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85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85B1
KR100497485B1 KR10-2003-0010364A KR20030010364A KR100497485B1 KR 100497485 B1 KR100497485 B1 KR 100497485B1 KR 20030010364 A KR20030010364 A KR 20030010364A KR 100497485 B1 KR100497485 B1 KR 10049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roller
rotational
alignment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475A (ko
Inventor
신상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4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와 배지트레이 사이의 용지이송로상에 서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드롤러에 인접하는 전방에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회동축; 및 회동축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는 정렬단부를 가지고, 용지의 선단을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정렬시킨 후 공급하는 회동정렬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APPARATUS FOR STANDING PAPER IN A ROW OF DEVELOP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지카세트와 배지트레이 사이의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시켜 피드롤러로 공급하는 용지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3)의 상부에 배지트레이(5)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착탈가능한 급지카세트(7)가 결합된다. 외부케이싱(3)내에는 급지카세트(7)와 배지트레이(5) 사이에 용지이송로(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용지이송로(9) 상에는 급지카세트(7)내의 용지를 인쇄부를 거쳐 배지트레이(5)로 이송시키는 용지이송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이송장치(11)는, 외부케이싱(3)내의 하부에 급지카세트(7)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픽업롤러(13), 인쇄부에 인접한 상류측 용지이송로(9)에 마련되는 피드롤러(15), 및 픽업롤러(13)와 피드롤러(15) 사이에 개재되는 이송롤러(17)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5)는 급지카세트(7)내의 용지에 접근이반하며, 용지이송로(9)에 용지를 픽업시킨다. 이송롤러(17)는 픽업롤러(15)로부터의 용지를 피드롤러(15)에 공급하고, 피드롤러(15)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지트레이(5)를 향해 용지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용지이송장치(11)에서는, 용지이송로(9)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가 특히, 인쇄부를 통과할 때 정렬된 상태로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용지에는 그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혹은 가로로 인자가 인쇄되는데, 이 때, 용지가 정렬되지 않으면 인쇄라인이 비뚤어지는 등 용지의 인쇄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지이송장치(11)에는 일반적으로, 용지이송로(9)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시킨 후 인쇄부를 향해 공급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에 의한 용지정렬방식은 크게, 전자클러치를 사용한 방식과 래칫을 이용한 방식으로 구분가능하다.
종래의 전자클러치방식 용지정렬장치는, 피드롤러(15)에 전달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자클러치로 단속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르면, 전자클러치는 이송되는 용지선단의 일정 부분이 피드롤러(15)에 닿을 때까지 피드롤러(15)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그러면, 피드롤러(15)에 접촉된 용지의 선단에 컬(Curl)이 발생되면서, 용지의 선단이 피드롤러(15)의 축선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를 위해 용지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서가 필수적이다.
이 후, 용지의 선단이 정렬되면, 전자클러치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피드롤러(15)에 전달한다. 그러면, 피드롤러(15)가 정방향 즉, 용지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쇄부에 용지를 정렬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래칫방식 용지정렬장치(21)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에 결합된 일방향 회전래칫(23), 일방향 회전래칫(23)과 물림결합가능한 스토퍼(25), 및 이 스토퍼(25)를 일방향 회전래칫(23)에 대하여 접근이반시키는 솔레노이드(27)를 구비한다. 여기에, 상술한 전자클러치방식 용지정렬장치와 마찬가지로, 용지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스토퍼(25)가 솔레노이드(27)에 의해 작동되어, 일방향 회전래칫(23)과 맞물리면, 피드롤러(15)의 회전이 중단된다. 한편, 스토퍼(25)와 일방향 회전래칫(23)의 물림결합을 해제시키면, 피드롤러(15)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피드롤러(15)가 용지를 이송시키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도, 피드롤러(15)의 회전이 중단된 동안,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에 컬이 발생하면서 정렬되고, 이에 의해, 인쇄부에 정렬된 상태의 용지가 공급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21)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품들을 구비하는 구성상 그 조립성이 낮고 제조비용이 높으며 특히, 고가의 전자클러치 또는 솔레노이드와 센서들은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에서는 또한, 고가의 전자클러치나 래칫등이 고장이나 파손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그 부품교환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드롤러의 바로 앞단에서 용지를 정렬시킨 후 피드롤러에 제공함으로써, 피드롤러에 의한 용지의 정렬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절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급지카세트와 배지트레이 사이의 용지이송로상에 설치된 피드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에 인접하는 전방에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는 정렬단부를 가지고,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정렬시킨 후 공급하는 회동정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정렬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반원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되는 용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상하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회동정렬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 양측 단부와 각각 접촉하는 정렬단부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은, 한편, 상기 용지이송로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과 상기 회동정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정렬부재의 회동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종래의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동일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용지정렬장치(3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드롤러(15)와 함께 롤러브라켓(33)에 설치가능하다. 롤러브라켓(33)은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케이싱(3)내에 마련되는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롤러브라켓(33)과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 사이에 용지이송틈(T)이 형성된다.
롤러브라켓(33)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상향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리브(35)에는 축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결합리브(35)에는 또한, 축결합공의 하부를 외향 관통하는 구동축(37)에 기어(38)가 결합되어,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에 전달한다. 각 결합리브(35)의 외측에 장착된 고정스프링(19)는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을 이탈방지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롤러브라켓(33)의 양측 단부에는 또한, 각각 하향 돌출된 후 외향 절곡연장된 고정리브(4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고정리브(41)에는 각각 볼트공(43)이 형성되고, 이들 볼트공(43)에는 상측으로 하향 관통하여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체결되는 볼트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롤러브라켓(33)은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용지이송틈(T)을 사이에 두고 고정배치가능하다.
롤러브라켓(33)의 양측 단부에는 한편, 각 결합리브(35)의 전방측에 하향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정렬편리브(5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정렬편리브(51)에는 각각 그 중앙부분에 회동축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회동축공(53)에 회동정렬부재(61)의 회동축(71)이 결합된다. 이에 의해, 회동정렬부재(61)의 회동축(71)과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은 용지이송로(9)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된다.
회동정렬부재(61)는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반원 파이프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회동정렬부재(61)의 양측 반원 단부(63)에는 각각 축결합공(6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축결합공(64)은 정렬편리브(51)에 결합된 회동축(7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회동정렬부재(61)는 회동축(71)을 축으로 상하회동가능하다.
회동정렬부재(61)는 또한, 그 중앙부분에 강도보강용 리브(66)가 마련되어 있고, 이 리브(66)에 축결합공(64)과 평행한 중앙공(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공(67)에는 회동정렬부재(61)의 회동축(71)이 통과하며, 이에 의해, 회동정렬부재(61)의 중앙부분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다. 여기서, 회동축(71)과 각 축결합공(64) 및 중앙공(67) 사이에는 마찰감소부재(69)를 개재가능하며, 이에 의해, 회동정렬부재(61)의 원할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회동축(71)에 결합된 회동정렬부재(61)는 한편, 그 길이방향 상하 연부(65)가 회동축(71)의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회동정렬부재(61)와 그 회동축(71)의 수용공간(10')을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돌출된 회동정렬부재(61)의 상측 연부가,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회동정렬부재(61)의 상측 연부(65)는,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지이송로(9)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여 정렬시키는 정렬단부를 형성한다.
한편, 회동정렬부재(61)의 상측 정렬단부(65)를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돌출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동정렬부재(61)의 회동축(71)과 롤러브라켓(33) 사이에 비틀림스프링(81)이 개재되어 있다. 비틀림스프링(81)은 그 코일부(83)가 회동축(71)에 결합되어 있고, 정렬편리브(51)에 고정결합된 고정단부(85)와 회동정렬부재(61)에 탄성복원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단부(87)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틀림스프링(81)에 의해, 회동정렬부재(61)는 그 상측 정렬단부(65)가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하향 회동가능하다. 비틀림스프링(81)은 또한, 이송되는 용지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 회동한 회동정렬부재(6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보유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정렬장치(31)에서는, 이송롤러(17)의 회전으로 용지이송로(9)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가 우선, 회동정렬부재(61)의 상측 정렬단부(65)에 접촉한다. 이 때, 회동정렬부재(61)는 비틀림스프링(8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용지의 가압력이 소정의 기준가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현재의 위치를 고수한다. 그런 다음, 용지의 가압력이 소정의 기준가압력 이상이 되면, 비틀림스프링(81)이 변형되어 회동정렬부재(61)가 그 회동축(71)을 축으로 하향 회동한다.
회동정렬부재(61)를 하향 회동시키기 위한 용지의 기준가압력은, 용지의 선단이 회동축(7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전체가 균일한 힘으로 회동정렬부재(61)의 정렬단부(65)를 가압하였을 때를 표준으로 한다. 이러한 용지의 기준가압력은, 용지의 두께나 무게, 및 구동모터의 용량등을 고려하여, 제품의 출시전에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실험값으로 결정가능하다.
여기서, 이송롤러(17)로부터의 용지가 회동정렬부재(61)를 향해 비뚤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를 예정한다. 이러한 경우, 회동정렬부재(61)의 정렬단부(65)에 용지의 선단 일측이 우선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정렬단부(65)에 용지의 선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할 때까지 용지의 선단에서 부분적으로 컬이 발생한다. 이러한 컬의 발생으로 용지의 선단은 회동축(71)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다.
이 후, 용지가 정렬되면서 그 가압력이 소정의 기준가압력 이상이 되면, 회동정렬부재(61)가 그 회동축(71)을 축으로 하향 회동한다. 그러면, 정렬된 용지의 선단이 롤러브라켓(33)과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 사이의 용지이송틈(T)을 통해 피드롤러(15)에 제공된다. 이렇게 정렬되어 피드롤러(15)로 이송되는 용지는, 피드롤러(15)의 회전으로 그 하류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인쇄부에는 정렬된 상태의 용지가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반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회동정렬부재(61)가 그 회동축(71)에 단일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정렬부재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동정렬부재(61')은 회동축(71)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송되는 용지의 양측 선단이 각각 대응하는 회동정렬부재(61')의 정렬단부(65)와 접촉하며, 이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동정렬부재(61')는, 전술한 회동정렬부재(61)와 비교하여 그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유리하지만, 양측 회동정렬부재(61')을 단일의 회동축(71)에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구성을 추가한다.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에서는, 또한, 피드롤러(15)와 인접하는 용지이송로(9)의 상류측에 회동정렬부재(61, 61')가 설치되고, 이 때, 회동정렬부재(61, 61')의 회동축(71)이 용지이송로(9)를 중심으로 피드롤러(15)의 회전축(16)에 대하여 하부에 배치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따르면, 회동정렬부재(61, 61')는 상측 정렬단부(65)가 용지이송로(9) 상에 돌출되고, 회동정렬부재(61. 61')은 그 회동축(71)을 축으로 하향 회동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회동정렬부재(61, 61')의 회동축(71)의 위치는 간단히 변형가능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용지이송로(9)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회동정렬부재(61, 61')의 하측 정렬단부(65)가 용지이송로(9) 상에 하향 돌출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회동정렬부재(61, 61')는 이송되는 용지의 가압력에 의해, 그 회동축(71)을 축으로 상향 회동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용지이송로(9)의 상부면(10)에 회동정렬부재(61, 61') 및 그 회동축(71)을 수용하기 위하여 함몰시킨 수용공간(10')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가 제공된다. 본 용지정렬장치에서는 또한, 피드롤러의 바로 앞단에서 용지가 정렬된 후 피드롤러에 제공되기 때문에, 피드롤러에 의한 용지의 정렬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용지정렬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로서,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용지정렬장치의 회동정렬부재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3의 A부분 확대도로서, 회동정렬부재의 회동상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정렬부재가 그 회동축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5 : 배지트레이
7 : 급지카세트 9 : 용지이송로
11 : 용지이송장치 15 : 피드롤러
17 : 이송롤러 31 : 용지정렬장치
33 : 롤러브라켓 35 : 결합리브
41 : 고정리브 51 : 정렬편리브
61, 61': 회동정렬부재 65 : 정렬단부
71 : 회동축 81 : 비틀림스프링

Claims (5)

  1. 급지카세트와 배지트레이 사이의 용지이송로상에 설치된 피드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에 인접하는 전방에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지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는 정렬단부를 가지고,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정렬시킨 후 상기 용지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용지를 공급하는 회동정렬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정렬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반원 파이프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정렬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정렬단부는 상기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 양측 단부와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용지이송로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과 상기 회동정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정렬부재의 회동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KR10-2003-0010364A 2003-02-19 2003-02-1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KR10049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364A KR100497485B1 (ko) 2003-02-19 2003-02-1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364A KR100497485B1 (ko) 2003-02-19 2003-02-1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475A KR20040074475A (ko) 2004-08-25
KR100497485B1 true KR100497485B1 (ko) 2005-07-01

Family

ID=3736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364A KR100497485B1 (ko) 2003-02-19 2003-02-1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58B1 (ko) * 2005-09-22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475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32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US7063472B2 (en) Sheet skew correc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81662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fixing pressure and image forming apparauts having the same
EP239985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74052B1 (ko) 페이퍼시트 이송 장치
KR10049748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EP1354832B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3866044B2 (ja) 搬送用ガイドおよびローラユニット
EP1757459B1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20050146090A1 (en)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for printer apparatus
JP2002128326A (ja) シート斜行補正装置
JP2842432B2 (ja) 給紙装置
US7703770B2 (en) Sheet discharge device
JPH1035941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紙搬送機構
KR20070072637A (ko) 화상형성기의 동력전달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기, 및 화상형성기의 동력전달방법
JP2008133079A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00072281A (ja) 媒体検出機構
US9309071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KR20050068716A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공급장치
JP2007161348A (ja) 印刷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S59190151A (ja) ロ−ル紙給紙装置
JP2708030B2 (ja) 用紙送り機構
JP432062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30599Y2 (ja) 給紙装置における搬送不良防止機構
JP2001348134A (ja) 用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