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375A - 엔진의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375A
KR20020079375A KR1020020008620A KR20020008620A KR20020079375A KR 20020079375 A KR20020079375 A KR 20020079375A KR 1020020008620 A KR1020020008620 A KR 1020020008620A KR 20020008620 A KR20020008620 A KR 20020008620A KR 20020079375 A KR20020079375 A KR 2002007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crankcase
pump
oi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021B1 (ko
Inventor
시노다아키히사
모리야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07Other engines having vertical crank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크랭크케이스(2)내의 저부를 오일류조(溜槽)(30)로 형성하고, 크랭크축(1)에서 전동장치(傳動裝置)(33)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오일슬링거(oil slinger)(31)의 일부를 오일류조(30)의 오일중에 침지한 엔진의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33)에 따라 구동되는 오일펌프(32)를 오일류조(30)의 오일중에 침지하고, 이 오일펌프(32)의 토출포트(50)를 크랭크축(1)내의 윤활유로(油路)(66)에 연통한다. 이렇게 하여, 비산식 윤활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강제식 윤활장치를 병용(倂用)하면서, 오일펌프의 작은 용량화와 구동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전체의 가격이 비싸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엔진의 윤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윤활장치{ENGINE LUBR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내의 저부를 오일류조(溜槽)로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전동장치(傳動裝置)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오일슬링거의 일부를 상기 오일류조의 오일중에 침지하여, 이 오일슬링거의 회전에 따라 생성되는 비산(飛散)오일로 엔진내부를 윤활하도록 한 엔진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오일슬링거에 의한 비산식 윤활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62-34108호 공보에 의하여 공지이며, 또 오일펌프를 사용하여, 오일류조로부터 흡입한 오일을 크랭크축 둘레나 작동밸브기구등, 엔진의 모든 윤활부에 압송하는 강제식 윤활장치도,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772794호 공보에 의하여 공지이다.
그런데, 비산식 윤활장치는, 구조가 간소하여 비교적 저렴하게 얻을 수 있지만, 오일슬링거는, 이것을 구동하는 전동장치를 크랭크축에 연결하는 관계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오일류조의 중심부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 때문에 엔진의 경사진 상태에서의 운전에 있어서도, 오일슬링거가 액면상에 노출하지 않도록, 오일류조의 저류(貯留)오일량을 충분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렇게 하면, 통상 수평상태에서의 운전시에는, 오일슬링거의 오일중에서의 침지량이 과다하게 되어서, 오일의 교반저항에 따른 동력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 강제식 윤활장치에서는, 엔진의 운전자세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일펌프의 토출오일을 엔진의 모든 윤활부에 공급할 수 있지만, 엔진의 모든 윤활부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는 필연적으로 큰 용량으로 구성할 수 없고, 또 가격이 비싸게 됨을 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비산식 윤활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그 결점을 보충하여야 할 강제식 윤활장치를 병용하며, 그 때, 오일펌프의 작은 용량화와 구동계의 간소화를 도모하여, 전체의 가격이 비싸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 엔진의 윤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윤활장치를 구비한 수직형 엔진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내의 저부를 오일류조로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전동장치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오일슬링거의 일부를 상기 오일류조의 오일중에 침지하고, 이 오일슬링거의 회전에 따라 생성되는 비산오일로 엔진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한 엔진의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에 따라 구동되는 오일펌프를 상기 오일류조의 오일중에 침지하여, 이 오일펌프의 토출포트를 상기 크랭크축내의 윤활유로에 연통(連通)한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이 제1특징에 의하면, 엔진의 경사상태에서의 운전에 의하여, 만일 오일슬링거의 오일중으로의 침지량이 극단적으로 감소하여 비산오일이 작게 되어도, 오일류조의 오일중에 완전히 침지된 오일펌프가, 그 작동에 따라 크랭크축에 오일공급을 계속하므로서, 크랭크축의 크게 되는 부하를 받는 부분을 여전히 강제적으로 윤활시켜 엔진의 운전을 지장없이 계속한다. 따라서, 오일류조의 저류오일량을 엔진의 경사 자세를 고려하지 않고, 극력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오일슬링거의 교반저항에 의한 동력손실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오일펌프는, 크랭크축 둘레의 윤활만을 공급하게 되므로서, 비교적 작은 용량의 것으로 끝내며, 또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오일펌프의 구동에는, 오일슬링거를 구동하는 전동장치가 이용되므로서, 전용(專用)의 전동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제윤활의 병용(倂用)에 의해도, 그것에 의한 가격이 비싸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특징에 더해서, 상기 크랭크케이스에 오일필터를 장착하여, 이 오일필터의 미정화실에 연결되는 크랭크케이스의 입구포트와 상기 오일펌프의 토출포트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1오일파이프와, 상기 오일필터의 정화실에 연결되는 크랭크케이스의 출구포트와 상기 윤활유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2오일파이프를 상기 크랭크케이스내에 배설한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이 제2특징에 의하면, 제1, 제2오일파이프 및 그것들의 접속부에서 오일누설이 있어도, 그것을 직접 오일류조로 되돌아가게 해서, 외부로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제1특징에 더해서, 엔진의 운전중, 상기 오일펌프의 토츨포트에 연결되는 유로에, 이 오일펌프의 토출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유압센서를 접속하는 한편, 상기 오일펌프의 흡입포트의 측벽에 상기 오일류조의 액면이 소정의 경보레벨 이하로 되면, 그 액면상으로 노출하는 누설(漏泄)구멍을 마련한 것을 제3특징으로 한다.
이 제3특징에 의하면, 오일류조의 액면이 경보레벨 이하로 저하한 경우, 오일펌프는, 그 흡입포트에 연통하는 누설구멍을 오일류조의 액면상에 노출시키므로서, 누설구멍에서 크랭크케이스내의 공기를 흡입하므로서, 토출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며, 이것을 검지한 유압센서가 경보기를 작동하여, 오일류조에 오일을 보급하여야 할 것을 작업자에게 감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제3특징에 더해서, 상기 오일슬링거를, 그 하단이 상기누설구멍 보다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제4특징으로 한다.
이 제4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보상태에서도, 오일슬링거는 여전히 비산오일을 생성하여, 비산윤활을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타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하에 상술하는 호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명백히 된다.
[호적한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있어서, 수직형 엔진(E)은, 종으로 설치한 크랭크축(1)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2)와, 그 측벽에서 V자 형상으로 뻗는 좌우 한쌍의 뱅크(bank)(Ba, Bb)를 구비한다. 크랭크케이스(2)는 하면을 개방한 크랭크케이스본체(2a)와, 이 크랭크케이스본체(2a)의 하단에 볼트(3)로 결합되는 뚜껑본체(2b)로부터 이루어지며, 크랭크축(1)의 상부 및 하부저널(journal)(1j, 1j')은 크랭크케이스본체(2a)의 상벽(上壁)에 장착된 볼베어링(4)과, 뚜껑본체(2b)에 형성된 베어링보스(6)로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볼베어링(4)의 외측에는 오일시일(6)이, 또 베어링보스(5)의 내주면 외측부에 오일시일(7)이 각각 배설된다.
뚜껑본체(2b)에는 각종 작업기의 프레임에 굳게 붙이는 브래킷(8)이 일체로 형성되고, 뚜껑본체(2b)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축(1)의 하단부는 가종 작업기를 구동하는 출력부로 되어 있다. 또 크랭크축(1)의 상단부에는 발전기(10)의 로터(10r)가 냉각팬(11)과 동시에 굳게 부착되고, 발전기(10)의 스테이터(10s)는 크랭크케이스본체(2a)의 상단면에 설치된다.
각 뱅크(Ba, Bb)는 크랭크케이스(2)의 측벽에 볼트(12)로 결합된다. 헤드부(13)를 일체로 구비한 실린더블록(14)과, 그 헤드부(13)의 단면에 결합되는 헤드커버(15)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실린더블록(14)의 실린더보어(14a)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서 장치되는 피스톤(16)은 연결봉(17)을 개재하여 크랭크축(1)의 크랭크핀(1p)에 서로 이어진다.
각 헤드부(13)에는 흡기밸브(20) 및 배기밸브(21)가 마련되며, 이것들을 개폐하는 작동밸브기구(22)가, 헤드부(13) 및 헤드커버(15) 사이의 작동밸브실(23)에 배설된다. 작동밸브기구(22)를 구비한 캠축(24)은 크랭크축(1)과 평행되게 하여, 대응하는 헤드부(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크랭크케이스(2)내에 있어서, 크랭크축(1)의 하부에는 상하 한쌍의 구동타이밍풀리(25, 25)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 좌우의 뱅크(Ba, Bb)의 각 작동밸브실(23)에 있어서는, 캠축(24)의 하부에 종동(從動)타이밍풀리(26)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좌우의 종동풀리(26, 26) 및 상하의 구동타이밍풀리(25, 25)의 각 사이에 타이밍벨트(27, 27)를 각각 감기게 걸었다. 이것들 타이밍벨트(27, 27)는 대응하는 뱅크(Ba, Bb)의 하부측벽에 형성되어 크랭크케이스(2)내 및 작동밸브실(23) 사이를 연통(連通)하는 벨트통로(28)를 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E)의 윤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2)내의 저부를 오일류조(溜槽)(30)로 형성한다. 이 오일류조(30)에 저류되는 윤활오일(0)에는 축선(軸線)을 횡으로 마련한 오일슬링거(31a)의 일부가 침지되고, 또 축선을 종으로 마련한 오일펌프(32)가 전체적으로 침지된다. 이것들 오일슬링거(31) 및 오일펌프(32)는 공통의 전동장치(33)를 개재하여 크랭크축(1)으로부터 구동된다. 그 전동장치(33)는 상기 한쌍의 구동타이밍풀리(25, 25) 사이에서 크랭크축(1)에굳게 붙인 구동기어(34)와, 이 구동기어(34)에 맞물리는 피동(被動)기어(35)로 구성되며, 이 구동기어(35)의 중심부에 오일펌프(32)의 펌프구동축(42)이 굳게 붙여지고, 또 그 피동기어(35)에는 오일슬링거(3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슬링거기어(39)가 맞물린다.
오일펌프(32)는 뚜껑본체(2b)에 형성된 오일류조(30)의 저면 보다 1단 높고 수평한 펌프부착면(36)에 볼트(37)로서 결합된 펌프하우징(38)과, 이 펌프하우징(38)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아우터로터(40)와, 이 아우터로터(40)의 내치(內齒)에 외치(外齒)를 맞물리게 하는 인너로터(41)에 의하여 트로코이드(trochoid)형으로 구성되며, 그 인너로터(41)에 연결되는 펌프구동축(42)의 상단이 상기 피동기어(35)에 코킹(caulking)형 결합된다. 이 펌프구동축(42)는 펌프하우징(38)의 상벽(上壁)에 일체로 형성된 종방향보스(43)에 따라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종방향보스(43)의 측벽에는 횡방향보스(44)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것에 따라서 오일슬링거(31)의 중심부에 결합된 지축(支軸)(45)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도 1, 도 4 및 도 6에 있어서, 펌프하우징(38)에 형성된 흡입포트(46)의 입구(46a)는 오일류조(30)의 저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그 입구(46a)에는 상기 펌프부착면(36) 및 펌프하우징(38) 사이에 끼워둔 펀칭판(punching板)으로 된 오일여과기(strainer)(47)가 배설된다. 또 오일류조(30)의 저면에는 상기 입구(46a)를 포위하는 리브(48)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 리브(48)에 노치(49)를 마련하고, 오일류조(30)의 오일(0)은 이 노치(49)를 통하여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포트(46)의 측벽에는 그 내외를 연통하는 누설구멍(53)이 천설(穿設)된다. 이 누설구멍(53)은 오일류조(30)의 액면이 소정의 경보레벨(Lc) 이하로 되면, 그 액면상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오일슬링거(31)는 그 하단이 상기 레벨(Lc), 즉 누설구멍(53) 보다도 소정거리(e)의 하방에 오도록 배치된다.
펌프하우징(38)에 형성된 토출포트(50)에는 제1오일파이프(51)의 일단부가 시일부재(55)를 개재하여 끼워서 장치된다. 또 펌프하우징(38)에는 토출포트(50)의 압력이 과도하게 되면 밸브가 열려서, 그 과잉압력을 크랭크케이스(2)내에서 해방하는 리리프밸브(63)(도 4)가 장착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일필터(56)가 장착된 크랭크케이스본체(2a)의 측벽에는 오일필터(56)의 미정화실(57) 및 정화실(58)에 각각 연결된 입구포트(59) 및 출구포트(60)가 마련되며, 그 입구포트(59)에 상기 제1오일파이프(51)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또 출구포트(60)에는 제2오일파이프(52)의 일단부가 접속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베어링보스(5)에 형성된 유로(油路)입구(61)에 시일부재(55')를 개재하여 끼워서 장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오일파이프(51, 52), 그리고 그것들의 접속부는, 크랭크케이스(2)내에 배치된다. 제2오일파이프(52)는 크랭크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는, 뚜껑본체(2b)에 굳게 붙여진 지지편(62)에 따라서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보스(5)에 지지되는 크랭크축(1)의 하부저널(journal)(1j')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입구(61)에 연통할 수 있는 초생달형상의 윤활유홈(65)이 형성되고, 또 크랭크축(1)에는 유로입구(61)로부터 크랭크핀(1p)의 외주면에 도달하는윤활유로(66)가 천설된다.
크랭크케이스본체(2a)에는, 또 상기 출구포트(60)에 연통하는 유압검지구멍(67)이 마련되며, 이 유압검지구멍(67)에 수압부(受壓部)를 대면하는 유압센서(68)가 크랭크케이스본체(2a)에 장착된다. 이 유압센서(68)는 그 출력단자를 경보등이나 버저등으로 된 경보기(69)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오일펌프(32)의 토출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저하하였을 때 그것을 겸지하여, 상기 경보기(69)를 작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축(45)의 선단은 오일슬링거(31)의 외측면 보다 돌출하고 있으며, 그 돌출단부에 원심조속기(71)가 부착되며, 누설기구(70)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스로틀밸브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 중, La 및 Lb는 오일게이지로 지시되는 오일류조(30)의 액면의 상한(上限) 및 하한레벨을 표시한다.
다음에 이 실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엔진(E)의 운전중, 크랭크축(1)의 회전이 구동기어(34)로부터 피동기어(35)가 구동되면, 그 피동기어(35)가 오일슬링거(31)를 직접 구동함과 동시에 펌프구동축(42)을 개재하여 오일펌프(32)의 인너로터(41)를 구동한다. 그리고, 오일슬링거(31)의 회전에 의하면ㅡ 오일류조(30)의 오일(0)이 비산되며, 이 비산오일이 크랭크케이스(2)내만이 아니라, 벨트통로(28) 및 작동밸브실(23)에 날려서 엔진(E)내의 각 부분을 윤활한다. 즉 비산윤활이 행하여진다.
또 오일펌프 인너로터(41)의 회전에 의하면, 아우터로터(40)의 협동에 의하여 흡입포트(46)로부터 흡입한 오일류조(30)의 오일을 토출포트(50)로부터 제1오일파이프(51)로 토출한다. 따라서 그 오일은 오일필터(56)에 압송되어 정화된 다음, 제2오일파이프(52)를 통하여 유로입구(61)로부터 윤활유홈(65) 및 윤활유로(66)로 압송되므로서, 크랭크축(1)의 하부저널(1j') 및 크랭크핀(1p)만을 강제적으로 윤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E)의 경사상태에서의 운전에 의하여, 만일 오일슬링거(31)의 오일(0)중으로의 침지량이 감소하여 비산오일의 생성량이 감소하여도, 오일류조(30)의 오일(0)중에 완전히 침지한 오일펌프(32)는 그 작동에 따라 크랭크축(1)의 윤활유홈(65) 및 윤활유로(66)에 오일의 공급을 계속하므로서, 특히, 크게되는 부하를 받는 하부저널(1j') 및 크랭크핀(1p) 둘레를 여전히 강제적으로 윤활할 수 있고, 엔진(E)의 운전을 지장없이 계속한다. 이것은, 오일류조(30)의 저류오일량을 엔진(E)의 경사진 자세를 고려함이 없이, 극력 작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에 따라서 오일슬링거(31)의 교반저항에 의한 동력손실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오일류조(30)의 오일(0)은 엔진(E)의 운전중에 아주 작게 소비되는 것이므로, 장기간 중에는 오일류조(30)의 액면이 하한레벨(Lb) 보다 하방의 경보레벨(Lc) 이하로 저하하는 일이 있다. 그렇게 하면 오일펌프(32)는 그 흡입포트(46)에 연통하는 누설구멍(53)을 오일류조(30)의 액면상에 노출하게 되므로서, 누설구멍(53)에서 크랭크케이스(2)내의 공기를 빨아들이므로서, 펌프효율이 저하하여 토출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며, 이것을 감지한 유압센서(68)가 경보기(69)를 작동하여, 오일류조(30)에 오일을 보급하여야 할 것을 작업자에게 감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오일펌프(32)의 펌프효율의 저하에 따라 크랭크축(1)으로의 공급오일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되지만, 크랭크축(1)의 강제윤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게다가 오일슬링거(31)의 하단은 누설구멍(53) 보다 소정거리(e)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오일슬링거(31)는 다소라도 비산오일을 생성을 계속하여, 비산윤활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도 엔진(E)의 단시간내의 운전이 가능하다.
그런데, 오일펌프(32)는 크랭크축(1)의 하부저널(1j') 및 크랭크핀(1p) 둘레의 윤활만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비교적 작은 용량의 것으로 끝내며, 또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오일펌프(32)의 구동에는 오일슬링거(31)를 구동하는 전동장치(33)가 이용되므로서, 전용의 전동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제윤활의 병용(倂用)에 의해서도, 그것에 의한 가격이 비싸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오일펌프(32)로부터 오일필터(56)로 오일을 유도하는 제1오일파이프(51) 및 오일필터(56)로부터 크랭크축(1)으로 오일을 유도하는 제2오일파이프(52), 및 이것들의 접속부는 모두 크랭크케이스(2)내에 배치하게 되므로, 제1, 제2오일파이프(51, 52) 및 그것들의 접속부에서 오일누설이 있어도, 그것은 바로 오일류조(30)에 되돌아오며, 외부로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오일펌프(32)의 오일여과기(47)로 덮은 흡입포트(46)의 입구(46a)는 오일류조(30)의 저면에서 일정거리를 올라가 있으며, 게다가 리브(48)로 포위되어 있으므로, 오일류조(30)의 저부에 괴이는 이물질의 빨아들임을 방지하면서, 오일여과기(47)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크랭크축(1)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2)내의 저부를 오일류조(30)로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축(1)으로부터 전동장치(33)를 개재하여 구동시키는 오일슬링거(31)의 일부를 상기 오일류조(30)의 오일중에 침지하여, 이 오일슬링거(31)의 회전에 따라 생성되는 비산오일로서 엔진(E) 내부를 윤활하도록 한, 엔진(E)의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33)에 따라 구동되는 오일펌프(32)를 상기 오일류조(30)의 오일중에 침지하고, 이 오일펌프(32)의 토출포트(50)를 상기 크랭크축(1)내의 윤활유로(66)에 연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케이스(2)에 오일필터(56)를 장착하고, 이 오일필터(56)의 미정화실(57)에 연결되는 크랭크케이스(2)의 입구포트(59)와 상기 오일펌프(32)의 토출포트(50)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1오일파이프(51)와, 상기 오일필터(56)의 정화실(58)에 연결되는 크랭크케이스(2)의 토출포트(60)와 상기 윤활유로(66)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2오일파이프(52)를 상기 크랭크(2)내의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엔지(E)의 운전중, 상기 오일펌프(32)의 토출파이프(50)에 연결되는 유로에 해당 오일펌프(32)의 토출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경보신호를발생하는 유압센서(68)를 접속하는 한편, 상기 오일펌프(32)의 흡입포트(46)의 측벽에, 상기 오일류조(30)의 액면이 소정의 경보레벨 이하로 되면, 그 액면상에 노출하는 누설구멍(53)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슬링거(31)를, 그 하단이 상기 누설구멍(53)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일파이프(52)는 굴곡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는, 상기 크랭크케이스(2)에 굳게 붙여진 지지편(62)에 따라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트(46)의 입구(46a)는 상기 오일류조(30)의 저면을 향하여 개구함과 동시에, 오일여과기(4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조(30)의 저면에는 노치(40)를 가진 리브(48)가 상기 흡입포트(46)의 상기 입구(46a)를 포위하도록 돌설되고, 상기 오일류조(30)의 오일(0)이, 이 노치(49)를 통해서 흡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32)는 상기 토출포트(50)의 압력이 과도하게 되면 밸브가 열리며, 그 과잉압력을 크랭크케이스(2)내를 해방하는 리리프밸브(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KR10-2002-0008620A 2001-02-20 2002-02-19 엔진의 윤활장치 KR100407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3176 2001-02-20
JP2001043176A JP3901462B2 (ja) 2001-02-20 2001-02-20 エンジンの潤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75A true KR20020079375A (ko) 2002-10-19
KR100407021B1 KR100407021B1 (ko) 2003-11-28

Family

ID=1890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620A KR100407021B1 (ko) 2001-02-20 2002-02-19 엔진의 윤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81737B2 (ko)
EP (1) EP1233153B1 (ko)
JP (1) JP3901462B2 (ko)
KR (1) KR100407021B1 (ko)
CN (1) CN1204333C (ko)
DE (1) DE60213296T2 (ko)
TW (1) TW515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485B2 (ja) * 2000-09-08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DE602004029964D1 (de) * 2003-06-30 2010-12-23 Brp Powertrain Gmbh & Co Kg Schmierungsölzufuhr für eine Kurbelwelle
US20050281693A1 (en) * 2004-06-17 2005-12-22 Roberts Freddie R Machine for drawing fluid from a sump for circulation
CN100393989C (zh) * 2004-06-18 2008-06-11 李新苍 四行程引擎的润滑装置
CN101713419B (zh) * 2009-11-24 2012-06-20 江苏大学 一种高温泵轴承体抛油接油冷却装置
JP2013104357A (ja) * 2011-11-14 2013-05-30 Makita Corp 4ストローク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5982935B2 (ja) * 2012-03-27 2016-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207725B2 (ja) * 2014-04-25 2017-10-04 ヤマハモーターパワ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エンジン
US10323552B2 (en) 2015-08-14 2019-06-18 Kohler Co.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oil treatment apparatus for use with the same
CN111946419B (zh) * 2020-07-21 2022-02-1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发动机机油压力传感器的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995A (en) * 1980-07-12 1982-02-06 Sanshin Ind Co Ltd Outboard engine
US4576126A (en) * 1982-09-15 1986-03-18 Ancheta Antonio D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99098A (en) 1984-02-13 1986-07-08 Lightwave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6320803Y2 (ko) * 1984-10-05 1988-06-09
US4622935A (en) * 1985-11-13 1986-11-18 Briggs & Stratton Corp. Low level lubricating oil detector
JP2729646B2 (ja) 1989-01-27 1998-03-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バーチカル型エンジンの潤滑装置
US4984544A (en) * 1989-11-29 1991-01-15 Debiasse Richard L Lubricating means for pin connected relatively rotatable engine part and method of lubrication
US5094201A (en) * 1990-04-27 1992-03-10 K.J. Manufacturing Co. Main gallery-filter connection
JPH0579314A (ja) 1991-09-18 1993-03-3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H0734842A (ja) * 1993-07-26 1995-02-03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エアブリーザ構造
JP3172103B2 (ja) 1996-10-29 2001-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機構潤滑装置
JPH10246106A (ja) 1997-03-03 1998-09-14 Kioritz Corp 4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US6161515A (en) * 1998-07-29 2000-12-19 Borgwarner Inc.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ressure of an engine oil pump
US6041752A (en) * 1998-11-04 2000-03-28 Technology Holdings, Inc. Moldable integrated oil pan and suction tub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020713A (ja) 1999-07-07 2001-01-23 Yamaha Motor Co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方法および潤滑構造
DE60019384T2 (de) 1999-10-15 2005-09-22 Honda Giken Kogyo K.K. Brennkraftmaschine mit obenliegenden Nockenwellen und in V-2 Bau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42634A (ja) 2002-08-28
KR100407021B1 (ko) 2003-11-28
DE60213296D1 (de) 2006-09-07
JP3901462B2 (ja) 2007-04-04
CN1204333C (zh) 2005-06-01
US20020121261A1 (en) 2002-09-05
EP1233153A1 (en) 2002-08-21
DE60213296T2 (de) 2007-07-26
EP1233153B1 (en) 2006-07-26
TW515865B (en) 2003-01-01
US6681737B2 (en) 2004-01-27
CN1372070A (zh)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657B2 (en) Lubricating system of engine
US6047667A (en) Motorcycle camshaft support plate
US6116205A (en) Motorcycle lubrication system
KR100407021B1 (ko) 엔진의 윤활장치
JP4063975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構造
CN201237072Y (zh) 机油泵
US5309878A (en) Pulsed pressure lubrication system for an overhead valve engine
US4911119A (en) Oil pump moun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4573823B2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H0123644B2 (ko)
US8424647B2 (en) Lubrication system for outboard motor
JP4296615B2 (ja) エンジンバランサの潤滑構造
JP4573824B2 (ja) バーチカル型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779695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オイル供給装置
KR20020021060A (ko) 엔진의 오일 펌프 구조
JP2680781B2 (ja) 立軸型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S6040806Y2 (ja) 内燃機関用潤滑装置
JPH0245457Y2 (ko)
JPH0452476Y2 (ko)
CN217380678U (zh) 一种发动机平衡轴润滑系统及汽车
JP2537737Y2 (ja) 多気筒エンジン用潤滑装置
JPH08270562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4243872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
JPH04292514A (ja) エンジンのオイル戻り構造
JPH11257041A (ja) 携帯型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カム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