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752B1 -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752B1
KR100388752B1 KR10-2001-0036158A KR20010036158A KR100388752B1 KR 100388752 B1 KR100388752 B1 KR 100388752B1 KR 20010036158 A KR20010036158 A KR 20010036158A KR 100388752 B1 KR100388752 B1 KR 10038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bile phone
input
hexadecim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398A (ko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7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된 키를 감지하는 키감지부, 16진수를 2진수로 변화하는 변환부, 입력된 숫자값을 보여주는 출력부로 구성하며, 또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6진수 입력시 10진수의 입력과 같이 한번의 키조작으로 하나의 16진수입력이 가능하므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자판을 이용하여 쉽게 16진수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Method for inputting hexadecimal digits on the mobile phone }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숫자와 기능키만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가 효과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휴대전화기에서는 10진수(decimal digit)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뉴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메뉴번호를 누르는 것이 대부분의 기능이었으므로 16진수 입력방법이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복잡해 짐에 따라 한글입력방식과 마찬가지로 16진수 입력방식도 필요하게 되었다. 즉 아래와 같은 16진수 입력방식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1. 블루투쓰 디바이스 어드레스 입력기능(Bluetooth device address)
2. 스마트 배터리(smart battery) 메모리 편집기능
3. 16진수를 지원하는 계산기에서 16진수 입력기능
4. 기타 메모리 편집,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입력, 하드웨어 어드레스(Hardware address)기능 등.
이중 1과 2만을 간단히 설명한다면, 먼저 1인 블루투쓰 디바이스(Bluetooth device)는 BD_ADDR이라는 유일어드레스(unique address)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 검출과정에서 원격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그리그, 이러한 블루투쓰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12개의 16진수 문자로 즉, "000C3E3A4B69" 또는 "00:0C:3E:3A:4B:69"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 : specification volume 2 : profiles", v1.0B, Dec. 1. 1999, http://www.bluetooth.com에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의 경우인 스마트 배터리(smart battery) 메모리 편집기능은배터리를 초기화를 한다. 여기서 초기화란 배터리의 잔여용량, 최대용량, 디자인 용량 등을 모두 완전충전하여 가정한 값을 배터리 램에 기록하는 의미이며, 즉 배터리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시행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과정에서 메모리덤프값에서 특정번지의 값이 캘리브레이션값과 정해진 스펙에 맞지 않는 경우 스마트배터리를 위한 마이크로칩에러로 간주한다.
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원래 0 ∼ 9, A ∼ F의 모든 키(key)가 존재하는 경우와 달리 휴대폰에는 "A ∼ F" 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휴대전화기의 환경에 맞는 새로운 방식의 16진수 입력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한 것으로서 도 1과 같은 방법이 있다. 이는 퀄컴의 16진수 입력기에 따른 것이다.
도 1의 방법은 16진수에 해당하는 숫자를 십진수로 입력하고 〔OK〕키를 눌러 16진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십진수로 자릿수가 하나인 "3"을 입력하자면 먼저 숫자 "3"를 누르고 다음 〔OK〕키를 차례로 누른다. 십진수로 자릿수가 둘인 "A"을 입력하자면 먼저 "1"을 누르고 다음 "0"을 누른후 마지막으로 〔OK〕키를 누른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 16진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소 2회 내지 최대 3회의 키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16진수 한 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반드시 한번은 눌러야 하므로 한 손으로 대부분 사용하게 되는 휴대전화기에서는 키를 누르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가 길어짐으로 인해 입력속도가 느리고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안된것으로서, 휴대전화기 상에서 사용자들이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 입력, 스마트 배터리 메모리편집 기능, 그리고 IP 어드레스 입력, 하드웨어 어드레스 입력 등을 위해 16진수를 빠르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휴대전화기상에서 종래의 16진수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제공하는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16진수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6진수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상에 숫자판이 배열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된 키를 감지하는 키감지부, 16진수를 2진수로 변화하는 변환부, 입력된 숫자값을 보여주는 출력부로 구성하며, 또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버튼을 조작함이 없이 바로 16진수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제공하는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보통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블럭구성도에는 주요한 구성으로 제어부(220), 키입력장치(200), 디스플레이장치(220), 그리고 메모리(230)등으로 이루어 짐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제어부(220)는 휴대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누른 키버튼을 감지하기 위한 키감지부(221), 감지한 키버튼값을 16진수로 변환하여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변환부(232), 입력된 16진수의 숫자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나타내기 위한 출력부(22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변환부(232)는 키감지부(221)를 통해 들어온 킷값이 길게 눌려진 값일 경우, 이를 특정값을 더하여 16진수의 값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변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3"이란 숫자키를 길게 눌렀을 경우, 키감지부는 "3"을 나타내는 숫자키가 길게 눌려져 입력되었음을 변환부에 신호를 보내 알리게 되고, 변환부는 이 숫자키가 길게 눌려졌는 지를 확인하여 길게 누려졌다면 16진수에서 십이진수의 "13"에 해당하는 "D"로 변환하기 위해 "10"이란 특정의 숫자를 더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3"을 길게 눌렀다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D"라는 16진수의 숫자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키입력장치(200)는 16진수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가 표시된 키패드가 있는 부분이다. 즉, 여기에는 휴대전화기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숫자 0 ∼ 9까지의 키버튼이 구비되고 "10, 11, 12, 13, 14, 15"의 숫자에 해당하는 16진수의 값 "A, B, C, D, E, F"가 새겨진 키버튼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장치(22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16진수의 값을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화면을 제공한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20)에 의해 수행될 소정의 프로그램들이 구비되어 있다. 즉, 이러한 소정의 프로그램에는 블루투쓰를 이용한 어드레스입력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산술을 처리하기 위한 계산기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16진수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휴대전화기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숫자키를 입력할 때까지 대기상태에 있게된다. 즉, 휴대전화기상에 있는 키입력장치 중에 어느 하나의 키가 입력될 때까지 휴대전화기는 대기상태에 있게되는 것이다(단계 S300).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키입력장치에 있는 하나의 키를 조작하게 되면 휴대전화기의 제어부(220)에 있는 키감지부(221)가 입력된 키가 숫자키인지 아니면 휴대전화기의 키입력장치에 있는 다른키, 이를테면 기능키, 특수기호입력키 등을 일컫는데 이 중에 하나의 키인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310).
숫자키인지 아니면 다른 키인지를 확인하여 만일 숫자키가 아닌 다른키 중에 하나의 키가 입력된 것이 확인되면 휴대전화기는 다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달리 숫자키가 입력된 것이라면 키감지부는 이 입력된 숫자키가 일정의 시간동안 길게 눌려졌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320). 만일 해당 숫자키가 길게 눌려지지 않았다면 이 값은 0 내지 9의 값에 해당하므로 키감지부는 이 키값에 해당하는 16진수로 인식하게 된다(단계 S350). 그렇지 않고 키값이 일정시간동안 길게 눌려졌다면 키감지부는 이 키값이 도 4에서 보는 0 내지 5의 키값에 해당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단계 S330), 여기서 눌린 키값이 0 내지 5의 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해당 키값 즉, 0 내지 9의 값중에서 해당 값을 16진수로 인식하게 된다(단계 S350).
이와 반대로, 입력된 키값이 특정숫자인 "6"보다 적으면 새로운 키값을 산출하여 이를 16진수의 값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특정값을 더하여 새로운 값을 산출하게 된다(단계 S340).
키값 = 키값 + 10
위 상기 공식에 따라 한 예를 든다면 입력된 키값이 만일 "6"보다 적은 "3"이고, 또한 해당키가 일정시간 길게 눌려졌다고 해보자, 그러면 새로운 키값은 다음처럼 계산된다.
키값 = 3 + 10 = 13
13은 10진수로 표현된 값이므로 이를 16진수를 변환하면 "D"가 된다. 따라서, 이를 표현하면 "0xD"가 된다.
이러한 10진수의 키값에 해당하는 각각의 16진수 값을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6진수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상에 숫자판이 배열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키패드상에 적혀있는 숫자 0 내지 9는 십진수를 표시하며, 괄호안에 있는 알파벳(A, B, C, D, E, F)이 16진수의 10 내지 15의 숫자에 해당한다. 이는 A가 10, B가 11, C가 12, D가 13, E가 14, F가 15와 상관관계에 있도록 동일한 키버튼에 배열하므로써 키입력시 사용자가 쉽게 해당 숫자키를 찾도록 하였다.
즉, 이러한 키버튼을 사용하여 16진수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숫자키 0을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0으로 인식한다.
숫자키 1을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1로 인식한다.
숫자키 2를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2로 인식한다.
숫자키 3을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3으로 인식한다.
숫자키 4를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4로 인식한다.
숫자키 5를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5로 인식한다.
숫자키 6을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6으로 인식한다.
숫자키 7를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7로 인식한다.
숫자키 8을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8로 인식한다.
숫자키 9를 짧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9로 인식한다.
숫자키 0을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A로 인식한다.
숫자키 1을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B로 인식한다.
숫자키 2를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C로 인식한다.
숫자키 3을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D로 인식한다.
숫자키 4를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E로 인식한다.
숫자키 5를 길게 누르는 경우 16진수의 F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짧게 눌러서 입력하는 숫자키 : 0, 1, 2, 3, 4, ,5, 6, 7, 8, 9
길게 눌러서 입력하는 숫자키(키버튼의 괄호안 문자) : A, B, C, D, E, F
이상, 본 발명을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6진수 입력시 10진수의 입력과 같이 한번의 키조작으로 하나의 16진수입력이 가능하므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자판을 이용하여 쉽게 16진수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의 숫자키에 16진수 입력시 필요로하는 영문자를 한 자판에 함께 표기하여둠으로써, 16진수 입력을 위해 별도로 여러 키버튼을 더 구비하지 않아도됨으로 휴대전화기의 키패드를 소형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십진수에 16진수를 나타내는 영문자를 같이 배열함으로써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손가락을 최소한으로 움직여 16진수를 입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숫자입력을 위한 키버튼이 구비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짧게 눌러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키버튼에 각각 0 내지 9의 숫자를 표시하고, 이중 소정의 시간동안 길게 눌러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6개의 키버튼에 6자의 영문자인 A 내지 F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에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키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상기 눌려진 해당 키버튼에 대응하는 숫자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전화기가 입력된 키숫자를 화면표시장치에 해당숫자로 출력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F의 문자는 각각 0 내지 5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키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상기 눌려진 해당 키버튼에 대응하는 숫자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단계에는,
    휴대전화기가 입력된 키값이 숫자키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값이 숫자키임에 따라 이 숫자키가 소정의 시간동안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길게 눌려졌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값이 길게 눌려짐에 따라 특정숫자보다 작은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값이 특정숫자보다 작음에 따라 소정의 값을 더하여 새로운 키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입력된 키값이 숫자키임에 따라 입력된 숫자키값과 상기 생성된 새로운 키값을 해당하는 16진수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값이 특정숫자보다 작음에 따라 소정의 값을 더하여 새로운 키값을 생성하는 단계에는,
    "키값 = 키값 + 10"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키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KR10-2001-0036158A 2001-06-25 2001-06-25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KR10038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158A KR100388752B1 (ko) 2001-06-25 2001-06-25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158A KR100388752B1 (ko) 2001-06-25 2001-06-25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398A KR20030000398A (ko) 2003-01-06
KR100388752B1 true KR100388752B1 (ko) 2003-06-25

Family

ID=2771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158A KR100388752B1 (ko) 2001-06-25 2001-06-25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7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099A (ja) * 1988-11-15 1990-05-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のアドレス設定器
WO1997036222A1 (en) * 1996-03-26 1997-10-02 Decao Mao Two-digit hybrid radix year numbers for year 2000 and beyond
KR100217940B1 (ko) * 1997-05-02 1999-09-01 서평원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숫자 및 문자입력방법
KR20000018149A (ko) * 2000-01-11 2000-04-06 김광원 전화한글자판의 배열과 사용방법
KR20010048807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099A (ja) * 1988-11-15 1990-05-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のアドレス設定器
WO1997036222A1 (en) * 1996-03-26 1997-10-02 Decao Mao Two-digit hybrid radix year numbers for year 2000 and beyond
KR100217940B1 (ko) * 1997-05-02 1999-09-01 서평원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숫자 및 문자입력방법
KR20010048807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00018149A (ko) * 2000-01-11 2000-04-06 김광원 전화한글자판의 배열과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398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1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100842547B1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를 갖는 이동 핸드셋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JP2002149308A (ja) 情報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KR100891777B1 (ko) 터치 센시티브 스크롤 방법
EP1832963A2 (en) Method of navigation on a mobile handset and the mobile handset
EP1832962A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with touch sensitive keypad
EP1832960A2 (en) Method for dialing telephone number using mobile handset and the mobile handset
US20030036411A1 (en)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into a text string and a text-editing terminal using the method
US7155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input data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EP1832959A2 (en) Method of photographing using a mobile handset, and the mobile handset
KR100388752B1 (ko) 휴대전화기 상에서 16진수 숫자입력방법
JP2001147764A (ja) 文字入力装置
KR20060003612A (ko) 입력 문자 미리보기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4779047B2 (ja) 入力端末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621889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A2645624C (en) Implementing direct telephone access on a multi-purpose wireless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05115429A (ja) 携帯端末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8234454A (ja) 携帯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10080072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6350931A (ja) 入力端末
KR200500150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