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802A -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802A
KR20020062802A KR1020010075608A KR20010075608A KR20020062802A KR 20020062802 A KR20020062802 A KR 20020062802A KR 1020010075608 A KR1020010075608 A KR 1020010075608A KR 20010075608 A KR20010075608 A KR 20010075608A KR 20020062802 A KR20020062802 A KR 20020062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ields
period
frame
subfiel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또아끼라
구리야마히로히또
고지마아야히또
도다고사꾸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non-binary we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03Display of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09G3/29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by varying the frequency of sustain pulses or the number of sustain pulses proportionally in each subfield of the whol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being organized in consecutive sub-fram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50㎐에서 동작하는 경우라도 플리커가 적은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한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필드 중 휘도의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 간격으로 배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OF DRIVING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서브 필드 구성으로 계조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서브 필드가 적어도 어드레스 기간과 점등 기간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간단하게, PDP로 칭함)를 예로서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브 필드 구성으로 계조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 각 서브 필드가 적어도 어드레스 기간과 점등 기간을 갖는 표시 장치이면 적용 가능하다.
PDP에 대해서는, 특개평9-212124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개략의 구성과 구동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3전극형 PDP(101)를 사용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PDP(101)의 어드레스 전극 A1, …, Am은 각각 어드레스 드라이버(105)에 접속되고, 어드레스 드라이버(105)에 의해 어드레스 기간에 어드레스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Y전극 Y1, Y2, …, Yn은 각각 Y 스캔 드라이버(102)에 접속된다. Y 스캔 드라이버(102)에는 Y 공통 드라이버(103)가 접속되어 있다. Y 스캔 드라이버(102)는, 어드레스 기간에는 발생한 어드레스 펄스를 순차적으로 Y전극에 인가하고, 유지 방전(서스테인) 기간에는 Y 공통 드라이버(103)에서 발생한 서스테인 펄스를 Y전극에 공통으로 인가한다. X전극은 패널의 모든 표시 라인에 걸쳐 공통으로 접속되고, 서스테인 기간에는 X 공통 드라이버(104)로부터 서스테인 펄스가 공통으로 인가된다. 이들 드라이버 회로는 제어 회로(10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회로(106)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07)와 패널 구동 제어부(109)를 갖는다. 표시 데이터 제어부(107)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8)에 전개하여, PDP에서의 계조 표시용의 서브 필드 구성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어드레스 드라이버(105)로 출력한다. 패널 구동 제어부(109)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로부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각 부에 인가한다.
도 2는 PDP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동 파형은 소위 「어드레스/서스테인 기간 분리형·기입 어드레스 방식」에서의 1서브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1서브 필드는 리세트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서스테인) 기간을 갖는다.
리세트 기간에서는, 우선 모든 Y전극이 0V 레벨로 되고, 동시에 X전극에 전압 Vs+Vw로 이루어진 전면 기입 펄스가 인가되고, 어드레스 전극에 Vaw의 펄스가 인가되며, 이전의 표시 상태에 상관없이 모든 셀에서 리세트 방전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X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의 전위가 0V로 되고, 모든 셀에서 벽 전하 자체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하여 방전이 개시된다. 전극간에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이 방전에 의해서는 벽 전하가 형성되지 않고, 공간 전하는 자기 중화되어 방전이 종식된다. 이 방전이 소위 자기 중화 방전이다. 이 자기 중화 방전에 의해, 모든 셀이 벽 전하가 없는 균일한 상태로 된다. 이 리세트 기간은 이전의 서브 필드의 점등 상태에 상관없이 모든 셀을 동일한 상태로 하는 작용이 있으며, 다음의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다음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각 셀을 표시 데이터에 따른 상태로 하기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선 순차로 행해진다. 우선, Y전극에 -VY의 스캔 펄스를 인가하고, 그것에 동기하여 어드레스 전극 중의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셀, 즉 점등시키는 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에 전압 Va의 어드레스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점등시키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과 Y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고, 다음으로 이것을 프라이밍(priming)(pilot flame)으로 하여 X전극과 Y전극 사이의 방전으로 즉시 이행한다. 전자의 방전을 「프라이밍 어드레스 방전」, 후자를 「주 어드레스 방전」이라 한다. 이에 따라, 선택 라인의 선택 셀의 X전극과 Y전극 상에 유지 방전 가능한 양의 벽 전하가 축적한다.
이하, 다른 표시 라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행해져, 모든 표시 라인에서 표시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
다음의 유지 방전(서스테인) 기간에서는, Y전극과 X전극에 교대로 전압이 Vs(약 180V)로 이루어진 유지 방전(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어 유지 방전이 행해지고, 1서브 필드의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또, 이러한 「어드레스/서스테인 기간 분리형·기입 어드레스 방식」에서는 서스테인 기간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수, 즉 서스테인 기간의 장단(長短)에 의해 각 서브 필드의 휘도가 결정된다.
또, 도 2의 구동 파형은 일례이며, 다양한 다른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세트 기간에 있어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펄스를 인가하여 리세트 방전에 의한 발광을 저감하여 표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방식이나, 리세트 기간에 균일한 벽 전하를 남기고,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비점등의 셀에서 어드레스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PDP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셀마다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다계조 표시를 행한다. 도 3은 1프레임을 8개의 서브 필드 SF1∼SF8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각 서브 필드는 각각 리세트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서스테인) 기간을 갖는다. 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의 주기와 모든 서브 필드의 기간의 합계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와 같은 경우에는 프레임에 휴지 기간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표시 방식에는 Vsync 주파수가 60㎐인 경우와 50㎐인 경우가 있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60㎐용으로 제작하고, 50㎐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지 기간을 설치하여 1프레임의 주기를 맞추고 있다. 이 휴지 기간은 어떠한 표시 동작도 행하지 않는 기간으로, 휴지 기간의 길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고, 일단 결정된 후에는 고정인 경우도 있지만, 전력 제어를 위해 1프레임 내의 모든 셀의 서스테인 펄스수의 합계인 총 펄스수를 제어하는 경우나, 각 서브 필드의 표시 부하에 상관없이 서브 필드간의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펄스수를 조정하는 경우 등, 즉, 서스테인 기간(점등 기간)을 변화시키는 경우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변화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콘트라스트의 향상이나 리세트 기간의 단축 등을 위해, 일부의 서브 필드에는 리세트 기간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서브 필드간의 휘도비는 1 : 2 : 4 : 8 …과 같이 2의 누승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이 휘도비는 적은 서브 필드수로 가장 많은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필드수가 4이면 계조 레벨 0으로부터 15까지의 16레벨의 계조가 표시 가능하고, 서브 필드수가 6이면 계조 레벨 0으로부터 63까지의 64레벨의 계조가 표시 가능하고, 서브 필드수가 8이면 계조 레벨 0으로부터 255까지의 256레벨의 계조가 표시 가능하다.
「어드레스/서스테인 기간 분리형·기입 어드레스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 서브 필드법에 의해 계조 표시를 행하는 경우, 각 서브 필드에는 어드레스 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이 행해지는 서스테인 기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게다가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하는 화상에 의해 플리커나 위색 윤곽(color false contour)이라는 표시 품질의 열화가 문제로 된다. 그래서, 특개평3-145691호 공보는, 상기한 휘도비를 2의 누승으로 설정하는 1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 구성에 있어서, 휘도의 웨이트가 가장 큰 서브 필드를 중심에 배치하고,휘도의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를 그 양측에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플리커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로도 표시 품질은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특개평7-271325호 공보에서, 유사한 휘도를 갖는 복수의 서브 필드를 설치하고, 계조 레벨에 따라 적절하게 발광시키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중간조의 혼란(disturbance)을 저감시킨 구동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의 특성에 의해 60㎐ 미만의 점멸에서는 플리커가 검지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NTSC 방식에서는 Vsync 주파수는 60㎐이지만, 유럽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PAL/SECAM 방식에서는 50㎐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1프레임이 50㎐ 동작인 경우라도 플리커가 없는 고품질의 영상이 요구된다. NTSC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한 특개평3-145691호 공보나 특개평7-27132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적용하여 영상 품질을 개선한 경우에는 플리커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PAL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한 기술을 적용해도 플리커가 문제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현상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특개평7-271325호 공보에 개시된 유사의 휘도를 갖는 복수의 서브 필드를 설치하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프레임 구성으로 50㎐에서 동작시킨 경우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프레임 구성에서는, 휘도 웨이트가 24,16, 8, 4의 서브 필드를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의 서브 필드를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큰 서브 필드로부터 순서대로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필드에서는 서스테인 기간에 발광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광 기간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발광 강도의 변화로부터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면, 도 4의 (b)와 같이 프레임의 양측의 발광 강도가 높고 중심 부근이 낮아진다. 실제 동작에서는 이 상태가 반복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프레임도 포함시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인접하는 프레임에서도 양측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발광 강도는 50㎐의 주기로 반복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의 눈에 주로 검지되는 0㎐의 성분과 50㎐의 성분의 차가 작고, 50㎐의 성분의 절대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4의 서브 필드 배열의 프레임 구성으로 50㎐로 동작시킨 경우에, 50㎐의 플리커를 강하게 느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6의 (a)는 특개평3-145691호 공보에 개시된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그 경우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발광 휘도는 프레임의 중심에서 높고, 양측에서는 낮다. 그 때문에, 마찬가지로, 0㎐의 성분과 50㎐의 성분의 차가 작고, 50㎐의 성분의 절대치가 크며, 50㎐의 플리커를 강하게 느끼게 된다.
이상과 같이, 50㎐에서 동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50㎐의 플리커를 강하게 느끼고, 영상 품질상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브 필드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휴지 기간이 설치되고, 휴지 기간의 길이는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경우나 서브 필드간의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 등에서는 변화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지 기간은 프레임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휴지 기간이 길어지면 발광 기간인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가 변화된다. 프레임 구성은 표시 방식에 맞춰 결정되고,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가 변화되면 영상 품질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50㎐에서 구동되는 경우,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50㎐의 주파수 성분이 증가되어 영상 품질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영상 품질에 관계되는 항목은 다양하지만,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한 문제로서는 상기한 플리커나, 동화상에서의 윤곽의 열화 등이 있다. 동화상에서의 윤곽의 열화 문제는, 예를 들면, 컬러 표시 장치에서 동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이동하는 부분의 윤곽이 임의의 색으로 채색된 위색 윤곽이 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한 특개평7-27132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이 위색 윤곽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을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50㎐에서 동작시킨 경우에는 플리커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한정된 개수의 서브 필드로 모든 영상 품질에 관계되는 항목을 양호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목적은 50㎐에서동작하는 경우에서도 플리커가 적은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고, 제2 목적은 많은 영상 품질에 관계되는 항목에 대하여 양호한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한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원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서브 필드 중 휘도의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를 상기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프레임이 n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되며, n개의 서브 필드의 휘도를 각각 Bi(i=1∼n; B1≤B2 … Bn-1≤Bn)로 하였을 때, 휘도 Bn을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1을 갖는 서브 필드)가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강도의 1프레임 내에 2개의 피크를 갖고, 그 간격은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이다. 발광 강도는 인접하는 프레임에서도 동일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주기로 변화되게 된다. 표시 장치가 50㎐에서 구동되고, 1프레임 길이가 20㎳이면, 발광 강도의 변화 주기는 10㎳로 되며, 발광 강도는 100㎐로 변화되기 때문에 플리커는 검지되지 않는다.
또, 휘도의 웨이트가 다음으로 높은 2개의 서브 필드(n개의 서브 필드 중, 휘도 Bn-2를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3을 갖는 서브 필드)도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각각이 상기 휘도의 웨이트가 가장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일한 웨이트의 서브 필드가 각각 2개씩 존재하지 않는 한,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없다. 또한, 휴지 기간이 생기고, 종래와 같이 휴지 기간을 연속된 하나의 기간으로 하는 경우에도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없다. 그러나, 정확히 프레임 길이의 1/2의 간격이 아니어도, 그것에 근접하는 간격이면, 플리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4의 프레임 구성과 마찬가지로, 휘도 웨이트가 24, 16, 8, 4인 서브 필드를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인 서브 필드를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휘도 웨이트가 16인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각각이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경우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프레임 구성의 주파수 분석의 결과에 비해, 사람의 눈에 플리커로서 파악되는 50㎐의 성분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휴지 기간을 복수의 휴지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은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 사이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휴지 기간이 생긴 경우에, 휴지 기간을 복수의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을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 사이에 배치하기 때문에, 휴지 기간을 설치하거나, 휴지 기간이 길어져도 각 서브 필드의 발광 기간의 위치의 변화가 작고, 발광 강도 변화의 저주파 성분의 증가를 작게 할 수있기 때문에, 플리커는 증가되지 않는다.
각 서브 필드의 발광 기간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지 기간을 서브 필드의 개수만큼의 기간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 필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프레임을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의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나누어, 휘도의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한쪽은 전 프레임에 설치하고, 다른쪽은 후 프레임에 설치하도록 하며, 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과 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의 간격을 고정하면, 휘도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간격은 거의 프레임 길이의 1/2로 유지된다. 이 경우, 휘도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는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의 선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 서브 필드의 휘도가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개수로 결정되는 구동 방법에 있어서, 각 서브 필드의 휘도는 점등 기간의 점등 펄스수로 결정되며, 1프레임의 점등 펄스수의 합계를 변화시켰을 때에, 어드레스 기간과 점등 기간 중 적어도 한쪽의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原)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켰기 때문에, 각 서브 필드의 어드레스 기간 및 점등 기간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점등 펄스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각 서브 필드의 점등 기간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점등 기간의 원 클럭 주파수만을 변화시켜,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주기만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정지 화상, 동화상 등의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에 따라 1프레임 내의 복수의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가 복수 기억되어 있고, 판정된 화상의 종류에 따라 기억된 복수의 배치 순서로부터 선택한 하나의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로 표시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한된 개수의 서브 필드로 모든 영상 품질에 관계되는 항목을 양호하게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영상의 종류에 따라 그것에 적합한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상 양호한 품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PDP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PDP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PDP 표시 장치)에서 계조 표시하는 어드레스/유지 방전 분리형 어드레스 방식의 타임차트.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PDP 표시 장치)의 종래의 프레임 구성과 50㎐ 동작 시의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PDP 표시 장치)의 종래의 다른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발광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의 발광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3 실시예에서의 발광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6 실시예에서의 패널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6 실시예에서의 서스테인 펄스 주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의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7 실시예에서의 제어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PDP 패널
102 : Y 스캔 드라이버
103 : Y 공통 드라이버
104 : X 공통 드라이버
105 : 어드레스 드라이버
106 : 제어 회로
107 : 표시 데이터 제어부
108 : 프레임 메모리
109 : 패널 구동 제어부
110 :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
111 : 공통 드라이버 제어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는 휘도 웨이트가 24, 16, 8, 4인 서브 필드가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인 서브 필드가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24, 8, 4, 16, 1, 2, 24, 8, 4, 16의 순으로 서브 필드를 배치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휴지 기간을 프레임의 끝에 배치하고, 휘도 웨이트가 24인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이 휴지 기간도 포함시킨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이 되도록 배치하며, 또한 휘도 웨이트가 16인 2개의 서브 필드를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각각이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만약 휴지 기간이 작은 경우에는, 휘도 웨이트가 1 또는 2인 서브 필드의 한쪽을 뒷쪽의 휘도 웨이트가 16인 서브 필드의 뒤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높은 피크가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다음으로 높은 2개의 피크가 2개의 가장 높은 피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가장 높은 피크는 거의 100㎐에서 발생하고, 4개의 높은 피크는 거의 200㎐에서 발생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결과를 나타내고, 0㎐의 성분에 비해 50㎐의 성분이 낮아지고, 100㎐와 같은 정도의 레벨에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은, 적은 서브 필드의 개수로 가장 다수의 계조 레벨을 표현할 수 있는 휘도 웨이트가 2의 누승으로 변화되는 도 6에 도시한 서브 필드의 배열순을 변경한 구성을 갖는다. 도 11의 (a)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는, 도 11의 (b)와 같고, 도 6의 종래예의 배열순에 비해 상위 2개의 피크의 위치가 프레임 길이의 1/2에 근접하는 값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50㎐의 성분이 저하되고, 사람의 눈에 검지되지 않는 100㎐의 성분이 증가되어 플리커가 저감된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b)는 그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50㎐에서 동작하고, 반드시 휴지 기간이 생기는 경우의 예이다.
제3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는, 휘도 웨이트가 24, 16, 8, 4인 서브 필드가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인 서브 필드가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24, 8, 4, 16, 1, 2의 순으로 서브 필드를 배치한 후, 제1 휴지 기간을 설치하고, 그 후 휘도 웨이트가 24, 8, 4, 16의 순으로 서브 필드를 배치하고, 다시 제2 휴지 기간을 설치하고 있다. 즉, 휴지 기간을 2개로 나누어 분리된 서브 필드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는 휴지 기간의 뒤에 배치하고(이전의 휘도 웨이트가 24인 서브 필드의 앞에는 이전의 프레임의 휴지 기간이 있음), 휴지 기간의 길이가 변화된 경우에는,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휴지 기간의 길이를 각각 변화시킨다. 도 12의 (c)는 휴지 기간이 감소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제1 휴지 기간이 없어지고, 제2 휴지 기간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는, 거의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결과와 동일하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그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제어 방법이 다르다. 제4 실시예에서는, 1프레임을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으로 나누고, 전 프레임에는 휘도 웨이트가 24, 8, 4,16, 1, 2의 순으로 6개의 서브 필드를 설치하고, 후 프레임에는 휘도 웨이트가 24, 8, 4, 16의 순으로 4개의 서브 필드를 설치하고, 또한 휴지 기간을 설치한다.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 사이에는 다음 프레임 대기 시간을 설치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Vsync 신호로부터 주기가 1/2 프레임의 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로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을 제어한다. 따라서, 전 프레임과 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은 일정하다. 휘도 조정 등으로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시간이 변화되었을 때는, 다음 프레임 대기 시간 및 후 프레임 내의 휴지 기간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시간이 변화되어도, 휘도 웨이트가 24인 2개의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도 13의 (c)는 휴지 기간이 감소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 대기 시간이 없어지고, 후 프레임 내의 휴지 기간만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결과와 거의 동일하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의 (b)는 그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의 (c)는 휴지 기간이 없을 때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는, 휘도 웨이트가 24, 16, 8, 4인 서브 필드가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인 서브 필드가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24, 8, 4, 16, 1, 2, 24, 8, 4, 16의 순으로 서브 필드를 배치하고 있다. 전반의 5개의 서브 필드에서는 앞부분에 휴지 기간을 설치하고, 후반의 5개의 서브 필드에서는 뒷부분에 휴지 기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프레임 전체의 휴지 기간의 길이가 변화되었을 때는,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중심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10개의 서브 필드의 각 휴지 기간의 길이를 조정한다. 따라서, 프레임 전체의 휴지 기간이 없어졌을 때는 프레임 구성은 도 14의 (c)와 같아진다. 제5 실시예에서는, 발광 강도는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되고, 그 변화의 모습은 휴지 기간의 길이가 변화되어도 거의 일정하며, 강도의 절대치만이 변화된다.
따라서, 제5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는, 거의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결과와 동일하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의 (b)는 그 발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6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는, 휘도 웨이트가 24, 16, 8, 4인 서브 필드가 각각 2개씩, 휘도 웨이트가 2와 1인 서브 필드가 1개씩, 합계 10개의 서브 필드가 설치되고, 휘도 웨이트가 24, 8, 4, 1 6, 1, 2, 24, 8, 4, 16의 순으로 서브 필드를 배치하고 있다. 프레임 전체의 서스테인 펄스수를 변화시킬 때는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를 변화시켜,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는 변화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전체의 서스테인 펄스수가 20% 감소되었을 때는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를 1.25배로 하고, 서스테인 펄스수가 반으로 감소되었을 때는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를 2배로 하는 상태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서는,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제6 실시예에서는,발광 강도 변화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되고, 그 변화의 모습은 서스테인 펄스수가 변화되어도 거의 일정하며, 강도의 절대치만이 변화된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강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결과와 거의 동일하다.
제6 실시예의 구동 방법을 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PDP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서, 패널 구동 제어부(109)를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를 가변으로 한다. 패널 구동 제어부(109)에서는, CPU(121)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조정 신호 또는 내부에서 행하는 전력 제어 등에 따라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펄스수를 제어한다.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은 일정하고, CPU(121)는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펄스수와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로부터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주파수)를 결정하며,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D/A 컨버터(122)로 출력한다. D/A 컨버터(122)는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여 VCO(123)에 인가한다. VCO(123)는 이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한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고,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110)와 공통 드라이버 제어부(111)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럭 주기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된 클럭의 주기는 스캔 드라이버 제어부(110)와 공통 드라이버 제어부(111)에서의 제어 신호 출력의 기본 주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클럭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Y 스캔 드라이버 제어 신호와 X/Y 공통 드라이버 제어 신호의 출력 주기가 변화된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서의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서스테인 기간에서의 클럭 신호의 주기를 3배로 변화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스테인 펄스수를 1/3로 감소시키는 경우, 서스테인 기간에서의 클럭 신호의 주기를 3배로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X전극과 Y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를 생성하는 실행 시간도 3배로 되며, 서스테인 펄스의 주기는 3배로 된다. 그러나,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는 동일하기 때문에, 서스테인 기간에 생성되는 서스테인 펄스수는 1/3이 된다. 이와 같이, 서스테인 기간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서스테인 펄스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스테인 펄스수가 변화되는 경우라도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1프레임 내의 발광 강도의 변화의 모습도 일정하며, 절대치만이 변화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7 실시예에서는, 도 1의 PDP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6)에 움직임 검출부(130)를 설치한다. 움직임 검출부(130)는 프레임 메모리(132)와, 프레임 메모리(132)에 기억된 이전의 프레임의 표시 데이터와 다음에 표시하는 프레임의 표시 데이터를 셀마다 비교하는 비교기(131)를 갖는다. 프레임 메모리(132)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07)에 설치된 프레임 메모리(108)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지 화상의 경우에는 이전의 프레임과 다음의 프레임의 표시 데이터는 거의 변화되지 않지만, 동화상 등의 비정지 화상의 경우에는 크게 변화된다. 따라서, 각 셀에서의 차가 작으면 정지 화상으로 판정하고, 차가 크면 비정지 화상으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검출 신호로서 패널 구동 제어부(109)로 출력한다.
도 19는 패널 구동 제어부(109)에서의 프레임 구성 제어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201에서는 검출 신호로부터 정지 화상인지를 판정한다. 정지 화상이면, 단계 202에서 정지 화상용 프레임 구성으로 설정한다. 이 정지 화상용 프레임 구성은,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이다. 한편, 동화상 등의 비정지 화상이면, 단계 203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정지 화상용 프레임 구성으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개수의 서브 필드로 모든 영상 품질에 관계되는 항목을 양호하게 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제7 실시예에서는 표시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프레임 구성을 채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1)
1프레임을 n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서브 필드의 휘도를 각각 Bi(i=1∼n; B1≤B2 … Bn-1≤Bn)로 했을 때, 휘도 Bn을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1을 갖는 서브 필드를 상기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2)
상기 n개의 서브 필드 중, 휘도 Bn-2를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3을 갖는서브 필드를, 상기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각각이 상기 휘도의 웨이트가 가장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3)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1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고, 상기 1프레임 내에 휴지 기간이 생겼을 때, 상기 휴지 기간을 복수의 휴지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을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 사이에 배치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4)
상기 휴지 기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개수로 분할되고, 각 서브 필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부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5)
각 서브 필드의 휘도는 상기 점등 기간의 점등 펄스수로 결정되고, 1프레임의 점등 펄스수의 합계를 변화시켰을 때, 상기 어드레스 기간과 상기 점등 기간 간의 적어도 한쪽의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6)
상기 어드레스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만을 변화시켜, 상기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주기를 변화시키는 부기 5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7)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1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고, 상기 1프레임 내에 휴지 기간이 생겼을 때, 상기 휴지 기간을 복수의 휴지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을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들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8)
상기 휴지 기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개수로 분할되고, 각 서브 필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부기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9)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를, 휘도의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한쪽은 전 프레임에 속하고, 다른쪽은 후 프레임에 속하도록,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나누고,
상기 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과 상기 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의 간격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10)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각 서브 필드의 휘도가 상기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개수로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1프레임의 점등 펄스수의 합계를 변화시켰을 때, 상기 어드레스 기간과 상기 점등 기간 중 적어도 한쪽의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11)
상기 어드레스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만을 변화시켜, 상기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주기를 변화시키는 부기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12)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1프레임 내의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가 복수 기억되어 있고,
판정된 화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치 순서로부터 선택한 하나의 상기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로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부기 13)
부기 1 내지 부기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동 방법을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필드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50㎐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도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 등에 의해 서스테인 펄스수를 변화시키는 경우도, 발광 기간인 각 서브 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 품질을 열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영상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양호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프레임을 n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서브 필드의 휘도를 각각 Bi(i=1∼n; B1≤B2 … Bn-1≤Bn)로 하였을 때, 휘도 Bn을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1을 갖는 서브 필드를 상기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서브 필드 중, 휘도 Bn-2를 갖는 서브 필드 및 휘도 Bn-3을 갖는 서브 필드를, 상기 프레임 길이의 거의 1/2의 간격으로, 각각이 상기 휘도의 웨이트가 가장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1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고, 상기 1프레임 내에 휴지 기간이 생겼을 때, 상기 휴지 기간을 복수의 휴지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을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들 사이에 배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기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개수로 분할되고, 각 서브 필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1항에 있어서,
각 서브 필드의 휘도는 상기 점등 기간의 점등 펄스수로 결정되고, 1프레임의 점등 펄스수의 합계를 변화시켰을 때, 상기 어드레스 기간과 상기 점등 기간 간의 적어도 한쪽의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길이의 합계가 상기 1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고, 상기 1프레임 내에 휴지 기간이 생겼을 때, 상기 휴지 기간을 복수의 휴지 기간으로 나누고, 분할된 휴지 기간을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 필드들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기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개수로 분할되고, 각 서브 필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를, 휘도의 웨이트가 높은 2개의 서브 필드의 한쪽은 전 프레임에 속하고, 다른쪽은 후 프레임에 속하도록,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나누고,
상기 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과 상기 후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의 간격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각 서브 필드의 휘도가 상기 점등 기간에 인가되는 점등 펄스의 개수로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1프레임의 점등 펄스수의 합계를 변화시켰을 때, 상기 어드레스 기간과 상기 점등 기간 간의 적어도 한쪽의 기간의 실행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원 클럭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구성하고, 각 서브 필드는 적어도 표시하는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한 셀을 점등하는 점등 기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 중 점등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1프레임 내의 상기 복수의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가 복수 기억되어 있고,
판정된 화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치 순서로부터 선택한 하나의 상기 서브 필드의 배치 순서로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방법을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10075608A 2001-01-25 2001-12-01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62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7471A JP2002221934A (ja) 2001-01-25 2001-01-25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01-00017471 2001-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02A true KR20020062802A (ko) 2002-07-31

Family

ID=1888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608A KR20020062802A (ko) 2001-01-25 2001-12-01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26617B2 (ko)
EP (1) EP1233397A3 (ko)
JP (1) JP2002221934A (ko)
KR (1) KR20020062802A (ko)
CN (2) CN1196092C (ko)
TW (1) TW54302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38B1 (ko) * 2003-03-25 2007-07-2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180027178A (ko) * 2016-09-06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23B1 (ko) * 2001-09-28 2004-07-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67447B1 (ko) * 2001-11-12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N101118722B (zh) * 2002-03-12 2010-10-06 日立等离子显示器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装置
KR100537610B1 (ko) * 2002-05-01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유지 펄스들의 주파수가 변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US7221335B2 (en) 2003-02-18 2007-05-22 Samsung Sdi Co., Ltd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
US7339557B2 (en) * 2003-03-26 2008-03-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isplay apparatus
KR100502929B1 (ko) * 2003-08-05 2005-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497234B1 (ko) * 2003-10-01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570681B1 (ko) 2003-10-3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7379042B2 (en) * 2003-11-21 2008-05-27 Au Op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electroluminescence devices with stressed pixels
JP4591081B2 (ja) * 2004-02-02 2010-12-0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521471B1 (ko) 2004-05-28 2005-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브필드 위치 변동 방지를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612279B1 (ko) 2004-08-13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4420866B2 (ja) 2004-08-13 2010-02-2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06113445A (ja) * 2004-10-18 2006-04-27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同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4867170B2 (ja) * 2005-01-17 2012-0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
EP1720148A3 (en) * 2005-05-02 2007-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gray scale driving method with subframes thereof
JP4552844B2 (ja) 2005-06-09 2010-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EP1758072A3 (en) * 2005-08-24 2007-05-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10361B2 (en) * 2005-10-18 2010-05-0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811603B1 (ko) * 2005-10-18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70047551A (ko) * 2005-11-02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6584B1 (ko) * 2006-03-07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16483A (ja) * 2006-05-29 2007-12-06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装置用の駆動回路及び映像表示方法
KR100786095B1 (ko) 2006-08-10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소자의 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0458880C (zh) * 2006-10-30 2009-02-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一种光电装置
KR20080088068A (ko) * 2007-03-28 2008-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309475B2 (ja) * 2007-06-05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方法、表示装置、表示パネル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82908B1 (ko) * 2007-06-21 2009-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JP5798707B2 (ja) 2008-01-28 2015-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5211732B2 (ja) * 2008-02-14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点灯期間設定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点灯条件設定装置、半導体デバイス、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102074185A (zh) * 2009-12-31 2011-05-25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器的图像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118A (ja) * 1996-09-11 1998-04-10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H11212516A (ja) * 1998-01-27 1999-08-06 Gendai Denshi Sangyo Japan Kk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00016955A (ko) * 1998-08-19 2000-03-25 루엘랑 브리지뜨 광역플리커효과감소를위해비디오화상을처리하는방법및장치
JP2000137461A (ja) * 1999-12-13 2000-05-16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144B2 (ja) 1989-11-01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駆動回路、及び階調表示方法
JPH05127612A (ja) 1991-11-05 1993-05-25 Nippon Hoso Kyokai <Nhk> 中間調画像表示方法
JP2853537B2 (ja) * 1993-11-26 1999-02-03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
US6222512B1 (en) 1994-02-08 2001-04-24 Fujitsu Limited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isplaying gray-scales in a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JP3489884B2 (ja) 1994-02-08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における中間調表示方法
CA2184129A1 (en) * 1995-08-31 1997-03-01 Donald B. Doherty Bit-splitting for pulse width modulated spatial light modulator
JP3322809B2 (ja) 1995-10-24 2002-09-0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及び装置
US5818419A (en) * 1995-10-31 1998-10-06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5940142A (en) * 1995-11-17 1999-08-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driving for a gray scale expression, and a driving circuit therefor
JP3417246B2 (ja) * 1996-09-25 2003-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階調表示方法
JP2962245B2 (ja) * 1996-10-23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階調表示方法
JPH10207426A (ja) 1997-01-21 1998-08-07 Victor Co Of Japan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制御装置
JP3529241B2 (ja) * 1997-04-26 2004-05-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表示方法
US6369782B2 (en) * 1997-04-26 2002-04-09 Pioneer Electric Corporation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DE69839542D1 (de) * 1997-08-07 2008-07-10 Hitachi Ltd Farbbildanzeigeeinrichtung und -verfahren
JP3423865B2 (ja) * 1997-09-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Ac型pdp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
JP3585369B2 (ja) * 1998-04-22 2004-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286823B1 (ko) * 1998-06-27 2001-04-1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DE19837307A1 (de) * 1998-08-18 2000-03-02 Grundig Ag Pulsbreitengesteuerte Bildanzeigevorrichtung
KR100585631B1 (ko) * 1999-04-10 200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표현 방법
JP2000322025A (ja) * 1999-05-14 2000-11-24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638099B2 (ja) * 1999-07-28 2005-04-13 パイオニア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サブフィールド階調表示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EP1233395A4 (en) 1999-10-19 2008-11-19 BRIGHTNESS ASSAY PROCESS WITH EFFECTIVE REDUCTION OF FLUID AND DISPLAY WITH BRIGHTNESS LEV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118A (ja) * 1996-09-11 1998-04-10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H11212516A (ja) * 1998-01-27 1999-08-06 Gendai Denshi Sangyo Japan Kk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00016955A (ko) * 1998-08-19 2000-03-25 루엘랑 브리지뜨 광역플리커효과감소를위해비디오화상을처리하는방법및장치
JP2000137461A (ja) * 1999-12-13 2000-05-16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38B1 (ko) * 2003-03-25 2007-07-2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180027178A (ko) * 2016-09-06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1543A (zh) 2005-03-09
US7126617B2 (en) 2006-10-24
CN1367477A (zh) 2002-09-04
JP2002221934A (ja) 2002-08-09
EP1233397A3 (en) 2006-04-05
CN1196092C (zh) 2005-04-06
US20020097201A1 (en) 2002-07-25
US20060273988A1 (en) 2006-12-07
TW543020B (en) 2003-07-21
CN100390842C (zh) 2008-05-28
EP1233397A2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802A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3259253B2 (ja)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US7375702B2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6424325B1 (en) Circuit for and method of driving a flat panel display in a sub field mode and a flat panel display with such a circuit
JPH07152341A (ja) 平面表示装置
JPH1027496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
KR19980069801A (ko)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0878867B1 (ko) 다계조 표시 방법 및 장치
JPH0876716A (ja) マルチスキャン適応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868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JPH09218662A (ja) 自発光画像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688368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116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1306029A (ja) Ac型pdpの駆動方法
JP2720943B2 (ja)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
WO2003032352A2 (en)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48743A (ja) 階調表示方法
US20050062690A1 (en) Image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00000339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788577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336561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124964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6476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KR1007716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817055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13

Effective date: 2008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