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978A -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 Google Patents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978A
KR20020070978A KR1020027006035A KR20027006035A KR20020070978A KR 20020070978 A KR20020070978 A KR 20020070978A KR 1020027006035 A KR1020027006035 A KR 1020027006035A KR 20027006035 A KR20027006035 A KR 20027006035A KR 20020070978 A KR20020070978 A KR 2002007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link
lip
connecting portion
side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0392B1 (ko
Inventor
아키타히데키
이데쓰와타루
세키구치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B62D55/0887Track-articulation sealings against dust, water, mud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62D55/211Bitubular chain links assembled by pins and double 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4/00Endless belt power transmission systems or components
    • Y10S474/901Pulley or guide roll for track of endless track vehicle

Abstract

실(2l)을 크롤러 벨트 (7)의 외측 링크부(9)에 접촉하는 링크측 립부(22)와, 부시(11)에 접촉하는 부시측 립부(23)와, 이들 각 립부(22, 23)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24)에 의해 구성한다. 그리고, 링크측 립부(22), 부시측 립부(23), 링크측 연결부(24A), 부시측 연결부(24B)의 두께 치수를 각각 (T1, T2, T1', T2')로 했을 때, (T ≒ T2' > T1 ≒ T1')의 관계로 설정한다. 또, 중간 연결부(24)의 최대 외경부(24C)측을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중간 연결부(24)에 의해 부시측 립부(23) 전체를 부시(11)의 단면(11A)으로 향해 균등하게 강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A CRAWLER BELT AND A CRAWLER BELT SEAL}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장궤식 차량에 사용되는 크롤러 벨트는 길이 방향 한 쪽에 외측 링크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내측 링크부가 형성된 좌, 우의 트랙 링크와, 상기 각 트랙 링크의 내측 링크부 사이에 설치되어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부시(bush)와, 상기 부시 내에 삽입하여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에 결합하여 연결된 연결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종류의 종래 기술에 의한 크롤러 벨트는 유동륜(遊動輪)과 구동륜 사이에 감아 설치되고, 구동륜을 주행용 유압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크롤러 벨트를 유동륜과 구동륜 사이에서 주위 회전 동작시켜, 차체를 전, 후 방향 등으로 주행시킨다.
또, 이 종래 기술에 의한 크롤러 벨트에는 주행 시에 부시와 연결핀 사이에토사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랙 링크의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에 거의 M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환형의 실을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49(1974)-113342호 공보 등].
여기에서, 실은 외측 링크부의 내측 단면에 접촉한 링크측 립(lip)부와, 부시의 단면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와, 이들 각 립부 사이를 연결한 중간 연결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실로서는 부시에 접촉하는 부시측 립부의 접촉면(이하, 실면이라고 함)에는 그 직경 방향 내측 부위가 되는 근원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간(離間)된 위치에 첨형부(尖形部)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1(1988)-65773호 공보 등].
그런데, 전술한 일본국 실개소 49-11334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의한 실은 부시에 접촉한다. 부시측 립부를 부분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이 부시측 립부의 마모 여유를 증가시켜,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실에 작용하는 면압(面壓)을 보면, 부시측 립부의 면압은 이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 근처의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것과 같이 부시측 립부를 두껍게 형성했다고 해도, 이 부시측 립부는 면압이 높은 부분으로부터 마모가 진행되어, 실의 내구성을 반드시 충분히 높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부시측 립부의 면압을 국소적으로 밖에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이 부시측 립부에 의해 실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일본국 실개평 1-65773호 공보에 기재된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실은 부시측 립부의 실면에 대하여, 그 직경 방향의 내측 부위가 되는 근원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첨형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부시측 립부의 면압을 근원부와 첨형부의 2개소에서 크게 하여, 실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스티어링 조작 시 등에는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의 스러스트 방향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넓어지는 것 같은 현상이 빈번히 생긴다. 그리고, 이 경우, 실의 첨형부가 부시로부터 순간적으로 떨어저 버려, 외부의 토사가 실의 첨형부와 근원부 사이에 침입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토사가 실의 첨형부와 근원부 사이에 한번 침입하면, 이 토사는 양자 사이에 가두어진 상태로 되어, 토사에 의해 실면이 마모되기 쉽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부시측 립부에 첨형부를 형성함으로써, 실의 전체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실 제작 시의 작업성 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장궤식(裝軌式) 차량에 사용하여 바람직한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seal)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크롤러 벨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크롤러 벨트를 도 2 중의 화살표시 III-III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각 트랙 링크 사이의 연결부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실을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중의 외측 링크부, 부시 및 실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의한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와 면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선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의한 실을 단체로 도시한 도 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실을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 6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에 의한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와 면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선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부시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여, 실성, 내구성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 형상을 간략화할 수 있도록 한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 벨트는 길이 방향 한 쪽에 외측 링크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내측 링크부가 형성되어, 서로 무단형(無端形)으로 연결되는 좌, 우의 트랙 링크와, 상기 각 트랙 링크의 내측 링크부 사이에 설치되고,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부시와, 상기 부시 내에 삽입하여 설치되고,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에 결합하여 연결된 연결핀과, 상기 트랙 링크의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핀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실은 상기 외측 링크부의 내측 단면에 접촉한 링크측 립부와, 상기 부시의 단면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와, 상기 부시측 립부와 링크측 립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 립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횡단면이 V자형을 이루는 중간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링크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링크측 연결부와, 상기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부시측 연결부에 의해 V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의 두께 치수는 부시측 연결부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는 상기 링크측 립부와 링크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링크측 연결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외경부측을 상기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을 트랙 링크의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에 장착했을 때에는 실의 중간 연결부가 링크측 립부와 부시측 립부 사이에서 압축 변형됨으로써, 링크측 립부, 부시측 립부를 외측 링크부의 내측 단면, 부시의 단면에 각각 체결 여유를 가지고 접촉시켜,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를 실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은 부시측 립부를 링크측 립부 및 중간 연결부의 링크측 연결부 보다 큰 두께 치수를 가지고 형성했으므로, 부시측 립부의 마모 여유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부시측 연결부를 부시측 립부와 거의 동일한 두께 치수를 가지고 형성함으로써, 부시에 접촉하는 부시측 립부의 면압(面壓)을 균등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 연결부의 최대 외경부측은 부시측 립부의 길이 치수의 중간 위치 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중간 연결부에 의해 부시측 립부 전체를 부시의 단면으로 향해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링크측 립부의 두께 치수와 링크측 연결부의 두께 치수는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측 링크부에 접촉하는 링크측 립부의 면압을 균등화할 수 있어, 링크측 립부의 실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중간 연결부가 링크측 연결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내경부측을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 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간 연결부의 최대 외경부측과 최대 내경부측 사이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어, 실을 외측 링크부와 부시 사이에서 압축했을 때에 중간 연결부에 생기는 탄성력(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부시측 립부가 부시의 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시측 립부의 접촉면전체를 부시에 대하여 거의 균등한 면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측 립부는 외측 링크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링크측 립부의 접촉면 전체를 외측 링크부에 대하여 거의 균등한 면압을 가지고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은 외측 링크부의 내측 단면에 접촉한 링크측 립부와, 부시의 단면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와, 상기 부시측 립부와 링크측 립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 립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횡단면이 V자형을 이루는 중간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링크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링크측 연결부와, 상기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부시측 연결부에 의해 V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의 두께 치수는 부시측 연결부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는 상기 링크측 립부와 링크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링크측 연결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외경부측을 상기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 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링크측 립부의 두께 치수와 링크측 연결부의 두께 치수는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중간 연결부가 링크측 연결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내경부측을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시측 립부가 부시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제10항의 발명은 링크측 립부가 외측 링크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크롤러 벨트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7의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1)은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이며, 이 하부 주행체(1)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된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A)(한 쪽만 도시) 등을 구비한 트랙 프레임(2)과, 이 트랙 프레임(2)의 사이드 프레임(2A) 양단측에 각각 설치된 유동륜(遊動輪)(3), 구동륜(4)과, 이 유동륜(3)과 구동륜(4) 사이에 감긴 후술하는 크롤러 벨트(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트랙 프레임(2)의 사이드 프레임(2A)에는 크롤러 벨트(7)를 사이드 프레임(2A)의 상측에서 안내하는 1개의 상(上)롤러(5)와, 크롤러 벨트(7)를 사이드 프레임(2A)의 하측에서 안내하는 복수의 하(下)롤러(6, 6 …)가 설치되어 있다.
(7)은 유동륜(3)과 구동륜(4) 사이에 감겨 설치된 크롤러 벨트이며, 이 크롤러 벨트(7)는 후술하는 트랙 링크(8), 부시(11), 연결핀(12) 및 트랙 슈(shoe)(1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롤러 벨트(7)는 각 트랙 링크(8)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후술하는 부시(11)가 구동륜(4)에 맞물리고, 이 상태에서 구동륜(4)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유동륜(3)과 구동륜(4) 사이에서 주위 회전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8, 8)은 좌, 우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서로 무단형으로 연결된 좌, 우의 트랙 링크이며, 이 트랙 링크(8)는 크롤러 벨트(7)의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 링크(8)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는 외측 링크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링크부(9)에는 도 4,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연결핀(12)이 삽입 되는 핀 삽입 구멍(9A)과, 이 핀 삽입 구멍(9A)을 축 중심으로서 부시(11)와 대면하는 내측면이 확경(擴徑)되어 후술하는 실(21)이 장착되는 실 장착 구멍(9B)과, 이 실 장착 구멍(9B)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핀 삽입공(9A)과 실 장착 구멍(9B) 사이의 내측 단면(9C)이 단(段)부착 구멍으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트랙 링크(8)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는 내측 링크부(10)가 형성되고, 이 내측 링크부(10)에는 후술하는 부시(11)가 삽입되는 부시 삽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11)은 좌, 우 트랙 링크(8, 8)의 내측 링크부(10) 사이에 설치되어, 내주측에 연결핀(12)이 삽입되는 부시이며, 이 부시(11)는 좌, 우 방향의 양단측에 단면(11A, 11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시(11)는 각 내측 링크부(10)의 부시 삽입공(10A) 내에 압입(壓入) 상태로 삽입되고, 그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은 외측 링크부(9)와 대향하여 실 장착 구멍(9B) 내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어 있다. 또, 부시(11)의 단면(11A) 외주 에지측에는 전 주위에 걸쳐 원호형의 모따기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12)는 인접하는 트랙 링크(8, 8) 사이를 서로 핀 결합한 연결핀이며, 이 연결핀(12)은 부시(11) 내에 미소한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고, 그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은 외측 링크부(9)의 핀 삽입공(9A) 내에 압입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 이 연결핀(12)과 부시(11) 사이의 간극 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충전되고, 이 윤활유에 의해 연결핀(12)을 부시(11)에 대하여 원활히 상대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13)은 좌, 우의 트랙 링크(8, 8)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슈이며, 이 트랙 슈(13)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트랙 링크(8)의 외측에 복수의 볼트(14) 등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좌, 우의 트랙 링크(8, 8)를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크롤러 벨트(7)의 접지면을 구성하고 있다.
(21, 21)은 연결핀(12)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트랙 링크(8)의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 설치된 좌, 우의 실이며, 이 실(21)은,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의 탄성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횡단면이 M자형을 이룬 환형 실로서 형성되고, 자유 길이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실(21)은 후술하는 링크측 립부(22), 부시측 립부(23) 및 중간 연결부(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21)은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부시(11)와 연결핀(12) 사이에 토사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양자 사이의 간극 내에 그리스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22)는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에 접촉한 링크측 립부이며, 이 링크측 립부(22)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거의 일정한 두께 치수 T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링크측 립부(22)는 직경 방향의 길이 치수가 D1이 되고, 이 길이 치수 D1은 후술하는 부시측 립부(23)의 길이 치수 D2보다 약간 크고, 하기 (1)식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D1 > D2····(1)
그리고, 링크측 립부(22)는 그 표면측이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에 체결 여유를 가지고 접촉하는 접촉면(22A)이 되고, 이 접촉면(22A)은 외측 링크부(9) 사이를 유체 밀봉으로 실하는 실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링크측 립부(22)의 접촉면(22A)은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과 평행을 이루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링크측 립부(22)의 외주면(22B)은 접촉면(22A)의 외경단으로 향해 직경축소한 테이퍼면(원뿔면)으로 되어있다. 또한 링크측 립부(22)는 접촉면(22A)과 내주면(22C) 사이가 거의 직각을 이루는 각부(22D)로 되어있다.
(23)은 부시(11)의 단면(11A)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이며, 이 부시측 립부(23)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 T2는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 T1 및 후술하는 링크측 연결부(24A)[중간 연결부(24)]의 두께 치수 T1' 보다 크고, 하기 (2)식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부시측 립부(23)는 그 표면측에 부시(11)의 단면(11A)에 체결 여유를 가지고 접촉하는 접촉면(23A)을 가지고, 이 접촉면(23A)은 부시(11) 사이를 유체 밀봉으로 실하는 실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은 부시(11)의 단면(11A)과 평행을 이루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 외주측에는 환형 돌출부(2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환형 돌출부(23B)는 부시(11)의 모따기부(11B)에 대응하여 횡단면이 원호형을 이룬 오목 만곡면(灣曲面)(23B1)을 가지며, 이 오목 만곡면(23B1)은 부시(11) 사이를 접촉면(23A)과 함께 실하고 있다.
또, 부시측 립부(23)의 외주면(23C)은 전 주위에 걸쳐 축 방향으로 스트레이트로 연장된 스트레이트면으로 되어있다. 또한, 부시측 립부(23)에는 접촉면(23A)과 내주면(23D) 사이에 위치하여 테이퍼형의 모따기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24)는 링크측 립부(22)와 부시측 립부(23) 사이에 위치하여 양 립부(22, 23)를 일체로 연결한 중간 연결부이며, 이 중간 연결부(24)는 대략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립부(22)로 향해 경사지게 직경 축소하여 연장되고 링크측 립부(22)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연결된 링크측 연결부(24A)와, 이 링크측 연결부(24A)로부터 부시측 립부(23)로 향해 경사지게 직경 축소하여 연장되고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연결된 부시측 연결부(2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간 연결부(24)의 링크측 연결부(24A)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 T1과 거의 동일하며, 하기 (3)식의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T1' ≒ T1····(3)
또, 부시측 연결부(24B)는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 T2와 거의 동일하며, 하기 (4)식의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T2' ≒ T2····(4)
따라서,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 T2와 부시측 연결부(24B)의 두께 치수 T2'는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 T1과 링크측 연결부(24A)의 두께 치수 T1'보다 크고, 하기 5식의 관계로 되어 있다.
T2 ≒ T2' > T1 ≒ T1'‥‥(5)
그리고, 이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의 외주면(24A1)과 부시측 연결부(24B)의 외주면(24B1)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외경부(24C)측이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로 된다. 기준선 L-L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의 내주면(24A2)과 부시측 연결부(24B)의 내주면(24B2)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내경부(24D)측이,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로 되는 기준선 L-L 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25)는 링크측 립부(22)와 중간 연결부(24) 사이에 형성된 링크측 외주홈으로, 이 링크측 외주홈(25)은 링크측 립부(22)와 링크측 연결부(24A)의 외주면(24A1) 사이에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V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환형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측 외주홈(25)은 원호형의 홈 바닥(25A)을 가지고, 이 홈 바닥(25A)은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기준선 L-L)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26)은 부시측 립부(23)와 중간 연결부(24) 사이에 형성된 부시측 외주홈으로, 이 부시측 외주홈(26)은 부시측 립부(23)와 부시측 연결부(24B)의 외주면(24B1)과의 사이에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V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환형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시측 외주홈(26)은 원호형의 홈 바닥(26A)을 가지고, 이 홈 바닥(26A)은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기준선 L-L)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시측 외주홈(26)의 홈 바닥(26A)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크측 외주홈(25)의 홈 바닥(25A)보다 직경 방향 외측 근처에 배치되어, 얕은 바닥의 홈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27)은 하부 주행체(1)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 (28)은 이 상부 선회체(27)의 앞부분측에 승강(昇降)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 셔블은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노상 주행 시에는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륜(4)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크롤러 벨트(7)를 유동륜(3)과 구동륜(4) 사이에서 주위 회전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차체를 전, 후 방향 등으로 주행시킨다.
또, 이와 같이 크롤러 벨트(7)가 주위 회전 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실(21)에 의해 트랙 링크(8)의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가 실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부시(11)와 연결핀(12) 사이에 토사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자 사이의 간극에 충전한 그리스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실(21)의 면압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실행한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특성 선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도 7에서는 횡축이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에 생기는 면압을 나타내고, 종축이 도 6에 나타내는 부시측 립부(23)의 내경단(內徑端)에 따른 기준선 M-M선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중의 점 A, B, C, D는 도 6 중의 점 A, B, C, D의 위치에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 7의 특성선(29)으로부터도 명확히 나타난 것과 같이,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은 접촉면(23A)의 직경 방향 내측 부위로 되는 점 A의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데 따라 서서히 상승하여, 점 B의 위치에서 최대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점 B의 위치로부터 점 C의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는 면압이 거의 일정한 크기 P로 유지되는 동시에, 점 C의 위치로부터 점 D의 위치로 향하는 데 따라, 면압이 완만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실(21)을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서 압축했을 때에 생기는 압축 하중을 측정한 결과, (2.5∼3.5) ×104N(뉴턴) 정도로 되어, 후술하는 비교예의 경우보다 증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의한 실(21')의 면압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실행한 결과, 도 10에 나타내는 특성 선도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에서, 이 비교예에 의한 실(21')은 실시예에 의한 실(21)과 거의 동일하게, 접촉면(22A')을 가진 링크측 립부(22'), 접촉면(23A')을 가진 부시측립부(23') , 중간 연결부(24') , 홈 바닥(25A')을 가진 링크측 외주홈(25') 및 홈 바닥(26A')을 가진 부시측 외주홈(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 와 부시측 연결부(24B')에 의해 구성되고, 최대 외경부(24C')와 최대 내경부(24D')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링크측 립부(22') 및 중간 연결부(24')의 링크측 연결부(24A')는 각각 두께 치수 T1, T1'를 가지고 형성되는 동시에, 부시측 립부(23')는 두께 치수 T1, T1'보다 큰 두께 치수 T2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21')은 중간 연결부(24')의 부시측 연결부(24B')가 링크측 연결부(24A')와 거의 동일한 두께 치수 T1'를 가지고, 부시측 립부(23')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의 것과는 상이하다.
또, 도 10에서는 횡축이 실(2l')의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에 생기는 면압을 나타내고, 종축은 부시측 립부(23')의 내경단에 따른 기준선 M-M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 중의 점 A', B', C'는 도 9 중의 점 A', B', C'에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 10 중의 특성선(30)으로부터도 명확히 나타난 것과 같이,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은 접촉면(23A')의 직경 방향 내측 부위로 되는 점 A'의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데 따라 상승하여, 점 B'의 위치에서 최대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점 B'의 위치로부터 점 C'의 위치로 향하는 데 따라 면압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비교예에서는 실(21')을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서 압축했을 때에 생기는 압축 하중을 측정한 결과, (1∼2) ×104N(뉴턴) 정도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실(21)은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 T2와 중간 연결부(24)의 부시측 연결부(24B)의 두께 치수 T2'를, (4)식과 같이 서로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부시측 외주홈(26)을 링크측 외주홈(25)보다 얕은 바닥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21)을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과 부시(11)의 단면(11A)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했을 때에, 부시측 립부(23)의 내주 부분[내주면(23D)측]과 부시측 연결부(24B)의 내주 부분[내주면(24B2)측]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양자 사이에서 큰 스프링 힘을 발생시켜,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이 최대로 되는 위치(점 B)를, 비교예에 의한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이 최대로 되는 위치(점 B')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비교예에서는 실(21')의 접촉면(23A')에는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B'점에서 화살표시 a' 방향으로 부시측 외주홈(26')의 홈 바닥(26A')측으로 향해 마모가 진행된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실(21)의 접촉면(23A)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B점의 위치로부터 화살표시 a 방향으로 부시측 립부(23)로부터 부시측 연결부(24B)측으로 향해 마모를 진행시킬 수 있어, 마모 여유를 증가시켜, 실(21)의 내구성, 수명 등을 높일 수 있다.
또, 실(21)은 전술한 것과 같이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을 직경 방향 내측(점 B측)에서 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서 실(21)에 부가되는 배분력에 저항하여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를 가압할 수 있고, 실(21)의 내구성 등을 높여, 부시측 립부(23)의 실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실(21)은 전술한 것과 같이 부시측 외주홈(26)을 얕은 바닥에 형성하는 동시에, 중간 연결부(24)의 최대 외경부(24C)측을 부시측 립부(23)의 중간 위치(기준선 L-L)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21)을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과 부시(11)의 단면(11A)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했을 때에는 중간 연결부(24)에 의해 부시측 립부(23)가 부시(11)의 단면(11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고, 이 상태에서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 전체를 도 6 중의 화살표시 b 방향으로 부시(11)의 단면(11A)에 균등하게 강압할 수 있다.
이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특성선(29)과 같이, 점 B에서 점 C까지의 구간에서,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의 균등화를 도모하는 수 있어, 부시측 립부(23)에 의한 실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접촉면(23A)에 국소적인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2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21)은 중간 연결부(24)의 링크측 연결부(24A)의 두께 치수 T1'를, (3)식과 같이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 T1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부시측 립부(23)의 경우와 동일하게, 링크측 립부(22)의 면압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접촉면(22A)에 국소적인 마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링크측 립부(22)의 내구성 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21)은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고, 전술한 것과 같이 부시측 립부(23)의 면압을 도 6 중의 점 B의 1개소에서만 크게 하고 있다. 이 결과, 링크측 립부(22)와 외측 링크부(9) 사이, 부시측 립부(23)의 접촉면(23A)과 부시(11) 사이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토사가 침입하여 가두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도 실(2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실(21)의 접촉면(22A, 23A)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했던 첨형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실(21)의 전체 형상을 간략화할 수 있어, 이 실(21)의 제작 시의 작업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21)의 중간 연결부(24)는 최대 내경부(24D)측을 부시측 립부(23)의 중간 위치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중간 연결부(24) 전체를 두께 치수 T1'를 가지고 두꺼운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실(21)을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서 압축했을 때에 중간 연결부(24)에 생기는 탄성력(복원력)을 더욱 높여, 실(21)의 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21)은 링크측 립부(22)의 직경 방향 길이 D1을 (1)식과 같이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 D2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동시에, 링크측 립부(22)의 외주면(22B)을 비스듬하게 경사진 테이퍼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 결과, 실(21)을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크측 립부(22)의 외주측을 변형시킨 상태에서 외주면(22B)을 부시측 립부(23)의 외주면(23C)과 함께 외측 링크부(9)의 실 장착 구멍(9B)의 주위벽에 강하게 가압할 수 있어, 실(21)의 실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장궤식 차량으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 크레인 등의 장궤식 차량에도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을 구성하는 부시측 립부의 두께 치수를 부시측 연결부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부시측 립부와 부시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를 링크측 립부와 링크측 연결부와의 두께 치수 보다 크게 설정하는 동시에, 중간 연결부의 최대 외경부측을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부시측 립부와 부시측 연결부 사이에서 큰 스프링힘을 발생하여, 부시에 접촉하는 부시측 립부의 면압을 이 부시측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 부위에서 증대할 수 있는 동시에, 중간 연결부에 의해 부시측 립부 전체를 부시의 단면에 균등하게 강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시측 립부의 면압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부시측 립부의 실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부시측 립부의 접촉면에 국부적인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시측 립부의 내구성, 수명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길이 방향 한 쪽에 외측 링크부(9)가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내측 링크부(10)가 형성되고, 서로 무단형(無端形)으로 연결되는 좌, 우의 트랙 링크(8, 8)와, 상기 각 트랙 링크(8)의 내측 링크부(10) 사이에 설치되고,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9)와 대향하여 배치된 부시(11)와, 상기 부시(11)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이 상기 외측 링크부(9)에 결합하여 연결된 연결핀(12)과, 상기 트랙 링크(8)의 외측 링크부(9)와 부시(11)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핀(12)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실(seal)(21)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실(21)은 상기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에 접촉한 링크측 립부(22)와, 상기 부시(11)의 단면(11A)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23)와, 상기 부시측 립부(23)와 링크측 립부(22) 사이에 위치하고 양 립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횡단면이 V자형을 이루는 중간 연결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상기 링크측 립부(22)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링크측 연결부(24A)와,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부시측 연결부(243)에 의해 V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T2)는 부시측 연결부(24B)의 두께 치수(T2')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23)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두께 치수(T2, T2')는 상기링크측 립부(22)와 링크측 연결부(24A)와의 두께 치수(T1, T1')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외경부(24C)측을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L-L)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T1)와 링크측 연결부(24A)의 두께 치수(T1')는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내경부(24D)측을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L-L)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측 립부(23)는 상기 부시(11)의 단면(11A)과 접촉하는 접촉면(23A)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립부(22)는 상기 외측 링크부(9)와 접촉하는 접촉면(22A)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6. 외측 링크부(9)의 내측 단면(9C)에 접촉한 링크측 립부(22)와, 부시(11)의 단면(11A)에 접촉한 부시측 립부(23)와, 상기 부시측 립부(23)와 링크측 립부(22) 사이에 위치하여 양 립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횡단면이 V자형을 이루는 중간 연결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상기 링크측 립부(22)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링크측 연결부(24A)와,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내측단에 경사지게 연결된 부시측 연결부(24B)에 의해 V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두께 치수(T2)는 부시측 연결부(24B)의 두께 치수(T2')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시측 립부(23)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두께 치수(T2, T2')는 상기 링크측 립부(22)와 링크측 연결부(24A)와의 두께 치수(T1, T1')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외경부(24C)측을 상기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L-L)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립부(22)의 두께 치수(T1)와 링크측 연결부(24A)의 두께 치수(T1')는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24)는 링크측 연결부(24A)와 부시측 연결부(24B)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최대 내경부(24D)측을 부시측 립부(23)의 직경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L-L)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측 립부(23)는 상기 부시(11)와 접촉하는 접촉면(23A)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립부(22)는 상기 외측 링크부(9)와 접촉하는 접촉면(22A)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KR10-2002-7006035A 2000-11-02 2001-10-19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KR100480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6127 2000-11-02
JPJP-P-2000-00336127 2000-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978A true KR20020070978A (ko) 2002-09-11
KR100480392B1 KR100480392B1 (ko) 2005-03-31

Family

ID=1881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035A KR100480392B1 (ko) 2000-11-02 2001-10-19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51373B2 (ko)
EP (1) EP1249384B1 (ko)
JP (1) JP3730622B2 (ko)
KR (1) KR100480392B1 (ko)
CN (1) CN1197734C (ko)
DE (1) DE60132299T2 (ko)
WO (1) WO2002036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6380B2 (ja) * 2002-06-26 2007-10-03 トピー工業株式会社 履帯用シール
DE60315401T2 (de) * 2002-11-12 2008-04-17 Alcatel Lucent Schnelle Rekonfiguration von Netzelementen
CN100469644C (zh) * 2004-12-15 2009-03-1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履带用链节结构体以及由该链节结构体连接成的履带用链条
CN102887180B (zh) * 2011-07-21 2016-08-24 天津良鸿机械有限公司 一种履带式行走装置的履带瓦改进结构
US10443729B2 (en) * 2015-03-30 2019-10-15 Caterpillar Inc. Seal for a joint assembly
KR101998945B1 (ko) * 2017-04-07 2019-07-10 이기광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용 링크시일
US11148736B2 (en) * 2018-09-04 2021-10-19 Caterpillar Inc. Bushing for a track assembly
US11945525B2 (en) 2021-08-24 2024-04-02 Caterpillar Inc. Radial seal for a track link joi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0830Y2 (ko) 1973-01-26 1978-06-01
DE2305722C2 (de) * 1973-02-06 1983-11-0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Tokyo Abdichtung von Kettenbolzen bei Gleisketten
CA1012581A (en) 1973-02-26 1977-06-21 Edwin E. Foster Bicycle support stand
JPS538551B2 (ko) * 1974-04-16 1978-03-29
US3958836A (en) * 1975-01-09 1976-05-25 Brown Cicero C Movable track assembly for drive tracks
US3948574A (en) * 1975-06-19 1976-04-06 J. I. Case Company Joint with a combined seal and bushing
JPS5530779Y2 (ko) * 1975-09-17 1980-07-22
JPS5261029U (ko) * 1975-10-30 1977-05-04
JPS5261029A (en) 1975-11-13 1977-05-20 Showa Yuka Kk Pallet
US4204716A (en) * 1978-05-30 1980-05-27 J. I. Case Company Track joint with a thrust ring and a seal ring
JPS638548Y2 (ko) * 1979-09-10 1988-03-14
JPS6465773A (en) 1987-09-04 1989-03-13 Mitsui Petrochemical Ind Manufacture of separator for alkaline battery
JPH0165773U (ko) 1987-10-21 1989-04-27
IT1248392B (it) * 1991-03-13 1995-01-11 Italtractor Catena ad articolazioni lubrificate, in particolare per veicoli cingola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9384A4 (en) 2004-09-29
KR100480392B1 (ko) 2005-03-31
US6951373B2 (en) 2005-10-04
DE60132299D1 (de) 2008-02-21
JP3730622B2 (ja) 2006-01-05
JPWO2002036418A1 (ja) 2004-03-11
EP1249384A1 (en) 2002-10-16
CN1197734C (zh) 2005-04-20
US20030153424A1 (en) 2003-08-14
WO2002036418A1 (fr) 2002-05-10
CN1392852A (zh) 2003-01-22
EP1249384B1 (en) 2008-01-09
DE60132299T2 (de)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257B2 (en) Machine track roller assembly
JP3222435B2 (ja) 走行用履帯のリンク及びピンの固定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
US4364443A (en) Suspension apparatus for track-type vehicles
WO1998025809A1 (fr) Dispositif de chenilles pour vehicule chenille
KR100480392B1 (ko)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AU2014311405A1 (en) Seal assembly for track pin joint assembly of undercarriage
KR100518403B1 (ko) 무한궤도용 시일
JPH08230732A (ja) 弾性荷重リングを有するシール組立体
JP4116187B2 (ja) 履帯
US20200122792A1 (en) Seal for rotating sleeve track
KR20210127311A (ko) 무한궤도용 링크시일
JP2000168643A (ja) 履帯及び履帯に用いるシール装置
US11945525B2 (en) Radial seal for a track link joint
US11958551B2 (en) Single press ring groove for a cartridge pin assembly
US20210261207A1 (en) Master link anti-over rotation plug
US20210229762A1 (en) Flip-flop track rollers
JP2001106129A (ja) 履 帯
JP2001039360A (ja) 履帯シール装置
KR20220128475A (ko) 플립플롭 트랙 아이들러
JP2001039362A (ja) 履帯シー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
JP4152526B2 (ja) 走行用履帯のリンクとピンとの固定構造
JP2001039361A (ja) 履帯シー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
JP2002225757A (ja) 履 帯
JP2001039359A (ja) 履 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