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138A - 구조화 미립자계 - Google Patents

구조화 미립자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138A
KR20020076138A KR1020020016011A KR20020016011A KR20020076138A KR 20020076138 A KR20020076138 A KR 20020076138A KR 1020020016011 A KR1020020016011 A KR 1020020016011A KR 20020016011 A KR20020016011 A KR 20020016011A KR 20020076138 A KR20020076138 A KR 2002007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ed
particulate system
structured particulate
active
organic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릭 윌리엄 케인
게랄드 패트릭 맥네일
톰 텅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7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4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nfectio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매트릭스 중에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을 1:99 내지 99: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올레아노산, 우르솔산, 엽산, 폴리코사놀, 피토스테롤, 콩단백질 단리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입자의 평균 중량 직경이 25 내지 1500 마이크론 범위인 구조화 미립자계는 신규하고, 식품 중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경구 특성 및(또는) 균질성을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화 미립자계{Structured Particulate Systems}
최근, 식품, 특히 건강 식품 중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용도는 잘 알려져 있다. 이용되는 활성 유기 성분의 예로는 예를 들어 엽산, 우르솔산, 피토스테롤, 올레아놀산 및 폴리코사놀 또는 그들의 유도체 또는 염이 있다. 이들 성분들은 용매에 용해된 후 소립자 (예, 입도 2 내지 250 마이크론)로서 또는 용액으로서 식품에 첨가된다. 이들 전달 형태는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소립자로서 첨가하면 경구 감촉과 관련한 문제 및 성분들의 생활성과 관련한 문제가 야기되고, 식품의 균질성 또한 식품 중 성분들의 한정된 분산성으로 인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용매 중 용액 형태의 전달 또한 경구 감촉 및 생활성과 관련한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이러한 전달 형태에서는 식품 중에 용매를 혼입시키는데, 이 용매는 식품 등급이어야 하고, 혼입할 필요가 있는 성분의 유형에 따라 항상 쉽게 유용한 것은 아니며, 용매는 또한 식품의 저작 느낌에 쉽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용매가 존재함으로써 식품 중 활성 성분의 양이 희석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고, 그 결과 활성 유기 고체 성분에 대한 신규 전달 형태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으로 매트릭스 중에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을 1:99 내지 99:1,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85:15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올레아노산, 우르솔산, 엽산, 폴리코사놀, 피토스테롤, 콩단백질 단리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 또는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성분들로부터 선택되고, 입자의 평균 중량 직경이 25 내지 1500 마이크론 범위인 신규 구조화 미립자계에 관한 것이다.
활성 성분은 매트릭스에 완전히 혼입되고, 미립자계 중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입도는 구조화 미립자계 제조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이들 성분의 입도와 대략 동일할 것이다. 매트릭스는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이 거기에 혼입된다. 평균 중량 직경으로 표현한 미립자계의 입도는 그를 구성하는 개별 성분의 입도보다 크며, 본 발명자들은 또한 활성 유기 성분들에 비해 이들 미립자계의 생활성 및 분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경구 특성 또한 개선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미립자계의 최상 성능은, 미립자계의 성긴 벌크 밀도 (loose bulk density)가 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ℓ일 때 관찰되었다. 성긴 벌크 밀도는 체를 통해 눈금 실리더로 통과시켜 공지된 질량의 분말 샘플의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한다. 이 절차는 문헌 [USP < 616 < Bulk Densityand Tapped Density]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미립자계의 입자의 평균 중량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 마이크론, 특히 60 내지 300 마이크론 범위이다.
활성 유기 고체 성분과 매트릭스 사이의 중량비는 광범위한 범위내에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최상의 결과는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 특히 40:60 내지 60:40 범위인 경우에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출발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입도는 2 내지 275 마이크론일 수 있고, 그 결과 전체 구조화 미립자계 내에서 2 내지 27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0 마이크론의 이산 입도를 나타낸다.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영양학적 활성 성분, 특히 식품의 경구 특성 또는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생활성 또는 식품 중 활성 성분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영양학적 활성 성분이다.
매트릭스는 식용인 한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폴리사카라이드, 개질 폴리사카라이드, 당, 검, 증점제, 안정제, 시럽, 밀가루, 전분, 덱스트로즈, 말토덱스트린 및 셀룰로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매트릭스 입자의 입도는 1 내지 350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마이크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또한 식품을 기준으로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본 발명의구조화 미립자계를 식품에 혼입시킴으로써, 식품 중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경구 특성 및(또는) 균질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식품은 마가린, 스프레드, 구운 제품, 추출 제품, 과자, 아이스크림 및 낙농 제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미립자계는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양은 상이한 활성 유기 성분 및 상이한 식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범위일 것이다. 식품의 정상 1일 섭취량을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함으로써 활성 유기 성분의 1일 권장 섭취량의 10 내지 100%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측면으로, 본 발명은 또한
(i)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을 매트릭스와 혼합하여 균질 분말을 얻는 단계,
(ii) 얻은 분말의 일부에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첨가하여 매트릭스를 용해시켜 활성 성분의 수현탁액을 얻는 단계,
(iii) 단계 (i)로부터 생성된 분말의 일부를 유동 층의 팽창 챔버에서 현탁시키는 단계,
(iv) (ii)로부터 생성된 현탁액을 팽창 챔버에서 단계 (iii)의 현탁된 분말 상에 분무하고, 가열 수단,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급속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화 미립자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
엽산, 영양학적 활성 미립자 성분
엽산을 활성 성분으로 사용하였다. 평균 중량 직경이 246 마이크론이고, 성긴 벌크 밀도가 0.2 g/cc였다. 평균 중량 직경은 체에서의 중량 분율을 체의 구멍 크기 (마이크론)와 곱하고 모든 체 크기에 대해 이들을 합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실시예 I
유동 층 상에서 구조화 미립자 엽산을 제조하는 절차
구조화 미립자 중 엽산 함량이 각각 25% 및 50%인 제제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성분 25% 제제 50% 제제
생성물 용기
6X 분말 당 50% 30 ㎏ 34% 20.4 ㎏
엽산 26.5% 15.9 ㎏ 53% 31.8 ㎏
덱스트로즈 21.7% 13.02 ㎏ 11.2% 6.72 ㎏
미결정질 셀룰로즈 0.6% 0.36 ㎏ 0.6% 0.36 ㎏
분무 용액
말토덱스트린 M-100 0.6% 0.36 ㎏ 0.6% 0.36 ㎏
덱스트로즈 0.6% 0.36 ㎏ 0.6% 0.36 ㎏
12 ㎏ 12 ㎏
I. 예비 가공:
A. 원료 성분들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칭량하였다.
B. 분무 용액 성분들을 균질해질 때까지 온수 (20-40℃)와 혼합하였다.
II. 가공:
A. 6X 분말 당 30 ㎏, 엽산 15.9 ㎏, 덱스트로즈 13.02 ㎏ 및 미결정질 셀룰로즈 0.36 ㎏을 유동 층 상의 생성물 용기에 넣었다.
B. 하기 가공 조건을 제어판에 설정하였다.
(a) 노즐 높이중간 범위
(b) 노즐구1.8 mm
(c) 입구 공기 온도98-100℃
(d) 출구 공기 온도40-42℃
(e) 분무 공기 온도주위 온도
(f) 분무 공기 압력3.75 bar
(g) 작동 공기 부피최상의 유동 수준으로 조정
(h) 분무 속도250 g/분
(i) 습도중간
C. 작동 공기 부피가 최상의 유동 수준이 될 때까지 입구 공기 플랩을 조정하였다.
D. 출구 공기 온도가 38-40℃에 도달할 때까지 분말을 유동시켰다. 분무 용액 분무선을 유동 층에 연결하고, 250 g/분의 분무 속도로 분무를 개시하였다.
E. 분무를 완료한 후, 탱크에 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분무 속도로 3분 동안 계속 분무하였다.
후속 분무 가공:
A. 생성물을 48℃의 출구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B. 샘플은 건조시 손실이 일어났다. 규격은 최대 2.5%이다. 수분이 규격을 충족시킬 때 유동 층을 정지시켰다.
C. 입도를 US#20, 40, 60, 100, 200 & 팬 상에서 측정하였다.
D. 생성물을 US#20 체 상에서 체질하여 큰 미립자를 제거하였다. 큰 물질은 분쇄하여 최종 생성물에 다시 첨가하였다.
E. 최종 생성물에 대해 입도, 건조시 손실률, 성긴 벌크 밀도 및 엽산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주의: 동일한 작동 절차를 50% 제제에도 이용하였다.
최종 생성물 규격
25% 제제 50% 제제
엽산%2550
건조시 손실률2.5% 최대2.5% 최대
입도
US#20 (840 마이크론) 상에서0.0%0.0%
US#60 (250 마이크론) 상에서30% 최대30% 최대
US#200 (74 마이크론) 통과시30% 최대30% 최대
실시예 II
구조화 미립자 엽산과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의 균질성 비교 시험:
1.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엽산 10 mg을 식물유 1 ㎏에 첨가하고, 구조화 미립자 엽산 (25%) 40 mg을 또다른 식물유 1 ㎏에 첨가하였다.
2. 각 샘플을 계속 가시적으로 조사하면서 5분 동안 혼합하여 균질화시켰다.
이로써 구조화 미립자 엽산이 식품 중에 즉시 분산되어 정확한 첨가량으로 식품 중에 엽산이 균질 분포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엽산이 함께 응집하고 용기 벽에 점착되어 엽산을 정확한 첨가량으로 식품에 전달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과 대조적이다.
영양학적 활성 미립자 성분으로 30% UA를 함유하는 사과 추출물
실시예 III
유동 층 상에서 30% 우르솔산을 함유하는 구조화 미립자 사과 추출물을 제조하는 절차
분무 용액 중 결합제의 일부로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산톤 (Santone) 8-1-0)가 첨가된 구조화 미립자 중 사과 추출물 함량이 25%인 제제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성분 25% 제제
생성물 용기
6X 분말 당 50% 1.5 ㎏
사과 추출물 26.5% 0.795 ㎏
덱스트로즈 20.5% 0.616 ㎏
미결정질 셀룰로즈 0.6% 0.018 ㎏
분무 용액
말토덱스트린 M-100 0.6% 0.018 ㎏
덱스트로즈 0.6% 0.018 ㎏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산톤 8-1-0) 1.2% 0.035 ㎏
0.7 ㎏
가공:
A. 6X 분말 당, 사과 추출물, 덱스트로즈 및 미결정질 셀룰로즈를 유동 층 상의 생성물 용기에 넣었다.
B. 이 실시예에서 이용된 장치는 중간 시험 규모의 5 ㎏ 유동 층 상단 건조기 분무기였다.
C. 분무 용액으로서 말토덱스트린, 나머지 덱스트로즈 및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산톤 8-1-0)을 50℃의 온수에서 혼합하였다.
약 50 내지 55℃의 초기 생성물 온도 범위를 이용하였고, 생성물을 유동시키기에 충분한 공기 부피 (댐퍼 1/2 개방)를 설정하였다. 3.75 bar의 분무 기압에서 60 g/분의 분무 속도로 분무 용액을 용기 중의 생성물 상에 분무하였다. 용액 200 g이 남았을 때, 분무 속도를 80 g/분으로 증가시켰다. 분무를 완료한 후, 구조화 미립자를 50℃의 출구 공기 온도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구조화 미립자를 멜터 LP-16 멜터 모이스쳐 밸런스 (Melter LP-16 Melter Moisture Balance)를 이용하여 건조시 손실률을 측정한 결과, 손실률이 2.6%였다. 이 물질을 스웨코 시프터 (Sweco Sifter)를 이용하여 US#16 메쉬 상에서 체질하여 임의의 큰 물질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III (25% 사과 추출물)에 대한 분석 데이타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조화 미립자계를 분석하는데 이용된 방법은 USP XXIII/NF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석 데이타
25% 사과 추출물
#16 상의 PS 0.0%
20 10.1%
60 57.7%
200 25.8%
6.4%
성긴 벌크 밀도 0.39 g/cc
건조시 손실률 2.5%
평균 중량 직경 252 마이크론
활성 성분 (시트르산칼슘 원료 물질)에 대한 공급자 데이타에는 이 물질의 평균 중량 직경이 17 마이크론 미만이라고 나타나 있었다.
실시예 IV
균질성
구조화 미립자 사과 추출물과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의 균질성 비교 시험:
1.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사과 추출물 1 g을 70℃의 물 100 ㎖에 첨가하고, 구조화 미립자 (25% 사과 추출물) 4 g을 또다른 물 100 ㎖에 첨가하였다.
2. 각 샘플을 계속 가시적으로 조사하면서 5분 동안 혼합하여 균질화시켰다.
이로써 구조화 미립자 25% 사과 추출물이 물에 즉시 분산되어 정확한 첨가량으로 25% 사과 추출물이 물에 균질 분포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사과 추출물이 함께 응집하고 용기 벽에 점착되어 사과 추출물을 정확한 첨가량으로 물에 전달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과 대조적이다.
실시예 V
유동성
구조화 미립자 사과 추출물과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의 유동성 비교 시험:
1.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사과 추출물 100 g을 80 mm의 ID를 갖는 60℃의 분말로에 첨가하여 어떠한 물질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구조화 미립자 (25% 사과 추출물) 100 g을 80 mm의 ID를 갖는 또다른 60℃의 분말로에 첨가하여 어떠한 물질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2. 각 샘플이 쏟아질 수 있도록 상기 로에서 뚜껑을 벗겨냈다. 구조화 미립자 (25% 사과 추출물) 로의 경우에는 4초 후에 비워졌지만, 비구조화 미립자 성분 사과 추출물의 경우에는 진동시켜야 상기 로를 통과할 수 있었다.
이로써 구조화 미립자 25% 사과 추출물이 개선된 유동성으로 즉시 분산되어 정확한 투여량으로 첨가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사과 추출물이 응집하고 로에 점착되어 사과 추출물을 정확한 첨가량으로 전달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과 대조적이다.
콩단백질 단리물, 영양학적 활성 성분
실시예 VI
유동 층 상에서 구조화 미립자 콩단백질 단리물 ML-70을 제조하는 절차
구조화 미립자 중 콩단백질 단리물 함량이 70%인 제제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성분 70% 제제
생성물 용기
콩단백질 단리물 70% 2.1 ㎏
말토덱스트린 M-100 20.0% 0.6 ㎏
분무 용액
말토덱스트린 M-100 10.0% 0.3 ㎏
0.800 ㎏
가공:
A. 표 4의 조합을 위해, 콩단백질 단리물과 말토덱스트린 M-100을 유동 층상의 생성물 용기에 넣었다.
B. 이 실시예에서 이용된 장치는 중간 시험 규모의 5 ㎏ 유동 층 상단 건조기 분무기였다.
C. 분무 용액으로서 말토덱스트린을 25℃의 온수에서 혼합하였다 (용액 중 고체 15.0%).
약 30 내지 35℃의 출구 온도 범위를 이용하였고, 생성물을 유동시키기에 충분한 공기 부피 (댐퍼 1/2 개방)를 설정하였다. 60 psi의 분무 기압에서 30 g/분의 분무 속도로 분무 용액을 용기 중의 생성물 상에 분무하였다. 분무를 완료한 후, 구조화 미립자를 40℃의 출구 공기 온도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켰다. 구조화 미립자를 멜터 LP-16 멜터 모이스쳐 밸런스를 이용하여 건조시 손실률을 측정한 결과, 손실률이 4.5%였다. 이 물질을 스웨코 시프터를 이용하여 US#16 메쉬 상에서 체질하여 임의의 큰 물질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VI에 대한 추가의 분석 데이타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조화 미립자계를 분석하는데 이용된 방법은 USP XXIII/NF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석 데이타
콩단백질 단리물 ML-70
#20 상의 PS 4.9%
40 21.7%
60 37.0%
80 19.5%
100 5.5%
200 9.6%
1.8%
성긴 벌크 밀도 0.31 g/cc
건조시 손실률 4.5%
평균 중량 직경 277.8 마이크론
사용된 활성 성분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물질)의 입도 분포는 US#100 메쉬를 통해 90%였고, 성긴 벌크 밀도는 0.39 g/cc였다. 공급자 데이타에는 이 물질의 평균 중량 직경이 113 마이크론 미만이라고 나타나 있었다. 이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은 USP XXIII/NF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평균 중량 직경은 체에서의 중량 분율을 체의 구멍 크기 (마이크론)와 곱하고 모든 체 크기에 대해 이들을 합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실시예 VII
균질성
구조화 미립자 콩단백질 단리물과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의 균질성 비교 시험:
1.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콩단백질 단리물 20 g을 식물유 1 ㎏에 첨가하고, 구조화 미립자 (70% 콩단백질 단리물) 26 g을 또다른 식물유 1 ㎏에 첨가하였다.
2. 각 샘플을 계속 가시적으로 조사하면서 5분 동안 혼합하여 균질화시켰다.
이로써 구조화 미립자 콩단백질 단리물이 식품 중에 즉시 분산되어 정확한 첨가량으로 식품 중에 콩단백질 단리물이 균질 분포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비구조화 활성 미립자 성분 콩단백질 단리물이 함께 응집하고 용기 벽에 점착되어 콩단백질 단리물을 정확한 첨가량으로 식품에 전달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과 대조적이다.
실시예 VIII
식품 중 구조화 미립자의 균질성
이 실시예는 구조화 미립자 및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성분을 이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콩단백질 단리물이 식품 중의 균질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기술한다.
구조화 미립자의 혼입:
초콜릿의 조작: 화이트 초콜릿 (400 g)을 칭량하여 용기에서 용융시켰다. 구조화 미립자 100 g을 초콜릿에 첨가하고, 20초 동안 손으로 교반시켜 균질화시켰다. 구조화 미립자는 초콜릿에 바로 즉시 혼합되었다. 초콜릿 혼합물을 금형에 붓고 가볍게 두드려 평탄하게 만들었다. 다음, 적절한 냉각을 위해 초콜릿이 경화될 때까지 금형을 14.4℃의 냉각 챔버에 넣었다. 다음, 금형을 냉각 챔버에서 꺼내고, 초콜릿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성분의 혼입:
초콜릿의 조작: 화이트 초콜릿 (430 g)을 칭량하여 용기에서 용융시켰다.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성분 70 g을 초콜릿에 첨가하고, 20초 동안 교반하였다. 콩단백질 단리물은 덩어리져서 혼합하기가 어려웠으며, 따라서 3분 더 혼합시켰다. 초콜릿 혼합물을 금형에 붓고 가볍게 두드려 평탄하게 만들었다. 다음, 적절한 냉각을 위해 초콜릿이 경화될 때까지 금형을 14.4℃의 냉각 챔버에 넣었다. 다음, 금형을 냉각 챔버에서 꺼내고, 초콜릿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조사: 구조화 미립자 및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성분 혼입된 화이트 초콜릿바를 여러 조각으로 부쉈다. 실험 결과, 콩단백질 단리물 원료 물질 혼입된 화이트초콜릿바의 경우에는 황갈색 내지 황백색 분말상 함유물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초콜릿바 내에서 콩단백질 단리물의 균질성이 불량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구조화 미립자 혼입된 초콜릿바의 경우에는 분말상 함유물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균질성이 완벽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 구조화 미립자계를 통해 식품 중 활성 성분의 생활성 및 분산성이 양호해지며 경구 특성 또한 개선된다.

Claims (11)

  1. 매트릭스 중에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을 1:99 내지 99: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활성 유기 고체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올레아노산, 우르솔산, 엽산, 폴리코사놀, 피토스테롤 및 콩단백질 단리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성분들로부터 선택되고, 입자의 평균 중량 직경이 25 내지 1500 마이크론 범위인 구조화 미립자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계의 성긴 벌크 밀도 (loose bulk density)가 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ℓ인 구조화 미립자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균 중량 직경이 5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300 마이크론 범위인 구조화 미립자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과 매트릭스 사이의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 범위인 구조화 미립자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이 전체 구조화 미립자계 내에서 2 내지 27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0 마이크론의 이산 입도를 갖는 구조화 미립자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이 영양학적 활성 성분인 구조화 미립자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학적 활성 성분이 식품의 경구 특성 또는 식품 중 활성 성분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성분인 구조화 미립자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가 식용이고, 폴리사카라이드, 개질 폴리사카라이드, 당, 검, 증점제, 안정제, 시럽, 밀가루, 전분, 덱스트로즈, 말토덱스트린 및 셀룰로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구조화 미립자계.
  9. 식품을 기준으로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제1항 내지 제8항에서 제제화된 구조화 미립자계를 식품에 혼입시킴으로써, 식품 중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의 경구 특성 및(또는) 균질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10.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8항에 따른 구조화 미립자계를 함유하는, 특히 마가린, 스프레드, 구운 제품, 추출 제품, 과자, 아이스크림 및 낙농 제품으로 구성된군으로부터 선택된 식품.
  11. (i) 활성 유기 고체 성분을 매트릭스와 혼합하여 균질 분말을 얻는 단계,
    (ii) 얻은 분말의 일부에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첨가하여 매트릭스를 용해시켜 활성 성분의 수현탁액을 얻는 단계,
    (iii) 단계 (i)로부터 생성된 분말의 일부를 유동 층의 팽창 챔버에서 현탁시키는 단계,
    (iv) (ii)로부터 생성된 현탁액을 팽창 챔버에서 단계 (iii)의 현탁된 분말 상에 분무하고, 가열 수단,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급속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에 정의된 구조화 미립자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20016011A 2001-03-26 2002-03-25 구조화 미립자계 KR20020076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16,864 US6773733B2 (en) 2001-03-26 2001-03-26 Structured particulate systems
US09/816,864 2001-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38A true KR20020076138A (ko) 2002-10-09

Family

ID=2522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011A KR20020076138A (ko) 2001-03-26 2002-03-25 구조화 미립자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73733B2 (ko)
EP (1) EP1249180A3 (ko)
JP (1) JP2002345414A (ko)
KR (1) KR20020076138A (ko)
AU (2) AU2318802A (ko)
CA (1) CA2378994A1 (ko)
ZA (1) ZA2002022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82B1 (ko) * 2006-04-26 2007-09-13 조남지 유지 대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3720B2 (ja) * 2002-06-12 2011-09-14 ザ・コカ−コーラ・カンパニー 植物ステロール含有飲料
US7306819B2 (en) * 2002-06-12 2007-12-11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s containing plant sterols
US20050281932A1 (en) * 2004-06-18 2005-12-22 Good Humor - Breyers Ice Cream Frozen confection
US7615641B2 (en) * 2004-07-20 2009-11-10 Sino Pharmaceuticals Corporation Long chain aliphatic alcohol derivativ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60034934A1 (en) * 2004-08-13 2006-02-16 Deguise Matthew L Agglomeration of sterol particles
WO2007039040A1 (en) * 2005-09-30 2007-04-12 Unilever N.V. Food composition
JP5251504B2 (ja) * 2006-03-31 2013-07-31 不二製油株式会社 蛋白含有油性食品
WO2009098295A2 (en) * 2008-02-06 2009-08-13 Innov'ia Pulverulent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1359A (en) 1954-03-25 1958-09-09 Henry Brout Effervescive powders for producing protracted ebullition
GB1215449A (en) 1967-06-29 1970-12-09 Unilever Ltd Confections
US3881005A (en) 1973-08-13 1975-04-29 Lilly Co Eli Pharmaceutical dispersible powder of sitosterols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3957964A (en) * 1974-01-30 1976-05-18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ifrice containing encapsulated flavoring
US4170635A (en) * 1974-08-30 1979-10-09 Colgate Palmolive Company Flavored dentifrice
US3939261A (en) * 1974-08-30 1976-02-17 Colgate-Palmolive Company Flavored dentifrice
JPS5231981A (en) * 1975-08-18 1977-03-10 Takeda Chem Ind Ltd Microcapsule preparation method
US4160850A (en) * 1975-08-25 1979-07-10 General Mills, Inc. Shelf-stable mix for a spreadable butter-substitute
IE53474B1 (en) 1981-09-17 1988-11-23 Warner Lambert Co A chewable comestible product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4698264A (en) * 1982-08-02 1987-10-06 Durkee Industrial Foods, Corp. Particul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4513016A (en) * 1982-10-06 1985-04-23 Blake Jon R No-stir dry mix with pudding nuggets for cake with discontinuous pudding phase
US4565708A (en) * 1982-10-06 1986-01-21 General Mills, Inc. Pudding mix
US4804548A (en) * 1984-10-05 1989-02-14 Warner-Lambert Company Novel sweetener delivery systems
US4828857A (en) * 1984-10-05 1989-05-09 Warner-Lambert Company Novel sweetener delivery systems
AU587863B2 (en) 1985-10-07 1989-08-31 Basf Aktiengesellschaft Vitamin-containing granules and production thereof
US4978537A (en) 1989-04-19 1990-12-18 Wm. Wrigley Jr. Company Gradual release structures for chewing gum
US5139794A (en) 1989-04-19 1992-08-18 Wm. Wrigley Jr. Company Use of encapsulated salts in chewing gum
US5066511A (en) 1989-05-19 1991-11-19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pulverized polydextrose which is substantially free of aci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5418010A (en) * 1990-10-05 1995-05-23 Griffith Laboratories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ion process
JPH07583B2 (ja) 1990-11-21 1995-01-11 北海道糖業株式会社 水溶性五環性トリテルペン包接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食品、飲料、口腔用組成物
US5206049A (en) 1991-02-12 1993-04-27 Interneuron Pharmaceuticals, Inc. Choline-containing compositions as salt substitutes and enhancer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US5576042A (en) * 1991-10-25 1996-11-19 Fuisz Technologies Ltd. High intensity particulate polysaccharide based liquids
DE4231611A1 (de) * 1992-09-22 1994-03-24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alternierenden Signals
US5397576A (en) 1992-09-23 1995-03-14 Hoffmann-La Roche Inc. Spray triturated micronutrient compositions
US5895664A (en) * 1993-09-10 1999-04-20 Fuisz Technologies Ltd. Process for forming quickly dispersing comestible unit and product therefrom
US5441753A (en) 1994-01-28 1995-08-15 Fmc Corporation Coprocessed particulate bulking and formulating AIDS: their composition, production, and use
EP0689834A3 (en) 1994-07-01 1996-06-05 Willem Jacob Serfontein Food or feed additive that contains vitamins and minerals with delayed release of active ingredients
GB9509015D0 (en) * 1995-05-03 1995-06-21 Dalgety Plc Textured proteins
US5698246A (en) * 1996-01-29 1997-12-16 Cargill, Incorporated Foodstuff for and method of feeding crustaceans and fish
US5725898A (en) * 1996-04-24 1998-03-10 Kraft Foods, Inc. Method of making densified flowable roasted and ground coffee
CA2208337C (en) * 1996-06-22 2002-05-14 Clifford P. Rond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ghtweight cellular composites of wood waste and thermoplastic polymers
FI105887B (fi) 1996-09-27 2000-10-31 Suomen Sokeri Oy Elintarvike- ja terapeuttisiin sovelluksiin käyttökelpoiset, kasvisterolia sisältävät tuotteet,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ja niiden käyttö
US5714168A (en) 1996-12-11 1998-02-03 Basf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flowability of spray dried vitamin powders having low vitamin concentrations
JP4494539B2 (ja) 1997-02-28 2010-06-30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流動自由な乾燥粒子
FI108110B (fi) 1997-06-13 2001-11-30 Danisco Finland Oy Elintarvike- ja eläinravitsemusalalla käyttökelpoinen esiseos,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a sen käyttö
US5876506A (en) 1997-08-12 1999-03-02 Fuisz Technologies Ltd. Mesomorphic sugar and products therefrom
AU747549B2 (en) 1998-03-23 2002-05-16 General Mills Inc. Encapsulation of components into edible products
WO1999065336A1 (en) 1998-06-18 1999-12-23 Kellogg Company An edible composition containing agglomerated fortificant p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and an edible agglomerated granule
FR2791906B1 (fr) 1999-04-12 2001-05-18 Rhodia Chimie Sa Systeme solide vecteur de matiere active
US6544566B1 (en) 1999-04-23 2003-04-0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sterol, soy protein and isoflavone for reducing LDL cholesterol
EP1064856B1 (en) 1999-06-30 2005-04-06 Givaudan SA Encapsulation of active ingredients
US6582721B1 (en) 1999-09-17 2003-06-24 Alcon, Inc. Stable carotene-xanthophyll beadle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6436453B1 (en) 2000-06-16 2002-08-20 General Mills, Inc. Production of oil encapsulated minerals and vitamins in a glassy matrix
GB0021498D0 (en) 2000-09-01 2000-10-18 Novartis Nutrition Ag New formulation
US6887493B2 (en) * 2000-10-25 2005-05-03 Adi Shefer Multi component controlled release system for oral care, food products, nutraceutical, and beverages
US6514546B2 (en) 2001-01-31 2003-02-04 Koji Tsukuda Easily dispersible granules of soybean protein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US6673383B2 (en) * 2001-03-26 2004-01-06 Unilever Patent Holdings Bv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ood produ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82B1 (ko) * 2006-04-26 2007-09-13 조남지 유지 대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2353A1 (en) 2002-12-19
JP2002345414A (ja) 2002-12-03
AU2758302A (en) 2002-10-03
AU2318802A (en) 2002-10-03
US6773733B2 (en) 2004-08-10
CA2378994A1 (en) 2002-09-26
EP1249180A3 (en) 2003-09-03
AU781779B2 (en) 2005-06-09
ZA200202275B (en) 2003-09-22
EP1249180A2 (en) 200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1267A (en) Easily dispersible dietary fiber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579619B2 (en) Preparation of free-flowing powder
EP1139791B1 (de) Eingekapselte aroma- und/oder riechstoffzubereitungen
EP0859554A1 (de) Aromengranulat
JP2014518082A (ja) インスタント固形飲料及び調製方法
CN106178560A (zh) 生产喷雾干燥附聚颗粒的设备
USRE32811E (en) Easily dispersible dietary fiber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673383B2 (en)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ood product
KR20020076138A (ko) 구조화 미립자계
US20030059458A1 (en) Encapsulated carob fibers having improved product propertie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DE10392269T5 (de) Verfahren und mit diesem Verfahren herstellte Produkte zur Reduzierung der Agglomeration granulärer Nahrungsmittel
JP6727576B1 (ja) 麦類若葉乾燥粉末造粒物の飲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66630A (ja) 車前子−ハイドロコロイドゴム組成物
JPH10503651A (ja) 脂肪被覆澱粉粒子をベースとする熱水分解性結合剤
CN109619487A (zh) 具有润肠通便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aewmaanee et al. Storage stability, gastrointestinal release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ies incorporated with protein-based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microcapsule
KR101784462B1 (ko) 균일한 조성의 감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9111282A (ja) ビサボラン型セスキテルペ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RU266457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меси для пудинга повышенной пищевой 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ценности
Samborska et al. Spray drying of sugar-rich food products
IT201900016880A1 (it) Prodotto semilavorato in polvere a base di alimenti vegetali
JP2019154340A (ja) ラクチュロース乾燥物、可食組成物、それらの製造方法
JPH0564544A (ja) アラビノガラクタンを基材とした粉末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01402A1 (de) Backwaren-zutatenverb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sselben
HU181760B (hu) Eljárás hosszan tárolható zsírtartalmú porkeverékek előállítására élelmiszeripari célok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