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470B1 -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470B1
KR100424470B1 KR10-2001-0010609A KR20010010609A KR100424470B1 KR 100424470 B1 KR100424470 B1 KR 100424470B1 KR 20010010609 A KR20010010609 A KR 20010010609A KR 100424470 B1 KR100424470 B1 KR 10042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panel
function key
func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988A (ko
Inventor
오승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4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물리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시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장착된 기능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외장 기능키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그 조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SPECIFIC FUNCTION KEY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구현된 터치스크린패널(TSP)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대중화됨과 동시에 정보처리기기로서의 고성능화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여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구현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폰북, 단문메시지 작성, 전자수첩 기능들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는 방법이었다. 그러한 다양한 방법중 하나가 터치 스트린 패널(이하, TSP라 칭함)을 이용한 입력 방법이다.
TSP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편리성 때문에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및 인터넷 폰 등에서 개인 정보 관리,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저항막 TSP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저항막 TSP는 그 특성상 2곳 이상을 누르면 압박된 2 지점을 따로 감지해낼 수 없기 때문에 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할 때의 시프트(shift), 컬(Ctrl), 알트(Alt) 등의 키와 동시에 눌러 사용하는 기능과 마우스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의 기능과 같은 기능은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SP를 통해 2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사용하는 기능을 구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키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물리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시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장착된 기능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외장 기능키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그 조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이다.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는 다양한 키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부호 14로 표시된 버튼은 프로그램 버튼으로서 소프트웨어 구동시 전원 온/오프에 상관없이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18로 표시된 버튼은 전원 버튼으로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능키는 외장에 버튼을 장착하고, 원하는 기능 예컨대, 통상적인 키보드의 시프트, 컬, 알트 키 기능 또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기능을 TSP를 통해 선택하여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원하는 기능키들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을 모두 장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 부호 18로 표시된 버튼은 키보드의 시프트 키에 대응하고, 도면부호 16으로 표시된 버튼은 키보드의 알트 키에 대응하며, 도면부호 12로 표시된 버튼은 키보트의 컬 키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패널(160)으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기능키(120)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장에 장착되고, 스크린 키보드의 시프트, 컬, 알트 등의 기능 및 마우스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 기능키(120)는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기능키(120)가 하나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기능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키중 하나의 기능키로 작동하거나,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한 선택을 통해 복수 개의 기능키중 하나의 기능키로 작동한다. 또한 기능키(120)가 물리적으로 복수개인 경우에는 각각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물리적으로 장착되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시, 특정 기능키 버튼이 눌러진 것을 감지하면 이 특정 버튼에 부여된 기능, 즉 시프트, 알트, 컬 기능 또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기능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기능키를 추가하여 이 기능키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터치스크린패널에 접촉할 때는 기능키의 기능+터치스트린패널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할 때 시프트, 컬, 알트 등의 기능 및 마우스 오른쪽 버튼의 기능을 구현한다.
터치스크린패널(160)은 객체지향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손이나 필기구 등을 통해 스크린 상의 일정 부위에 압력을 가하면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메모리(130)는 휘발성메모리(예: 램)와 비휘발성메모리(예: 플래시메모리, EEPROM)영역으로 나뉘어져 구현되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 그리고 발생되어 인가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 처리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 그리고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버퍼 기능을 수행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및 필요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표시부(14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이는 통상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표시부(140)에 있어 표시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는 키패드를 통한 정보들 외에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6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표시된다.
RF처리부(150)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와 단말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통상은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그리고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을 이루며, 변환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변화하여 해당 처리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선신호의 송신시에는 그러한 동작이 반대로 되어 이루어진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키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기능키 버튼이 외장에 추가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210단계에서 터치스크린패널(16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어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패널(16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계 212로 진행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장착된 특정 기능키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 특정 기능키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 214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아이콘 또는 소프트 버튼의 동작을 실행한다. 만약 특정 기능키 버튼이 눌러졌으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어떤 기능키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키능키+터치스크린패널의 기능을 실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터치패널스크린 상의 'a'를 눌렀다면 'a'를 입력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컬 기능키를 누른 상태로 'a'를 눌렀다면 Ctrl+'a'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미리 정한 기능을 실행한다. 터치패널스크린의 상태가 키보드가 아니고 아이콘이라면 사용자가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키를 누른채 아이콘을 접촉하면 통상의 PC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만약 기능키가 복수 개 있으면 제1 기능키는 시프트 키, 제2 기능키는 컬 키, 제3 기능키는 알트 키로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키가 하나인 경우에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 212에서 특정 기능키 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16으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키가 "Shift"키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눌러진 기능키가 "Shift"키가 아니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 220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키가 "Ctrl"키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눌러진 기능키가 "Ctrl"키가 아니면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 224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키가 마우스의 오른쪽 기능키인지를 판단한다.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러한 해당 기능키가 어떤 기능키인지를 판단하고 단계 218, 단계 222 및 단계 226에서 각 기능키+터치스크린패널의 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장에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함으로서 저항막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시프트, 알트, 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서도통상의 키보드의 기능키 예컨대, 시프트, 알트, 컬 기능키 및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기능키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물리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데이터의 인식시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장착된 기능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외장 기능키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그 조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키보드의 시프트, 알트, 컬 기능키 및 마우스의 오른쪽 기능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하나이며 복수개의 기능중 하나의 기능으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능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중 하나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하나이며 복수개의 기능중 하나의 기능으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한 선택을 통해 복수 개의 기능중 하나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물리적인 복수개의 기능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당 물리적 기능키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기능키 중 하나의 기능키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6.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고,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물리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능키를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한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키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에 장착된 기능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그 조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상의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구동 방법.
KR10-2001-0010609A 2001-02-28 2001-02-28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42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609A KR100424470B1 (ko) 2001-02-28 2001-02-28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609A KR100424470B1 (ko) 2001-02-28 2001-02-28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88A KR20020069988A (ko) 2002-09-05
KR100424470B1 true KR100424470B1 (ko) 2004-03-26

Family

ID=2769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609A KR100424470B1 (ko) 2001-02-28 2001-02-28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9637A (zh) * 2009-12-31 2010-06-09 华为终端有限公司 点触式输入方法及触摸屏手机
KR101743505B1 (ko) 2010-12-28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49A (ko) * 1996-08-09 1998-05-25 조영선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KR20020069742A (ko) * 2001-02-27 200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49A (ko) * 1996-08-09 1998-05-25 조영선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KR20020069742A (ko) * 2001-02-27 200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88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1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1011454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CN112527431B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033480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US7770118B2 (en) Navigation tool with audible feedback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ll alphabetic keyboard
US20070211034A1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function keys in exterior key columns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US7961176B2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sensing,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80163129A1 (en) On-screen cursor navigation delimiting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KR20000060726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사용자 입력 정보 입력 및 처리 방법
EP1416361A2 (en) Input mode selector on a mobile device
KR20000059621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4132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JPH07297891A (ja) 通信端末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0396282B1 (ko) 다중 기능키를 구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20010036158A (ko)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4695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46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을 무선 마우스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15051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312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20050063907A (ko) 피디에이 폰에서 어플리케이션 접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