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909A -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909A
KR20020056909A KR1020027005945A KR20027005945A KR20020056909A KR 20020056909 A KR20020056909 A KR 20020056909A KR 1020027005945 A KR1020027005945 A KR 1020027005945A KR 20027005945 A KR20027005945 A KR 20027005945A KR 20020056909 A KR20020056909 A KR 2002005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ring
bearing housing
lev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508B1 (ko
Inventor
에이이치 미야케
Original Assignee
미야케 에이이치
상에이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케 에이이치, 상에이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케 에이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5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16C13/024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41Progressive continuous bonding press [e.g., roll 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라미네이터는, 기판(1) 및 필름(55)을 그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압착 롤(2)과, 그 양단부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을 포함한다. 각 베어링의 하우징에는, 레버(7)의 일단이 부착된다. 레버(7)의 타단은 압착 롤(2)의 축방향을 따라 뻗어, 베어링(3)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가압장치(14)가 레버(7)의 타단에 힘을 작용시켜, 베어링(3)을 통해 한 쌍의 압착 롤(2)사이의 기판(1) 및 필름(55)에 가압력을 가한다. 가압장치(14)는 또한, 한 쌍의 압착 롤(2)을 서로에 대하여 볼록해지도록 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는 휨 모멘트도 발생시킨다. 샤프트(16)가, 압착 롤(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베어링(3)의 하우징에는 연장 아암(17)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 아암(17)가 샤프트(16)에 연결됨으로써, 샤프트(16)가 베어링(3)을 지지한다. 베어링(3)의 하우징은,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16)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도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라미네이터{LAMINATOR}
한 쌍의 압착 롤을 이용하여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터는 공지되어 있다. 라미네이터를 향하여 반송되어 온 기판이, 한 쌍의 압착 롤 사이로 들어갈 때, 필름도 한 쌍의 압착 롤 사이에 공급됨으로써, 기판 위에 필름이 압착된다.
필름을 기판 위에 압착하려면 가압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가압력은, 에어 실린더 장치와 같은 가압장치에 의해, 압착 롤 양 단부의 베어링에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도 9는, 가압장치에 의해 압착 롤의 베어링에 힘이 가해졌을 때 압착 롤에 발생하는 휨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한 세트의 도면이다. (a)의 경우, 기판(1)을 샌드위칭하는 한 쌍의 압착 롤 양 단부의 베어링(3)에 대하여, A의 위치에 설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베어링(3)에 힘이 직접 가해지거나, 혹은 B의 위치에 설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압착 롤(2)을 따라 축방향 외방으로 뻗은 레버(4)를 통해 베어링(3)에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기판(1)을 샌드위칭하고 있는 압착 롤(2)은 휨 모멘트에 의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오목하게 휜다.이렇게 되면, 기판(1)의 중앙부에서는 압착 롤(2)에 의한 가압력이 줄어든다. 그 결과, 필름을 기판(1)에 균일한 힘으로 라미네이팅할 수 없다.
예컨대 프린트 기판에 감광성 레지스트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경우에는, 필름이 기판에 대하여 균일하게 압착될 것이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를 압착 롤(2)을 따라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시켜, 베어링(3)보다 축방향 내측의 위치(C)에 설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레버(4)를 통해 베어링(3)에 힘을 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평10[1998]-146891호 참조). 이러한 구성의 경우, 한 쌍의 압착 롤(2)은, 베어링(3)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 모멘트로 인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오목하게 휘는 경향이 있는 한편, 레버(4)의 내측 단부에 작용하는 힘과 레버(4)의 아암의 길이에 의해 베어링(3)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로 인해, (d)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볼록하게 휘는 경향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는 경향은 대부분 상쇄되고, 결국 한 쌍의 압착 롤(2)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평탄한 상태에서 기판(1) 및 필름에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5)를 통해 레버(4)의 내측 단부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도, (c)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f)의 구성은, 공간적 여유가 있는 외측의 위치(B)에 가압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기판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특징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롤 및 그 베어링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 단면 평면도, (b)는 일부 단면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가압장치의 작동과 압착 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가압 시의 측면도, (b)는 가압 해제 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외측)베어링 하우징 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압착 롤이 제거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제거시키기 전의 정면도, (b)는 제거시킨 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바아와 레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바아의 정면도, (b)는 바아와 여기에 부착된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아와는 다른 형태의 바아와, 여기에 부착된 레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편의 정면도, (b)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동기기구와는 다른 형태의 동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라미네이터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가압장치에 의해 압착 롤의 베어링에 힘이 가해졌을 때 압착 롤에 발생하는 휨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한 세트의 도면으로서, (a) 내지 (e)는 압착 롤(2)의 정면도이고, (a) 및 (f)는 좌측에 측면도가 부가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146891호에 개시된 아이디어에 근거하여,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기판 및 필름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을 구체화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압착 롤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은, 압착 롤을 원활히 회전시키는 동시에, 압착 롤에 발생되는 커다란 휨 모멘트를 견딜 것.
(2) 상기 베어링은, 상기 휨 모멘트에 의한 회전 운동 등을 받아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
(3) 압착 롤은, 그 축방향 및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기판의 반송방향)을 따라 거의 움직여서는 안된다.
(4)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뻗은 레버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 위치는, 가변적일 것.
(5) 가압장치에 관련된 쪽의 압착 롤은, 그에 대향되는 쪽의 압착 롤에 대하여 평행을 유지하면서 근접 이동 및 이반(離反) 이동할 수 있을 것.
(6) 압착 롤의 탈/부착이 용이할 것.
(7) 가압장치에 의해 힘 및 휨 모멘트가 압착 롤에 가해졌을 때, 한 쌍의 압착 롤이 서로 동일하게 변형되도록, 압착 롤과 그에 관련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기구가 한 쌍의 압착 롤에 있어서 서로 동일할 것.
이러한 조건중 적어도 몇 가지를 만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및 필름을 그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압착 롤,
압착 롤의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하는 베어링,
일단부가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압착 롤의 축선방향을 따라 베어링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 및
레버의 타단부에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베어링을 통해 한 쌍의 압착 롤사이의 기판 및 필름에 가압력을 부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압착 롤을 서로에 대하여 볼록해지도록 변형시키는 경향의 휨 모멘트를 생성시키는 가압장치를 구비하는, 기판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라미네이터로서,
압착 롤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도 회동될 수 있도록,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된 연장 아암이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라미네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구면 시트(seat)를 가지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롤링 베어링을 통해 샤프트의 양단부가 측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와 여기에 연결된 연장 아암 사이에는, 압착 롤 양단에서의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서로 동기하여 연동하도록, 샤프트와 연장 아암간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는 동기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타단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에 접촉하여 압착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가압장치를 압착 롤의 축방향을 따라 베어링 하우징보다 외측에 배치하고, 그 위치에서 바아에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 타단의 롤러에 간접적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홀을 압착 롤의 축방향을 따라 레버에 설치할 수 있고, 홀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힘의 도착위치를 변경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바아의 단면형상을 I형으로 하고,
한 개의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I형 바아의 웹부분 양측을 따라 2개의 레버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2개의 레버 각각의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가 I형 바아의 웹부분 양측에서 I형 바아의 2개의 플랜지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웹부분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샤프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I형 바아의 웹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는 사각의 외형을 가지는 중공의 바아이며, 압착 롤에 대향되는 측벽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길이방향으로 뻗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가 레버 타단의 양측에 한 개씩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개구로부터 중공 바아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각 롤러는 중공 바아의 내부에서 개구의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외측의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와 내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연장 아암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를 받아들이기 위한 C형 홀을 가지며,
상기 레버가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압착 롤을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압착 롤의 단부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 롤링 베어링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단부 샤프트의 외측 단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어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중공의 샤프트를 가지고 있는 기어, 및 중공의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을 구비하며,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의 C형 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쪽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압착 롤의 단부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을 구비하며,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의 C형 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착 롤이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베어링 하우징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레버 타단에 설치된 롤러와는 별도로, 바아와 걸림결합될 수 있는 유지부재를 레버 또는 베어링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가 베어링 하우징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샤프트는 롤링 베어링을 통해 외측 단부가 측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샤프트의 내측 단부에는 연장 아암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동기용 로드가 추가로 설치되며, 동기용 로드가 롤링 베어링을 통해 양단이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동기용 로드와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 아암의 단부는, 압착 롤의 양단에서의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때 서로 동기되어 연동하도록, 링크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특징부분을 나타낸다. 한 쌍의 압착 롤(2)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압착 롤(2)간에 기판(1) 및 필름(도시생략)을 공급하여 샌드위치시킴으로써, 기판(1)위에 필름이 라미네이팅된다. 압착 롤(2)의 각 단부에는, 그 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은, 외측의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와, 내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로 이루어진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에는, 한 쌍의 레버(7)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레버(7)는,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 홀(8, 도 3 참조)을 이용하여, 그 외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요소(5)에 볼트 고정된다. 각각의 레버(7)는, 압착 롤(2)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내측 단부는 베어링(3)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압장치에 의해, 레버(7)의 내측 단부에 기판(1)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면,베어링(3)을 통해 한 쌍의 압착 롤(2)사이의 기판(1) 및 필름에 대하여 가압력이 가해진다. 이 때, 한 쌍의 압착 롤(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오목하게 휘는 경향의 휨 모멘트와, 서로에 대하여 볼록하게 휘는 경향의 휨 모멘트가 생긴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휨 모멘트는 대부분 상쇄되고, 한 쌍의 압착 롤(2)은 대략 평탄한 상태에서 기판(1) 및 필름에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가압장치에 의해 레버(7)의 내측 단부에 직접 힘을 가하지는 않고, 압착 롤(2)의 상방에서 상기 압착 롤(2)의 축방향으로 뻗는 바아(9)를 이용하여, 레버(7)의 내측 단부에 간접적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 바아(9)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I형을 이룬다. 도 1(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버(7)는, I형 바아(9)의 웹(web) 부분(10)의 양측을 따라 뻗어 있다.
각각의 레버(7) 내측 단부에는 롤러(11)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11)는, I형 바아(9)의 웹부분(10)의 양측에서, I형 바아(9)의 2개의 플랜지 부분(12)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11)는 2개의 플랜지부분(12)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접촉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롤러(11)가 샤프트(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바아(9)의 웹부분(10)에는, 샤프트(11')가 관통할 수 있는 슬롯(13)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1')는 슬롯(13)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장치로서의 에어 실린더 장치(14)는, 압착 롤(2)의 축방향을 따라 베어링(3)의 베어링 하우징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바아(9)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된 에어 실린더 장치(14)의 로드를 신장시켜 바아(9)에 하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7)의 내측 단부의 롤러(11)에 간접적으로 힘이 작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의 내측 단부에는 롤러(11)의 샤프트(11')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15)이, 압착 롤(2)의 축방향을 따라 3개 설치되어 있다. 롤러(11)의 샤프트(11')를 받아들이는 홀(15)로서 어느 것을 선택하는 가에 따라, 바아(9)로부터의 힘을 받는 힘의 도착 위치가 변한다. 그렇게 되면, 레버(7)의 아암의 길이가 변하므로, 베어링(3)에 발생되는 모멘트의 크기도 변하게 된다.
도 1(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되어 샤프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에는, 샤프트(16)를 향하여 뻗는 연장 아암(1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장 아암(17)의 외측 단부가 구면 베어링(spherical bearing ; 18)을 통해 샤프트(16)에 부착되어 있다. 구면 베어링(18) 대신에, 구면 시트를 가지는 다른 베어링, 예컨대 자동 중심 조절 볼 베어링(self-aligning ball bearing)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샤프트(16)는, 롤링 베어링(rolling bearing ; 19)을 통해 라미네이터 본체의 측판(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리하여 베어링(3)은 샤프트(16)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3)의 하우징은,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16)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연장 아암(17)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도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베어링(3)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압착 롤(2)은, 가압장치인 에어 실린더 장치(14)의 작동에 의해, 대향되는 압착 롤(2)에 대하여 근접 및 이반 이동될 수 있으며, 휨 모멘트를 받고 근소하게 휠 수도 있다.
도 2는 에어실린더 장치(14)의 작동에 따른 베어링(3) 및 압착 롤(2)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에어 실린더 장치(14)는, 조인트 핀(21,22)을 통해 측판(20)측의 부착 부재(23)와 바아(9)에 연결되어 있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 장치(14)의 로드(24)를 신장시킴으로써, 상측의 베어링(3) 및 압착 롤(2)은,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상측의 압착 롤(2)과 하측의 정지된 압착 롤 간에서 기판(1) 및 필름(도시생략)이 가압된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 장치(14)의 로드(24)를 단축시키면, 베어링(3) 및 압착 롤(2)은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기판(1)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시킨다.
도 1(a) 및 (c)에는, 압착 롤(2) 양단의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서로 동기하여 연동시키기 위한 동기기구(同期機構)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동기기구는, 샤프트(16)로부터 직립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동기 핀(25)과,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의 연장 아암(17)에 단단하게 부착된 동기 핀 가이드(26)로 구성된다. 동기 핀(25)이, 동기 핀 가이드(26)에 형성된 2개의 핑거(27)사이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좌우의 연장 아암(17), 나아가 베어링 하우징은, 공통의 샤프트(16)에 대한 상대회전을 구속받는다. 따라서, 샤프트(16)의 축선 주변의 회동에 관하여, 좌우의 베어링 하우징은 동기하여 연동한다.
도 1(a)에는, 베어링(3)이 압착 롤(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속기구는, 측판(20)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28)에 형성된 가이드 홈(29)과, 그 가이드 홈(29)내부에 수용된 가이드 롤러(30)로 구성된다. 가이드 롤러(30)는, 샤프트(31)를 통해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에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29)과 가이드 롤러(30)로 이루어진 구속기구는, 샤프트(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베어링(3)의 회동이나, 샤프트(16)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휨 모멘트에 의한 베어링(30)의 회동은 허용하지만, 압착 롤(2)의 축방향을 따른 베어링(3)의 이동은 저지한다. 롤러(30)대신에, 핀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부호 (8)은, 상기한 레버(7)를 부착할 때 이용되는 나사 홀이다. 부호 (32)는, 도 1에 도시된 동기 핀 가이드(26)를 부착할 때 이용되는 나사 홀이다.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에는,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받아들이기 위한 C형 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의 C형 홀(3)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다소 다르다. 압착 롤(2)을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쪽, 즉 도 4(a)에서 우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는, 압착 롤(2)의 단부 샤프트(34)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35)과, 이 롤링 베어링(35)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된 기어(36)와, 이 기어(36)의 중공의 샤프트(37)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38)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36)의 중공의 샤프트(37)는, 압착 롤(2)의 단부 샤프트(34)의 외측 단부(39)를 그 내측에 끼움 결합하여, 그 외측 단부(39)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기어(36)에는, 타이밍 벨트(도시생략)와 같은 구동수단이 걸림결합된다.
도 4(a)에서 좌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는, 압착 롤(2)의 단부 샤프트(4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41)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 모두, 나사 부재(42)에 의해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의 C형 홀(33)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압착 롤(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써클립(circlip)과 같은 멈춤 링(stop ring ; 43)이 단부 샤프트(39)에 부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2)을 축방향으로 뽑아 내려면, 우선 단부 샤프트(39) 엣지의 멈춤 링(43)을 제거시킨다. 이어서,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5)에 대하여 좌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 부재(42)를 제거시킨다. 그 후 좌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6)를 부착한 채로 압착 롤(2)을 좌측으로 잡아 당긴다.
도 1, 도 4,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한다. 레버(7)의 굴곡부 부근에는, 롤러(11)보다 지름이 작은 롤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44)는, 압착 롤(2)을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제거시킨 후에도, 베어링 하우징이 거의 이전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롤러(44)는,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16)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때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통상적인 작동 시에는 바아(9)의 플랜지부분(12)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지름이 작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2)을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제거시킨 후에도 롤러(44)는 바아(9) 하측의 플랜지 부분(12)과 대부분 걸림결합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의 위치가 압착 롤(2)이 제거되기 전의 위치와 사실상 동일하다.
유지부재로서, 롤러(44) 대신에 핀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롤러(44) 또는 핀 부재를, 레버(7)가 아닌, 베어링 하우징에 로드를 통해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이러한 롤러(44) 또는 핀 부재를,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바아(9)를 향하여 뻗는 로드의 선단에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아를 나타낸다. 상기 바아(45)는, 사각의 외형을 가지는 중공부재이다. 압착 롤(2)에 대향되는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11)는, 레버(7)의 내측 단부의 양쪽에 한 개씩 설치되어 있다. 레버(7)의 굴곡부로부터 내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은, 개구(46)로부터 중공의 바아(9)내부로 들어가 있다. 롤러(11)는, 개구(46)의 양쪽에 한 개씩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가 되는 작은 지름의 롤러(44) 역시, 레버(7)의 굴곡부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44)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의 내측 단부의 한 쪽에 한 개만 설치되어 있는데, 양쪽에 한 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베어링 하우징을 위한 동기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샤프트(16)를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베어링 하우징마다 개별 샤프트(16a 및 16b)를 이용한다. 각각의 샤프트(16a 및 16b)는 압착 롤(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고, 롤링 베어링(47)을 통해 외측 단부가 측판(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샤프트(16a 및 16b)에는, 구면 베어링을 통해 연장 아암(17)의 외측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구면 베어링(18) 대신에 구면 시트를 가지는 다른 베어링, 예컨대 자동 중심 조절 볼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음이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샤프트(16a, 16b)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위치에 1개의 동기용 로드(48)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48)는, 롤링 베어링(49)을 통해 양 단부가 측판(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로드(48)에는, 좌우 2개의 레버(50)가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고, 좌우의 베어링 하우징을 향하여 뻗어있다. 각각의 레버(50) 외측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 부착되며, 그 축의 선단에는 롤러(5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장 아암(17)의 외측 단부에서는, 로드(48)를 향하여 좌우 2개의 레버(52)가 연장되어 있다. 레버(52)의 기단부는, 연장 아암(17)에 볼트로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레버(52)의 선단은 2개의 핑거(53)를 가지며, 이들 핑거(53)사이에 롤러(51)를 수용하고 있다.
로드(48) 위의 좌우 레버(50)의 각도 위치는 서로 동일하다. 레버(50), 롤러(51) 및 레버(52)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는, 동기용 로드(48)를 통해 좌우 베어링 하우징의 회동을 동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전체를 나타낸다. 도시된 라미네이터는, 프린트 회로기판(1)의 양면에 레지스트 필름을 압착하기 위한 오토컷팅 라미네이터이다. 롤러 컨베이어(54)위를 반송되어 온 기판(1)이 한 쌍의 압착 롤(2)사이에 들어가기 직전에, 기판(1)은 정지한다. 레지스트 필름(55) 표면의 커버 필름(57)이 필름 롤(56)로부터 풀려 나올 때 벗겨져서, 레지스트면이 기판(1)쪽을 향하는 상태로 기판(1)으로 인도된다. 레지스트 필름(55)은, 그 선단이 기판(1)의 앞 가장자리에 임시 부착된다. 기판(1)의 앞 가장자리에 레지스트 필름(55)이 임시 부착된 채로, 한 쌍의 압착 롤(2) 사이의 영역에 공급된다. 그 동안에, 레지스트 필름(55)은 필름 롤(56)로부터 풀려 나오고, 커버 필름(57)은 롤(58)의 상태로 감겨진다. 회전하는 한 쌍의 압착 롤(2)사이에서 레지스트 필름(55)이 기판(1)위에 라미네이팅되는 동안, 레지스트 필름(55)은 기판(1)의 길이에 맞는 소정 길이의 필름 시트로 절단된다. 이리하여, 라미네이팅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소정 길이의 필름 시트가 기판(1)위에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팅된다.
본 발명은 수동 라미네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 및 필름을 그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압착 롤,
    압착 롤의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하는 베어링,
    일단부가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압착 롤의 축선방향을 따라 베어링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 및
    레버의 타단부에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베어링을 통해 한 쌍의 압착 롤사이의 기판 및 필름에 가압력을 부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압착 롤을 서로에 대하여 볼록해지도록 변형시키는 경향의 휨 모멘트를 생성시키는 가압장치를 구비하는, 기판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라미네이터로서,
    압착 롤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도 회동될 수 있도록,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된 연장 아암이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이 구면 시트를 가지는 베어링을 통해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롤링 베어링을 통해 샤프트의 양단부가 측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샤프트와 여기에 연결된 연장 아암의 사이에는, 압착 롤 양단에서의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서로 동기하여 연동하도록, 샤프트와 연장 아암간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는 동기기구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레버의 타단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에 접촉하여 압착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며,
    가압장치가 압착 롤의 축방향을 따라 베어링 하우징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위치에서 바아에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 타단의 롤러에 간접적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롤러의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홀이 압착 롤의 축방향을 따라 레버에 설치되어 있고, 홀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힘의 도착위치를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6. 제 4항에 있어서,
    바아의 단면형상이 I형이며,
    한 개의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I형 바아의 웹부분 양측을 따라 2개의 레버가 연장되어 있고,
    2개의 레버의 각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가, I형 바아의 웹부분 양측에서 I형 바아의 2개의 플랜지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웹부분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샤프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I형 바아의 웹부분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7. 제 4항에 있어서,
    바아가 사각의 외형을 가지는 중공의 바아이며, 압착 롤에 대향되는 측벽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길이방향으로 뻗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의 타단의 양측에 롤러가 한 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은 개구로부터 중공 바아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각 롤러는 중공 바아의 내부에서 개구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이, 외측의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와 내측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를 구비하고,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연장 아암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C형 홀을 가지며,
    레버가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에 부착되어 있고,
    압착 롤을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압착 롤의 단부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 롤링 베어링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단부 샤프트의 외측 단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어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중공의 샤프트를 가지는 기어, 및 중공의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을 구비하며,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의 C형 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쪽의 제 2 베어링 하우징 요소가, 압착 롤의 단부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롤링 베어링을 구비하며, 제 1 베어링 하우징 요소의 C형 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9. 제 4항에 있어서,
    압착 롤이 베어링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경우에 베어링 하우징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레버의 타단에 설치된 롤러와는 별도로 바아와 걸림결합될 수 있는 유지부재가 레버 또는 베어링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가 베어링 하우징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샤프트가 롤링 베어링을 통해 외측 단부가 측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각 샤프트의 내측 단부에 연장 아암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동기용 로드가 추가로 설치되며, 동기용 로드는 롤링 베어링을 통해 양단이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동기용 로드와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 아암의 단부가, 압착 롤의 양단에서의 베어링 하우징이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때 서로 동기되어 연동하도록, 링크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KR1020027005945A 1999-11-08 1999-11-08 라미네이터 KR100551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6194 WO2001034393A1 (fr) 1999-11-08 1999-11-08 Machine a plast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09A true KR20020056909A (ko) 2002-07-10
KR100551508B1 KR100551508B1 (ko) 2006-02-13

Family

ID=1423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945A KR100551508B1 (ko) 1999-11-08 1999-11-08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9152B1 (ko)
EP (1) EP1238799A4 (ko)
JP (1) JP4141142B2 (ko)
KR (1) KR100551508B1 (ko)
WO (1) WO20010343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76B1 (ko) * 2014-04-14 2015-03-09 주식회사 지유전자 라미네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30133A1 (it) * 2003-05-15 2004-11-16 Perini Fabio Spa Macchina per la formazione di tubi tramite avvolgimento elicoidale di strisce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dispositivi per migliorare la
US8408123B2 (en) * 2009-04-17 2013-04-02 Neschen America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ller nip force
FI123889B (fi) * 2010-02-26 2013-12-13 Raute Oyj Menetelmä ja laite viilujen laatuominaisuuksien parantamiseksi
US8807034B2 (en) * 2012-04-13 2014-08-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er nip balancing in a print system
JP6225020B2 (ja) 2013-12-26 2017-11-01 サンエー技研株式会社 ラミネータ
DE102014004020A1 (de) * 2014-03-20 2015-09-24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Winkelverstellbare Anpress- oder Nipwalze
CN107160668A (zh) * 2017-05-17 2017-09-15 贵州大学 一种双面多功能压膜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4002A (en) * 1950-11-28 1952-01-29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closure materials
US4048831A (en) * 1974-08-13 1977-09-20 Hoesch Werke Aktiengesellschaft Two-roller driving device
US4310365A (en) * 1979-12-26 1982-01-12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multi-conductor flat cable
US4519757A (en) * 1984-01-17 1985-05-28 Magna-Graphics Corporation Web surface treating apparatus
DE3808142A1 (de) * 1988-03-11 1989-09-21 Goebel Gmbh Maschf Lagereinrichtung
US5058496A (en) * 1990-09-17 1991-10-22 Integrated Design Corp. Roll apparatus with cooling system for maintaining constant gap size and method
JPH0818419B2 (ja) 1991-08-29 1996-02-28 日本鋼管株式会社 複合金属板の製造装置
JPH05286102A (ja) 1992-04-07 1993-11-02 Kobe Steel Ltd 複合鋼板の製造方法
JP3725638B2 (ja) * 1996-11-20 2005-12-14 伯東株式会社 ラミネータ
US6059003A (en) * 1998-07-29 2000-05-09 Integrated Design Corporation Web heating and press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76B1 (ko) * 2014-04-14 2015-03-09 주식회사 지유전자 라미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4393A1 (fr) 2001-05-17
EP1238799A4 (en) 2007-05-02
EP1238799A1 (en) 2002-09-11
JP4141142B2 (ja) 2008-08-27
KR100551508B1 (ko) 2006-02-13
US6659152B1 (en) 200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543A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KR20020056909A (ko) 라미네이터
KR102380733B1 (ko) 적층라벨체의 제조장치
JPH11263531A (ja) 輪転印刷機用折りたたみ装置、およびシ―ト材の端部を受け渡す方法
US5323699A (en) Used stencil sheet disposal device
JPS6027568B2 (ja) 積層印刷機の見当合せ機構
JPS5859082A (ja) 印刷機のための枚葉紙渡し胴
JP3825155B2 (ja) 孔版印刷装置
JP3725638B2 (ja) ラミネータ
JPS6127841A (ja) 自動給紙装置
JP4291533B2 (ja) ラミネータ
JP3458828B2 (ja) ロール紙巻緩み防止機能付きプリンタ
JP3905645B2 (ja) フィルム張付装置
TW479017B (en) Laminator
US8805239B2 (en) Actuation device for pressure rollers
JP2842432B2 (ja) 給紙装置
ITTO950588A1 (it) Dispositivo di allineamento e avanzamento di un documento
KR100233118B1 (ko) 프린터의 봉투 가압장치
JPH08332769A (ja) 印刷機における給紙装置
KR10049748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JP3586130B2 (ja) 画像転写装置
JP2831591B2 (ja) 印刷機における印刷用紙送り装置
JPH04223837A (ja) 基板位置決め装置
JPH05154918A (ja) 基板に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JPS6127840A (ja) 自動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