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249A -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249A
KR19980014249A KR1019960033129A KR19960033129A KR19980014249A KR 19980014249 A KR19980014249 A KR 19980014249A KR 1019960033129 A KR1019960033129 A KR 1019960033129A KR 19960033129 A KR19960033129 A KR 19960033129A KR 19980014249 A KR19980014249 A KR 1998001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mobile communication
mobil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케이디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케이디통신(주)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101996003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249A/ko
Publication of KR1998001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은 미래 사회의 이동 통신은 가능한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타 통신 부분과 현재와 같이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이 접목되고 있어 현재의 휴대전화기와 같은 구조로는 데이터 통신 검색이 불편하며 데이터 표시관련 부품 및 전원 소비 증가로 인해 전체 단말기의 무게 및 크기 증가가 예상되므로, 전화를 사용하는데 따르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송수신 스피커와 마이크, 다이얼 만을 근거리 무선 접속(2∼4m 내외)으로 별도 장치로 제공하고, 본체에는 이동통신 디지탈 송수신 장치 및 대형 액정 장치와 입력 수단(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중앙 처리 장치, 근거리 음성 송수신회로,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 및 손목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하여 데이터 검색 시와 다이얼 시에만 사용하도록 데이터 검색과 전화 통화가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고, 스피커와 마이크, 다이얼, 소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송수신 장치는 본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고용량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 본체에 간단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시 고용량 배터리로 충전하여 두고 분리 시에는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여, 전화 통화 시에는 가벼운 본 송화기를 사용하고 본체에 끼워두거나 별도로 휴대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이동전화기를 액정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터 통신 부분과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을 분리함으로써 현재의 휴대 전화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때의 문제점인 데이터 통신 검색의 불편함, 데이터 표시관련 부품 및 전원 소비증가로 인해 전체 단말기의 무게 및 크기 증가, 전 통화시 무게 및 크기 증가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어 음성 및 데이터 검색에 사용되는 이동통신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 정보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후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지리 정보들을 수신하여 액정에 표시하고 검색할 수 있는 현위치 지리정보 검색모드가 제공되어,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면 별도의 고가 지리정보장치들이 필요없이 통신으로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이동통신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프로그램 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부가적인 현위치 지리정보 데이터 통신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동통신 기지국2:본체
3:충전용 배터리4:그래픽 액정 및 터치스크린
5:기능키6:근거리용 안테나
7:이동통신 안테나8:접속소켓
9:접속소켓부10:전화다이얼
11:마이크12:전원스위치
13:스피커14:송수화기 장치
15:근거리용 안테나16:근거리 안테나
17:고주파 앰프18:혼합기
19:FM 수신기20:확장기
23:VCO24:메모리
25:액정 표시기26:액정 구동기
27:다이얼키 및 기능키28:충전용 배터리
29:음성/데이터 표시램프30:중앙처리장치
31:사용가능 표시램프34:통신포트
33:전화기용 마이콤34:통신포트
35:IMM ASIC36:IMA
37:AGC38:수신 MMIC
39:디플렉서40:송신 MMIC
41:이동 통신 안테나42:VCO
43:PLL44:CODEC
45:FM 송신기46:RF 발진기
47:압축기48:오디오 입력부
49:안테나50:고주파 앰프
51:혼합기52:FM 수신기
53:확장기54:오디오앰프
55:스피커56:전화기용 마이콤
57:VCO58:VCO
59:PLL60:마이크
61:스피치네트워크62:압축기
63:RF 발진기64:FM 송신기
산업이 발달하고 인간의 활동 영역과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신수단의 발전은 필연적이라고 말할 수 있어 국내의 경우에도 천만대에 이르는 유선전화 및 삼백만대 정도의 이동전화가 보급되어 편리한 생활 활동을 제공하고 있으며, 통신 기술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디지탈 통신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음성통화는 물론 데이터 통신과 동화상 전송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시대가 열리고 있는 만큼 이동 휴대 단말기의 기능과 형태도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에 부합하도록 기존 휴대전화기 형태를 탈피해야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미래 사회의 이동 통신은 가능한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터 통신 부분과 현재와 같이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이 접목되고 있어 현재의 휴대 전화기와 같은 구조로는 데이터 통신 검색이 불편하며 데이터 표시 관련 부품 및 전원 소비 증가로 인해 단말기의 무게 및 크기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송수신 스피커와 마이크만을 근거리 무선 접속으로 별도로 제공하고 본체에는 이동통신 송수신 장치 및 대형 액정 장치와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하여 데이터 검색 시와 다이얼 시에만 사용하는 데이터 검색과 전화 통화가 분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즉, 휴대폰에서 무게 절감을 위한 기술적인 노력은 대단하며 이로 인하여 초경량 설계 및 고기술의 배터리(리튬폴리머 배터리)의 적용으로 가격이 상승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경량화에는 한계에 이른 것으로 추정되는데, 앞으로 휴대전화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많은 유용한 데이터 서비스가 예상되는데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휴대 전화와 데이터 검색을 일체화하면 발생하는 문제점은 사용상 불편함과 크기, 무게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해결하는 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어, 본 발명은 이를 전화 부분과 데이타 검색 부분을 분리하고 필요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
이동전화는 상대적으로 통화 요금이 비싸지만 임의의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휴대성 때문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며 개인휴대통신(PCS)이 보편화되는 1988년에는 휴대전화 자체가 데이터 통신 단말기(PDA)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제공되어 많은 편리함이 예상되고 있으나, 현재의 휴대전화에 대형 액정을 탑재하는 방식은 액정의 크기 제한 및 구조상 데이터 검색이 불편하고, 전화로 사용할 때에는 크고 무거워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대형 액정(칼라) 사용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는 경량화에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우리가 생활 중에 널리 사용하는 통신수단은 휴대폰처럼 이동할 수는 없지만 저렴하고 고속 전송이 가능한 유선 통신과, 최근 들어 급속한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한계 조차 극복하여 디지탈 발신전용전화, 주파수공용통신, 디지탈 셀룰러통신, 개인휴대통신, 무선데이타 단밀기와 같이 나름대로 독립적인 서비스 대상 영역을 확보하는 신규통신 서비스가 전개되고 있지만 결국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개인휴대통신으로 통합되리라는 것이 일관된 견해로 받아들여 지고 있는 만큼 개인 휴대 전화기의 형태 또한 현재와는 달리 소비자들의 경량화 요구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이루어 지게 되었다.
[발명의 목적]
산업이 발달하고 인간의 활동 영역과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신 및 이동수단의 발전은 필연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기술의 발전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새로이 창출하고 있으므로 다기능 복합 단말기의 개발은 이러한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상호 보완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하여 개인휴대통신(PCS)에서는 청각적인 전화 통신 및 시각적인 데이터 검색 통신과 동화상 수신이 모두 가능하여 지는데 이러한 환경 하에 모든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전화 기능 중 송수화기 기능만은 별도로 근거리(최대 2∼4m 내외) 무선 통신으로 제공하여 전화 기능은 초경량 및 소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에는 이동통신 송수신회로 및 대형 액정과 배터리를 설치하여 손에 들지 않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검색을 전문으로 할 수 있도록 설계한 이동통신 음성전화 및 데이터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피커와 마이크 및 다이얼과 소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송수신 장치는 본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고용량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 본체에 간단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 시 고용량 배터리로 충전하여 두고 분리 시에는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근거리 무선통신이므로 출력이 낮아 배터리 소모가 적고 기존 무선전화기와는 달리 대기 상태가 필요없도록 하여 전화 통화 시에는 가벼운 본 송수화기를 사용하고 본체에 끼워 두거나 별도로 휴대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통신 문화 확립에 기여할 것이며 그 응용 범위는 편리함을 떠나 점차 확대될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 검색용 본체가 제공되면 개인휴대통신과 같은 디지탈 쌍방향 통신이 제공되고 디지탈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기가 교신하고 있는 기지국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로 현재 자신의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기지국 좌표와 원하는 지리 정보 종류(예:주차장, 주유소, 은행, 카페 등을 선택)에 해당하는 디지탈 지도 정보와 상세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고가의 지도정보 데이터와 위성 수신기 없이도 필요한 지리정보를 검색하는 신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은 미래 사회의 이동통신은 가능한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터 통신 부분과 현재와 같이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이 접목되고 있어 현재의 휴대전화기와 같은 구조로는 데이터 통신 검색이 불편하며 데이터 표시관련 부품 및 전원 소비 증가로 인해 전체 단말기의무게 및 크기 증가가 예상되므로, 전화를 사용하는데 따르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송수신 스피커와 마이크, 다이얼 만을 근거리 무선 접속(2∼4m 내외)으로 별도 장치로 제공하고, 본체에는 이동통신 디지탈 송수신 장치 및 대형 액정 장치와 입력 수단(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중앙 처리 장치, 근거리 음성 송수신회로,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 및 손목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하여 데이터 검색 시와 다이얼 시에만 사용하도록 데이터 검색과 전화 통화가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고, 스피커와 마이크, 다이얼, 소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송수신 장치는 본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고용량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 본체는 간단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시 고용량 배터리로 충전하여 두고 분리시에는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도록하여, 전화 통화 시에는 가벼운 본 송화기를 사용하고 본체에 끼워두거나 별도로 휴대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를 액정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터 통신부분과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을 분리함으로써 현재의 휴대 전화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때의 문제점인 데이터 통신 검색의 불편함, 데이터 표시관련 부품 및 전원소비 증가로 인해 전체 단말기의 무게 및 크기 증가, 전화통화 시 무게 및 크기 증가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며, 이와 같이 이동통신 접속과 데이터 검색을 담당하는 본체부와 전화 통화 시 사용하는 송수화장치의 분리는 이동통신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전화통화를 담당하는 송수화기 장치(14)는 스피커(13)와 마이크(11), 전화다이얼(10), 근거리용 안테나(15)가 설치되어 근거리 무선 접촉(2∼4m 내외) 방식에 의하여 본체(2)와 접속소켓부(8)에 의해 분리 및 부착 사용이 가능한데 부착 시에는 본체의 접속 소켓(8)에 의해 전원, 접지, 스피커, 마이크가 직접 연결이 되며 송수화기 장치(14)에 내장된 소용량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분리 시에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회로가 전원스위치(12)를 누름으로써 동작하며, 본체(2)에는 이동통신 디지탈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7)가 내장되어 이동통신 기지국(1)과 접속을 하며 데이타 통신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그래픽 액정 및 터치 스크린(4)과 각종 기능키(5)들이 설치되어 내장된 입력 수단(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과 중앙 처리 장치, 송수화기 장치(14)와 음성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음성 송수신회로, 고용량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 및 손목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하여 데이터 검색 시와 다이얼 시에만 사용하도록 데이터 검색과 전화 통화가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고, 스피커(13)와 마이크(11), 다이얼(10), 소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는 송수신 장치(14)는 본체(2)에 착탈이 접속 소켓(8)을 통하여 용이하도록 하여 고용량 배터리(3)가 부착되어 있는 본체(2)에 간단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시 고용량 배터리로 충전하여 두고 분리 시에는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여, 전화 통화 시에는 가벼운 본 송화기를 사용하고 본체에 끼워두거나 별도로 휴대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본체의 개략적인 회로도로 주기능은 상대방의 메시지(음성 및 데이터)를 받고 자신의 메시지를 보내는 송수신 기능이다. 송신은 자신의 목소리를 마이크에 대고 말하면 음성 및 데이터→음향 신호 변환→변조→주파수 변환→전력증폭→전파 송출 등의 과정을 행하여 무선으로 상대방에게 보내는 기능이고, 수신은 이렇게 보내온 무선 전파를거쳐 전파 증폭→주파수변환→변조→전기신호 변환→스피커 및 수신 데이터의 과정을 거쳐 상대방의 목소리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각 부분 별로 구성 요소와 기능 등을 제2-1도를 참조로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용 디지탈 송수신부는 UART 통신포트, 오디오, 마이크 구분 신호선(34)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지국에서 오는 각종 정해진 코드에 의해 통신망 접속을 수행하며, 통화 연결을 위하여 CDMA 방식의 경우 주문형 반도인 IMM(35)과 IMA(36) 칩세트를 이용하여 CDMA의 신호변환 및 각종 제어를 하고 CDMA의 경우 CODEC칩으로(44) 아날로그 및 디지탈 음성신호 변환을 하고 기지국 출력제어 신호에 의하여 AGC에서(37) 출력변환이 이루어져 각각 증폭회로 및 주파수 변환회로인 수신 MMIC(38), 송신 MMIC(40)을 통하여 디플렉서(39)와 안테나(41)로 기지국과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데 중앙처리장치인 IMM칩(35)은 통신사업자의 페이징채널을 검색하면 접속 중인 기지국의 시스템 번호(15비트), 인접 기지국 번호(16비트), 지역번호(12비트), 기지국 번호(16비트), 기지국 경도(22비트), 기지국 위도(23비트), 예측되는 떨어진 거리(11비트) 데이터를 알 수 있다. 디플렉서(39)는 전파의 송/수신을 동시에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송/수신기 사이에 주파수 대역이 다른 2개의 필터(송신밴드필터, 수신밴드필터)로 구성한다. 송수화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회로는 이동 통신 스피커 출력부가 오디오 입력부(48)와 연결되어 압축기(47), RF발진기(46), FM송신기(45)를 거쳐 안테나(16)로 전파가 송출되며, 역으로 수신된 전파는 고주파앰프(17), 혼합기(18), FM수신기(19), 확장기(20), 오디오 앰프(21)를 연결 제어하여 오디오 출력부(22)를 거쳐 이동통신 마이크 입력단과 연결되며, 전화기용 마이콤(33)은 각종 신호 처리 및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PLL(43)을 제어한다. 송수화기 장치가 본체에 접속 소켓을 통하여 부착되었을 때는 이러한 무선 송수신회로를 통하지 않고 이동통신 입,출력부가 직접 송수화기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30)는 이동 음성 통신 및 데이터 정보 검색 모드에 적합하도록 각종 회로를 제어하며 그래픽 액정 표시기(25)에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고 다이얼키 및 기능키(27)의 입력을 받아 필요한 처리를 하며 음성/데이터 통신 구분 표시 램프(29)를 점등시키며 터치스크린 입력장치(32) 및 이동통신과 접속 가능 표시램프(31)를 제어한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음성통화 만을 위해 분리된 송수화기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로 본체와 무선으로 음성을 송수신 연결만 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음성 전화 상태를제어하도록 스피치네트워크 회로(61)가 설치되어 송신 회로인 압축기(62), RF발진기(63), FM송신기(64)와 수신 회로인 고주파앰프(50), 혼합기(51), FM수신기(52), 확장기(53), 오디오앰프(54)를 연결 제어하며, 전화기용 마이콤은 각종 신호 처리 및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PLL(59)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 흐름도로 초기화 후 전화기 상태를 체크하고 이동전화의 기지국 동기채널 및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고 필요시 송신 콘트롤 채널을 통화하여 각종 응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하며 통화 접속시 트래픽(보이스) 채널을 통하여 각종 응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하며 통화 접속시 트래픽(보이스) 채널을 사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주고 받고 통화로를 형성하는 이동전화기능을 수행하다가, 데이터 수신 상태에 따라 이동전화 송수신 모드와 데이터 통신 송수신 모드로 구분된다. 이동전화 송수신 모드에서는 송수신장치가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분리되어 있으면 근거리 무선통신 회로를 작동시키고 수신 시에는 벨소리 및 진동을 발생시키며, 송수신 회로가 사용가능 상태이면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를 진행하다가 전화가 끝나면 송수신회로를 차단하며 전화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통신 송수신 모드인 경우 액정 화면을 초기화시키며 정해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면서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필요시 수신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검색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데이터 검색 종료시 초기 상태로 돌아 간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부가적인 현위치 지리 정보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이 모드에 들어가면 접속된 통신사업자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여 현 전화기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셀 정보들을 읽어 들이고 동시에 페이징 채널 파이롯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각 기지국에서 떨어진 위치를 계산하여, 이를 삼각 좌표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여 자기 위치를 표시한다. 이 때 화면에 나타나는 원하는 지리 정보(주유소, 은행, 카페, 극장 위치 및 상세 정보)를 기능키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이동통신 지리정보센터에 자동 다이얼링 후 접속하여 접속이 이루어 지면 단말기의 현 위치와 원하는 지리 정보 코드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정에 표시하며 확대/축소 및 세부내역을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동전화기를 액정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시각적인 데이터 통신 부분과 청각적인 음성 전화 통신을 분리함으로써 현재의 휴대전화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때의 문제점인 데이터 통신 검색의 불편함, 데이터 표시관련 부품 및 전원 소비증가로인해 전체 단말기의 무게 및 크기 증가, 전화 통화시 무게 및 크기 증가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어 음성 및 데이터검색에 사용되는 이동 통신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 정보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후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지리 정보들을 수신하여 액정에 표시하고 검색할 수 있는 현위치 지리정보 검색모드가 제공되어,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면 별도의 고가 지리정보장치들이 필요 없이 통신으로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이동통신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기지국(1)과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통화를 담당하는 송수화기 장치(14)에 스피커(13)와 마이크(11), 전화다이얼(10), 근거리용 안테나(15)가 설치되어 근거리 무선접속(2∼4m 내외) 방식에 의하여 본체(2)와 접속소켓부(8)에 의해 분리 및 부착 사용이 가능한데, 부착 시에는 본체의 접속 소켓(8)에 의해 전원, 접지, 스피커, 마이크가 직접 연결되어 송수화기 장치(14)에 내장된 소용량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분리 시에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회로가 전원스위치(12)를 누름으로써 동작하며, 본체(2)에는 이동통신 디지탈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7)가 내장되어 이동통신 기지국(1)과 접속을 하며 데이터 통신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그래픽 액정 및 터치 스크린(4)과 각종 기능키(5)들이 설치되어 내장된 입력 수단(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과 중앙 처리 장치, 송수화기 장치(14)와 음성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음성 송수신 회로, 고용량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 및 손목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하여 데이터 검색 시와 다이얼 시에만 사용하도록 데이터 검색과 전화 통화가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검색용 이동전화장치.
  2. 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용 디지탈 송수신부는 UART 통신 포트, 오디오, 마이크 구분신호선(34)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지국에서 오는 각종 정해진 코드에 의해 통신망 접속을 수행하며, 통화 연결을 위하여 CDMA 방식의 경우 주문형 반도체들인 IMM(35)과 IMA(36) 칩세트를 이용하여 CDMA의 신호 변환 및 각종 제어를 하고 CODEC칩으로(44) 아날로그 및 디지탈 음성 신호 변환을 하고 기지국 출력제어 신호에 의하여 AGC에서(37) 출력변환이 이루어져 각각 증폭회로 및 주파수 변환 회로인 수신 MMIC(38), 송신 MMIC(40)을 통하여 디플렉서(39)와 안테나(41)로 기지국과 접속하도록 되어 있으며, 송수화기 장치(14)와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회로는 이동 통신 스피커 출력부가 오디오 입력부(48)와 연결되어 압축기(47), RF발진기(46), FM송신기(45)를 거쳐 안테나(16)로 전파가 송출되며, 역으로 수신된 전파는 고주파 앰프(17), 혼합기(18), FM수신기(19), 확장기(20), 오디오 앰프(21)를 연결 제어하여 오디오 출력부(22)를 거쳐 이동통신 마이크입력단과 연결되며, 전화기용 마이콤(33)은 각종 신호처리 및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PLL(43)을 제어하며, 중앙처리장치(30)는 이동 음성통신 및 데이터 정보 검색 모드에 적합하도록 각종 회로를 제어하며 그래픽 액정 표시기(25)에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고 다이얼키 및 기능키(27)의 입력을 받아 필요한 처리를 하며 음성/데이터 통신 구분 표시 램프(29)를 점등시키며 터치스크린 입력장치(32) 및 이동통신과 접속 가능 표시램프(31)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본체.
  3. 1항에 있어서, 본체와 송수화기 장치가(14)와 분리시 무선으로 음성을 송수신 연결하도록, 음성 통화 상태를 제어하는 스피치 네트워크 회로(61)가 설치되어 송신회로인 압축기(62), RF발진기(63), FM송신기(64)와 수신 회로인 고주파 앰프(50), 혼합기(51), FM수신기(52), 확장기(53), 오디오앰프(54)를 연결제어하며, 전화기용 마이콤은 각종 신호 처리 및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PLL(59)을 제어하며, 본체에 부착될 때에는 접속소켓(8)을 통하여 스피커와 마이크가 직접 이동통신 입출력부와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송수화기부.
  4. 1항에 있어서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의 부가적인 현위치 지리 정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모드에 들어가면 접속된 통신 사업자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여 현 전화기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셀정보들을 읽어 들이고 동시에 페이징 채널 파이롯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각 기지국에서 떨어진 위치를 계산하여, 이를 감각좌표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여 자기 위치를 표시하며, 화면에 나타나는 원하는 지리 정보(주유소, 은행, 카페, 극장 위치 및 상세 정보)를 기능키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이동통신 지리정보 센터에 자동 다이얼링 후 접속하여 접속이 이루어 지면 단말기의 현 위치와 원하는 지리 정보 코드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정에 표시하며 확대/축소 및 세부 내역을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위치 지리정보 데이터 통신 기능.
KR1019960033129A 1996-08-09 1996-08-09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KR19980014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129A KR19980014249A (ko) 1996-08-09 1996-08-09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129A KR19980014249A (ko) 1996-08-09 1996-08-09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49A true KR19980014249A (ko) 1998-05-25

Family

ID=6625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129A KR19980014249A (ko) 1996-08-09 1996-08-09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24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146A (ko) * 1998-10-17 2000-05-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부 생성 및 검색방법
KR20020010001A (ko) * 2000-07-28 2002-02-02 윤종용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된 착탈식 펜 타입 보조 하우징을구비한 단말기
KR20020039190A (ko) * 2000-11-20 2002-05-25 조정남 일체화된 음성 입출력 장치
KR20020080072A (ko) * 2001-04-11 2002-10-23 넷코덱(주)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100424470B1 (ko) * 2001-02-28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20040047403A (ko) * 2002-11-30 2004-06-05 엄장필 음성통화용 단말기 분리형 무선통신 단말장치
KR100809665B1 (ko) * 2005-08-09 2008-03-05 한국과학기술원 통신 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장치 및 그에 따른 전화통화의 착/발신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146A (ko) * 1998-10-17 2000-05-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부 생성 및 검색방법
KR20020010001A (ko) * 2000-07-28 2002-02-02 윤종용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된 착탈식 펜 타입 보조 하우징을구비한 단말기
KR20020039190A (ko) * 2000-11-20 2002-05-25 조정남 일체화된 음성 입출력 장치
KR100424470B1 (ko) * 2001-02-28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20020080072A (ko) * 2001-04-11 2002-10-23 넷코덱(주)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20040047403A (ko) * 2002-11-30 2004-06-05 엄장필 음성통화용 단말기 분리형 무선통신 단말장치
KR100809665B1 (ko) * 2005-08-09 2008-03-05 한국과학기술원 통신 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장치 및 그에 따른 전화통화의 착/발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2052A1 (en) Dual-mode GSM/PHS mobile phone adopting a single antenna
US20030119566A1 (en) Hand-free device equipped with expansion function modules
KR100470902B1 (ko) 핸드셋을 갖는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19980014249A (ko)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JPH06315005A (ja) 無線電話装置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20010011015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리형 무선 보조 단말장치
JPH11150762A (ja) ハンズフリー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474183B1 (ko)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JP3716137B2 (ja) 複合移動通信端末及びそれを用いる車載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663537B1 (ko) 블루투스 이동통신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KR200179810Y1 (ko) 송수화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JP2006180409A (ja) 無線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無線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無線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3505534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0049927A (ja)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100705037B1 (ko) 무선 전력 수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 본체, 무선 전력 송신이 가능한 전원공급부 및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
JPH05252106A (ja) 携帯電話装着型通信装置
JPH01318326A (ja) 移動体通信装置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