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183B1 -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183B1
KR100474183B1 KR10-2003-0025554A KR20030025554A KR100474183B1 KR 100474183 B1 KR100474183 B1 KR 100474183B1 KR 20030025554 A KR20030025554 A KR 20030025554A KR 100474183 B1 KR100474183 B1 KR 10047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portabl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259A (ko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주)모바일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바일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모바일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3-002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1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어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지역 이동에 따른 라디오 주파수 변화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주파수로 변환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와 결합하여 동작 가능한 휴대용 라디오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용 라디오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라디오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라디오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기기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일없이 간편하게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A MOBILE RADIO FOR MOBILE WIRELES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어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지역 이동에 따른 라디오 주파수 변화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주파수로 변환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산업의 발전과 함께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의 판매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이동 통신 기기는 대중 통신 수단의 일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사용자들은 휴대폰에 더 많은 기능이 부가되는 것을 바라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용 라디오의 애용자가 많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이동 통신 기기와 휴대용 라디오를 함께 가지고 다닐 경우 부피가 커서 휴대시 불편하고, 2개의 기기 모두를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라디오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이동 통신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라디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라디오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기기의 경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여 이를 통합하여 수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이동 통신 기기의 경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단지 통화용 스피커로만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라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할 경우 별도의 구성 변경이 불가피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 통신 기기의 구성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 통신 기기와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용 라디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라디오에서는 동일한 라디오 방송이라도 지역에 따라 그 주파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자동차, 기차 등을 이용하여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 지역이 이동될 때마다 그 지역에 맞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조절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우며, 만일 해당 지역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주파수를 일일이 검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일없이 간편하게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휴대용 라디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주파수 및 볼륨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라디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 이동시, 그 지역에 맞는 방송 주파수로 자동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주파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용 라디오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라디오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라디오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는 상기 라디오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 신호로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이어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볼륨을 조절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는 각 지역별 라디오 방송 주파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라디오 주파수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볼륨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볼륨 조절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가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와 이동 전 위치에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라디오 주파수를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기기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일없이 간편하게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가 제공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 및 이동 통신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기기, 예컨대 휴대폰(100)과 이 휴대폰(100)과 결합 가능한 휴대용 라디오(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는 커넥터부(210)를 구비하여 이 커넥터부(210)가 상기 휴대폰(100)의 인터페이스부(110)와 결합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는 이어폰(10) 또는 헤드폰이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 접속 단자(2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라디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휴대폰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휴대용 라디오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동안에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휴대폰 벨소리 재생시 이용되는 휴대폰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30)와, 라디오 모드 설정, 주파수 설정, 볼륨 조절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140)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과 라디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휴대폰 및 이 휴대폰에 결합되는 휴대용 라디오(2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와,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170)와, 상기 휴대용 라디오의 커넥터부(21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전원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는 휴대폰(100)의 인터페이스부(110)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210)와,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처리하며 휴대용 라디오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220)과, 상기 마이콤(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라디오 회로부(230)와, 상기 라디오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 신호로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240)와, 상기 마이콤(220)에 의해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전국 각 지역별 라디오 방송 주파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50)와, 상기 음성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어폰(미도시)으로 송출하는 이어폰 접속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0) 및 커넥터부(2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휴대폰의 전원(즉, 휴대폰의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디오 회로부(230)는 상기 마이콤(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 요소, 즉 안테나, 튜너부, 복조부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라디오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가 휴대폰에 결합되면, 휴대폰의 제어부(120)가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휴대용 라디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된다(단계 10). 다음, 사용자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해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면(단계 12),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50)에 주파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며, 사용자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해 청취하고자 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입력된다(단계 14). 이때, 라디오 방송 주파수의 입력은 사용자가 해당 주파수의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휴대폰 메모리에 기저장된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다음, 상기 휴대폰의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라디오 주파수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0)를 경유하여 휴대용 라디오(200)로 전송한다(단계 16). 다음, 상기 휴대용 라디오의 마이콤(220)은 상기 라디오 주파수 데이터를 수신한 후, 라디오 회로부(230)를 제어하여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방송 신호가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18).
다음, 라디오의 마이콤(220)은 소정의 볼륨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 여기서, 상기 볼륨 조절 신호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100)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휴대폰의 제어부(120)로 입력된 후,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를 경유하여 라디오의 마이콤(220)으로 전송된다. 만일, 소정의 볼륨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20에서 "예"), 상기 마이콤(220)은 상기 볼륨 조절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볼륨을 조절한다(단계 22).
한편, 볼륨 조절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20에서 "아니오"), 단계 22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단계 24로 이동한다.
다음, 휴대폰(100)의 제어부(120)는 위치 인식부(170)에서 인식되는 기지국 정보를 토대로 휴대폰의 위치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4). 이때, 휴대폰의 위치 이동 여부는 휴대폰과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넓은 지역을 작은 지역으로 세분하고 각 구역 내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휴대폰 통신을 중계하는데, 이렇게 구분된 서비스 영역을 셀이라 한다. 따라서, 휴대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영역인 셀이 변화되는 것이므로 상기 휴대폰의 위치가 이동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휴대폰(100)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경우(단계 24에서 "아니오"), 단계 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휴대폰(100)의 위치가 이동된 경우(단계 24에서 "예"), 상기 휴대폰(100)의 제어부는 휴대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휴대용 라디오(200)로 전송한다(단계 26).
다음, 상기 휴대용 라디오(200)의 마이콤(220)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검색한다(단계 28). 이때, 상기 마이콤(220)은 휴대용 라디오의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별 라디오 방송 주파수 정보를 이용한다.
다음,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이동 전 위치에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
만일, 상기 2개의 라디오 주파수가 서로 상이한 경우(단계 30에서 "예"), 상기 마이콤(220)은 라디오 주파수를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변환시킨다(단계 32). 다음, 단계 20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20 내지 단계 32의 일련의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
만일, 단계 30에서 상기 2개의 라디오 주파수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계 20으로 되돌아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동작시 휴대폰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의 일련의 처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통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가 소정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도중에서, 상기 휴대용 라디오에 결합된 휴대폰으로 소정의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401), 휴대폰의 제어부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소정의 휴대폰 벨소리 데이터를 불러와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라디오(200)로 전송한다(단계 403). 상기 라디오의 마이콤(220)은 상기 휴대폰 벨소리 데이터를 적절한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소정의 벨소리를 이어폰으로 출력한다(단계 405).
다음, 사용자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통화 개시의 소정의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단계 407에서 "예"), 상기 휴대폰의 제어부(120)는 라디오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에, 발신자와 사용자간의 음성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409). 다음, 사용자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통화 종료의 소정의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411에서 "예"), 상기 휴대폰(100)의 제어부는 라디오의 작동을 재개한다(단계 413). 이로써, 본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407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개시의 명령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라디오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벨소리가 종료되면(단계 415에서 "예"), 바로 본 절차를 종료한다.
이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 및 이동 통신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라디오 및 이동 통신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다만, 도 5의 경우, 이어폰(10)이 도 1과는 달리 휴대폰의 핸드프리용 이어폰 접속부(190)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라디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100)의 구성 요소 이외에, 음성 통화 및 휴대폰 벨소리 재생시 통화 신호 및 휴대폰 벨소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80)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이어폰 접속부(19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라디오(600)는 커넥터(210), 마이콤(220), 라디오 회로부(23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180) 및 이어폰 접속부(190)는 기존의 휴대폰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 요소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닌 관계로 도 2에서는 생략되었다.
다만, 상기 음성 처리부(180)는 휴대용 라디오(600)의 라디오 회로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전송받은 후에, 이를 적절한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이어폰 접속부(190)로 출력한다.
상기 이어폰 접속부(190)는 기존의 핸드프리용 이어폰 접속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 접속부(190)에 라디오용 이어폰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휴대폰의 핸드프리용 이어폰 접속부를 통하여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라디오의 구성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에, 상기 휴대용 라디오(600)의 작동 방법 및 라디오 작동 도중에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일련의 동작 절차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휴대용 라디오(600)는 음성 처리부 및 이어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휴대폰에 구비된 음성 처리부(180) 및 이어폰 접속부(190)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기기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일없이 간편하게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는 이동 통신 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동작에 대한 명령이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를 통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라디오의 주파수 설정 및 볼륨 조절이 보다 효율적이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위치 이동 결과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가 달라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지역에 맞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자동 변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동차, 기차 등을 통해 이동하는 도중에 지역을 이동함에 따라 라디오의 주파수를 매번 그 지역에 맞는 주파수로 변경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 및 이동 통신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라디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동작시 휴대폰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의 일련의 처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라디오 및 이동 통신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라디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휴대폰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130 : 메모리
140 : 위치 인식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전원부
170 : 위치 인식부
200 : 휴대용 라디오
210 : 커넥터부
220 : 마이콤
230 : 라디오 회로부
240 : 메모리
250 : 이어폰 접속부

Claims (7)

  1. 이동 통신 기기와 결합하여 작동 가능한 휴대용 라디오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용 라디오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라디오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라디오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 신호로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이어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3. 제2항에 있어서,
    각 지역별 라디오 방송 주파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4.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라디오 주파수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
  5.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라디오 주파수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키 패드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볼륨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볼륨 조절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가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와 이동 전 위치에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라디오 주파수를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의 방송 수신 방법.
KR10-2003-0025554A 2003-04-22 2003-04-22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KR10047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554A KR100474183B1 (ko) 2003-04-22 2003-04-22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554A KR100474183B1 (ko) 2003-04-22 2003-04-22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59A KR20040093259A (ko) 2004-11-05
KR100474183B1 true KR100474183B1 (ko) 2005-03-10

Family

ID=3737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554A KR100474183B1 (ko) 2003-04-22 2003-04-22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89Y1 (ko) * 2009-03-03 2011-04-06 (주)트루모바일 라디오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59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EP1944953B1 (en) Audio output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20070173293A1 (en) Mobile phone hand-free extension device
CN101411169A (zh) 具有多功能控制器的无线外设
US2004008236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handsfree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70902B1 (ko) 핸드셋을 갖는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20110034254A (ko) 전원 절약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0474183B1 (ko)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JPH0711168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619984B1 (ko) 라디오 안테나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라디오 수신방법
KR19980014249A (ko)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JP2002142006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5085431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JP2013017210A (ja) 無線通信装置
KR100641135B1 (ko)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및 방법
KR100628045B1 (ko)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
KR100606002B1 (ko) 휴대폰에서 라디오 방송신호 수신 방법
JP2000069563A (ja) 移動無線機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60028910A (ko) 휴대폰을 이용한 a/v 기기 자동 뮤트 시스템 및 그의자동 뮤트 방법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KR10060607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및 장치
JP200417998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ラジオ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