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349A -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 Google Patents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349A
KR20020055349A KR1020010043355A KR20010043355A KR20020055349A KR 20020055349 A KR20020055349 A KR 20020055349A KR 1020010043355 A KR1020010043355 A KR 1020010043355A KR 20010043355 A KR20010043355 A KR 20010043355A KR 20020055349 A KR20020055349 A KR 2002005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white ant
white
bag
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582B1 (ko
Inventor
토루 이와카와
Original Assignee
토루 이와카왇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루 이와카왇,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filed Critical 토루 이와카왇
Publication of KR2002005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흰 개미 등의 목재를 갉아 먹는 해충의 침입이나 목재 부패균 등의 피해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목조 가옥의 마루 바닥에 배치하는 개량된 조습(調濕)겸 흰 개미 방제구를 제안한다.
플라스틱 시이트(111)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부직포, 고밀도 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투습성(透濕性) 시이트 소재(112)를 겹치고, 이 겹쳐진 시이트 소재(112, 112)와 플라스틱 시이트(111)의 주변 가장자리부(113)간을 녹여 붙이고, 수평 방향으로 중간 칸막이(12)를 갖는 자루체(袋體)(11)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111)보다 상방의 상부 자루체(11-1) 내부에 조습재(14)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111)보다 하방의 하부 자루체(11-2) 내부에,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擔持劑)(131)를 침투시킨 조습담지재(13)를 가득 채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겸 흰 개미 방제구.

Description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APPARATUS FOR CONTROLLING HUMIDITY AND PREVENTION OF TERMITE INTRUSION}
본 발명은, 흰 개미 등의 식해(食害)해충의 침입이나, 목재 부패균 등의 발생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목조가옥의 마루 바닥에 배치하는 개량된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에 관한 것이다.
목조가옥의 마루 바닥 밑을 구성하는 목제 구조재는, 흰 개미나 목재 부패균 등에 의한 피해를 받기 쉽다. 특히, 욕실, 부엌, 세면실 등의 물기 있는 마루 바닥 밑은 습도가 높아지기 쉽기 때문에, 흰 개미나 목재 부패균이 좋아하는 생식조건이 되고, 마루 바닥 밑 구조재가 벌레에 의해 먹히거나 또는 부식되어 생각지 않은 피해를 입게 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마루 바닥 밑 구조재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조습제를 이용하여 마루 바닥 밑의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흰 개미 기피제나 살충제를 산포(散布)함으로써 방부·방충 처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 왔다.
따라서, 마루 바닥 밑의 기초 천단(天端)으로 부터 1m 이내에 있는 목재로 이루어진 토대, 부싯돌 토대, 속주(束柱, pillow), 목제 들보, 간주(間柱), 비낀 보강재, 동연(胴緣) 및 하지판 등의 전면이나 마루 바닥 조립재의 각종, 특히욕실, 부엌, 세면실 등의 물기 있는 곳은, 목부 처리제를 1m2당 300㎖ 비율로 도포한다.
또한, 마루 바닥 밑 토양 표면에는 기초, 속석(束石) 및 배관이 나와 있는 곳 주변에, 토양 처리제를 폭 20cm로 1m 당 1ℓ비율로 산포 처리하여 지고, 나아가 욕실, 화장실, 현관, 부엌 입구 등의 토간 콘크리이트(concrete slab on grade) 밑에는 토양 처리제를 1㎡ 당 3ℓ비율로 표면에 산포처리한다.
그리고, 일련의 개미 방충 시공이 끝난 후에, 마루 바닥 밑의 토양 표면에 조습제를 산포하여 조습·개미 방충 시공을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 조습제의 산포는, 토양 처리제의 산포에 의해 토양중의 함수율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건조를 기다리지 못하고 행하여지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조습제는 마루 바닥 밑 습기를 제거하기는 커녕, 토양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만으로 그 역할을 다하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렇듯 개미 방충 시공 후 조습제를 산포한다는 2단계 시공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시간적 허비뿐만 아니라, 조습제의 산포가 마루 바닥 밑 공기중의 제습(除濕)을 목적으로 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양 처리제로서 산포된 약제중의 수분 제거에 머물고 마는, 즉 마루 바닥 밑 환경상의 습기 제거라고 하는 대단히 중요한 효과가 감쇄되고 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은 산포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는, 농약 등의 화학 합성화합물이고, 나아가 제약에는 다량의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를 산포하거나, 약제가 도포되거나 하는 중에, 약제 및/또는 유기 용매의 비산(飛散), 휘발에 의해 약제가 피부에 부착된다거나, 이를 들어 마시기 쉬어지고, 이에 의해 화학적 과민증상을 유발하거나,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개미 방충 처리작업시에, 좁은 장소에서 장시간에 걸친 2단계 처리방식에 의한 가혹한 노동을 강요 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루 바닥 밑이 있는 곳에 필요한 갯수만큼의 자루체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개미 방충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마루 바닥 밑 공기를 조습하여 흰 개미의 생식 환경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목재 부패균 번식을 막고, 또한 침입한 흰 개미를 사멸시키도록 한 조습구겸 흰 개미 방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 - X 화살 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미를 방충하는 효력을 측정하기 위한 야외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개미 방충 효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내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부호 설명 *
1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11자루체
11-1상부 자루체11-2하부 자루체
111플라스틱 시이트112시이트소재(부직포)
113주변 가장자리부114씨일 부
12중간 칸막이13조습 담지재
131담지제14조습재
15개미 유인제(적송 미끼나무)A야외 시험장치
B실내 시험장치C토양표면
G'무처리 토양S시험재료
본 발명의 요지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부직포, 고밀도 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수·투습성 시이트 소재를 겹치고, 이 겹쳐진 시이트 소재와 플라스틱 시이트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녹여 붙이고, 수평 방향으로 중간 칸막이를 갖는 자루체를 형성하여,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보다 상방의 자루체 내부에 조습재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플라스틱 시이트보다 하방의 자루체 내부에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擔持劑)를 침투시킨 조습 담지재를 가득 채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X - X화살 표시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미 방충 효력을 측정하기 위한 야외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개미 방충 효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내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이트(111)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부직포, 고밀도 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투습성 시이트 소재(112)를 겹치고, 이 겹쳐진 시이트 소재(112, 112)와 플라스틱 시이트(111)의 주변 가장자리부(113)간을 녹여 붙이고, 수평 방향으로 중간 칸막이(12)를 갖는 자루체(11)를 형성하며, 플라스틱 시이트(111)보다 상방의 상부 자루체(11-1) 내부에 조습재(14)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플라스틱 시이트(111)보다 하방의 하부 자루체(11-2) 내부에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를 침투시킨 조습 담지재(13)를 가득 채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루체(11)를 이루는 플라스틱 시이트(111)와 방수·투습성 시이트 소재(112)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녹여 붙이고 씨일(seal)부(114)를 형성하여, 누비(quilting)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자루체(11)를 누비 형상으로 가공하여, 중간 칸막이(12)의 플라스틱 시이트(111)의 상하에 상부 자루체(11-1)와 하부 자루체(11-2)가 쌍을 이루어 다수개 연이어 접하도록 형성하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강도를 증가시켜 훨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자루체(11-1) 내부에 가득 채워지는 조습제(14)는,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zeolite), 세피오라이트(sepiolite), 점토(clay), 규조토, 백사(白砂), 화산성 경석(輕石), 실리카 겔,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흡수성 폴리머 등의 무기 또는 유기의 다공질 재료나 인공소재 중 한 종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리고 상기 하부 자루체(11-2) 내부에 가득 채우진 조습 담지재(13)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다공질 재료나 인공소재로 이루어진 조습재(14)에, 천연정유 또는 천연정유에서 나온 화합물로 이루어진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가 들어가 있다.
조습재(14)를 가득 채운 상부 자루체(11-1)와,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를 침투시킨 조습 담지재(13)를 가득 채운 하부 자루체(11-2)를 플라스틱 시이트(111)에서 상하로 구분지음으로써, 목적을 달리하는 양 재료를 갈라 놓는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조습재(14)가 토양 표면(G)으로부터 스며 들어오는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하여 조습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자루체(11)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칸을 나누는 중간 칸막이(12)로서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이트(111)가 가장 적합하게 이용되고, 또한 플라스틱 시이트(111)를 사이에 두고 상면측에 형성되는 상부 자루체(11-1)와 하면측에 형성되는 하부 자루체(11-2)는, 부직포나 고밀도 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투습성 시이트 소재(112)(상품명: 타이벡, 고어텍 가공소재 등)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조습 담지재(13)는, 조습재(14)에 천연정유 또는 천연정유에서 나온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를 침투시킨 것이다.
즉,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로서는, 님(neem)오일(주성분: 아자지라크틴(azadirachtin)등), 베니로얄 오일(주성분: 풀레곤(pulegone)등), 유칼리나무 오일(주성분: 시네올(cineol)등), 레몬그래스 오일(주성분: 시트랄(citral)등), 레몬 오일(주성분: 리모닌(limonene)등), 라벤다(주성분: 초산 리나릴 등), 미르(myrrh) 오일(주성분: 신나믹 알데히드 등), 페퍼민트 오일(주성분: 멘톨 등), 베티바 오일(주성분: 베티베롤 등), 펜넬 오일(주성분: 아네톨 등), 바베나 오일(주성분: 리모넨 등), 파츄리 오일(주성분: 파츄리 알코올 등), 타임(thyme) 오일(주성분: 티몰 등), 제라듐 오일(주성분: 시크로네롤 등), 시트로넬라 오일(주성분: 시트로네랄 등), 시더 우드 오일(주성분: 세도렌 등), 정자나무 오일(주성분: 오이게놀 등), 그레이프 후루츠 오일(주성분: 리모넨 등), 캄퍼 오일(주성분: 캄퍼 등), 히노키 오일(주성분: 히노키 티올 등), 일본 낙엽송 오일(주성분: 택시폴린 등), 맹그로브 오일(주성분: 브레기올 등) 등외, 알피니아 스페시오사(Alpinia speciosa) 오일, 고추냉이 오일, 생강 오일, 삼목 오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한편, 흰 개미 기피제(살충제) 용매에는, 알코올, 식물오일, 물 등을 들 수가 있으나, 건조가 빠르고 사용시에 휘발되어 잔재(殘滓)를 남기지 않는다든가, 천연에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프린산, 스테아린산, 리놀산 등의 천연 성분에서 나온 고급 지방산, 알키드 수지 등을 첨가하면, 효력의 지속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의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1)를 이용하면, 개미 방충 처리작업 중에 흰 개미 기피제나 살충제 등의 담지제(131)가 작업자의 피부에 부착하거나, 이를 들어 마시거나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화학적 과민증을 유발한다든가 환경을 오염을 일으킨다든가 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루체(11) 내에 조습 담지재(13)나 조습 담지재(14)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승효과에 의한 흰 개미의 생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목재 부패균의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1)를, 마루 바닥 밑 지면의 소정의 장소에 소정의 갯수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개미 방충처리가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가혹한 노동 조건으로부터 해방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도 거둘 수 있다.
(실시 예 1)
한 변을 45cm로 조제된 두께 200㎛의 폴리 에칠렌(111)의 상하면에, 각각 긴 변 55cm, 짧은 변 45cm의 크기로 제조된 부직포(112)를 겹치고, 폴리에칠렌(111)의 가장자리와 부직포(112)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부직포(112)의 한 변을 뺀 나머지 세변을 열로 녹여 붙여 씨일부(114)를 형성하여 접합시키고, 또한 부직포(112)의 내측 3군데에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하게 열로 녹여 붙인 씨일부(114)를 형성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칸막이(12)인 폴리에칠렌 시이트(111)의 상면측에 상부 자루체(11-1)가 4개, 하면측에 하부 자루체(11-2)가 4개, 총 8개의 작은 자루가 형성된 자루체(11)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칠렌(111)의 상면측에 형성된 각 상부 자루체(11-1) 내부에 조습제(14)로서 3.5 ~ 7 메쉬(mesh)로 체를 친 천연 제올라이트를 각각에 1.2kg씩 채워 넣는다.
그리고, 10% 베니로얄 오일(베니로얄 오일/아세톤 중량비 = 1/9) 중의 아세톤을 휘발시켜, 베니로얄 오일의 비율이 1 중량%로 되도록 조제한 흰 개미 기피제(흰 개미 살충제)로 이루어진 담지제(131)를 상기 조습제(14)로서 이용한 천연 제올라이트에 침투시켜 조습 담지제(13)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조습 담지제(13)를, 상기 폴리에칠렌 시이트(111)의 하면측에 형성된 각 하부 자루체(11-2) 내부에 각각 0.75kg씩 채우고, 이후 자루체(11)의 자루 입구 부분을 녹여 붙여 씨일부(114)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자루체(11-1) 내부에 조습제(14)가 밀봉되어지고, 하부 자루체(11-2) 내부에 조습 담지체(13)가 밀봉된 본 발명의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1)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품을, 60 ±2℃로 조정한 순환식 건조기내에서 48시간 건조시켜 질량을 측정한 후, 즉시 항온 항습조에 옮기고, 온도 23℃, 상대 습도 75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온도 23℃, 상대 습도 60%를 1 사이클로 하여 합계 7 사이클의 흡방습 시험을 시행하고, 12시간마다 질량을 측정하였다. 성능의 평가는, 온도 23℃, 상대 습도 90%에서 12시간 방치후를 흡습성능으로 하고, 반대로 온도 23℃, 상대 습도 60%에서 12시간 방치후를 방습성능으로서 시행하였다. 흡방습량 측정시험의 결과는, 아래 [표1] [표2]와 같으며, 결과 표시는 1㎡ 당 수분 g 이다.
사이클 수 질량 변화(g/㎡) 흡습량(g/㎡)
흡습 전 흡습 후
2 8.0 77.2 69.2
5 10.6 79.2 68.6
7 11.4 79.7 68.3
평균 68.7
사이클 수 질량 변화(g/㎡) 방습량(g/㎡)
방습 전 방습 후
2 77.2 11.2 66.0
5 79.2 11.8 67.4
7 79.7 13.2 66.5
평균 66.6
상기 [표1],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습량과 방습량에서는 수치에 큰 차이는 없이, 우수한 호흡효과, 즉 흡방습 능력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흡방습량을 평균하면, 67. 7g/㎡가 되고, 마루 바닥 밑 높이가 30㎝, 마루 바닥 면적 70㎡인 일반 주택을 예로 상대 습도와 포화 수증기량 및 실질 수증기량의 관계를 기초로 23℃, 상대 습도 90%(목재 부패균, 목재 의존균의 생육 가능 습도) 환경에서의 흡습에 의한 상대 습도 변화를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23℃에서 상대 습도 약 72%에 상당하고, 이 상대 습도는 상기 목재에 해를 끼치는 균의 생육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는 수치였다(목재 폐해균의 생육가능한 상대 습도는 85% 이상).
또한, 상기 발명품을 (사)일본 목재 보존 협회 규격 제 13호 「토양처리용 개미 방충제의 방충효력 시험방법 및 성능기준(야외 시험)」에 준거하여 시험하였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레이트제 궤짝으로 이루어진 야외 시험장치(A)를 집 흰 개미(Coptotermes) 서식처 주변에 깊이 5cm의 토양중에 매설하고, 장치(A) 내부에 조습 담지제(13)를 채운 하부 자루체(11-2)측을 토양 표면(G)에 밀착시켜 두었다. 다음으로 조습제(14)를 채운 상부 자루체(11-1)의 상면에, 적송으로 제작한 개미 유인재(15(30mm ×30mm ×100mm))를 2개 겹쳐 두었다. 시험 장소는 가고시마현 히오끼군 후끼아게정, 후끼아게하마로 하고, 시험 기간은 최저 2년간으로 정하였다. 비교 시험으로서, 별도로 흰 개미 기피제 대신에 조습재(14)를 채운 것, 또는 단순히 토양 표면에 개미 유인재(15)만을 설치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결과는 아래 [표3]과 같다.
시험체의 구분 식해도(食害度) 구수(區數) 비고
흰 개미 기피제 있음 A(2년간 피해없음) 5 2년간 흰 개미 피해는 전혀 확인되지 않음.
B(1~2년에 피해) 0
C(1년이내에 피해) 0
흰 개미 기피제 없음(조습재를 대체 사용) A(2년간 피해 없음) 0 6개월이내에 개미 유인재가 흰개미에 의해 식해됨
B(1~2년에 피해) 0
C(1년이내에 피해) 5
개미 유인재(적송 껍질)만 A(2년간 피해 없음) 0 3개월이내에 개미 유인재가 흰 개미에의해 식해됨
B(1~2년에 피해) 0
C(1년 이내에 피해) 5
상기 [표3]과 같이, 흰 개미 기피제를 사용한 경우는, 상호 시험을 2년간 경과한 시점에서도, 개미 유인재가 흰 개미에게 식해(食害)되는 것은 전혀 없었다.
한편, 흰 개미 기피재 대신 조습재(14)를 둔 경우에 있어서는, 시험 개시 6개월 경과한 시점에서, 조습재(14) 내부를 관통하고, 그 상면에 둔 개미 유인재(15)가 식해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고, 시험 개시 1년째에는 식해가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어, 2개를 겹쳐 놓은 개미 유인재(15)의 하단의 것은 형상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식해되어 있었다. 또한, 개미 유인재(15)만 설치한 시험구에 있어서, 시험개시 3개월째 이미 개미 유인재(15)가 상당히 식해를 받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6개월째에는 식해에 의해 거의 소실되어 있었다.
(실시 예 2)
상기 실시 예 1에서 조습재(14)로서 사용한 천연 제올라이트 대신에, 세피오라이트, 화산성(火山性)경석(輕石), 실리카 겔 및 활성탄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 예 1의 흡방습량 측정시험과 동일하다. 시험결과는 아래 [표4] [표5]와 같다. 한편 시험결과는 7 사이클 후의 수치만을 나타낸다.
조습재 구분 사이클 수 질량변화(g/㎡) 흡습량(g/㎡)
흡습 전 흡습 후
세피오라이트 7 11.2 79.9 68.7
화산성경석 7 12.1 80.1 68.0
실리카 겔 7 9.8 80.3 70.5
활성탄 7 10.6 79.8 69.2
조습재 구분 사이클 수 질량변화(g/㎡) 방습량(g/㎡)
방습 전 방습 후
세피오라이트 7 79.9 13.8 66.1
화산성경석 7 80.1 14.3 65.8
실리카 겔 7 80.3 12.6 67.7
활성탄 7 79.8 12.9 66.9
상기 [표4] [표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습재(14) 중 어느것이라도 흡습량 및 방습량 모두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제올라이트와 거의 동등한 수치이며, 우수한 흡방습 능력이 인정되고 있다.
(실시 예 3)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흰 개미 기피제의 베니로얄 오일 대신에 님 오일, 유칼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히노키 오일, 맹그로브 오일을 사용하여, 실시 예 1 및 (사)일본 목재 보존협회 규격 제 13호(실내시험)에 준거하여 시험하였다. 실내 시험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즉, 제올라이트에 상기 흰 개미 기피제(살충제)가 1 중량 %가 되도록 침투시킨 것을 시험재료(S)로 하고, 이를 40 ±2℃의 항온기 안에 4주간 방치하여 내후조작(휘발조작)하였다. 이 내후조작(耐侯操作)을 마친 후, 각 시험재료 S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시험 장치(B)의 내경 15mm, 길이 100mm의 유리관 중앙에, 6mm(1㎡ 당 3kg 산포에 해당한다) 두께가 되도록 양측의 무처리 토양(G')(20 메쉬통과)사이에 끼워져 있다. 무처리 토양(G')의 두께는 좌우 각각 25mm로 하였다.
한편, 무처리 토양(G')은 건조 중량 12g에 대해 3g의 수도물을 혼합시킨 것을 이용하고, 또한 상기 시험재료(S)를 세트한 유리관은, 내경 50mm, 높이 120mm의 2개의 저부를 폐쇄한 유리 원통의 바닥으로부터 20mm 지점에서, H형으로 다리를 걸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험장치(B) 일방의 유리 원통(도면에 있어 좌측)에는, 약 20mm 높이까지 무처리 토양(G')을 채우고, 여기에 집 흰 개미의 일개미 100마리, 병사개미 10마리를 화살표 방향으로 투입하였다. 또한 타방의 원통(도면에 있어 우측)에는, 개미 유인재(15)로서 적송 나무미끼를 채웠다.
그리고, 개미 방충 성능은, 집 흰 개미가 무처리 토양(G')이 들어 있는 좌측의 유리 원통으로부터 시험재료(S)를 통과하여 개미 유인재(15)가 들어 있는 우측의 유리 원통으로 이동할 수 있는가 없는가로 평가하였다.
시험체의 구분 나무먹이 천공(穿孔)의 유무 비고
님 오일 없음 2주간이내에 흰개미 전부 사망
유칼리 오일 없음 2주간이내에 흰개미 전부 사망
페퍼민트 오일 없음 2주간이내에 흰개미 전부 사망
히노키 오일 없음 2주간이내에 흰개미 전부 사망
맹그로브 오일 없음 2주간이내에 흰개미 전부 사망
무처리 토양만 있음 1일이내에 흰개미가 통과
상기 [표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정유 어느것이라도 흰 개미에 대한 기피효과(살충효과)가 있다.
(실시 예 4)
이소파라핀계 용매(예컨대, 출광흥업(주)제 상품명: 수퍼졸FP-30)에 카프린산, 알키드 수지(예컨대 특수색료공업(주)제 상품명:TYC-1000)를 10 중량 % 용해한 것을 10 중량 %, 베니로얄 오일을 동일하게 10 중량 %가 되도록 아세톤에 용해하였다. 이것을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제올라이트에 혼합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시험재료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 예 3의 실내시험에 준거하여, 상기 시험재료를 개미 방충효력 지속시험에 제공하였다. 한편, 내후조작에 대해서는 50 ±2℃에서 1개월, 2개월, 3개월로 하였다. 시험결과는 아래 [표7]과 같다.
효력지속 보조제 내후조작 기간 천공의 유무 비고
카프린산 01개월2개월3개월 없음없음없음일부 있음 내후조작 3개월째에 있어 일부 흰 개미의 천공이 있었다.
알키드 수지 01개월2개월3개월 없음없음없음일부 있음 내후조작 3개월째에 있어 일부 흰 개미의 천공이 있었다.
무첨가 01개월2개월3개월 없음있음있음있음 내후조작 1개월째에 있어 모두 흰 개미의 천공이 있었다.
상기 [표7]과 같이, 카프린산이나 알키드 수지의 첨가에 의해, 흰 개미 기피제 또는 살충제의 효력 지속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50 ±2℃에서 2주간은 농약의 내후조작 기준의 약 1년에 상당하므로, 이들 보조제의 첨가에 의해 5년 이상의 효력 지속성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따르면, 마루 바닥 밑 지면의 소정의 장소에 본 발명을 적당한 개수로 배치하는 것만으로 개미 방충 처리작업을 해치울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가혹한 노동조건으로부터 해방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개미 방충 처리작업중에 담지제가 피부에 부착한다든가, 흡기하는 일이 없어지고, 작업자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자루체 내부에 조습 담지재 및 조습제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승적 효과에 의해 흰 개미의 생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 부패균 등의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플라스틱 시이트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부직포, 고밀도 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투습성의 시이트 소재를 겹치고,
    상기 겹쳐진 시이트 소재와 플라스틱 시이트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녹여 붙이며,
    수평방향으로 중간 칸막이를 갖는 자루체를 형성하여,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보다 상방의 자루체 내부에 조습재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플라스틱 자루체보다 하방의 자루체 내부에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를 침투시킨 조습 담지재를 가득 채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루체를 이루는 플라스틱 시이트와, 그리고
    방수·투습성의 시이트 소재간을 수직방향으로 구분하여 녹여 붙이고,
    누비 형상으로 가공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습재는,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 세피오라이트, 클레이, 규조토, 백사, 화산성 경석, 실리카 겔, 활성탄, 활성탄소 섬유, 흡수성 폴리머 등의 무기또는 유기의 다공질 재료나 인공소재 중 한 종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습 담지재는, 상기 무기 또는 유기의 다공질 재료나 인공소재로 이루어진 조습재에,
    천연정유 또는 천연정유에서 나온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흰 개미 기피제나 흰 개미 살충제 등의 담지제가 침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KR10-2001-0043355A 2000-12-28 2001-07-19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KR100446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403158 2000-12-28
JP2000403158A JP4695755B2 (ja) 2000-12-28 2000-12-28 調湿兼シロアリ防除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349A true KR20020055349A (ko) 2002-07-08
KR100446582B1 KR100446582B1 (ko) 2004-09-04

Family

ID=1886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55A KR100446582B1 (ko) 2000-12-28 2001-07-19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95755B2 (ko)
KR (1) KR100446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5925A (ja) * 2005-05-13 2006-11-24 Nippon Home Products Kk けい藻土を素材とするセラミ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3018B1 (ko) * 2008-11-12 2011-03-24 주식회사 티피지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08Y2 (ko) * 1984-12-03 1993-02-02
JPH0661206B2 (ja) * 1989-06-07 1994-08-17 良幸 永田 害虫の防除器具及び方法
JPH054208A (ja) * 1991-06-25 1993-01-14 Kubota Corp セメント瓦の成形方法
JP3095092B2 (ja) * 1992-03-13 2000-10-03 尚明 山本 防虫用多層体
JPH0662713A (ja) * 1992-08-11 1994-03-08 Hokutomi Sangyo Kk ダニ類等害虫の殺虫処理方法
KR960001640Y1 (ko) * 1993-04-09 1996-02-22 신용순 방습, 단열성 라미네이트지
JP2702057B2 (ja) * 1993-05-28 1998-01-21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防蟻機能を有する防湿材
JP3667377B2 (ja) * 1995-03-27 2005-07-06 株式会社日本衛生センター 家屋の床下防虫処理方法
KR970032393A (ko) * 1995-12-14 1997-07-22 조규향 방충방균 및 습기제거방법
JP3903232B2 (ja) * 1998-05-22 2007-04-11 フマキラー株式会社 防虫消臭脱臭シート
JP2000027320A (ja) * 1998-07-14 2000-01-25 Its:Kk サイプレスパインを利用した木造建築物の白蟻防除、調湿、脱 臭材
KR20000072252A (ko) * 2000-08-22 2000-12-05 정종상 가정용 위생해충 구제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식물성 정유 조성물 및 그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582B1 (ko) 2004-09-04
JP2002199836A (ja) 2002-07-16
JP4695755B2 (ja)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319B1 (ko) 수동적 공간 곤충 퇴치제 스트립
JPS5832944B2 (ja) デイスペンサ−
JP2005500181A (ja) 木材構造物への木材害虫の接近を防ぐバリア
JPS63104905A (ja) テルペン類の化合物を含有する,住居内のダニ類の予防,駆除物体
WO2003086069A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wood-boring insects
RU2010102031A (ru)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KR100446582B1 (ko) 조습겸 흰 개미 방제구
WO1999026481A1 (fr) Produit de preservation du bois, systeme de protection contre la pourriture et les insectes, et kit d'appat
Kydonieus et al. Multilayered laminated structures
JPH0678201B2 (ja) ピレスロイド系殺虫組成物用効力増強剤
US5192545A (en) Silica gel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WO2011083485A1 (en) Insect management compositions for use on 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and surfaces
JP2000336007A (ja) ダニ誘引剤、殺ダニ剤及びダニ捕獲材
EP0337212A2 (en) Silicia gel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JP2683601B2 (ja) 家屋の防湿防腐防虫防蟻処理方法
WO2024121275A1 (en) Ant-repellent composition
US6746683B2 (en) Nontoxic pesticid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5068045A (ja) 防虫性下敷
JP2003092977A (ja) シロアリの建築物への進入阻止方法
JPH0517312A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を含有する常温揮散性殺虫、防虫、忌避剤、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殺虫、防虫、忌避方法
JPH11217310A (ja) 木材保存剤
JPH01160903A (ja) 防虫剤組成物
JP2739231B2 (ja) ノミ防除剤及びこれを用いたノミ防除材
JP2004121206A (ja) 防蟻シート
JPH02200603A (ja) 不快害虫の忌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