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975A -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975A
KR20010073975A KR1020000057945A KR20000057945A KR20010073975A KR 20010073975 A KR20010073975 A KR 20010073975A KR 1020000057945 A KR1020000057945 A KR 1020000057945A KR 20000057945 A KR20000057945 A KR 20000057945A KR 20010073975 A KR20010073975 A KR 2001007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cara
cascara sagrada
weight
extract powd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석효기
강형모
Original Assignee
이창환
주식회사 동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환, 주식회사 동서 filed Critical 이창환
Priority to KR102000005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975A/ko
Publication of KR2001007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스카라사그라다를 물 또는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농축하여 카스카라사그라다 농축액을 얻은 후,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한 다음,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과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 등의 원료군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한 후 이를 여과포에 포장하여 물에 우려먹을 수 있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스카라사그라다 원료대비 가용성 성분함량을 높이고 카스카라사그라다의 유효성을 보강하며 향미 등을 살려 기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ea by using the cascara sagrada}
본 발명은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스카라사그라다를 물 또는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냉각한 후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얻고,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농축 및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한 다음,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에 증숙, 볶음, 분쇄 등 통상의 가공방법으로 제조한 동규엽, 녹차, 둥굴레, 결명자, 현미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한 후 여과포(filter paper)에 포장함으로써, 카스카라사그라다 원료대비 가용성 성분함량을 높이고 카스카라사그라다의 유효성을 보강하며 향미 등을 살려 기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침출차는 식물의 잎, 줄기, 꽃, 뿌리, 열매 등의 가용성 성분이 물에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가공하여 여과포에 포장한 후 이를 온수에 2~3분간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차로서, 이러한 침출차는 음용 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고, 원료 고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으며, 또한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장점이 있어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형태의 차이다.
상기 침출차의 대표적인 예로는 식물의 잎을 사용하는 녹차 및 홍차, 뿌리를 사용하는 둥굴레차, 열매를 사용하는 보리차 등이 있는데, 이들 원료는 일반적으로 증숙, 볶음, 분쇄 등의 가공공정을 거쳐 식물체 조직이 파괴되어 가용성 성분이나 향미 성분이 온수에 단시간동안 쉽게 우러나올 수 있도록 가공되는 것이다.
카스카라사그라다(Cascara Sagrada ; Rhamnus purshiana)는 북미지역 캘리포니아를 주산지로 하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수종으로서, 이 나무의 수피(껍질)는 대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작용에 효과를 나타내어 북미나 유럽 등지에서 전통적으로 변비증상 개선 하제로서 이용하여 왔다.
즉,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드록시안트라센 유도체들이 배변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이는 가용성 성분 중 8~10%에 달하며, 상기 하이드록시안트라센 유도체들은 카스카로사이드A, B, C, D, E, F가 60~70%, 알로인이 10~30%, 안트라퀴논글리코사이드 배당체, 알로에에모딘, 후랑굴라에모딘 및 이소에모딘이 10~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카스카라사그라다(이하 '카스카라'라고 칭함.)를 차로 제조 시, 카스카라는 단단한 목질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증숙, 배전, 분쇄공정을 통해 가공한 경우 약 85℃의 온수에 2~3분 동안 우려내 마시는 일반적인 침출차의 음용방법으로는 가용성 성분의 침출량이 적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카스카라에는 쓴맛을 내는 성분인 카스안트라놀, 카스카린, 람놀,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스카라의 침출액은 맛이 쓰고 입안에 그 쓴맛이 오래 남는 특성으로 인해 식품, 특히 차로 제조하여 음용하기에는 기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1회 유효분량만큼의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으로 차를 만들 경우 음용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더욱 맛이 나빠진다.
한편, 이러한 카스카라를 함유하는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999-0084271호와 같은 변비증상 개선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카스카라를 마쇄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에서 배전시키고, 상기 배전시킨 카스카라와 결명자, 동규자차, 차전자 등의 생약재를 적어도 1종 이상 혼합하여 이를 일정한 크기로 단위포장한 침출차를 제조하여 통상의 침출기준으로 음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카스카라를 함유한 차제품은 카스카라의 유효성분의 침출이나 기호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카스카라가 배변작용에 효과적인 원료군 중의 하나라는 점만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차제품은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의 침출량이 적어 배변의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카스카라 특유의 쓴맛을 내는 성분들로 인하여 그 기호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카스카라를 특별히 가공처리하지 않고 종래의 방법대로 차로 제조한 경우에는 카스카라를 함유한 차제품을 온수에 넣어 우려낼 때 가용성 성분이 적게 우러나 배변작용에 효과가 적다는 단점이 있으며, 가령 배변작용에 도움을 줄수 있을 정도로 가용성 성분을 늘린다고 해도 이로 인해 차의 쓴맛이 더 강해져 기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스카라를 함유하는 차의 제조상의 문제점을 고려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카스카라를 추출, 농축과정을 통하여 카스카라가 지닌 수지취 및 이취 등 방향성분들을 증기와 함께 휘산시켜 자극적인 맛을 줄인 후 분무건조과정을 통하여 분말화함으로써 가용성 성분이 온수에 신속히 침출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 및 카스카라에 다른 원료를 첨가하여서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에 포함된 특유의 쓴맛의 발현을 억제하여 기호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카스카라의 유효성분 보강 및 카스카라 특유의 쓴맛을 완화시켜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원료는 동규엽, 결명자, 녹차, 둥굴레, 현미 등이다.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규엽(Malva Verticillata Linne)은 아욱을 말하는 것으로, 한방과 민간에서 그의 종자나 잎을 통변(通便) 등의 목적으로 변비개선에 사용하여 왔으며,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젖이 잘 나게 하므로 이뇨(利尿), 통유(通乳)의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결명자(Cassia Tora L.)는 초결명 혹은 마제결명이라고도 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주로 습관성변비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압이 상승하거나 시력이 감퇴할 때에 쓰면 좋고 또한 위약, 위십이지장궤양, 위통, 만성맹장 등과 같은 위장계통뿐만이아니라 고혈압, 숙취, 두드러기나 신경통, 치통 등의 진통효과도 우수하여 그 쓰임새가 좋다. 더욱이 효소의 분해를 촉진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며 어지러움증에도 효과적이다.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엽의 폴리페놀의 산화를 억제시킨 신선한 찻잎으로 제조되며 녹색의 색상과 수색, 그리고 신선한 풋냄새가 특징이며, 특히 노화예방, 이뇨작용에 의한 체내 중금속 제거, 소화작용, 강심작용 또는 피부미용 등에 효과적이다.
둥굴레(Polygonatum sp.)는 황정(黃精)이라고도 하며 뿌리에는 당분,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고 그 맛이 구수하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둥굴레의 근경(根莖)을 폐렴, 폐창, 강심, 자양강장, 변비 등에 응용하고 있으며, 그밖에도 노화방지, 병후 쇠약, 피로회복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기력이 약한 노인에게 좋고, 또한 심장을 튼튼히 하며, 피부미용에도 좋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며 볶음처리를 할 경우 구수한 맛을 내므로 녹차 등에 혼합하여 떫고 쓴맛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카스카라의 유효성분의 보강 및 향미를 더하기 위하여 혼합한 원료인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 등의 원료군은 이들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은 카스카라를 추출, 농축 후 분무건조과정을 통해 카스카라가 지닌 쓴맛·수지취 등을 완화하고, 동량의 카스카라원물 대비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함량을 높인 추출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침출성 및 유효성분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스카라 추출분말에 통상의 증숙, 배전, 분쇄, 선별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 등을 혼합하여 이를 여과포에 포장함으로써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의 쓴맛을 완화시키고 유효성을 증강하도록 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과립화하여 다른 원료와의 혼합을 균일하게 하고 카스카라 추출분말 입자가 여과포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은, 카스카라를 물 또는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카스카라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카스카라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화된 카스카라 추출분말과,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의 원료군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여과포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을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은 추출, 농축, 분무건조 및 혼합·포장 등의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 1 공정 : 카스카라 추출공정
카스카라에 정수 또는 30~70%의 에틸알코올을 카스카라 중량대비 5~10배 투입한 후 온도 70~100℃에서 1~4시간동안 1차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추출박과 분리하여 1차 추출액을 수득한다. 분리된 추출박에 다시 정수 또는 50~70%의 에틸알코올을 최초의 카스카라 중량대비 2~6배 투입한 후 온도 70~100℃에서 30분~2시간동안 2차 추출한다. 이를 다시 여과하여 추출박과 분리하여 2차 추출액을 얻은 후, 먼저 얻어진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냉각 후 카스카라 추출액을 얻는다.
제 2 공정 : 농축 및 분무건조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액을 감압진공농축기로 60℃이하에서 40~50% 농도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카스카라 농축액을 얻은 다음, 상기 카스카라 농축액을 통상의 분무건조방식을 통해 인스턴트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얻는다.
즉, 상기 농축공정에서 얻어진 카스카라 농축액을 열기류에 분무하여 신속히 건조시켜 분말화하는데, 우선 상기 카스카라 농축액을 건조실에 넣은 후 건조실에 뜨거운 바람을 나선형 기류가 될 수 있도록 와류를 부여하여 넣고 분무기에 의해분무시킨 카스카라 농축액이 그 기류와 함께 이동하면서 건조되면 상기 건조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포집하여 수득한다.
한편, 상기 제 2 공정에서 얻어지는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유동층 조립기(造粒機)에 넣고, 결착제(binder)로서 덱스트린 30~50중량%수용액(w/w), 젤라틴 5~15중량%수용액(w/w), 아라빅검 10~30중량%수용액(w/w) 등을 제조한 후 상기 결착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카스카라 추출분말 대비 10~30중량%로 분무하여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과립 제조함으로써 동규엽이나 결명자 등과 같은 다른 원료와의 혼합을 균일하게 하고 카스카라 추출분말 입자가 여과포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3 공정 : 혼합 및 포장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분말 10~80중량%와, 통상의 증숙, 배전, 분쇄공정을 거쳐 입도 16~60메쉬로 선별된 동규엽 10~30중량%, 녹차 10~30중량%, 결명자 10~30중량%, 둥굴레 10~30중량%, 현미 10~30중량% 등의 원료군 중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원료를 취하여 합계 100중량%가 되도록 계량한 다음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여과포에 중량 1~2.5g이 되도록 충전하여 포장함으로써, 통상의 음용방법으로 음용 시 가용성 성분이 온수에 신속히 우러나고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침출차를 제조한다.
한편, 상기 제 3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 등을 각각 10~30중량%를 취하여 합계 100중량%가 되도록 계량하여 잘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상기 제 1 공정을 통해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액의 농도가 30~60%가 되도록 농축하여 카스카라 농축액을 얻은 후 상기 농축된 혼합물 대비 카스카라 농축액(카스카라 고형분 30~60%) 20~40중량%를 분무·혼합하여 수분함량이 10%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제조하여도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스카라 1,200g에 95℃로 가온된 정수 9,600g을 투입하여 2시간동안 1차 추출한 후 250메쉬로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분리된 추출박에 다시 95℃로 가온된 4,800g의 정수를 투입하여 1시간동안 2차 추출을 실시한 후 250메쉬로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차 추출액을 상기 1차 추출액과 혼합 후 40℃로 냉각하여 카스카라 추출액을 얻었다. 이때 얻어진 냉각된 카스카라 추출액의 양은 11,773g(고형분 농도 3.2%)이었다. 상기 카스카라 추출액을 감압진공농축기로 55℃, 700㎜Hg의 조건 하에서 농축하여 고형분농도 42.2%인 카스카라 농축액 879g을 얻었다. 상기 카스카라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카스카라 성분함량 100%인 카스카라 추출분말 330g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분말 15중량%와, 통상의 건조, 배전, 분쇄 등의 공정으로 제조한 입자크기 16~30메쉬의 동규엽 20중량%, 녹차 22.5중량%, 둥굴레 20중량%, 현미 22.5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여과포에 중량 1.5g이 되도록 충전하여 포장하였다. 상기 원료들의 배합비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 여과포를 85℃의 온수에 3분간 담그어 우려냈을 때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온수에 신속히 용해되면서 향미가 좋고 기호성이 양호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함유된 혼합침출차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온수에 우려낼 때 침출되는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함량에 상당하는 카스카라원물의 양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 0.5g을 여과포에 충전한 것과, 카스카라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에서 150℃, 20분간 배전시킨 후 16~30메쉬로 조분쇄하여 이것을 여과포에 용량별로 충전한 것을 각각 85℃의 온수 100㎖, 3분간의 동일조건 하에서 우려낸 후 그 침출액을 26℃로 냉각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각각의 침출액을 저농도굴절계를 사용하여 침출액의 고형분 농도를 10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표 2에 나타내었다.
(주) 대조구 : 카스카라 추출분말 0.5g
시험구1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5g
시험구2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6g
시험구3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7g
시험구4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8g
시험구5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9g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카스카라 추출분말 0.5g의 침출액의 고형분 농도는 0.500%로서 가용성 성분이 모두 용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7g 및 1.8g의 침출액의 고형분 농도는 각각 0.491%, 0.520%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1.75g정도를 침출하였을 때 그 침출액의 고형분 농도가 카스카라 추출분말의 가용성 성분함량 0.5g을 침출한 침출액의 고형분 농도와 유사해지므로 이에 따라 카스카라 추출분말의 가용성 성분함량은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의 가용성 성분함량 대비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카스카라원물을 온수에 침출하여 카스카라 추출 고형분 0.5g을 얻으려면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이 약 1.75g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침출차에 혼합되어 있는 카스카라 추출분말 함량 0.225g(15중량%)만큼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을 혼합하려면 그 양은 0.7875g 정도가 소요되며, 만일 이 정도의 양을 여과포에 충전하여 포장한 것을 온수에 침출한다면 그 침출액은 쓴맛이 강하여 음용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쓴맛을 억제하기 위해 기타 다른 원료를 첨가하려면 많은 양(약 3g)의 부원료가 소요되므로 이를 1회용 침출차에 적당한 용량으로 제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사용한 경우에는 종래의 가공방법으로 제조한 카스카라원물량에 비해 1/3.5배에 해당하여 그 소요량을 줄인 만큼 기호성과 유효성 증강을 위한 다른 원료의 양을 적정하게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 및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의 기호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 0.2g을 여과포에 포장한 것과, 카스카라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에서 150℃, 20분간 배전시킨 후 16~30메쉬로 조분쇄하고, 상기 카스카라 추출분말 0.2g의 3.5배인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 0.7g을 여과포에 포장한 것을 각각 85℃의 온수 100㎖, 3분간의 동일조건 하에서 우려낸 후 잘 훈련된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선발하여 각각의 침출액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 3 : 많음, 2 : 보통, 1 : 적음
(주) 대조구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분말 0.7g 침출액
시험구 : 카스카라 추출분말 0.2g 침출액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원물 조분쇄 분말에 비해 수지취나 쓴맛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카스카라를 추출, 농축, 건조공정을 통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방향성분들 중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냄새, 특히 수지취나 카스카라 고유의 쓴맛을 발생시키는 휘발성 물질, 정유물질 등이 다량 휘산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제조하게 되면 종래의 증숙, 배전, 분쇄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카스카라 분말보다 기호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수지취, 쓴맛 등의 발현을 상당히 억제시킨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얻을 수 있다.
비교예 3
카스카라 및 결명자를 16~30메쉬 정도의 크기로 마쇄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에서 배전처리한 후 카스카라와 결명자를 중량대비 50 : 50으로 배합하여 여과포에 중량 1.5g이 되도록 포장한 혼합침출차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카스카라 고형분 0.225g)하는 혼합침출차를 각각 85℃의 온수 100㎖, 3분의 동일조건 하에서 우려낸 후 잘 훈련된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3 : 좋음, 2 : 보통, 1: 나쁨
(주) 대조구 : 배전처리한 카스카라 0.75g, 결명자 0.75g이 들어간 혼합침출차
시험구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으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가 배전처리한 카스카라 및 결명자가 들어간 혼합침출차에 비해 향미, 전반적인 기호성 등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자의 가용성 성분함량이 비슷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배전처리한 카스카라에 비해 여과포에 포장되는 양(카스카라 추출분말 15중량%, 배전처리한 카스카라 50중량%)이 적은 반면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성이 우세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공정과 같이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 200g에 젤라틴10중량%수용액(w/w) 40g을 결착액으로 사용하여 유동층 조립기에서 과립 및 건조시킨 후 수분함량 3.5%이고 입자크기가 30~120메쉬인 과립형 카스카라 추출분말 200g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과립화된 카스카라 추출분말 35중량%에 실시예 1의 공정에서 사용한 원료인 동규엽 20중량%, 녹차 15중량%, 둥굴레 15중량%, 현미 15중량%를 고르게 혼합한 후 이를 여과포에 중량 1.5g이 되도록 포장하여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함유된 혼합침출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동층 조립기에서 과립화된 카스카라 추출분말의 입도, 밀도 및 여과포로부터 새어나오는 양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과립 상태의 카스카라 추출분말과 비교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각각 0.525g씩 여과포(재질 : 폴리에틸렌코팅펄프, 규격 : 22g/㎡)에 충전하여 포장하였으며, 여과포로부터 새어나오는 양의 측정은 각각의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충전된 여과포를 바이브레이터에 올려놓고일정한 속도로 진동을 가한 후 측정하였다.
(주)대조구 : 과립하지 않은 카스카라 추출분말
시험구 : 과립한 카스카라 추출분말
상기 표 5에서 보면 과립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과립하지 않은 카스카라 추출분말보다 입도가 커서 여과포 밖으로 새어나오는 양이 적었으며, 또한 포장적성과 관련 있는 밀도도 과립한 카스카라 추출분말이 과립하지 않은 카스카라 추출분말보다 낮아서 포장 시 포장적성이 과립하지 않은 카스카라 추출분말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카스카라 1,000g에 95℃로 가온된 8,000g의 정수를 투입하여 2시간동안 1차 추출을 한 후 250메쉬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다시 남은 추출박에 95℃로 가온된 4,000g의 정수를 가하여 1시간동안 2차 추출을 한 후 250메쉬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차 추출액을 상기 1차 추출액과 혼합한 후 이를 40℃로 냉각하여 카스카라 추출액을 얻었다. 이때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액의 양은 9,990g(고형분 농도 3.1%)이었다. 상기 카스카라 추출액을 감압진공농축기로 55℃, 700㎜Hg의 조건 하에서 농축하여 고형분 농도가 50%인 카스카라 농축액 564g을 얻었다. 상기 카스카라 농축액 30중량%(고형분 15중량%)를 통상의 증숙, 건조, 배전, 분쇄 등의 공정으로 제조된 입자크기 16~30메쉬의 동규엽 20중량%, 결명자 20중량%, 둥굴레 25중량%, 현미 20중량%, 녹차 15중량%의 혼합물에 균일하게 분무, 혼합 후 원적외선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을 3.2%로 건조하여 이것을 여과포에 중량이 1.5g이 되도록 포장한 것을 통상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온수에 우려낼 시 가용성 성분이 잘 침출되고, 향미가 우수한 카스카라 고형분 15중량%가 함유된 혼합침출차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물 또는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카스카라를 추출하여 얻어진 카스카라 추출액을 농축 및 분무건조공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배전, 분쇄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 같은 양의 카스카라원물에 비하여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함량이 높은 추출분말을 얻을 수 있고, 카스카라를 추출분말화하였으므로 온수에 우려낼 시 신속하고 완전하게 용해되며,
또한 카스카라 가용성 성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충분한 추출효과를 낼 수 있으며, 여과포에 포장 시에도 종래의 카스카라원물보다 적은 양을 충전하여 포장할 수 있으므로 이에 다른 원료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 등의 원료를 적정량 혼합할 수 있어 카스카라의 유효성분의 보강 및 향미 등을 충분히 살려 기호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가공되어 수지취, 이취 등 기호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방향성분들이 휘산되므로 종래의 카스카라원물보다 유효성 면에서 더욱 상승효과를 나타내고 기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각광받을 수 있고 누구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카스카라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추출분말을 유동층 조립기에서 결착제를 이용하여 과립화함으로써 다른 원료와 균일하게 잘 혼합할 수 있고 이를 여과포에 포장한 경우에도 여과포 밖으로 잘 새어나오지 않으므로 깔끔하게 차를 음미할 수 있다.

Claims (5)

  1. 카스카라사그라다를 물이나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카스카라사그라다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화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과,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의 원료군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여과포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스카라사그라다를 물이나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1차 및 2차로 추출하여 이를 혼합하여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액을 감압진공농축기로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카스카라사그라다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화된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10~80중량%와, 동규엽 10~30중량%, 녹차 10~30중량%, 결명자 10~30중량%, 둥굴레 10~30중량%, 현미 10~30중량%의 원료군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여과포에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에서 얻어진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유동층 조립기에 넣어 결착제로서 과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는 덱스트린 30~50중량%수용액(w/w), 젤라틴 5~15중량%수용액(w/w), 아라빅검 10~30중량%수용액(w/w)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카스카라사그라다를 30~60%로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농축액을 동규엽, 녹차, 결명자, 둥굴레, 현미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물 에 대하여 20~40중량%를 분무하여 수분함량 10%이하로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20000057945A 2000-10-02 2000-10-02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KR20010073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45A KR20010073975A (ko) 2000-10-02 2000-10-02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45A KR20010073975A (ko) 2000-10-02 2000-10-02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975A true KR20010073975A (ko) 2001-08-04

Family

ID=1969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945A KR20010073975A (ko) 2000-10-02 2000-10-02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97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820B1 (ko) * 2001-11-30 2003-12-24 이도훈 다기능 다이어트용 빵
KR100443444B1 (ko) * 2002-03-04 2004-08-09 주식회사 동서 카스카라사그라다 인스턴트제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84428B1 (ko) * 2001-04-13 2005-04-22 (주)주신알앤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KR100584153B1 (ko) * 2002-07-25 2006-05-29 서울향료(주) 생약소재에 의한 변비 개선용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WO2006085710A1 (en) * 2005-02-11 2006-08-17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the granular green tea powder
ITRM20120297A1 (it) * 2012-06-26 2013-12-27 Aboca Spa Societa Agricola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 granulato di estratti vegetali e granulato così ottenuto.
CN103960421A (zh) * 2014-05-16 2014-08-06 葛强 一种中药养生茶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720A (en) * 1980-03-14 1981-10-08 Tanpei Seiyaku Kk Cathartic composition
KR960010608A (ko) * 1994-09-12 1996-04-20 프리돌린 클라우스너·롤란드 보러 광중합성 액정
KR0180452B1 (ko) * 1996-11-26 1999-10-01 이능희 변비 및 변취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 영양 조성물
KR19990084271A (ko) * 1998-05-02 1999-12-06 서경배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720A (en) * 1980-03-14 1981-10-08 Tanpei Seiyaku Kk Cathartic composition
KR960010608A (ko) * 1994-09-12 1996-04-20 프리돌린 클라우스너·롤란드 보러 광중합성 액정
KR0180452B1 (ko) * 1996-11-26 1999-10-01 이능희 변비 및 변취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 영양 조성물
KR19990084271A (ko) * 1998-05-02 1999-12-06 서경배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28B1 (ko) * 2001-04-13 2005-04-22 (주)주신알앤디 변비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KR100411820B1 (ko) * 2001-11-30 2003-12-24 이도훈 다기능 다이어트용 빵
KR100443444B1 (ko) * 2002-03-04 2004-08-09 주식회사 동서 카스카라사그라다 인스턴트제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153B1 (ko) * 2002-07-25 2006-05-29 서울향료(주) 생약소재에 의한 변비 개선용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WO2006085710A1 (en) * 2005-02-11 2006-08-17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the granular green tea powder
ITRM20120297A1 (it) * 2012-06-26 2013-12-27 Aboca Spa Societa Agricola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 granulato di estratti vegetali e granulato così ottenuto.
CN103960421A (zh) * 2014-05-16 2014-08-06 葛强 一种中药养生茶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3090A (zh) 一种罗汉果益生元菊花茶速溶饮品及其制备方法
KR100758552B1 (ko)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CN105876009A (zh) 一种化橘神茶及其制备工艺
US20110117263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070000573A (ko) 혈당저하 및 변비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9329508A (zh) 一种柑普姜茶的制备方法
CN109170024A (zh) 一种小青柑绿茶的制备方法
CN104336207A (zh) 一种艾叶甜茶及其制备方法
KR20010073975A (ko)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제조방법
JPH0838124A (ja) 龍眼肉を含有する薬草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0005B1 (ko) 한방 성분이 함유된 인스턴트 커피 제조방법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94840A (zh) 一种铁皮石斛降压保健茶及其制作方法
KR20140018160A (ko)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4221A (ko) 순간발포(瞬間發泡)에 의한 달콤한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0429984C (zh) 一种人参泡茶的制备方法
CN103704409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05851312A (zh) 一种海芙蓉饮品及其加工工艺
KR100481018B1 (ko) 오리지육, 한약재, 배 및 찹쌀을 이용한 오리 증탕액의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리 증탕액
CN109221834A (zh) 一种烘烤红枣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431670A (zh) 一种红枣苹果酱及其制备方法
KR102485019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24995A (zh) 一种具有减肥和润肠通便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