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609A -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 Google Patents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609A
KR20020079609A KR1020020020147A KR20020020147A KR20020079609A KR 20020079609 A KR20020079609 A KR 20020079609A KR 1020020020147 A KR1020020020147 A KR 1020020020147A KR 20020020147 A KR20020020147 A KR 20020020147A KR 20020079609 A KR20020079609 A KR 2002007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stipation
day
mushroom
cascara sagra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428B1 (ko
Inventor
김성규
유상우
Original Assignee
(주)주신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신알앤디 filed Critical (주)주신알앤디
Publication of KR2002007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건강 보조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이버섯을 포함하여 변의 양을 늘리고 대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의 예방 및 치유에 효과가 있도록 한 건강 보조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 보조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풍부한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 및 젤라틴에 의해 배변의 양이 증가되고 대장의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변비의 예방과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Natural foods for improving constipation}
본 발명은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건강 보조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이버섯을 포함하여 변의 양을 늘리고 대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의 예방 및 치유에 효과가 있도록 한 건강 보조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변비는 건강할 때에 비하여 변이 굳고 건조하며, 배변의 횟수와 변의 양이 감소되어 불쾌감이나 생리적 장애를 수반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변비의 대부분은 습관성 변비이며 증상에 따라 긴장감퇴성 변비와 긴장항진성 변비로 나뉘어진다. 긴장감퇴성 변비는 대장의 긴장이 감퇴되어 내용물의 이동도 느려지고 그 때문에 변의 수분이 적어져서 배변 반사가 둔하게 된 것이며, 긴장항진성 변비는 대장의 연동이 항진하고 장벽의 연축이 일어나서 변이 작은 덩어리, 또는 연필 정도 굵기의 막대 모양으로 배설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외에, 변비는 여행 등에 의한 환경의 변화, 식사의 변화 등에 의한 일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그 밖에 직장암이나 직장의 협착, 직장 부근의 병변, 만성대장염이나 소화기의 급성질환에 의해서 변비가 유발되기도 한다.
한편, 식생활에서 섬유질이 부족하게 되면 변의 무게도 가벼워지고, 변비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 중에 섬유질이 많으면 장 내에서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기 때문에 변의 양이 많아지고, 장의 운동도 활발해진다. 또한, 장의 기관을 자극함과 동시에 수분을 다량 유지하고 있으므로 변이 딱딱해지지도 않고 따라서 배변이 수월해진다. 그리고, 섬유질이 변통을 부드럽게 해주는 동시에 장 속에 있는 발암물질과 콜레스테롤, 기타의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체외로 내보낸다. 음식물 중의 섬유질은 장 내의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수소, 메탄, 탄산가스 등을 발생시키며, 바로 이 기체들이 장의 자극을 강화시켜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따라서,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변비를 가장 쉽게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이다.
또한, 변비를 치유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매일 아침에 배변하도록 노력하고 이른 아침 공복 때 냉수나 탄산수 등을 마시거나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있다. 이외에 약제로 인산마그네슘, 페노바린, 세나 및 대황 등과 같은 완하제를 사용하거나 필요시에는 관장을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천연 식품이나 천연 생약제를 이용한 변비 개선 식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5879호에는 동규자, 하수오, 이질풀, 무화과나무, 마디풀 및 대황 등의 천연 생약제를 이용한 변비 개선용 차가 개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32660호에는 구기자 및 강냉이를 이용한 변비 치료제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식품으로활용할 수 있는 변비 치료제는 그 필요성에 비해 많지 않기 때문에 변비 예방이나 치료용 식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천연 식품을 이용하여 변비에 효과가 있는 식품을 연구하던 중,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과 천연 젤라틴이 풍부한 목이버섯을 첨가하여 변의 양을 늘리고 카스카라사그라다와 같은 완하제로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의 개선에 효과가 있도록 한 건강 보조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의 양을 늘리고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도록 한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이버섯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이버섯 및 카스카라사그라다에, 뽕잎분말, 수산화마그네슘 및 감미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은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한 목이버섯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목이버섯에는 상기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 외에 천연 젤라틴이 풍부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시 10-20 배정도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의 양이 증가됨으로써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에는 이러한 목이버섯과 함께 장 운동 촉진제로 광유, 올리브유와 같은 연변 완하제; 실리움, 알로에와 같은 팽변 완하제; 피마자유, 카로멜과 같은 소장 자극성 하제; 및 카스카라사그라다, 들코렉스, 비코그린과 같은 대장 자극성 하제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나, 연변 완하제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 영양 흡수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고, 팽변 완하제의 경우 물 없이 복용하면 안되므로 자극성 하제, 구체적으로 카스카라사그라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스카라사그라다는 히드록시 안트라사이트(Hydroxy anthracite) 유도체로서 대장에 작용하여 유동 운동을 촉진시키고, 혈관을 통해 신경계에 작용하여 하제 효과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목이버섯에 카스카라사그라다를 첨가하는 경우, 목이버섯은 60-90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는 10-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목이버섯의 양이 9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도한 양으로 인해 복부팽만감과 같은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60중량%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변의 양이 충분하게 증가하지 않아 변비 개선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상기 함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는 장관내에서 분해되어 장점막을 자극하여 연동 항진을 일으킴으로써 대변을 원활하게 하기도 하지만, 4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대장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설사 및 복통을 유발하게 되므로 상기 농도를 유지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에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외에 뽕잎분말이 추가로 더 첨가될 수 있다. 뽕잎분말에는 칼슘, 철분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식이 섬유도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녹차의 경우에는 식이섬유가 10.6% 정도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뽕잎에는 52.9%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뽕잎분말을 본 발명의 건강 보조 식품에 추가로 더 첨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10-3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에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외에 장벽으로부터 수분흡수를 방지하여 설사를 일으키게 하는 유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염류하제가 추가로 더 첨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산화마그네슘을 5-15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이 1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설사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은 카스카라사그라다, 뽕잎분말, 수산화마그네슘 및 감미제가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목이버섯 60-90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1-37중량%, 뽕잎분말1-3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0.1-1중량% 및 감미제 1-30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미제는 식품의 단맛을 내기 위하여 첨가되며, 포도당, 물엿, 맥아, 맥아시럽, 당밀, 유당, 감초엑기스 분말, 캐러멜색소, 아스파탐, 올리고당, 이성화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당, 감초엑기스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에는 키토산 또는 키토 올리고당이 추가로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이버섯을 포함한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은 액상, 분말 및 과립의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될 수 있으나, 과립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생산 과정은 원료 선별 단계, 원료 혼합 단계, 과립 생성 단계, 건조 단계 및 포장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원료별 기준에 적합한 각 원료들을 선별한 후, 각 원료들을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혼합한다. 이후, 물, 알코올 및 결정 셀룰로오즈와 같이 과립 형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성분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과립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과립을 밀폐된 건조기에 넣고 건조시키되, 구체적으로 35-45℃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생산된 과립은 4중지에 밀폐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은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변비 개선 효과에 가장 적정한 목이버섯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초기 체중 약 240g)를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변비를 유도하기 위하여 래트에 0.9%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장운동 억제제인 로퍼아미드(loperamide, 1.5mg/kg, Sigma)를 5일 동안 오전 9시, 오후 6시에 하루 두 번 투여하여 배변을 억제하였다.
이후, 변비가 유도된 래트를 각각 A군(목이버섯 4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60중량% 투여군), B군(목이버섯 5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50중량% 투여군), C군(목이버섯 6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40중량% 투여군), D군(목이버섯 7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30중량% 투여군), E군(목이버섯 8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20중량% 투여군), F군(목이버섯 90중량%+카스카라사그라다 10중량% 투여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각 함량의 목이버섯 조성물을 5일 동안 매일 오전 9시, 오후 6시에 하루 두 번 투여하였다(각 군당 14마리의 래트).
실험 3일과 5일째 체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 1, 2, 3, 4일째 각 래트의 변 배출량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 2,4, 5일째 오전 9시에 각 래트에서 배변된 변을 마이크로 튜브에 넣고 수분함유 상태의 무게와 동결건조 후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변의 수분 함량은 상기 두 형태의 변 무게의 차이를 계산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내지 표 3에서 대조군은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 14 마리에 0.9% 생리 식염수 0.25ml만을 투여한 군을 의미한다. 또한, 변비유도군은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 14 마리에 로퍼아미드 0.25ml씩을 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한 군을 의미한다.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험군
A B C D E F
체중(g) 3일째 242.9±12.1 236.9±7.12 241.9±10.5 239.9±13.3 241.5±13.1 238.9±14.4 242.6±12.3 243.8±11.1
5일째 243.4±12.5 235.8±9.2 242.6±8.1 240.7±12.6 244.9±8.1 236.8±13.1 241.3±12.8 242.9±14.1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험군
A B C D E F
변배출량(g/1일) 1일째 3.19±0.43 2.29±0.12 3.03±0.26 3.18±0.42 3.38±0.56 3.49±0.36 3.33±0.53 3.43±0.61
2일째 2.98±0.23 2.18±0.32 3.10±0.26 2.99±0.45 3.30±0.43 3.33±0.45 3.47±0.65 3.56±0.66
3일째 2.99±0.32 1.83±0.42 3.01±0.36 2.98±0.36 3.38±0.61 3.68±0.31 3.64±0.58 3.69±0.68
4일째 2.97±0.22 2.23±0.36 2.96±0.34 3.10±0.43 3.49±0.44 3.55±0.42 3.64±0.43 3.74±0.69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험군
A B C D E F
변수분량(%) 2일째 65.8±4.5 58.9±6.4 65.9±5.5 65.8±3.3 72.2±5.3 73.8±4.4 74.6±6.3 74.5±5.2
4일째 69.4±5.1 59.7±7.2 66.6±7.8 67.3±5.6 71.9±6.1 72.8±3.1 73.3±4.8 76.5±6.4
5일째 68.5±3.6 61.3±6.4 67.9±5.8 68.2±4.6 73.2±5.6 74.6±4.6 72.5±5.6 78.5±4.8
상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이버섯을 40중량% 및 50중량%의 함량으로 섭취한 래트의 경우, 변 배출량이나 변의 수분량이 변비유도군에 비해서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하면 거의 변화가 없거나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목이버섯을 60중량% 내지 90중량%의 함량으로 섭취한 래트의 경우 변 배출량이나 변의 수분량이 변비유도군은 물론 대조군과 비교하여서도 월등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변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목이버섯의 적정 함량은 60중량% 내지 90중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목이버섯의 변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를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변비를 유도하기 위하여 14 마리의 래트에 0.9%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장운동 억제제인 로퍼아미드(loperamide, 1.5mg/kg, Sigma)를 5일 동안 오전 9시, 오후 6시에 하루 두 번 투여하여 배변을 억제하였다.
이후, 변비가 유도된 래트에 목이버섯 20mg을 5일 동안 매일 오전 9시, 오후 6시에 하루 두 번 투여하였다.
실험기간 5일 동안 매일 각 래트의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실험 3일과 5일째 체중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 기간 동안 매일 오전 9시에 각 래트의 변을 폴리스티렌 튜브(polystyrene tube)에 수집한 후, 동결 건조시켜 건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2, 4, 5일째 오전 9시에 각 래트에서 배변된 변을 마이크로 튜브에 넣고 수분함유 상태의 무게와 동결건조 후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변의 수분 함량은 상기 두 형태의 변 무게의 차이를 계산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 내지 표 6에서 대조군은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 14 마리에 0.9% 생리 식염수 0.25ml만을 투여한 군이다. 또한, 변비유도군은 8주령된 숫컷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래트(Rat) 14 마리에 로퍼아미드를 0.25ml씩 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한 군이다.
<실시예 3>
목이버섯 3g과 카스카라사그라다 1.5g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 20mg을 로퍼아미드로 변비가 유도된 래트 14 마리에 각각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각각 사료 섭취량, 체중 변화량, 배변량 및 수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5 및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은 목이버섯 66.6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33.4중량%로 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4>
목이버섯 4.875g, 카스카라사그라다 1.5g 및 뽕잎분말 1.125g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 20mg을 로퍼아미드로 변비가 유도된 래트 14 마리에 각각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각각 사료 섭취량, 체중 변화량, 배변량 및 수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5 및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은 목이버섯 65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20중량% 및 뽕잎분말 15중량%로 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5>
목이버섯 4.875g, 카스카라사그라다 1.5g 및 수산화마그네슘 1.125g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 20mg을 로퍼아미드로 변비가 유도된 래트 14 마리에 각각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각각 사료 섭취량, 체중 변화량, 배변량 및 수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5 및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은 목이버섯 65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20중량% 및 수산화마그네슘 15중량%로 하여 제조한 것이다.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사료섭취량(g/1일) 1일-2일 17±2.0 13.8±1.3 16.2±1.3 16.5±1.3 16.4±1.3 16.1±1.3
2일-3일 15±1.9 12.9±1.5 17.0±1.2 15.4±1.2 16.7±1.2 16.4±1.2
3일-4일 14±1.5 12.9±1.9 14.1±1.2 16.6±1.2 16.3±1.2 16.5±1.2
4일-5일 13±1.8 12.0±1.2 14.2±1.3 15.6±1.4 15.9±1.3 15.5±1.3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변비가 유도된 후 다른 처치를 하지 않은 변비유도군의 경우 대조군 래트에 비해 사료 섭취량이 줄어드는 반면, 목이버섯을 투여한 실시예 2의 래트의 경우 사료 섭취량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 목이버섯과 카스카라사그라다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3의 래트,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뽕잎분말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4의 래트 및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5의 래트의 경우도 사료 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체중(g/1일) 3일째 243.9±12.1 236.0±8.12 244.3±13.1 244.2±12.5 243.2±12.6 245.1±12.3
5일째 241.4±12.5 235.7±10.8 242.3±13.0 243.8±13.1 245.2±13.0 243.9±12.8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변비가 유도된 후 다른 처치를 하지 않은 변비유도군래트에서의 체중은 대조군 래트와 비교해 줄어든 반면, 목이버섯을 투여한 실시예 2의 래트의 경우 체중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 목이버섯과 카스카라사그라다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3의 래트,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뽕잎분말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4의 래트 및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5의 래트의 경우도 체중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배변량(g/1일) 1일째 3 ±0.3 2.2 ±0.3 3.2 ±0.3 3.5 ±0.3 3.6 ±0.3 3.6 ±0.3
2일째 2.8 ±0.2 2.2 ±0.2 3.0 ±0.2 3.4 ±0.2 3.5 ±0.3 3.6 ±0.3
3일째 2.8 ±0.2 1.8 ±0.2 3.1 ±0.2 3.5 ±0.3 3.6 ±0.3 3.7 ±0.3
4일째 2.9 ±0.3 2.2 ±0.3 3.3 ±0.3 3.6 ±0.3 3.7 ±0.3 3.7 ±0.3
수분량(%) 2일째 65 ±4 58 ±3 70 ±4 72 ±4 73 ±4 74 ±4
4일째 68 ±3 59 ±4 71 ±3 73 ±3 73 ±4 75 ±4
5일째 69 ±4 61 ±4 71 ±5 75 ±3 74 ±4 75 ±4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로퍼아미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하고 목이버섯을 투여한 실시예 2의 래트의 경우, 변비 유도 후 다른 처치를 하지 않은 변비유도군래트에 비해 배변량이 훨씬 증가하였고, 수분량 또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목이버섯과 카스카라사그라다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3의 래트와,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뽕잎분말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4의 래트, 그리고, 목이버섯, 카스카라사그라다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시예 5의 래트의 경우도 배변량과 수분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생체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목이버섯이 변비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목이버섯 외에 카스카라사그라다와 뽕잎분말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을 추가로 더 첨가한 경우 변비 개선 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목이버섯 4.5g, 카스카라사그라다 0.75g, 뽕잎분말 0.75g, 유당 0.7125g, 감초엑기스분말 0.75g 및 수산화마그네슘 0.0375g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 20mg을 로퍼아미드로 변비가 유도된 래트 10 마리에 각각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각각 사료 섭취량, 체중 변화량, 배변량, 그리고 배변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 표 8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은 목이버섯 60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10중량%, 뽕잎분말 10중량%, 유당 9.5중량%, 감초엑기스분말 10중량% 및 수산화마그네슘 0.5중량%로 하여 제조한 것이다.
대조군으로는 0.9% 생리 식염수 0.25ml만을 투여한 래트 10마리를 사용하였고, 변비유도군으로는 로퍼아미드 0.25ml을 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한 래트 10마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6
사료섭취량(g/1일) 1일-2일 24.8 ±1.74 17.9 ±3.82 20.0 ±4.95
2일-3일 22.3 ±4.10 15.6 ±2.91 21.2 ±7.56
3일-4일 19.8 ±3.29 15.5 ±2.10 19.8 ±4.76
4일-5일 16.7 ±1.28 15.2 ±2.15 19.8 ±5.37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6
체중(g/1일) 3일째 254 ±7.5 243.7 ±13.8 249.4 ±15.5
5일째 252.5 ±8.2 243.5 ±12.6 249.9 ±14.6
대조군 변비유도군 실시예 6
배변량(g/1일) 2일째 7.2 ±1.7 4.1 ±3.2 7.4 ±2.3
3일째 6.8 ±3.5 4.9 ±1.2 6.4 ±1.7
4일째 7.1 ±2.1 5.2 ±2.1 7.2 ±0.3
5일째 6.9 ±1.3 4.8 ±0.7 6.7 ±2.6
배변수(개/1일) 2일째 15.4 12.3 16.2
3일째 14.8 13.2 14.2
4일째 16.1 13.7 15.8
5일째 15.7 13.5 14.7
상기 표 7 내지 표 9에서와 같이, 목이버섯에 카스카라사그라다, 뽕잎분말, 수산화마그네슘 및 감미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변비가 유도된 래트에 섭취시킨 경우, 변비 유도 후 다른 처치를 하지 않은 변비유도군에 비해 사료 섭취량이증가되었으나, 체중에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변량 및 배변수에 있어서도 변비유도군에 비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목이버섯에 카스카라사그라다, 뽕잎분말, 수산화마그네슘 및 감미제가 첨가된 조성물이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과 천연 젤라틴이 풍부한 목이버섯이 주성분으로 포함된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건강 보조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풍부한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섬유질에 의해 배변의 양이 증가되고 대장의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변비의 예방과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9)

  1. 목이버섯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카스카라사그라다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3. 제 2항에 있어서, 수산화마그네슘이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4. 제 2항에 있어서, 뽕잎 분말이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5. 제 2항에 있어서, 목이버섯 60-90중량% 및 카스카라사그라다 10-40중량%로 이루어진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6. 제 3항에 있어서, 목이버섯 60-85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10-35중량% 및 수산화마그네슘 5-15중량%로 이루어진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7. 제 4항에 있어서, 목이버섯 60-80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10-30중량% 및 뽕잎분말 10-30중량%로 이루어진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8. 제 2항에 있어서, 목이버섯 60-90중량%, 카스카라사그라다 1-37중량%, 뽕잎분말 1-3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0.1-1중량% 및 감미제 1-30중량%로 이루어진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유당, 감초엑기스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KR10-2002-0020147A 2001-04-13 2002-04-12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KR100484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9803 2001-04-13
KR1020010019803 200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609A true KR20020079609A (ko) 2002-10-19
KR100484428B1 KR100484428B1 (ko) 2005-04-22

Family

ID=1970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47A KR100484428B1 (ko) 2001-04-13 2002-04-12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4428B1 (ko)
WO (1) WO2002082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93A1 (ko)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851A (zh) * 2013-03-21 2014-09-24 李海波 一种润肠通便的食疗组合物
CN104055878A (zh) * 2013-03-21 2014-09-24 申宏 润肠通便的食疗组合物
CN103830349A (zh) * 2014-03-22 2014-06-04 万世凤 一种治疗顽固性便秘胶囊制作方法
CN104013723A (zh) * 2014-06-20 2014-09-03 孙苗苗 一种治疗妇科手术后便秘的药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754B2 (ja) * 1987-07-14 1996-08-28 三井製糖株式会社 飲食物
NO168563C (no) * 1987-09-28 1992-03-11 Collett Marwell Hauge As Anvendelse av en organoleptisk akseptabel blanding av magnesiumsalter som mineraladditiv
JPH0253459A (ja) * 1988-08-19 1990-02-22 Maruzen Kasei Co Ltd 水溶性食物繊維
JPH0292251A (ja) * 1988-09-28 1990-04-03 Nonogawa Shoji:Kk 食物繊維含有低カロリー飲食物
US5039707A (en) * 1989-09-08 1991-08-13 Mobley James R 1,3,6,8 tetrahydroxyanthraquinone
DE69118771T2 (de) * 1990-07-31 1996-10-31 Nec Corp Ladungsspeicherelektrode eines Kondensators und Methode zu deren Herstellung
JPH06153879A (ja) * 1992-11-20 1994-06-03 Yutaka Kono 白きくらげドリンクの製造方法
JP2872635B2 (ja) * 1995-08-03 1999-03-17 千葉真知子クッキングスタジオ有限会社 健康食品
JP2000281583A (ja) * 1999-03-26 2000-10-10 Gotoo Corporation:Kk 桑の葉を含有する健康補助製剤及び健康補助飲食品
KR20010073975A (ko) * 2000-10-02 2001-08-04 이창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KR20010103065A (ko) * 2001-07-23 2001-11-23 박재금 식이섬유 함유 다이어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93A1 (ko)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2928A1 (en) 2002-10-24
KR100484428B1 (ko) 200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887B1 (ko) 유산균 함유 설사약 조성물
KR20150105714A (ko)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6723087A (zh) 一种含海带膳食纤维的片剂及其制备方法
CN101129351A (zh) 一种补铁剂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39683A (zh) 便秘医学配方食品
CN108404019A (zh) 复方菊苣根调节嘌呤代谢紊乱的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323246A (zh) 食管癌全营养配方食品
CN104187637A (zh) 壮阳全营养配方食品
KR100549089B1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건강 기능성식품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4428B1 (ko)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CN101077144A (zh) 果味面条
KR101293645B1 (ko) 신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N103689748A (zh) 一种具有调节肠胃道功能,防治便秘的即冲型饮品
Shanmugasundaram et al. Amrita Bindu—a salt-spice-herbal health food supplement for the prevention of nitrosamine induced depletion of antioxidants
KR102000170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1687558B1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839681A (zh) 湿热体质医学配方食品
CN101450074B (zh) 一种明显改善胃肠道功能、防治便秘的组合物
CN114698717A (zh) 一种调节肠功能的压片糖果
CN100509041C (zh) 清胃排毒丸
CN114343180A (zh) 一种具有通腑排毒作用的系列组合物及其应用
KR20020089081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구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37933B1 (ko) 변비 및 장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