: Nε-디메틸리신
Dap: 디아미노프로피온산
Mmt: 4-메톡시트리틸
Adi: 아디포일
Dap(C6): Nβ-헥사노일디아미노프로피온산
DIPCDI: N,N'-디이소피로필카르노디이미드
NMe2: 디메틸아민
Dap(Ac): Nβ-아세틸디아미노프로피온산
Dap(Adi): Nβ-아디포일디아미노프로피온산
본 명세서의 서열표의 서열번호는 다음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 하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 하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 하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 하기 실시예 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 하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 하기 실시예 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 하기 실시예 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8] 하기 실시예 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9] 하기 실시예 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0] 하기 실시예 1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1] 하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2] 하기 실시예 1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3] 하기 실시예 1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4] 하기 실시예 1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5] 하기 실시예 1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6] 하기 실시예 1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7] 하기 참고예 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8] 하기 참고예 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9] APJ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1] 하기 실시예 1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2] 하기 실시예 1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3] 하기 실시예 1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4] 하기 실시예 2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5] 하기 실시예 2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6] 하기 실시예 2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7] 하기 실시예 2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8] 하기 실시예 2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9] 하기 실시예 2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0] 하기 실시예 2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1] 하기 실시예 2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2] 하기 실시예 2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3] 하기 실시예 2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4] 하기 실시예 3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5] 하기 실시예 3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6] 하기 실시예 3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7] 하기 실시예 3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8] 하기 실시예 3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9] 하기 실시예 3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0] 하기 실시예 3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1] 하기 실시예 3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2] 하기 실시예 3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3] 하기 실시예 3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4] 하기 실시예 4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5] 하기 실시예 4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6] 하기 실시예 4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7] 하기 실시예 4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8] 하기 실시예 4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9] 하기 실시예 4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0] 하기 실시예 4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1] 하기 실시예 4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2] 하기 실시예 4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3] 하기 실시예 4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4] 하기 실시예 5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5] 하기 실시예 5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6] 하기 실시예 5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7] 하기 실시예 5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8] 하기 실시예 5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9] 하기 실시예 5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0] 하기 실시예 5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1] 하기 실시예 5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2] 하기 실시예 5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3] 하기 실시예 59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4] 하기 실시예 60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5] 하기 실시예 61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6] 하기 실시예 62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7] 하기 실시예 63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8] 하기 실시예 64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9] 하기 실시예 65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0] 하기 실시예 66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1] 하기 실시예 67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2] 하기 실시예 68에서 얻어지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이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서열번호:1)의 제조
시판되는 2-클로로트리틸 수지(chlorotrityl 수지)(Clt 수지, 1.22m㏖/g)에 Fmoc-Phe(Cl)-OH를 도입한 Fmoc-Phe(Cl)-O-Clt 수지(0.495m㏖/g) 0.25m㏖ 분량을, 펩티드 합성기 ABI 433A의 반응조에 넣고 Fmoc/DCC/HOBt법으로 고상 합성을 실시한다. Fmoc 아미노산의 측쇄 보호기는 Arg에는 Pbf기, Ser에 tBu기, Gln에 Trt기를 사용한다. 다른 아미노산은 측쇄 비보호의 것을 사용하고, 상기에 나타낸 배열의 Pro에서부터 N 말단 방향으로 순서대로 펩티드 사슬을 도입하여 목적하는 보호 펩티드수지를 얻는다.
이 수지 200㎎(39.8m㏖)을, TFA, 티오아니솔, m-크레졸, H2O, 에탄디티올, 트리이소프로필실란(80:5:5:5:2.5:2.5)의 혼합액 3㎖ 내에서 실온,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용액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백색 분말을 석출시키고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한다. 잔사를 물로 추출한 후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91.7㎎을 얻는다. 얻은 비정제 펩티드 52.2㎎을 TSK GEL ODS 120T 칼럼(20 ×300㎜)을 사용한 분취 HPLC에서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 81/19∼71/29로의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60분)을 실시하고 목적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15.5㎎을 얻는다.
질량 분석에 의한 (M+H)+1858.7 (계산값 1859.0)
HPLC 용출시간 19.7분
용출조건
칼럼 YMC ODS AM-301, S-5㎛, 120A(4.6 ×100㎜)
용리액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 100/0∼50/50로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25분)
유속 1.0㎖/분
하기 실시예 2∼실시예 16 및 참고예 1 화합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고상 합성과 탈보호, 정제를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각 화합물의 질량 분석에 의한 (M+H)+값 (측정값 및 계측값) 및 HPLC 유지시간(분)은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2)
실시예 3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서열번호:3)
실시예 4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he(Cl) (서열번호:4)
실시예 5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5)
실시예 6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 (서열번호:6)
실시예 7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7)
실시예 8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서열번호:8)
실시예 9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 (서열번호:9)
실시예 10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서열번호:10)
실시예 11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 (서열번호:11)
실시예 12 화합물:
Arg-Pro-Arg-Leu-Phe-Ala-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12)
실시예 13 화합물: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13)
실시예 14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서열번호:14)
실시예 15 화합물: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 (서열번호:15)
실시예 16 화합물:
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Cl) (서열번호:16)
참고예 1 화합물:
Leu-Val-Gln-Pro-Arg-Gly-Ser-Arg-Asn-Gly-Pro-Gly-Pro-Trp-Gln-Gly-Gly-Arg-Arg-Lys-Phe-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서열번호:17)
M+H+측정값 M+H+계산값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의 HPLC 유지시간 (분)
실시예 2의 화합물 1919.7 1919.1 21.5
실시예 3의 화합물 1418.4 1418.7 20.2
실시예 4의 화합물 1343.7 1343.7 22.2
실시예 5의 화합물 1440.7 1440.8 22.8
실시예 6의 화합물 1602.6 1603.0 18.4
실시예 7의 화합물 1478.5 1478.8 22.3
실시예 8의 화합물 1456.5 1456.7 19.7
실시예 9의 화합물 1555.8 1555.9 21.4
실시예 10의 화합물 1567.7 1567.8 19.8
실시예 11의 화합물 1406.5 1406.8 21.6
실시예 12의 화합물 1500.5 1500.8 24.2
실시예 13의 화합물 1538.7 1538.9 22.8
실시예 14의 화합물 1860.9 1861.1 16.8
실시예 15의 화합물 1504.7 1504.9 22.1
실시예 16의 화합물 1516.6 1516.8 20.6
참고예 1의 화합물 4193.6 4194.6 17.5
실시예 1과 동일한 고상 합성과 탈보호, 정제를 실시하여 실시예 17∼실시예 19, 21∼46, 48∼50 화합물의 화합물을 얻는다. 각 화합물의 질량 분석에 의한 (M+H)+값 (측정값 및 계측값) 및 HPLC 유지시간(분)은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21)
실시예 18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서열번호:22)
실시예 19 화합물: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 (서열번호:23)
실시예 21 화합물:
Arg-Arg-Lys(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25)
실시예 22 화합물:
Arg-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26)
실시예 23 화합물:
Arg-Arg-Lys-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27)
실시예 24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28)
실시예 25 화합물:
Arg-Arg-Ala-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29)
실시예 26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30)
실시예 27 화합물: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서열번호:31)
실시예 28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서열번호:32)
실시예 29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Ala-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33)
실시예 30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Arg-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34)
실시예 31 화합물: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35)
실시예 32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서열번호:36)
실시예 33 화합물:
Arg-Arg-Phe-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37)
실시예 34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38)
실시예 35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서열번호:39)
실시예 36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서열번호:40)
실시예 37 화합물: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he(Cl) (서열번호:41)
실시예 38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Leu-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42)
실시예 39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서열번호:43)
실시예 40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서열번호:44)
실시예 41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Arg-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45)
실시예 42 화합물:
pGlu-Arg-Pro-Arg-Leu-Phe-Arg-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46)
실시예 43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Phe-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47)
실시예 44 화합물:
pGlu-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 (서열번호:48)
실시예 45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서열번호:49)
실시예 46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서열번호:50)
실시예 48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Phe-Gly-Pro-Met-Pro-Phe (서열번호:52)
실시예 49 화합물: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Cha (서열번호:53)
실시예 50 화합물:
pGlu-Arg-Pro-Arg-Leu-Ser-His-Leu-Gly-Pro-Met-Pro-Phe (서열번호:54)
M+H+측정값 M+H+계산값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의 HPLC 유지시간(분)
실시예 17의 화합물 1825.1 1825.0 18.43
실시예 18의 화합물 1581.0 1580.9 15.22
실시예 19의 화합물 1449.6 1449.9 14.09
실시예 21의 화합물 2175.9 2175.3 17.46
실시예 22의 화합물 1890.9 1891.1 17.55
실시예 23의 화합물 1863.1 1863.1 17.32
실시예 24의 화합물 1384.8 1384.8 18.74
실시예 25의 화합물 1805.9 1806.0 17.73
실시예 26의 화합물 1495.7 1495.8 19.10
실시예 27의 화합물 1140.8 1140.6 15.16
실시예 28의 화합물 1359.6 1359.7 19.32
실시예 29의 화합물 1467.7 1467.8 18.86
실시예 30의 화합물 1522.7 1522.9 18.34
실시예 31의 화합물 1444.6 1444.8 20.92
실시예 32의 화합물 1472.6 1472.8 20.48
실시예 33의 화합물 1883.4 1883.0 18.05
실시예 34의 화합물 1561.8 1561.8 18.40
실시예 35의 화합물 1471.0 1470.7 19.39
실시예 36의 화합물 1331.5 1331.8 19.22
실시예 37의 화합물 1441.8 1441.8 22.38
실시예 38의 화합물 1509.7 1509.8 20.46
실시예 39의 화합물 1583.6 1583.8 20.83
실시예 40의 화합물 1375.5 1375.7 20.35
실시예 41의 화합물 1580.7 1580.9 18.51
실시예 42의 화합물 1641.5 1641.9 20.15
실시예 43의 화합물 1543.6 1543.8 20.87
실시예 44의 화합물 1593.7 1593.8 19.70
실시예 45의 화합물 1442.5 1442.8 19.88
실시예 46의 화합물 1468.6 1486.8 20.26
실시예 48의 화합물 1522.7 1522.8 21.14
실시예 49의 화합물 1428.7 1428.8 19.41
실시예 50의 화합물 1515.9 1515.8 20.71
실시예 20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O) (서열번호:24)의 제조
상기 기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비정제 펩티드 20㎎을 LiChroprep(상품명) RP-18을 충전한 역상 크로마토 칼럼(2.6 ×60㎝)을 통과시키고 0.1% TFA-물 200㎖로 세정, 0.1% TFA-물 300㎖와 0.1% TFA 함유 33% 아세토니트릴-물 300㎖을 사용한 선형 구배 용출을 실시하고 목적 분획을 모아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30㎎을 얻는다.
질량 분석에 의한 (M+H)+1634.9 (계산값 1634.9)
HPLC 용출시간 14.03분
용출조건
칼럼 Wakosil 5Cl8T(4.6 ×100㎜)
용리액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 55/95∼55/45로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25분)
유속 1.0㎖/분
실시예 47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he (서열번호:51)의 제조
상기 기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비정제 펩티드 15㎎을 TSK GEL ODS 120T 칼럼(20 ×300㎜)을 이용한 분취 HPLC에서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 81/19∼71/29로의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60분)을 실시하고 목적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10.5㎎을 얻는다.
질량 분석에 의한 (M+H)+1347.5 (계산값 1347.7)
HPLC 용출시간 15.81분
용출조건
칼럼 YMC ODS AM-301, S-5㎛, 120A(4.6 ×100㎜)
용리액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10/90∼60/40로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25분)
유속 1.0㎖/분
참고예 2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서열번호:18)의 제조
시판되는 2-chlorotrityl 수지(Clt 수지, 1.3m㏖/g)에 Fmoc-Gly-OH를 도입한 Fmoc-Gly-O-Clt 수지(0.392m㏖/g) 0.25m㏖ 분량을, 펩티드 합성기 ABI 433A의 반응조에 넣고 Fmoc/DCC/HOBt법으로 Fmoc-Lys(Boc), Fmoc-His(Trt), Fmoc-Ser(tBu), Fmoc-Leu, Fmoc-Arg(Pbf), Fmoc-Pro, Fmoc-Arg(Pbf), Boc-Gln 순서대로 도입하여 목적하는 보호 펩티드수지를 얻는다.
이 수지 1g을 AcOH:TFE:DCM(1:2:7) 20㎖ 중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수지를 제거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며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보호 펩티드(Boc-Gln-Arg(Pbf)-Pro-Arg(Pbf)-Leu-Ser(tBu)-His(Trt)-Lys(Boc)-Gly-OH) 362㎎을 얻는다.
H-Tyr(Bzl)-OBzlㆍHCl에 Boc-Pro, Boc-Nle, Boc-Pro를 순서대로 축합하여 Boc-Pro-Nle-Pro-Tyr(Bzl)-Bzl 217.8㎎을 얻는다.
Boc-Gln-Arg(Pbf)-Pro-Arg(Pbf)-Leu-Ser(tBu)-His(Trt)-Lys(Boc)-Gly-OH 100㎎과 HOAt 8.04㎎을 DCM:DMF(4:1) 1㎖에 용해시키고, 빙랭 하에 DIEA 38.5㎕, PyBrop 34.20㎎, H-Pro-Nle-Pro-Tyr(Bzl)-OBzlㆍHCl(Boc-Pro-Nle-Pro-Tyr(Bzl)-OBzl을 4N-HCl/디옥산으로 처리하여 조제) 62.2㎎을 첨가한 후, 빙욕 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시트르산 결정을 용액에 첨가하여 중화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여 석출한 고체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1N 염산,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에테르를 첨가하여 분말을 여과하고, 다시 아세트산에틸과 에테르로부터 재침전 정제하여 Boc-Gln-Arg(Pbf)-Pro-Arg(Pbf)-Leu-Ser(tBu)-His(Trt)-Lys(Boc)-Gly-Pro-Nle-Pro-Tyr(Bzl)-OBzl 122.27㎎을 얻는다.
이 보호 펩티드 63.6㎎을 티오아니솔 1089㎕, m-크레졸 122㎕,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38.5㎕, TFA 4.7㎖ 중 실온에서 90분간 교반한 후, TMS-Br 1.23㎖을 첨가하여 빙랭 하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빙욕에서 꺼내 20℃ 수욕 상에서 다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잔사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백색 분말을 석출시키고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한다. 잔사를 물로 추출한 후 동결 건조시키고, 50% 아세트산수를 사용한 세파덱스 G-25 겔 여과 칼럼에 통과시키고 주요 분획을 80% AcOH 내, 70℃에서 2시간 동안 가온시킨 후, 용액을 물로 희석하고 동결 건조시킨다. 얻은 비정제 펩티드를 TSK GEL ODS 120T 칼럼(20 ×300㎜)을 사용한 분취 HPLC에서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A/B: 85/15∼75/25로의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60분)을 실시하고 목적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29.18㎎을 얻는다.
질량 분석에 의한 (M+H)+1532.0 (계산값 1531.9)
HPLC 용출시간 14.6분
용출조건
칼럼 Wakosil 5Cl8T(4.6 ×100㎜)
용리액 A액: 0.1% TFA-물, B액: 0.1% TFA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A/B: 95/5∼45/55로 직선형 농도구배 용출(25분)
유속 1.0㎖/분
실시예 51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NMe2(서열번호:55)의 제조
시판되는 4-술파밀부티릴 AM 수지(1.09m㏖/g) 1g을, DMF 내에서 Fmoc-Gly-OH 356㎎(1.199m㏖), PyBOP 567㎎(1.09m㏖), DIEA 0.417㎖(2.398m㏖)와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여과 후 수지를 DMF로 세정하고, DMF 중 Ac20 1.03㎖(10.9m㏖), 피리딘 0.882㎖(10.9m㏖)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수지를 DMF, MeOH로 세정 건조시킨 후 수지를 피페리딘으로 처리하여, 유리 Fmoc기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1.0496g(Fmoc-Gly 함량: 0.295m㏖/g)의 Fmoc-Gly-4-술파밀부티릴 AM 수지를 얻는다.
Fmoc-Gly-4-술파밀부티릴 AM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고상 합성을 실시하고 마지막에 Arg을 도입한 후 Fmoc기를 Boc기로 치환한다. 이 수지를 NMP 중 ICH2CN과 DIEA로 활성화시킨 후, 50%-NHMe2수로 처리하여 보호 펩티드를 얻어낸다. 이 펩티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TFA, 티오아니솔, m-크레졸, H2O, 에탄디티올, 트리이소프로필실란(80:5:5:5:2.5:2.5)로 처리하고, 다시 동일하게 HPLC정제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실시예 52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Mor (서열번호:56)의 제조
실시예 51의 50%-NHMe2수를 모르폴린으로 대체하여 동일한 처리와 정제을 행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고상 합성과 탈보호, 정제를 행하여 실시예 53∼64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53:
Arg-Pro-Arg-Leu-Ser-Ala-Arg-Gly-Pro-Ala-Pro-Phe(Cl) (서열번호:57)
실시예 54:
Arg-Pro-Arg-Leu-Ser-Ala-Arg-Gly-Gly-Met-Pro-Phe(Cl) (서열번호:58)
실시예 55:
Arg-Pro-Arg-Leu-Ser-Ala-Arg-Gly-MeAla-Met-Pro-Phe(Cl) (서열번호:59)
실시예 56:
Arg-Pro-Arg-Leu-Ser-His-Ala-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60)
실시예 57:
Arg-Pro-Arg-Ala-Ser-His-Lys-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61)
실시예 58:
Arg-Pro-Ala-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62)
실시예 59: 실시예 1 화합물의 카르복실 말단을 통상적인 수단으로 아미드화시켜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NH2를 얻는다.
실시예 60: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yn (서열번호:63)
실시예 61: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yn (서열번호:64)
실시예 62: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Gly-Cha (서열번호:65)
실시예 63:
Arg-Pro-Lys(Me)2-Leu-Ser-Ala-Arg-Gly-Pro-Met-Pro-Phe (서열번호:66)
실시예 64:
Arg-Pro-Arg-Leu-Ser-Ala-Lys(Me)2-Gly-Pro-Met-Pro-Phe (서열번호:67)
실시예 65: Arg-Pro-Arg-Leu-Ser-Dap-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68)의 제조
시판되는 Wang 수지과 측쇄 아미노기를 Mmt로 보호한 Fmoc-Dap(Mmt)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상 합성을 실시한다. 얻은 수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로 처리 정제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실시예 66: Arg-Pro-Arg-Leu-Ser-Dap(Ac)-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69)의 제조
실시예 65에서 얻은 수지를 1% TFA/5% 트리이소프로필실란/94% DCM으로 처리하여 Dap의 측쇄 보호기 Mmt만 제거하고 무수 아세트산으로 아세틸화한 후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처리 정제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실시예 67: Arg-Pro-Arg-Leu-Ser-Dap(C6)-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70)의 제조
실시예 66의 무수 아세트산 대신에 헥산산과 DIPCDI로 아미노기를 수식하여 동일하게 목적물을 얻는다.
실시예 68: Arg-Pro-Arg-Leu-Ser-Dap(Adi)-Arg-Gly-Pro-Cha-Pro-Phe(Cl) (서열번호:71)의 제조
실시예 67의 헥산산 대신에 아디프산을 사용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 51∼68 화합물의 질량 분석에 의한 (M+H)+값(측정값 및 계산값) 및 HPLC 유지시간(분)은 표 3에 나타낸다.
M+H+측정값 M+H+계산값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의 HPLC 유지시간(분)
실시예 51의 화합물 1379.9 1379.9 13.44
실시예 52의 화합물 1421.8 1421.9 13.38
실시예 53의 화합물 1358.6 1358.7 18.78
실시예 54의 화합물 1378.6 1378.7 19.44
실시예 55의 화합물 1406.6 1406.7 20.21
실시예 56의 화합물 1421.8 1421.8 22.87
실시예 57의 화합물 1436.4 1436.8 21.61
실시예 58의 화합물 1393.4 1393.8 22.42
실시예 59의 화합물 1859.0 1859.0 19.00
실시예 60의 화합물 1433.6 1433.8 25.20
실시예 61의 화합물 1530.9 1530.9 25.96
실시예 62의 화합물 1563.1 1562.8 17.39
실시예 63의 화합물 1384.5 1384.8 18.40
실시예 64의 화합물 1384.5 1384.8 18.43
실시예 65의 화합물 1455.6 1455.8 22.12
실시예 66의 화합물 1497.6 1497.8 22.68
실시예 67의 화합물 1553.8 1553.9 20.13
실시예 68의 화합물 1583.6 1583.8 22.76
실시예 60 및 실시예 61의 HPLC 조건은 C:0-90%, AcCN/45분, 유속 1㎖/분, YMC ODS AM-301, S-5㎛, 120A(4.6 ×100㎜)임
실험예 1폴스콜린 자극 cAMP 생산의 억제활성의 측정
24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WO 99/33976호(일본 특허출원 평10-220853호)의 실시예 7에 기재된 CHO-A10 클론 6 세포를 3 ×105세포/웰로 파종하고 하룻밤 배양한다. 0.2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IBMX)과 0.05%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을 검사 완충액로 준비하고, 각 웰을 500㎕ 검사 완충액로 2회 세정한 후, 37℃에서 30분간 프리인큐베이션한다. 다시 500㎕ 검사 완충액로 1회 세정한 후, 1μM 폴스콜린을 첨가한 검사 완충액에 용해된 샘플을 500㎕씩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세포의 기초적 cAMP 생산량(basal level)을 알기 위해 폴스콜린을 첨가하지 않은 검사 완충액로 인큐베이션한 웰을, 그리고 폴스콜린 자극에 의한 최대 cAMP생산량(maximum level)을 알기 위해 폴스콜린을 첨가한 검사 완충액로 인큐베이션한 well도 동일하게 준비한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에 각 well을 500㎕ 검사 버포로 1회 세정한 후, 각 웰에 Amersham사의 cAMP EIA계에 부속의 용해 완충액 1B를 500㎕ 첨가하여 cAMP를 추출한다. 키트 처방에 따라 각 추출액 중 100㎕를 사용하여 cAMP량을 측정한다. cAMP의 생산억제활성은 최대량과 샘플을 첨가한 well의 cAMP량의 차이(cAMP의 생산억제량)을 구하고, 다시 폴스콜린에 자극에 의한 cAMP 생산 증대량(최대량과 기초량의 차이)에 대한 백분율로 산출하여 그 용량 반응곡선에서 EC50값을 구한다.
표 4에 실험예 1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1∼16 화합물의 활성을 나타내고, 표 5에 실험예 1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17∼50 화합물의 활성을 나타내며, 표 6에 실험예 1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51∼68 화합물의 활성을 나타낸다.
화합물 EC50(nM)
실시예 1의 화합물 0.39
실시예 2의 화합물 0.53
실시예 3의 화합물 0.32
실시예 4의 화합물 0.65
실시예 5의 화합물 0.51
실시예 6의 화합물 0.55
실시예 7의 화합물 0.41
실시예 8의 화합물 0.34
실시예 9의 화합물 0.35
실시예 10의 화합물 0.61
실시예 11의 화합물 0.59
실시예 12의 화합물 1.2
실시예 13의 화합물 1
실시예 14의 화합물 0.28
실시예 15의 화합물 0.46
실시예 16의 화합물 0.38
화합물 EC50(nM)
실시예 17의 화합물 0.39
실시예 18의 화합물 0.18
실시예 19의 화합물 0.26
실시예 20의 화합물 0.48
실시예 21의 화합물 0.57
실시예 22의 화합물 0.32
실시예 23의 화합물 0.31
실시예 24의 화합물 0.25
실시예 25의 화합물 0.25
실시예 26의 화합물 0.17
실시예 27의 화합물 0.093
실시예 28의 화합물 0.16
실시예 29의 화합물 0.22
실시예 30의 화합물 0.081
실시예 31의 화합물 0.14
실시예 32의 화합물 0.1
실시예 33의 화합물 1.1
실시예 34의 화합물 0.2
실시예 35의 화합물 0.43
실시예 36의 화합물 0.22
실시예 37의 화합물 0.43
실시예 38의 화합물 0.16
실시예 39의 화합물 0.4
실시예 40의 화합물 0.37
실시예 41의 화합물 0.069
실시예 42의 화합물 0.15
실시예 43의 화합물 0.24
실시예 44의 화합물 0.22
실시예 45의 화합물 0.3
실시예 46의 화합물 0.52
실시예 47의 화합물 0.36
실시예 48의 화합물 0.3
실시예 49의 화합물 0.71
실시예 50의 화합물 0.16
EC50(nM)
실시예 51의 화합물 0.49
실시예 52의 화합물 1.2
실시예 53의 화합물 0.37
실시예 54의 화합물 0.19
실시예 55의 화합물 0.27
실시예 56의 화합물 0.58
실시예 57의 화합물 0.52
실시예 58의 화합물 0.41
실시예 59의 화합물 0.32
실시예 60의 화합물 1.1
실시예 61의 화합물 2.2
실시예 62의 화합물 0.23
실시예 63의 화합물 0.33
실시예 64의 화합물 0.38
실시예 65의 화합물 0.52
실시예 66의 화합물 0.69
실시예 67의 화합물 1.1
실시예 68의 화합물 0.42
실험예 2수용체 결합 검사-1
참고예 1 화합물을 사용하며 락토퍼옥시다아제법으로 다음과 같이125I 표지화한 것을 조제한다. 펩티드의 0.1mM 수용액 20㎕에 대하여 0.1M HEPES-NaOH/pH7.0에 10㎍/㎖ 농도로 용해시킨 락토퍼옥시다아제(Sigma사 제조)를 20㎕, Iodine-125(Amersham사 제조, IMS-30, 74MBq)를 20㎕, 30% 과산화수소수(와코 쥰야쿠사 제조)를 6000배로 희석한 수용액을 20㎕ 첨가하여 볼텍스 믹서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인큐베이트한다. 0.1% TFA를 함유하는 증류수 600㎕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TSKgel ODS-80TM CTR 4.6 ×100㎜ 칼럼을 사용한 역상 PLC로 분리하고, 반응에 의해 생성된 표지체의 피크 부분을 분취한다. 등량의 검사 완충액(50mM Tris-HCl/pH7.5, 5mM EDTA, 0.5mM PMSF, 20㎍/㎖ 루펩틴, 0.1㎍/㎖ pepstatin A, 4㎍/㎖ E-64 (㈜펩티드 연구소), 0.1% 소 혈청 알부민)와 혼합하여사용할 때 까지 -30℃로 보존한다.
CHO-A10 세포를 배양하고 5mM EDTA 함유 PBS를 사용하여 배양용기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후,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은 상기 검사 완충액에 현탁시킨다. 폴리트론호모게나이저(키네마티카사 제조)를 사용하여 12,000rpm, 15초간 3회 호모게나이징하고 원심 분리(1000 ×g, 4℃, 10분간)한 후 상청액을 회수한다. 침전물에 대하여 다시 동일하게 조작하여 각각의 상청액을 모은 후, 100,000 ×g, 4℃, 1시간 동안 원심하여 침전물(막 분획)을 회수한다. 막 분획은 소량의 완충액에 다시 현탁시킨 후 테프론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균일화시키고 사용할 때까지 -80℃로 보존한다.
결합 검사는 하기 조건에서 실시한다. 폴리프로필렌제 96웰 플레이트에 0.25㎍의 막 분획, 종농도 100pM의125I 표지화합물, 피검체, 검사 완충액을 첨가한 100㎕ 용액을 조제하여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한다. 비특이 결합량의 측정은 검체 대신에 1μM 비표지화 화합물을 첨가한 웰을 사용하여 행한다. 인큐베이트 종료 후에 96웰 대응의 셀퍼베스터(팩커드사) 및 필터 유닛(CGF/C, 팩커드사)으로 분리하여 필터에 막 분획을 포집한다. 필터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Microcinti 0(팩커드사)을 첨가하고, 톱 카운트(팩커드사)를 사용하여 필터에 막 분획과 함께 포집된 표지체의 양을 측정한다. 각각의 측정값에서 비특이 결합량을 뺀 후 검체를 첨가하지 않은 웰(전체 결합량)에 대하여 검체의 첨가에 의해 감소된 결합량의 비율(저해율)을 산출하고, 또 각 검체의 용량-저해 곡선에서 IC50값을 산출한다(표 7∼표 9).
화합물 IC50(nM)
실시예 1의 화합물 0.2
실시예 2의 화합물 0.47
실시예 3의 화합물 0.91
실시예 4의 화합물 1
실시예 5의 화합물 1.2
실시예 6의 화합물 1.4
실시예 7의 화합물 1.4
실시예 8의 화합물 13
실시예 9의 화합물 13
실시예 10의 화합물 15
실시예 11의 화합물 2.2
실시예 12의 화합물 2.3
실시예 13의 화합물 2.7
실시예 14의 화합물 2.7
실시예 15의 화합물 8
실시예 16의 화합물 8
화합물 IC50(nM)
실시예 17의 화합물 0.75
실시예 18의 화합물 2.5
실시예 21의 화합물 2.9
실시예 22의 화합물 6.7
실시예 23의 화합물 9.2
실시예 24의 화합물 27
실시예 25의 화합물 34
실시예 26의 화합물 37
IC50(nM)
실시예 53의 화합물 0.37
실시예 55의 화합물 0.27
실시예 56의 화합물 0.58
실시예 57의 화합물 0.52
실시예 58의 화합물 0.41
실시예 59의 화합물 0.32
실시예 60의 화합물 1.1
실시예 61의 화합물 2.2
실시예 62의 화합물 0.23
실시예 63의 화합물 0.33
실시예 64의 화합물 0.38
실시예 65의 화합물 0.52
실시예 66의 화합물 0.69
실시예 67의 화합물 1.1
실시예 68의 화합물 0.42
실험예 3수용체 결합 검사-2
참고예 2 화합물을 사용하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각 검체의 용량-저해 곡선에서 IC50값을 산출한다(표 10∼표 12).
화합물 IC50(nM)
실시예 1의 화합물 0.1
실시예 2의 화합물 0.33
실시예 3의 화합물 0.036
실시예 4의 화합물 0.1
실시예 5의 화합물 0.13
실시예 6의 화합물 0.046
실시예 7의 화합물 0.12
실시예 8의 화합물 0.039
실시예 9의 화합물 0.16
실시예 10의 화합물 0.071
실시예 11의 화합물 0.084
실시예 12의 화합물 0.38
실시예 13의 화합물 0.29
실시예 14의 화합물 0.027
실시예 15의 화합물 0.13
실시예 16의 화합물 0.066
화합물 IC50(nM)
실시예 17의 화합물 0.036
실시예 18의 화합물 0.023
실시예 19의 화합물 0.071
실시예 20의 화합물 0.62
실시예 21의 화합물 0.84
실시예 22의 화합물 0.12
실시예 23의 화합물 0.09
실시예 24의 화합물 0.057
실시예 25의 화합물 0.067
실시예 26의 화합물 0.12
실시예 27의 화합물 0.11
실시예 28의 화합물 0.17
실시예 29의 화합물 0.21
실시예 30의 화합물 0.23
실시예 31의 화합물 0.27
실시예 32의 화합물 0.35
실시예 33의 화합물 0.37
실시예 34의 화합물 0.4
실시예 35의 화합물 0.48
실시예 36의 화합물 0.51
실시예 37의 화합물 0.54
실시예 38의 화합물 0.59
실시예 39의 화합물 0.6
실시예 40의 화합물 0.61
실시예 41의 화합물 0.73
실시예 42의 화합물 0.81
실시예 43의 화합물 0.95
실시예 44의 화합물 0.99
실시예 45의 화합물 1.3
실시예 46의 화합물 1.4
실시예 47의 화합물 1.8
실시예 48의 화합물 2.6
실시예 49의 화합물 3.5
실시예 50의 화합물 3.6
IC50(nM)
실시예 51의 화합물 0.16
실시예 52의 화합물 0.26
실시예 53의 화합물 0.064
실시예 54의 화합물 0.29
실시예 55의 화합물 0.09
실시예 56의 화합물 0.22
실시예 57의 화합물 0.17
실시예 58의 화합물 0.15
실시예 59의 화합물 0.18
실시예 60의 화합물 0.8
실시예 61의 화합물 0.56
실시예 62의 화합물 0.14
실시예 63의 화합물 0.074
실시예 64의 화합물 0.096
실시예 65의 화합물 0.26
실시예 66의 화합물 0.11
실시예 67의 화합물 0.45
실시예 68의 화합물 0.13
본 발명의 펩티드 유도체는 중추신경 기능 조절작용, 순환 기능 조절작용, 심장 기능 조절작용, 면역 기능 조절작용, 소화기 기능 조절작용, 대사 기능 조절작용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작용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아고니스트 또는 안타고니스트를 예컨대 노인성 치매, 뇌혈관성 치매, 계통변성형의 퇴행변성질환(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피크병, 헌팅톤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감염성 질환(예: 크로이츠펠트-야코브병 등의 지발성 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내분비성ㆍ대사성ㆍ중독성 질환(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B12 결핍증, 알콜중독, 각종 약제ㆍ금속ㆍ유기화합물에 의한 중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종양성 질환(예: 뇌종양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외상성 질환(예: 만성 경막하혈종 등)으로부터 기인된 치매 등과 같은 치매, 우울증, 다동아(미세 뇌장애)증후군, 의식장애,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공포증, 성장호르몬분비장애(예: 거인증, 말단비대증 등), 과식증, 다식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글리세리드혈증, 고지혈증, 고프로락틴혈증, 저혈당증, 하수체 기능 저하증, 하수체성 소인증, 당뇨병(예: 당뇨병성 합병증, 당뇨병성 신장증, 당뇨병성 신경장애, 당뇨병성 망막증 등), 암(예: 유방암, 림프성 백혈병, 폐암, 방광암, 난소암, 전립선암 등), 췌장염, 신장질환(예: 만성 신부전, 신장염 등), 터너증후군, 신경증, 류머티스관절염, 척추손상, 일과성 뇌허혈발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급성 심근경색, 척추소뇌변성증, 골절, 창상,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천식, 간질, 불임증, 동맥경화, 폐기종, 폐수종 또는 유즙분비부전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ㆍ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최면진정제, 수술 후의 영양상태 개선제, 승압제, 강압제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IV 감염증, 에이즈(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부전증후군) 등의 치료ㆍ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2)

  1.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P1-Arg-Pro-Arg-Leu-Phe-P2-P3-Gly-Pro-P4-P5(Ⅰ)
    [식중, P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P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P3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P4는 결합수(結合手)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P5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체를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Phe- 또는 -Gly-Pro-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
  2. 제 1 항에 있어서, P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3. 제 1 항에 있어서, P2가 치환될 수도 있는 His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Ala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4. 제 1 항에 있어서, P3이 치환될 수도 있는 Arg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ys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5. 제 1 항에 있어서, -P4-P5가 -Cha-Pro-Phe(Cl), -Cha-Pro-Phe, -Met-Pro-Phe, -Met-Pro-Phe(Cl), -Cha-Phe 또는 -Met-Phe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① Arg-Pro-Arg-Leu-Phe-Ala-Arg-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ro-Phe,
    ④ 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Cl),
    ⑤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ro-Phe,
    ⑥ Arg-Pro-Arg-Leu-Phe-His-Lys-Gly-Pro-Cha-Phe(Cl) ,
    ⑦ pGlu-Arg-Pro-Arg-Leu-Phe-Arg-Arg-Gly-Pro-Met-Pro-Phe,
    ⑧ pGlu-Arg-Pro-Arg-Leu-Phe-His-Lys-Gly-Pro-Met-Pro-Phe, 또는
    ⑨ Arg-Pro-Arg-Leu-Phe-Ala-Arg-Gly-Pro-Met-Phe.
  7.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Q1-Arg-Pro-Arg-Leu-Ser-Ala-Q2-Gly-Q5-Q3-Q4(Ⅱ)
    [식중, Q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Q2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Q3은 결합수 또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또는 방향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Q4는 ①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아미노산 유도체, ② 수산기 또는 ③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와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산 잔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펩티드 사슬 또는 그의 C 말단 카르복실기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포르밀기로 환원된 펩티드 유도를 나타내며, Q5는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중성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Ser-Ala-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
  8. 제 7 항에 있어서, Q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9. 제 7 항에 있어서, Q2가 치환될 수도 있는 Arg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Lys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0. 제 7 항에 있어서, -Q3-Q4가 -OH, -Met, -Met-Pro-Phe, -Met-Pro-Phe(Cl), -Cha-Pro-Phe, -Cha-Pro-Phe(Cl), -Ala-Pro-Phe(Cl), -Cha-Phe(Cl) 또는 -Cha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1. 제 7 항에 있어서, Q5가 치환될 수도 있는 Pro, 치환될 수도 있는 Gly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Ala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2. 제 7 항에 있어서, 하기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Cl),
    (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he(Cl),
    (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Cl),
    (v)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
    (v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he,
    (v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vii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Pro,
    (x)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 pGlu-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Pro-Phe,
    (x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Met,
    (xiii) pGlu-Arg-Pro-Arg-Leu-Ser-Ala-Lys-Gly-Pro-Met-Pro-Phe,
    (xiv) Arg-Pro-Arg-Leu-Ser-Ala-Arg-Gly-Pro-Ala-Pro-Phe(Cl),
    (xv) Arg-Pro-Arg-Leu-Ser-Ala-Arg-Gly-Gly-Met-Pro-Phe(Cl),
    (xvi) Arg-Pro-Arg-Leu-Ser-Ala-Arg-Gly-NMe-Ala-Met-Pro-Phe(Cl),
    (xv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yn,
    (xviii) Arg-Pro-Arg-Leu-Ser-Ala-Arg-Gly-Pro-Cha-Pro-Pyn,
    (xi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Gly-Cha, 또는
    (xx) Arg-Pro-Arg-Leu-Ser-Ala-Lys(Me)2-Gly-Pro-Met-Pro-Phe.
  13.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R1-Arg-Pro-Arg-Leu-Ser-His-Lys-Gly-Pro-R2-Pro-R3(Ⅲ)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측쇄가 치환될 수도 있는 1∼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잔기 또는 펩티드 사슬을 나타내고, R2는 치환될 수도 있는 Cha, 치환될 수도 있는 Met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Nle를 나타내며, R3은 치환될 수도 있는 Phe(Cl), 치환될 수도 있는 Phe, 치환될 수도 있는 Nal(2), 치환될 수도 있는 Cha 또는 치환될 수도 있는 Tyr을 나타내고, 식중 -Arg-Pro-Arg-Leu-Ser-His-Lys-Gly-Pro 또는 -Pro-내 각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치환될 수도 있음].
  14. 제 13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원자, pGlu 또는 Arg-Arg-Gln인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15. 제 13 항에 있어서, 하기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①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② 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③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④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Cha-Pro-Phe,
    ⑤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Cl),
    ⑥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Nle-Pro-Tyr,
    ⑦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Nal(2),
    ⑧ pGlu-Arg-Pro-Arg-Leu-Ser-His-Lys-GIy-Pro-Met-Pro-Nal(2), 또는
    ⑨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Cha.
  16. 하기로 표시되는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
    (i) Arg-Arg-Gln-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O),
    (ii) Arg-Arg-Lys(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ii) Arg-Arg-Arg-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v) Arg-Arg-Lys-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v) Arg-Arg-Ala-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v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vii) pGlu-Arg-Pro-Arg-Leu-Ser-Arg-Lys-Gly-Pro-Met-Pro-Phe,
    (viii) Arg-Arg-Phe-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ro-Phe,
    (ix) pGlu-Arg-Pro-Arg-Leu-Ser-His-Arg-Gly-Pro-Met-Pro-Phe,
    (x)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Phe(Cl),
    (x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ii) pGlu-Arg-Pro-Arg-Leu-Ser-Leu-Lys-Gly-Pro-Met-Pro-Phe,
    (xiii) 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iv) pGlu-Arg-pro-Arg-Leu-Ser-Arg-Arg-Gly-Pro-Met-Pro-Phe,
    (xv) pGlu-Arg-Pro-Arg-Leu-Ser-Phe-Lys-Gly-Pro-Met-Pro-Phe,
    (xv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Cha,
    (xvii) pGlu-Arg-Pro-Arg-Leu-Ser-His-Lys-Gly-Pro-Met-Nal(2),
    (xviii) pGlu-Arg-Pro-Arg-Leu-Ser-His-Phe-Gly-Pro-Met-Pro-Phe,
    (xix) pGlu-Arg-Pro-Arg-Leu-Ser-His-Leu-Gly-Pro-Met-Pro-Phe,
    (xx)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NMe2,
    (xxi) Arg-Arg-Gln-Arg-Pro-Arg-Leu-Ser-Ala-Arg-Gly-Mor, .
    (xxii) Arg-Pro-Arg-Leu-Ser-His-Ala-Gly-Pro-Cha-Pro-Phe(Cl),
    (xxiii) Arg-Pro-Arg-Ala-Ser-His-Lys-Gly-Pro-Cha-Pro-Phe(Cl), .
    (xxiv) Arg-Pro-Lys(Me)2-Leu-Ser-Ala-Arg-Gly-Pro-Met-Pro-Phe,
    (xxv) Arg-Pro-Arg-Leu-Ser-Dap-Arg-Gly-Pro-Cha-Pro-Phe(Cl),
    (xxvi) Arg-Pro-Arg-Leu-Ser-Dap(Ac)c-Arg-Gly-Pro-Cha-Pro-Phe(Cl),
    (xxvii) Arg-Pro-Arg-Leu-Ser-Dap(C6)-Arg-Gly-Pro-Cha-Pro-Phe(Cl),
    (xxviii) Arg-Pro-Arg-Leu-Ser-Dap(Adi)-Arg-Gly-Pro-Cha-Pro-Phe(Cl), 또는
    (xxix) Arg-Pro-Ala-Leu-Ser-His-Lys-Gly-Pro-Cha-Pro-Phe(Cl).
  17.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의약.
  18. 제 17 항에 있어서, 중추신경 기능 조절제, 순환 기능 조절제, 심장 기능 조절제, 면역 기능 조절제, 소화기 기능 조절제, 대사 기능 조절제 또는 생식기 기능 조절제인 의약.
  19. 제 17 항에 있어서, HIV 감염증 또는 에이즈의 예방ㆍ치료약인 의약.
  20. 제 17 항에 있어서, 서열번호: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그의 염의 작용제인 의약.
  21.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의 용도.
  22. 제 1 항, 제 7 항, 제 13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IV 감염증 또는 에이즈의 예방ㆍ치료방법.
KR1020027012331A 2000-03-23 2001-03-22 펩티드 유도체 KR20020081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87114 2000-03-23
JP2000087114 2000-03-23
JP2000288891 2000-09-19
JPJP-P-2000-00288891 2000-09-19
PCT/JP2001/002278 WO2001070769A1 (fr) 2000-03-23 2001-03-22 Derive peptid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466A true KR20020081466A (ko) 2002-10-26

Family

ID=2658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331A KR20020081466A (ko) 2000-03-23 2001-03-22 펩티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35751B2 (ko)
EP (1) EP1270585B1 (ko)
JP (1) JP4786047B2 (ko)
KR (1) KR20020081466A (ko)
CN (1) CN1419563A (ko)
AT (1) ATE326478T1 (ko)
AU (1) AU2001242749A1 (ko)
CA (1) CA2403447A1 (ko)
DE (1) DE60119714T2 (ko)
WO (1) WO2001070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892A1 (fr) * 2002-01-29 2003-08-0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Utilisation d'apeline
US8673848B2 (en) 2012-01-27 2014-03-18 Novartis Ag Synthetic apelin mimetics for the treatment of heart failure
CA2634363A1 (en) * 2005-12-20 2007-06-28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Novel application of apelin
RU2303454C1 (ru) * 2006-06-22 2007-07-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 Пептайдс" Средство, нормализующее репродуктивную функцию у женщ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1903052A3 (en) * 2006-07-28 2008-04-02 Faust Pharmaceuticals SA APJ receptor ligands and uses thereof
WO2013050441A1 (en) 2011-10-05 2013-04-1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or preventing platelet aggregation
ES2638649T3 (es) 2011-11-28 2017-10-23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de disfunciones asociadas al envejecimiento
EP2802596A1 (en) * 2012-01-09 2014-11-19 Anchor Therapeutics, Inc. Apj receptor compounds
UY35144A (es) 2012-11-20 2014-06-30 Novartis Ag Miméticos lineales sintéticos de apelina para el tratamiento de insuficiencia cardiaca
US8921307B2 (en) 2012-11-20 2014-12-30 Novartis Ag Synthetic linear apelin mimetics for the treatment of heart failure
WO2014099984A1 (en) 2012-12-20 2014-06-26 Amgen Inc. Apj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MX2016001021A (es) 2013-07-25 2016-08-03 Novartis Ag Bioconjugados de polipeptidos de apelina sinteticos.
KR20160031551A (ko) 2013-07-25 2016-03-22 노파르티스 아게 심부전의 치료를 위한 시클릭 폴리펩티드
CN104436158A (zh) * 2013-09-22 2015-03-25 华中科技大学 Apelin-13在治疗糖尿病肾病中的应用
GB201407532D0 (en) * 2014-04-29 2014-06-11 Univ Ulster Apelin analogues
SG11201704758XA (en) 2015-01-23 2017-08-30 Novartis Ag Synthetic apelin fatty acid conjugates with improved half-life
US10426818B2 (en) 2015-03-24 2019-10-0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03733B (me) 2015-05-20 2021-01-20 Amgen Inc Agonisti triazola apj receptora
WO2017140684A2 (en) 2016-02-15 2017-08-24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WO2017192485A1 (en) 2016-05-03 2017-11-09 Amgen Inc. Heterocyclic triazole compounds as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US10689367B2 (en) 2016-11-16 2020-06-23 Amgen Inc. Triazole pyridyl compounds as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EP3541792B1 (en) 2016-11-16 2020-12-23 Amgen Inc. Triazole furan compounds as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EP3541805B1 (en) 2016-11-16 2020-10-14 Amgen Inc. Heteroaryl-substituted triazoles as apj receptor agonists
MA46827A (fr) 2016-11-16 2019-09-25 Amgen Inc Composés de triazole à substitution cycloalkyle en tant qu'agonistes du récepteur apj
WO2018093576A1 (en) 2016-11-16 2018-05-24 Amgen Inc. Alkyl substituted triazole compounds as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US10906890B2 (en) 2016-11-16 2021-02-02 Amgen Inc. Triazole phenyl compounds as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US11149040B2 (en) 2017-11-03 2021-10-19 Amgen Inc. Fused triazole agonists of the APJ receptor
MA52487A (fr) 2018-05-01 2021-03-10 Amgen Inc Pyrimidinones substituées en tant qu'agonistes du récepteur apj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2635A2 (en) * 1992-11-17 1994-06-09 Icos Corporation Novel seven transmembrane receptors
EP1040189B1 (en) * 1997-12-24 2008-01-09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olypeptides, their production and use
US6475718B2 (en) * 1998-09-08 2002-11-05 Schering Aktiengesellschaft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PJ receptor and the HIV virus
AU5759399A (en) * 1998-09-25 2000-04-1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eptide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0585A1 (en) 2003-01-02
DE60119714T2 (de) 2006-09-07
ATE326478T1 (de) 2006-06-15
DE60119714D1 (de) 2006-06-22
US7635751B2 (en) 2009-12-22
US20040116336A1 (en) 2004-06-17
AU2001242749A1 (en) 2001-10-03
JP4786047B2 (ja) 2011-10-05
WO2001070769A1 (fr) 2001-09-27
JP2002167397A (ja) 2002-06-11
CN1419563A (zh) 2003-05-21
EP1270585A4 (en) 2004-12-15
EP1270585B1 (en) 2006-05-17
CA2403447A1 (en) 200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1466A (ko) 펩티드 유도체
EP1116727B1 (en) Peptide derivative
JPH069689A (ja) 環状ペプチドおよびその用途
US5093233A (en) Antagonists with position 13 modification
JPS63313800A (ja) 副甲状腺ホルモン拮抗剤
KR101451470B1 (ko) 부갑상선호르몬(pth) 수용체 작용물질로서의 단쇄 펩티드
EP1143000B1 (en) Screening method
WO2022206587A1 (zh) 一种多肽化合物及其应用
US5149779A (en) Humoral hypercalcemic factor antagonists
Hayashi et al. Long-sarafotoxins: characterization of a new family of endothelin-like peptides
EP0341962B1 (en) Humoral hypercalcemic factor antagonists
US5087562A (en) Humoral hypercalcemic factor antagonists with modification at position 13 . . .
JP2008013436A (ja) 血管形成促進剤
Kawada et al. Identification of multiple urechistachykinin peptides, gene expression,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detection using mass spectrometric analyses
Rajeswaran et al. Exploration of the DTrp-NMeLys motif in the search for potent somatostatin antagonists
US5087561A (en) Humoral hypercalcemic factor antagonists modified at position 13 by biotin
Velentz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dipokinetic hormone analogues with modifications in the 4–8 region
JP2000159795A (ja) ペプチド誘導体
CA2252369A1 (en) Peptide antagonists derived from the transmembrane domains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JP4242028B2 (ja) スクリーニング方法
US20050209151A1 (en) Use of peptides
Fragiadaki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oxytocin analogues containing l-α-t-butylglycine [Gly (But)] in positions 8 or 9
JP4780365B2 (ja) Mch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アゴニスト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Baeza et al.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N-terminal peptide bonds of substance P by synthetic pseudopeptide analogs
WO2001014883A1 (fr) Methode de crib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