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838A -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838A
KR20020047838A KR1020000076456A KR20000076456A KR20020047838A KR 20020047838 A KR20020047838 A KR 20020047838A KR 1020000076456 A KR1020000076456 A KR 1020000076456A KR 20000076456 A KR20000076456 A KR 20000076456A KR 20020047838 A KR20020047838 A KR 2002004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unit
operator
key input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838A/ko
Publication of KR2002004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는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 및 그 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에 따른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할지 여부를 체크하는 스크롤부와, 현재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데이터로 인해 라인 오버를 일으킬지 여부를 체크하는 라인 오버 체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CALCULATION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계산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는 전자계산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두 개의 숫자에 대한 연산만 가능하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숫자 1과 2를 더할 때는 한번의 연산으로 그 결과 3을 얻을 수 있지만(1 + 2 = 3), 그 이상의 숫자들에 대한 연산은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세 개의 숫자 1, 2 및 3을 더하여 그 결과인 6을 얻기(1 + 2 + 3 = 6) 위해서는 두 번의 계산을 해야 한다. 즉, 1과 2를 먼저 더하여 1차적인 결과인 3을 얻은 다음, 상기 3에 다시 3을 더하여 최종적인 결과로 6을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두 숫자에 대한 연산을 실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근래에 와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여 일정 개수의 숫자를 합하는 연산도 한번에 간단하게 수행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라인 수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긴 연산일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의 계산을 실시해야 원하는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괄호, 즉 ( )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편한 점도 많다.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두 라인으로 제한된 화면 표시 공간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사용자들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전자계산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 바,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가,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 및 그 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에 따른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할지 여부를 체크하는 스크롤부와, 현재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데이터로 인해 라인 오버를 일으킬지 여부를 체크하는 라인 오버 체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이, 소정의 연산식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연산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세 가지 조건[첫째: 피연산자(숫자)는 그냥 출력한다. 둘째: 연산자는 그 연산자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를 만날때까지 꺼내서 출력한 뒤에 자기 자신은 스택에 넣는다. 세째: 모든 입력이 끝나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들을 모두 꺼내서 출력한다.]에 의거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후위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세 가지 조건[첫째: 숫자를 만나면 숫자는 스택에 넣는다. 둘째: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숫자를 꺼내서 그 두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스택에 다시 넣는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단계를 반복한다.]에 의거 계산하는 제3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두 숫자에 대한 연산을 실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두 라인으로 제한된 화면 표시 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전자계산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 숫자에 대한 연산을 실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때 더 이상의 화면 표시 공간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한 때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도 6과 같이 스크롤이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 저장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를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c는 도 7b와 같이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경우 스크롤과 괄호가 포함된 때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도 8와 같이 스크롤과 괄호가 포함된 경우의 데이터 저장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도 9a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를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c는 도 9b와 같이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숫자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전자계산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키입력부 10은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취소키로는 숫자를 지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산자까지 계속해서 지우고 숫자와 연산자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괄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뉴키를 누른 상태에서 좌측키를 누르면 왼쪽 괄호 '('이 입력되고, 메뉴키를 누른 상태에서 우측키를 누르면 오른쪽 괄호 ')'이 입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 20은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 및 그 연산 결과를 표시한다.
연산부 30은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에 따른 연산을 실시한다. 상기 연산부 30은 연산자 및 괄호의 연산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우선순위제어부 35를 포함한다.
스크롤부 40은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상기 표시부 20에 표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할지 여부를 체크한다.
라인 오버 체크부 50은 현재 상기 표시부 20의 표시 상태가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입력될 데이터로 인해 라인 오버(line over)를 일으킬지 여부를 체크한다.
메모리 60은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 숫자에 대한 연산을 실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 이상의 숫자에 대해서도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예시된 경우는 세 숫자에 대한 연산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연산은 우선 순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데, 123456789/123456789가 먼저 실시되고 그 결과값을 123456789에서 빼면 최종적인 결과로서 123456788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숫자들에 대한 사칙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 연산을 해야 한다. 이는 스택(stack)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때 더 이상의 화면 표시 공간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한 때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두 라인에 걸쳐 숫자에 대한 화면 표시가 꽉 찼을 때 새로운 숫자 3을 입력하면 처음 숫자 1이 상기 도 6과 같이 스크롤되면서(화면상에서 사라짐) 새로운 숫자는 맨 뒷자리에 표시된다. 이 경우 실제 연산에서는 상기 스크롤된 숫자도 반영이 될 것인 바, 123456789 - 123456789/123456789 + 123 = 123456911이 표시될 것이다.
도 7a는 도 6과 같이 스크롤이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 저장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도 7a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를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도 7b와 같이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스택을 이용하여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도 7b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연산자(숫자)는 그냥 출력한다.
둘째, 연산자는 그 연산자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를 만날 때까지 꺼내서 출력한 뒤에 자기 자신은 스택에 넣는다.
셋째, 모든 입력이 끝나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들을 모두 꺼내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를 만나면 숫자는 스택에 넣는다.
둘째,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숫자를 꺼내서 그 두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스택에 다시 넣는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단계를 반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산을 실시할 경우 스크롤과 괄호가 포함된 때의 화면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와 같이 스크롤과 괄호가 포함된 경우의 데이터 저장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도 9a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를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9c는 도 9b와 같이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9a 혹은 전술한 도 7a와 같은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는 계산을 위해 도 7b 혹은 도 9b와 같이 후위식의 형태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후위식으로 변환된 후에는 7c 혹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계산이 실시된다.
스택을 이용하여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도 9b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괄호 '('가 나오면 스택에 넣는다.
둘째, 괄호 ')'가 나오면 스택에서 괄호 '('가 나올 때까지 꺼내서 출력하고 괄호 '('와 ')'는 버린다.
셋째, 피연산자(숫자)는 그냥 출력한다.
넷째, 연산자는 그 연산자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를 만날 때까지 꺼내서 출력한 뒤에 자기 자신은 스택에 넣는다.
다섯째, 모든 입력이 끝나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들을 모두 꺼내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후위식으로 변환된 형태에서 계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를 만나면 숫자는 스택에 넣는다.
둘째,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숫자를 꺼내서 그 두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스택에 다시 넣는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숫자들에 대한 사칙 연산이 가능하고, 두 라인을 넘어가는 긴 연산에 대해서도 스크롤 기능을 이용해 연산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며 괄호의 사용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내장된 전자계산기능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 및 그 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에 따른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경우 스크롤이 발생할지 여부를 체크하는 스크롤부와,
    현재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데이터로 인해 라인 오버를 일으킬지 여부를 체크하는 라인 오버 체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산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가 연산자 및 괄호의 연산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우선순위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3.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연산식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연산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다음 세 가지 조건에 의거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첫째: 피연산자(숫자)는 그냥 출력한다.
    둘째: 연산자는 그 연산자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를 만날 때까 지 꺼내서 출력한 뒤에 자기 자신은 스택에 넣는다.
    셋째: 모든 입력이 끝나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들을 모두 꺼내서 출력 한다.
    상기 후위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다음 세 가지 조건에 의거 계산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첫째: 숫자를 만나면 숫자는 스택에 넣는다.
    둘째: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숫자를 꺼내서 그 두 데이 터를 가지고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스택에 다시 넣는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단계를 반복한다.
  4.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연산식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연산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다음 세 가지 조건에 의거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첫째: 괄호 '('가 나오면 스택에 넣는다.
    둘째: 괄호 ')'가 나오면 스택에서 괄호 '('가 나올 때까지 꺼내서 출력하고 괄호 '('와 ')'는 버린다.
    셋째: 피연산자(숫자)는 그냥 출력한다.
    넷째: 연산자는 그 연산자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를 만날때까지 꺼내서 출력한 뒤에 자기 자신은 스택에 넣는다.
    다섯째: 모든 입력이 끝나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들을 모두 꺼내서 출 력한다.
    상기 후위식을 스택을 이용하여 다음 세 가지 조건에 의거 계산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첫째: 숫자를 만나면 숫자는 스택에 넣는다.
    둘째: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숫자를 꺼내서 그 두 데이 터를 가지고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스택에 다시 넣는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단계를 반복한다.
KR1020000076456A 2000-12-14 2000-12-14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20047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56A KR20020047838A (ko) 2000-12-14 2000-12-14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56A KR20020047838A (ko) 2000-12-14 2000-12-14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38A true KR20020047838A (ko) 2002-06-22

Family

ID=276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56A KR20020047838A (ko) 2000-12-14 2000-12-14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184B1 (ko) * 2011-06-06 2015-07-01 엠케이에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오존 발생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719A (ko) * 1995-04-26 1996-11-25 김주용 연산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구현방법
JPH1042016A (ja) * 1996-07-21 1998-02-13 Iwata Shuhei 電卓付電話機
JPH10257141A (ja) * 1997-03-11 1998-09-25 Teruya:Kk 電卓機能付き携帯電話
JPH10336301A (ja) * 1997-05-29 1998-12-18 Toru Sugisaka 電子計算機能およびボタン、パネル内蔵一体型携帯電話機・phs
KR20000025995A (ko) * 1998-10-16 2000-05-06 김영환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계산 기능 구현방법
KR20000059622A (ko) * 1999-03-05 2000-10-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계산기 기능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719A (ko) * 1995-04-26 1996-11-25 김주용 연산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구현방법
JPH1042016A (ja) * 1996-07-21 1998-02-13 Iwata Shuhei 電卓付電話機
JPH10257141A (ja) * 1997-03-11 1998-09-25 Teruya:Kk 電卓機能付き携帯電話
JPH10336301A (ja) * 1997-05-29 1998-12-18 Toru Sugisaka 電子計算機能およびボタン、パネル内蔵一体型携帯電話機・phs
KR20000025995A (ko) * 1998-10-16 2000-05-06 김영환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계산 기능 구현방법
KR20000059622A (ko) * 1999-03-05 2000-10-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계산기 기능 구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184B1 (ko) * 2011-06-06 2015-07-01 엠케이에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오존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2051A (zh) 一种输入法及输入法系统
CN113359999A (zh) 候选词更新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20047838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자계산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JP2000236373A (ja) 携帯電話機の動作方法及びその動作装置
JPS60221861A (ja) 演算式処理装置
JP5211851B2 (ja) 電子式計算機
JP3252493B2 (ja) 電子式計算機及びその計算処理方法
JP4022947B2 (ja) 電子機器
WO2023084566A1 (ja) 計算装置と計算プログラムと計算方法
KR100451726B1 (ko) 스크롤링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번호 입력 방법
JP2585048Y2 (ja) 数文字入力装置
JPS61262884A (ja) 要素上の特定点への線引き方法
JPS6175459A (ja) 複素数計算機能付電卓
JPH07319822A (ja) チェック機能付小型計算機
JP2002182833A (ja) 携帯端末の機能設定装置、その機能設定方法
TW466424B (en) Input method for easily locating identification code data
JP2014067116A (ja) 電子卓上計算機器
KR100388752B1 (ko)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JPH06266489A (ja) 遠隔制御付言語処理装置
JP2000278385A (ja) 携帯電話端末とサービス機能短縮呼出方法
JPS5972571A (ja) 電子式キヤツシユレジスタ
JP2000201211A (ja) 番号補間機能つき携帯電話機と番号補間方法
JPH1011401A (ja) 数式表示装置及び数式表示方法
JPH10260943A (ja) 電子電話帳
JP2007140811A (ja) 小数点付き数値入力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小数点付き数値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