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819A -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819A
KR20020066819A KR1020010007231A KR20010007231A KR20020066819A KR 20020066819 A KR20020066819 A KR 20020066819A KR 1020010007231 A KR1020010007231 A KR 1020010007231A KR 20010007231 A KR20010007231 A KR 20010007231A KR 20020066819 A KR20020066819 A KR 2002006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ene
alkylene oxide
represented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459B1 (ko
Inventor
이병권
김훈식
이상득
김재준
이상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0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4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zinc, cadmium or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1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 B01J31/1805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the ligands containing nitrogen
    • B01J31/181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comprising at least one complexing nitrogen atom as ring member, e.g. pyrid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용이한 반응조건에서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수율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피리딘계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다리걸친 리간드(bridged ligand)와 할로겐이온을 리간드로 갖는 아연화합물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Znn(μ-OR)nX2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피리딘계로 이루어진 화합물이고, X는 Cl, Br, 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2또는 3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4 개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Description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Alkylene Carbonates}
본 발명은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리딘계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다리걸친 리간드(bridged ligand)와 할로겐 이온을 리간드로 하는 금속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킬렌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원료, 의약의 중간체, 염료 합성공정의 옥시알킬화 시약(oxyalkylation agent), 공정설비 보호제, 섬유 생산공정의 용매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차전지의 고분자 전해질의 용매 등 그 사용 범위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알킬렌카보네이트는 촉매의 존재하에서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제조되며, 반응식은 다음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그런데, 상기 반응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반응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고온고압이 필요하나 고온고압 하에서는 알킬렌옥사이드가 분해 또는 중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반응조건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촉매가 개발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67365에는 Kl(요오드화 칼륨)을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공개특허 소59-13776에는 트리부틸메틸 포스포늄 이오다이드와 같은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tetraalkyl phosphnium halide)를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235252 및 미국특허 제2,773,070호에는 말단기에 4˚포스포늄 할라이드가 붙은 폴리스티렌 공중합 고분자를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는 100-170℃의 온도에서 1-5시간 반응시켰을 때 50-95%의 수율이 얻어진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오랫동안 반응시켜야 하고, 원료인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사이드의 수분함량을 수백 ppm 이하로 조절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7-206846에는 이온교환수지에 CsOH, RbOH, 암모늄 할라이드를 치환시킨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제4,233,221호에는 DOWEX와 암버라이트(Amberlite) 계열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으나 80-100℃에서의 수율이 30-80% 정도로 매우 낮다.
그 밖에 미국특허 제5,283,356호에는 Co, Cr, Fe, Mn, Ni, Ti, V, Zr 등을 포함하는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을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7-206547에는 헤테로폴리산(heteropoly acid)의 수소이온을 루비듐(Rb) 또는 세슘(Cs) 이온으로 치환시킨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두 경우 모두 값이 비싸고, 반응온도가 120-180℃로 높을 뿐만 아니라 수율도 30-90%로 낮은 편이다.
종합하면, 알킬렌카보네이트를 공업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고온에서 반응시켜야 하고, 원료의 수분함량이 매우 낮아야 하는 등 반응조건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선택성과 수율이 낮고, 반응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한 반응조건에서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수율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피리딘계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다리걸친 리간드(bridged ligand)와 할로겐이온을 리간드로 갖는 아연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면 일차적으로 중심 금속인 아연과 산소음이온의 결합부위에 이산화탄소가 삽입되는 반응이 일어나 Zn-OCOOR 형태로 이산화탄소가 활성화된 반응 중간체가 형성된다. 이 반응 중간체의 아연과 카보네이트 결합을 이루는 산소원자는 활성화된 상태로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쉽게 알킬렌옥사이드와 반응하여 사슬형 카보네이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사슬형 카보네이트와 아연 화합물의 아연-산소 결합이 사슬형 카보네이트의 다른 카보닐 카본을 공격함으로써 생성물인 고리형 알킬렌카보네이트가 형성되고, 촉매는 반응 초기 상태인 아연-산소 결합으로 돌아오게 되어 새로운 반응에 참여 하게된다. 또한 [화학식 1]의 촉매는 반응 개시까지의 도입시간(induction period)이 없어 반응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Znn(μ-OR)nX2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피리딘계로 이루어진 화합물이고, X는 Cl, Br, 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2 또는 3이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4 개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상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아연화합물은 중심금속인 아연원자의 수에 따라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이합체 또는 [화학식 4]로 표현되는 삼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3]과 [화학식 4]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I 에서 선택되고, a, b, 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페닐기, -OCH3, 또는 -OPh에서 선택되고,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OPh, -OCH3에서 선택된다.
촉매는 원료 알킬렌옥사이드 1몰당 0.0005-0.1몰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0.0005몰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너무 느리고, 0.1몰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반응속도와 선택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사이드에는 질소, 수소, 일산화탄소, 또는 낮은 농도의 탄화수소나 물이 들어 있어도 반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사이드를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응압력의 반응속도 및 수율에 대한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다. 장치비 등을 고려할 때 10-100기압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압력이 10기압 이하가되면 반응속도가 약간 느려지고, 100기압이 되면 더 이상 빨라지지 않는다.
반응온도는 60-140℃가 바람직하다. 반응온도가 낮으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반응온도가 너무 높으면 원료인 알킬렌옥사이드가 분해되거나 자체고분자화 반응을 일으켜 선택성이 나빠진다.
상기 반응은 급격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원료 알킬렌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틸렌옥사이드로부터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프로필렌옥사이드로부터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틸렌카보네이트 합성할 때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해도 된다.
반응공정은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를 이용하는 회분식 공정과 버블 칼럼(bubble column)을 이용하는 연속공정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1>
촉매 Zn 2 Br 4 (μ-OCH 2 CH 2 -C 5 H 5 N) 2 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의 CH2Cl2에 ZnPy2Br2(2.0g, 5.2mmol)을 용해시킨 후, 에틸렌 옥사이드(0.23g, 5.2mmol)를 넣는다. 이 혼합 용액을 100㎖의 고압 반응기에서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백색의 고체를 fritted glass funnel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진공건조시켰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촉매들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2>
200㎖의 고압반응기에 에틸렌옥사이드(16.80g, 380mmol)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촉매 Zn2Br4(μ-OCH2CH2-C5H5N)2(0.24 g, 0.38 mmole)를 투입하고, 이산화탄소를 10기압으로 주입하였다. 온도를 100℃로 올린 후, 다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30기압이 되도록 하였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소모되는 양만큼의 이산화탄소를 계속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30기압으로 유지시켰다. 100℃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기를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질소를 이용하여 휘발성분을 제거한 후, 고체 생성물을 분리, 증류하였다.
생성물의 무게는 32.2g이었고, 수율은 95.8 %이었다.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수율은 (생성된 알킬렌카보네이트의 몰수)X100/(사용된 알킬렌옥사이드의 몰수)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금속화합물중의 할로겐이온(X)을 바꿔가며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요오드(I)인 경우의 수율이 특히 높다.
실시예 촉매 생성물(g) 수율(%)
3 Zn2Cl4(-OCH2CH2-C5H5N)2 20.4 60.7
4 Zn2I4(-OCH2CH2-C5H5N)2 33.1 98.5
<실시예 5-10>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촉매인 금속화합물중 할라이드 이온 리간드(X)는 Br로 고정하고 피리딘계 리간드의 종류를 바꿔가며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수율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촉매 생성물(g) 수율(%)
5 Zn2Br4[-OCH2CH2-(2-CH3)C5H5N]2 31.1 92.8
6 Zn2Br4[-OCH2CH2-(3-CH3)C5H5N]2 32.3 95.8
7 Zn2Br4[-OCH2CH2-(4-CH3)C5H5N]2 32.3 96.0
8 Zn2Br4[-OCH2CH2-(4-OCH3)C5H5N]2 30.3 90.1
9 Zn2Br4[-OCH2CH2-(4-Ph)C5H5N]2 31.3 92.8
10 Zn2Br4[-OCH2CH2-(4-t-Bu)C5H5N]2 32.5 96.8
<실시예 11-15>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촉매인 금속화합물중 에폭사이드의 알킬부분의 종류를 바꿔가며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촉매 생성물(g) 수율(%)
11 Zn2Br4[-OCH(CH3)CH2-C5H5N]2 31.2 93.1
12 Zn2Br4[-OCH(Ph)CH2-C5H5N]2 31.5 93.6
13 Zn2Br4[-OCH(OPh)CH2-C5H5N]2 33.1 98.5
14 Zn2Br4[-OCH(OCH3)CH2-C5H5N]2 32.1 95.6
15 Zn2Br4[-OCH(i-Bu)CH2-C5H5N]2 32.0 95.3
<실시예 16-19>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촉매의 양을 에틸렌옥사이드/촉매 = 3000이 되도록 고정하고,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으며 100℃ 이하에서는 수율이 낮지만 100℃ 이상이 되면 수율이 그다지 높아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반응온도(℃) 생성물(g) 수율(%)
16 60 7.9 23.5
17 100 21.2 63.2
18 120 30.9 92.0
19 140 33.3 98.9
<실시예 20-23>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촉매의 양을 에틸렌옥사이드/촉매 = 3000이 되도록 고정하고,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수율의 압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반응압력(기압) 생성물(g) 수율(%)
20 100 21.9 65.3
21 70 20.9 61.9
22 50 21.2 63.2
23 10 21.0 65.5
<실시예 24-27>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16.80g(380mmol)로 고정하고 촉매 Zn2Br4(μ-OCH2CH2-C5H5N)2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촉매/에틸렌옥사이드(몰비)가 0.01이 넘으면 수율이 그다지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촉매/에틸렌옥사이드(몰비) 생성물(g) 수율(%)
24 0.1 33.3 99.1
25 0.01 32.9 97.9
26 0.003 21.2 63.2
27 0.0005 13.7 40.8
<실시예 28-30>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알킬렌옥사이드/촉매=500으로 고정하고 알킬렌옥사이드의 종류를 바꿔가며 실험을 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으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사용한 경우와 스티렌옥사이드를 사용한 경우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알킬렌옥사이드 생성물(g) 수율(%)
28 프로필렌옥사이드 38.0 98.0
29 2,3-에폭시 부탄 39.4 88.6
30 스티렌옥사이드 61.0 97.8
<실시예 31-32>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용매로서 원료 에틸렌옥사이드에 대해 중량비로 200%의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으며 수율이 용매의 종류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용매 생성물(g) 수율(%)
31 에틸렌카보네이트 31.5 93.8
32 프로필렌카보네이트 31.5 93.8
본 발명에 의하면 즉, 피리딘계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다리걸친 리간드(bridged ligand)와 할로겐이온을 리간드로 갖는 아연화합물을 촉매를 사용하면 저온저압에서 짧은 시간에 높은 수율로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부터알킬렌카보네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촉매는 촉매활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성물과의 분리가 용이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피리딘계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다리걸친 리간드(bridged ligand)와 할로겐이온을 리간드로 갖는 아연화합물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Znn(μ-OR)nX2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피리딘계로 이루어진 화합물이고, X는 Cl, Br, 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2또는 3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4 개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연화합물이 삼합체인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I 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이고, a, b, 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페닐기, -OCH3, 또는 -OPh이고,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OPh, -OCH3, 중에서 선택된다.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연화합물이 이합체인 [화학식 4]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I 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이고, a, b, 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페닐기, -OCH3, 또는 -OPh이고,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OPh, -OCH3, 중 하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를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하여 몰비가 0.0005-0.1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6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압력이 10-100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로 원료 알킬렌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07231A 2001-02-14 2001-02-14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38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31A KR100389459B1 (ko) 2001-02-14 2001-02-14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31A KR100389459B1 (ko) 2001-02-14 2001-02-14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19A true KR20020066819A (ko) 2002-08-21
KR100389459B1 KR100389459B1 (ko) 2003-06-27

Family

ID=2769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31A KR100389459B1 (ko) 2001-02-14 2001-02-14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4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957B1 (ko) * 2004-06-04 2006-08-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염과 지방족환형 아민염으로 구성되어 있는 촉매계를이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668043B1 (ko) * 2005-06-14 2007-01-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루프 반응기를 이용한 에틸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0671846B1 (ko) * 2006-03-27 2007-01-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순도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486483B1 (ko) * 2010-04-13 2015-01-2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다양한 고분자와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2150240B1 (ko) * 2019-10-14 2020-09-01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 방법
WO2023177590A1 (en) * 2022-03-14 2023-09-21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Direct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using choline chloride as catalyst under mild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741A (en) * 1982-11-15 1988-11-22 Scientific Design Company, Inc.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JP2732475B2 (ja) * 1988-08-09 1998-03-30 三井化学株式会社 亜鉛含有固体触媒およびこの触媒を用いた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法
JP3417418B2 (ja) * 1992-07-31 2003-06-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KR100271463B1 (ko) * 1998-07-13 2000-11-15 정명식 폴리(카보네이트-에스테르)및그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957B1 (ko) * 2004-06-04 2006-08-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염과 지방족환형 아민염으로 구성되어 있는 촉매계를이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668043B1 (ko) * 2005-06-14 2007-01-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루프 반응기를 이용한 에틸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0671846B1 (ko) * 2006-03-27 2007-01-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순도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486483B1 (ko) * 2010-04-13 2015-01-2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다양한 고분자와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2150240B1 (ko) * 2019-10-14 2020-09-01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 방법
WO2021075618A1 (ko) * 2019-10-14 2021-04-22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WO2023177590A1 (en) * 2022-03-14 2023-09-21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Direct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using choline chloride as catalyst under mild conditions
US11897860B2 (en) 2022-03-14 2024-02-13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Direct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using choline chloride as catalyst under mild cond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459B1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845B1 (ko) 금속할로겐 화합물과 피리딘 리간드로 구성된 촉매에 의한알킬렌카보네이트의 합성
US5349077A (en)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s
KR100389459B1 (ko)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Harthun et al. Proof of chiral dihydride complexes including catalyst and substrate during the bis (phosphinite) rhodium (I)‐catalyzed hydrogenation of dimethyl itaconate
KR101839877B1 (ko) 신규한 유기촉매 및 이를 이용한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359874B1 (ko) 알킬렌카보네이트 합성용 고활성 촉매
KR100321115B1 (ko)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US3748345A (en)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by reaction of alkylene oxides with carbon dioxide
KR100531132B1 (ko) 이미다졸륨 아연테트라할라이드 촉매를 이용한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321116B1 (ko) 납할로겐 및/또는 인듐할로겐을 촉매로 사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0612957B1 (ko) 금속염과 지방족환형 아민염으로 구성되어 있는 촉매계를이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US3983161A (en) Oxidation of unsaturated amines
KR100531131B1 (ko) 4급 암모늄 아연테트라할라이드 촉매를 이용한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0354454B1 (ko) 리튬할로겐을 촉매로 사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1232125B1 (ko)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촉매
KR102166840B1 (ko) 다중 수소결합을 가지는 유기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고리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US4816595A (en) Preparation of carbonate esters
KR100508700B1 (ko) 알킬렌카보네이트 합성용 고분자 지지촉매와 이를 이용한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20190111287A (ko) 페놀계 유기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고리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2164875B1 (ko) 6족 금속 무할라이드 단일 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고리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186287B1 (ko) 고에너지 선폴리머 합성용 모노머인 글리시딜 나이트레이트의 합성 및 그의 중합방법
WO2024053350A1 (ja) アミノアジド化合物、ジアミン化合物、及びエドキサバンの製造方法
JPH06343870A (ja) ジアルキルカーボネートとグリコールの同時製造方法
JPH02282382A (ja) 4―ビニル1,3―ジオキソラ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S596292B2 (ja) プロピレングリコ−ル及びその酢酸エステル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