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589A - 롤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롤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589A
KR20020046589A KR1020000076839A KR20000076839A KR20020046589A KR 20020046589 A KR20020046589 A KR 20020046589A KR 1020000076839 A KR1020000076839 A KR 1020000076839A KR 20000076839 A KR20000076839 A KR 20000076839A KR 20020046589 A KR20020046589 A KR 2002004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roll
cylinder
cleaning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897B1 (ko
Inventor
김병석
김상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7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8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04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소재로 이루어진 와이퍼(112)를 형성하고 이 와이퍼(112)를 공급시키는 공급샤프트(114)와 상기 와이퍼(112)가 이송되는 끝을 고정하는 고정샤프트(116)를 장착하며 아울러 그 사이에 와이퍼의 안쪽에서 작업롤(17)을 향하여 와이퍼(112)를 지지하며 자성을 가지고 재료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흡착수단(120)을 형성하고 이 흡착수단(120)의 양쪽으로 전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수단(14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크리닝부(110)와; 상기 크리닝부(110)의 고정샤프트(116)와 크램프로 연결되는 모터(154)를 장착하고 또 상기 공급샤프트(114)와 역시 크램프로 연결되는 디스크(160)에 패드(164)를 실린더(166)로 압착시키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한 작동부(150)와; 상기 크리닝부(110)와 작동부(150)가 장착된 장착플레이트(182)를 형성하고 장착플레이트(182)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86)와, 장착플레이트(182)가 승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더(188)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86)와 가이더(188)를 지지하는 받침대(184)를 형성하는 지지부(1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롤 크리닝 장치{ An appratus for cleaning a roll }
본 발명은 롤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철소의 압연공정에서 압연기의 작업롤(work roll)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롤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된 슬라브, 불륨, 빌릿등을 회전하는 여러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늘리거나 엷게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이 압연공정은 열간압연공정과 냉간압연공정으로 나뉘는 데 특히 스테인레스 강판을 생산할 때는 냉간압연공정에서 이루어진다.
도1은 이 냉간압연공정에서 종래의 기술에 따라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압연기(10)에는 재료(11)가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작업이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에 오른쪽에는 제동드럼(12)이, 왼쪽에는 인장드럼(14)이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그 중간에 재료(10)의 상하양쪽에서 작업롤(15,16)이 일정한 압연력을 작용하며 작업롤(15,16)의 양측에서 재료의 아랫쪽에 아이들롤(18,19,20,21)이 장착되어 이송되는 재료(10)가 아랫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이송을 원활히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연기(10)는 재료(11)가 제동드럼(12)에서 인장드럼(14)으로 이송될 때에 작업롤(15,16)로부터 일정한 압하율로 원하는 두께로 작업한다.
그런데, 상기한 재료(11)는 완전한 가공이 되기 전의 것이므로 수많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작업중에 상기 작업롤(15,16)와의 사이에서 작업되는 재료의 표면에 롤 마크(roll mark)를 발생시켜 품질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롤(15,16)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없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장내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높았고 또 일일이 작업롤의 표면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아울러 작업능률이 떨어져 생산성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중에 작업롤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롤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롤의 폭과 상응하는 길이로 작업롤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천소재로 이루어진 와이퍼를 형성하고 이 와이퍼가 감긴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하는 공급샤프트와 상기 와이퍼가 이송되는 끝을 고정하는 고정샤프트를 장착하며 아울러 그 사이에 와이퍼의 안쪽에서 작업롤을 향하여 와이퍼를 지지하며 자성을 가지고 재료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흡착수단을 형성하고 이 흡착수단의 양쪽으로 전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수단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크리닝부와; 상기 크리닝부의 고정샤프트와 크램프로 연결되는 모터를 장착하고 또 상기 공급샤프트와 역시 크램프로 연결되는 디스크에 패드를 실린더로 압착시키는 브레이크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작동부와; 상기 크리닝부와 작동부가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 장착플레이트의 아랫쪽에 양측으로 장착되어 장착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양측에서 장착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와 가이더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크리닝 장치이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크리닝 장치를 압연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크리닝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롤 크리닝장치의 크리닝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며,
도5는 도3에 도시된 롤 크리닝장치의 작동부의 각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6은 도3에 도시된 롤 크리닝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a는 후진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6b는 전진상태 즉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롤 크리닝 장치 110 : 크리닝부
112 : 와이퍼 114 : 공급샤프트
116 : 고정샤프트 120 : 흡착수단
140 : 레일수단 150 : 작동부
154 : 모터 156 : 브레이크수단
180 : 지지부 182 :장착플레이트
184 : 받침대 186 : 실린더
188 : 가이더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크리닝 장치를 압연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크리닝장치(100)는 작업롤(14)의 아랫쪽에 설치되어 작업롤의 표면에 접하면서 작업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크리닝장치의 전체사시도로, 본 발명의 롤 크리닝장치(100)는 크리닝부(110)와 작동부(150) 그리고 지지부(180)로 구성된다.
상기 크리닝부(110)는 작업롤(16)의 폭과 상응하는 길이로 작업롤(16)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천 소재로 이루어진 와이퍼(112)를 형성하고 이 와이퍼(112)를 공급하는 공급샤프트(114)와 다른쪽끝을 고정하여 인장하는 고정샤프트(116)를 장착하며 아울러 그 사이에 와이퍼(112)의 안쪽에서 작업롤(16)을 향하여 와이퍼(112)를 지지하며 자성을 가지고 재료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흡착수단(120)을 형성하고 이 흡착수단(120)의 양쪽으로 전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수단(14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퍼(112)는 상기 공급샤프트(114)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고정샤프트(116)으로 감겨지는 데, 이 공급샤프트(114)는 상기 와이퍼(112)를 사용초기에 권취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180)에 베어링(115)으로 지지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고정샤프트(1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하여 그 사이에 공급되는 와이퍼(112)의 초기 끝단을 고정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퍼(112)를 고정샤프트에서 풀어서 권취하면서 이송시킨다.
상기 흡착수단(120)은 도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와이퍼(112)의 안쪽으로 펠트(122)를 위치시키며 이 펠트(122)의 내부에 자석(1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자석(124)는 양쪽으로 지지브라켓(126)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지지브라켓(126)은 상기 레일수단(1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수단(140)은 상기 흡착수단(120)을 지지하며 전후진할 수 있도록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180)와 고정되는 베이스레일(142)과, 이 베이스레일(142)에서 전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이동레일(144)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레일(144)은 상기 흡착수단(120)의 지지브라켓(126)과 결합하고 있는 데 운동방향의 안쪽으로 상기 베이스레일(142)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부재(147)와 스프링(148)를 위치시키고 고정플레이트(149)를 장착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47)와 스프링(148)을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레일(144)은 상기 흡착수단(120)을 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운동방향과 일치되는 자세로 장착된 실린더(146)에 결합되기도 하는 데, 이 실린더(146)의 작동으로 이동레일(144)은 작업롤(17)이 표면을 향하여 전진하지만 실린더(146)이 작동을 그만두면 상기 스프링(148)의 힘으로 다시 원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작동부(150)는 상기 크리닝부(11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80)에 장착되며 상기 크리닝부(110)의 고정샤프트(116)와 회전축에서 크램프(152)로 결합되는 모터(154)를 장착하고 상기 공급샤프트(114)에 역시 크램프로 결합된 브레이크수단(156)을 구성한다.
상기 브레이크수단(156)은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샤프트(114)에 결합되는 크램프(158)를 형성하고 이 크램프(158)와 일체된 디스크(16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디스크(160)의 양쪽으로 각각 브라켓(162)을 형성하여 디스크(160)을 지지토록 한다.
상기 크램프(158)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축의단면을 각지게 절개한 것이므로, 이 크램프(158)에 결합되는 공급샤프트(114)의 축도 부합되는 형상을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디스크(160)은 외측벽에 일주된 그루브(groove)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그루브를 따라 패드(164)를 끼우고 이 패드(164)의 양쪽을 같은 방향으로 하여 한쪽끝은 지지부(180)에 고정하고 한쪽끝은 나사부를 형성하여 실린더(166)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수단(156)은 와이퍼(112)가 공급샤프트(114)로부터 상기 고정샤프트(116)로 공급되면서 상기 공급샤프트(114)의 회전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166)를 후진시켜 패드(164)로 디스크(160)를 조여주도록 하면서 와이퍼(112)에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80)는 상술한 크리닝부(110), 작동부(150)이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182)를 형성하고 이 장착플레이트(182)의 아랫쪽에 받침대(184)를 형성하며 이 장착플레이트(182)와 받침대(184)의 사이에 길이방향의 양쪽으로 실린더(186)을 장착하며 이 실린더(186)의 폭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가이더(188)를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실린더(186)를 작동하여 작업롤(17)의 위치에 따라 크리닝부(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6은 도3에 도시된 롤 크리닝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a는 후진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6b는 전진상태 즉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크리닝부(110)의 실린더(146)가 작동하지 않아 흡착수단(120)이 작업롤(17)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작업롤(17)의 표면을 크리닝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도6b를 참조하면, 작업롤(17)의 표면을 크리닝할 필요가 있을 때에 크리닝부(110)의 실린더(146)가 작동하여 흡착수단(120)을 전진시킴으로써 와이퍼(112)를 작업롤(17)의 표면에 닿게 하는 데, 상기 와이퍼(112)와 상기 작업롤(17)과의 접촉정도는 강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질로 작업롤(17)의 표면에 이물질로하여금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롤 크리닝 장치는 작업중에 작업롤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작업롤(17)의 폭과 상응하는 길이로 작업롤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천소재로 이루어진 와이퍼(112)를 형성하고 이 와이퍼(112)가 감긴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공급시키는 공급샤프트(114)와 상기 와이퍼(112)가 이송되는 끝을 고정하는 고정샤프트(116)를 장착하며 아울러 그 사이에 와이퍼의 안쪽에서 작업롤(17)을 향하여 와이퍼(112)를 지지하고 자성을 가지고 재료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흡착수단(120)을 형성하며 이 흡착수단(120)의 양쪽으로 전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수단(14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크리닝부(110)와;
    상기 크리닝부(110)의 고정샤프트(116)와 크램프로 연결되는 모터(154)를 장착하고 또 상기 공급샤프트(114)와 역시 크램프로 연결되는 디스크(160)에 패드(164)를 실린더(166)로 압착시키는 브레이크수단(15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작동부(150)와;
    상기 크리닝부(110)와 작동부(150)가 장착된 장착플레이트(182)를 형성하고 이 장착플레이트(182)의 아랫쪽에 양측으로 장착되어 장착플레이트(182)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86)와, 이 실린더(186)의 양측에서 장착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182)가 승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더(188)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186)와 가이더(188)를 지지하는 받침대(18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지지부(1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크리닝 장치.
KR10-2000-0076839A 2000-12-15 2000-12-15 롤 크리닝 장치 KR10050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39A KR100507897B1 (ko) 2000-12-15 2000-12-15 롤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39A KR100507897B1 (ko) 2000-12-15 2000-12-15 롤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589A true KR20020046589A (ko) 2002-06-21
KR100507897B1 KR100507897B1 (ko) 2005-08-17

Family

ID=2768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39A KR100507897B1 (ko) 2000-12-15 2000-12-15 롤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8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72B1 (ko) * 2002-05-29 2008-08-13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 패스 압연기의 워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03631B1 (ko) * 2002-05-29 2009-06-18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내부 허스롤 표면 청소장치
CN103084395A (zh) * 2011-10-31 2013-05-08 江阴新仁科技有限公司 一种铝箔轧机支承辊刮油装置
KR20140059343A (ko) 2012-11-07 2014-05-16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롤의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72B1 (ko) * 2002-08-29 2009-12-01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설비의 스퀴즈롤 건조장치
KR101620411B1 (ko) 2014-03-12 2016-05-12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클리닝장치
KR101584499B1 (ko) 2014-07-15 2016-01-14 주식회사 포스코 디플렉트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803B2 (ja) * 1990-07-31 1999-09-20 日本鋼管株式会社 乾式圧延機
JPH0550125A (ja) * 1991-08-19 1993-03-02 Nisshin Steel Co Ltd 調質圧延機の異物除去装置
JP2956954B2 (ja) * 1994-05-20 1999-10-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ミルロールのワイパー装置
KR100362649B1 (ko) * 1998-08-25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용 롤의 표면청소장치
JP2000218311A (ja) * 1999-01-28 2000-08-08 Nippon Steel Corp ロールクリーニング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72B1 (ko) * 2002-05-29 2008-08-13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 패스 압연기의 워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03631B1 (ko) * 2002-05-29 2009-06-18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내부 허스롤 표면 청소장치
CN103084395A (zh) * 2011-10-31 2013-05-08 江阴新仁科技有限公司 一种铝箔轧机支承辊刮油装置
CN103084395B (zh) * 2011-10-31 2015-11-25 江阴新仁科技有限公司 一种铝箔轧机支承辊刮油装置
KR20140059343A (ko) 2012-11-07 2014-05-16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롤의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897B1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8374B2 (ja) レール研削車
KR101602284B1 (ko) 지관 자동 연마장치
KR100779453B1 (ko) 헤어라인 연마기
KR100507897B1 (ko) 롤 크리닝 장치
KR102467503B1 (ko)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JP4472958B2 (ja) 順送りプレス加工装置
CN219729968U (zh) 一种用于保温软毡卷绕的装置
US4085630A (en) Apparatus for adjusting condition of metal of saws
CN215561285U (zh) 一种厚度可调的纤维毯压花装置
CN212762548U (zh) 一种全自动钢带分切机
KR100765042B1 (ko)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JP2000288888A (ja) バリ取り装置
CN117324411B (zh) 一种具有调直机构的稀土合金丝拔丝机
KR100784227B1 (ko) 코일에 공급되는 간지의 균등 삽입 유도장치
KR101538863B1 (ko) 스트립의 오일 제거 장치
KR100412260B1 (ko) 금속판재의 헤어라인 가공기
JPH07299714A (ja) エッジ研削装置
CN212044049U (zh) 一种带钢边部去毛刺装置
CN220578532U (zh) 一种电梯配件生产用板料放卷架
JP2674229B2 (ja) エンボスロール装置
KR200224639Y1 (ko) 롤 상태의 나이렉스 원단 컷팅기
CN217035592U (zh) 一种用于晶圆覆膜加工的薄膜横向张紧力调控设备
CN211617093U (zh) 一种数字打样机
JP2006181697A (ja) 平面研磨装置及び平面研磨方法
KR20020052861A (ko) 스트립 하면의 연마유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