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233A -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 Google Patents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233A
KR20020043233A KR1020027005144A KR20027005144A KR20020043233A KR 20020043233 A KR20020043233 A KR 20020043233A KR 1020027005144 A KR1020027005144 A KR 1020027005144A KR 20027005144 A KR20027005144 A KR 20027005144A KR 20020043233 A KR20020043233 A KR 2002004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needle
knitting
blade
kn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533B1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2002004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제1편성부재5는 제2편성부재7를 수용하는 수용홈32을 형성하는 수용홈 형성부33 측벽의 상위측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포크부38를 구비하고, 제2편성부재7는 그 윗면이 제1편성부재5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포크부38의 밑면과 마주 볼 수 있고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가이드부55를 구비하고, 제2편성부재7가 제1편성 부재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대적 이동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편성부재7에 형성되는 가이드부55가 제1편성부재5의 포크부38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안내되어 지지된다.

Description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KNITTING MEMBER GUIDE MECHANISM AND COMPOUND NEEDLE INCORPORATING THE SAME MECHANISM THEREIN}
본 명세서에서의 편성부재라 함은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해서 편성기의 니들베드, 싱커베드 또는 트랜스퍼잭베드 등의 수용상에 장착되는 편침, 싱커(sinker), 트랜스퍼잭(transfer jack), 실렉터(selector), 실렉션잭(selet jack), 얀(yarn) 가이드, 루프 프레서나 이들을 구성하는 각요소를 포함한다. 이하 편성부재로서 편침, 특히 복합바늘을 예로 하여 그 가이드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편성부재는 이들 복합바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1191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복합바늘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슬라이더가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홈에서 진퇴(進退)하도록 수용되는 편성기의 복합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더홈 밑바닥의 슬라이더 선두부와 접하는 가이드면을 캠면으로 하여 슬라이더가 바늘 본체에 대하여 진출할 때에 슬라이더가 캠면에 의해 상승하여 텅이 훅에 접하도록 하고 슬라이더가 후퇴할 때에 하강시켜 슬라이더의 텅을 원래대로 슬라이더홈내에 수용시키기 위해서, 바늘 본체측에 슬라이더 부상방지편(浮上防止片)(가이드 기구)를 설치하고 이 부상방지편과 상기 캠면으로 슬라이더 선단부를 협지하도록 하고 슬라이더를 바늘 본체로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복합바늘에서는 슬라이더를 가이드하는 부상방지편은 바늘 본체측의 슬라이더홈의 바로 위에 배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슬라이더홈을 절삭하여 형성할 때에 부상방지편이 절삭되지 않도록 하는 가공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절삭에 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캠편 등을 상기 부분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등의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제작을 위한 공정수가 증가하여 코스트가 많아진다.
그러나 가이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훅에 공급되는 실이 텅에 걸리는 일이 억제되고 보다 확실하게 훅으로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텅의 움직임은 바늘 본체의 스로트(throat) 부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바늘이 진퇴이동할 때에 바늘에 결합되는 루프에 대한 마찰저항을 작게 하여 편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526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복합바늘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슬라이더가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홈에 이 블레이드를 서로 포갠 상태로 수용함과 동시에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슬라이더의 텅으로 훅을 개폐하고, 다시 텅이 코이동을 하기 위해 훅을 넘어서 진출할 수 있는 타입의 복합바늘, 소위 슬라이드 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상기한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의 관계같이 제1편성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고 이 제1편성부재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편성부재를 제1편성부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보다 간단한 가공으로 또한 견고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를 결합하는 편성기의 복합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목적은 복합바늘의 슬라이더가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이 블레이드를 서로 포갠 상태로 장착하게 되는 타입의 복합바늘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급사조건을 개선한 복합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구(齒 口 ; needle bed gap)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하도록, 니들 베드에 다수 배열되어 형성되는 편성부재 수용홈 안에 수용되는 제1편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편성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제2편성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복합바늘로서,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바늘홈에 장착된 상태의 복합바늘의 선두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상기 복합바늘을 구성하는 각 파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슬라이더 본체부가 제거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훅(hook)부재와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3-A도는 블레이드의 가이드부와 훅부재의 가이드부의 각 가이드면이 서로 떨어진 상태, 제3-B는 각 가이드면이 서로 마주 향한 상태의 도면,
도4의 제4-A도는 슬라이더가 후퇴위치에 있는 상태, 제4-B도는 슬라이더가 후퇴위치로부터 조금 진출한 상태, 제4-C도는 슬라이더가 진출하여 텅이 훅부에 접촉한 상태, 제4-D도는 텅이 훅을 넘어서 코 이동 위치까지 진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를 복합바늘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를 복합바늘에 적용한 도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 베드에 다수 배열되어 형성되고 편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내에서 치구(齒口 ; needle bed gap)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수용되는 편침 등의 제1편성부재와, 상기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편성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내에 수용되는 제2편성부재로 구성되며,
제2편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홈 형성부의 적어도 일방 측벽의 상위측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크부를 제1편성부재에 형성하고,
제2편성부재의 그 윗면이 제1편성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포크부의 밑면과 마주 볼 수 있고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제2편성부재에 형성하고,
제2편성부재가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대적 이동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편성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제1편성부재의 포크부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간내로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크부는 그 밑면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모양의 캠면으로서 형성되며, 제2편성부재가 제1편성부재와의 상대적 이동에 있어서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후퇴할 때에 그 윗면이 상기 캠면에 접하여 하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편성부재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2편성부재의 윗면과,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편성부재의 수용홈 형성부의 측벽 윗면은 원래 그 상대적 이동에 있어서 교차해서 만나는 경우가 없고 따라서 제1편성부재의 상기 부위에 의해 제2편성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것은 할 수 없지만, 제1편성부재 측벽의 적어도 일방의 상위측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포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편성부재는 그 윗면을 제1편성부재의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포크부의 밑면에 마주 향하도록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했기 때문에, 이 만곡부분이 제1편성부재의 포크하방의 공간부에서 겹치게 되어 제2편성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제한된다.
또한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편성부재의 제1편성부재와 제2편성부재를 구비하는 복합바늘로서,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수용홈은 슬라이더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 텅을 수용하고 슬라이더가 진출할 때에 텅을 훅을 향하여 상승변위시키는 홈깊이를 구비하고, 수용홈이 형성되는 바늘 본체 측벽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는 포크부의 밑면에 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슬라이더의 윗면과 상기 포크부의 가이드면이 마주 보도록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후퇴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부의 윗면이 포크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면에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복귀위치로 안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체로 되는 블레이드를 구성에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바늘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바늘 본체 측벽의 양측에 상기 포크부를 형성하고, 블레이드의 각 윗면이 상기 포크부의 각 밑면과 마주 보도록 각 블레이드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측의 바늘 본체 측벽을 향하여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그 위쪽에서 바늘 본체상에 지지되는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바늘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텅의 선단측이 하방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바늘 본체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출할 때에 텅이 상승변위하면서 훅에 접근하여 훅을 닫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가 후퇴할 때에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슬라이더의 윗면이 바늘 본체의 수용홈 형성부 측벽의 상위측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포크부의 밑면에 마주 향하도록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이 만곡부분의 윗면이 바늘 본체 포크부의 밑면에 결합하여 하강하고 슬라이더를 원래의 후퇴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체로 되는 블레이드를 구성에 포함하는 슬라이더의 경우에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바늘 본체 측벽의 양측에 상기 포크부를 형성하고 각 블레이드의 윗면이 이들에 대향하도록 각 블레이드를 활처럼 구부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용홈을 끼어서 형성되는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좌우의 가이드면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하여 슬라이더의 상하방향으로 놓을 수 있는 위치를 가이드한다.
슬라이더는 선단의 텅측이 하방을 향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블레이드의 선단측이 항상 홈바닥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진퇴 이동한다. 그러나 상승변위 한 후 후퇴할 때에 수용홈에 낀 섬유 쓰레기 등이 원인으로 블레이드 선단측이 홈바닥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후퇴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가이드 기구에 의해 블레이드는 가이드되어 텅이 강제적으로 하강되고 원래의 후퇴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를 복합바늘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가이드에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바늘홈에 장착한 상태의 복합바늘1의 선두부분을 나타내며, 도2는 복합바늘1을 구성하는 각 파트의 상세를 나타낸다. 복합바늘1은 바늘 본체5와 슬라이더7로 구성된다.바늘 본체5는 훅부재30와 별체(別體)의 잭20으로 이루어지지만 이들은 일체로 하여 형성되더라도 상관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늘 본체5는 이들 양쪽을 합친것으로 한다. 슬라이더7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50a, 50b와 별도 부재의 슬라이더 본체부70로 이루어진다.
훅부재30에는 선단측에 훅부31, 슬라이더의 블레이드50a, 50b를 수용하는 블레이드홈32을 형성하기 위한 홈형성부33와 슬라이더 본체부70의 밑팔부72를 지지하는 본체 중앙부35 및 후단측에 잭20의 선단을 연결하는 오목부36를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홈32은 슬라이더7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 텅51a, 51b를 수용하며, 슬라이더7가 진출할 때에 블레이드 밑면54a, 54b를 홈바닥면에 형성되는 캠면37에 결합시켜 텅51a, 51b를 상승변위시키고 훅31 선단부에 접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홈 형성부의 텅수용부보다 후방측 좌우의 측벽33a, 33b의 전면 상위측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포크부38a, 38b를 측벽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블레이드50a, 50b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가이드부55a, 55b 윗면과 결합되는 캠면39a, 39b를 포크부38a, 38b의 밑면에 형성하게 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한다. 이 캠면39a, 39b는 후방으로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된다.
훅부재30와 잭20은 동일한 두께로서 바늘홈 폭보다도 약간 얇게 형성된다. 잭20은 본체 중앙부근에 제어 버트2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캠캐리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형성되는 캠에 결합시켜 진퇴조작함으로써 바늘 본체5를 진퇴 이동시킨다. 23는 바늘 본체의 선단을 바늘홈 밑바닥에접하도록 하는 활처럼 구부러진 탄성각부를 나타낸다.
블레이드는 대략 동일형상을 한 2장의 얇은 판자 모양 플레이트50a, 50b를 서로 포개어서 구성하고 훅부재30의 블레이드홈32에 수용된다. 각 블레이드50a, 50b의 선단에는 훅31의 선단부에 접하는 텅51a, 51b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텅의 후방부를 높게 하여 어깨부57a, 57b를 형성하며 어깨부57a, 57b의 후방측에 오목부59a, 59b를 형성한다. 오목부59a, 59b와 어깨부57a, 57b의 사이에 가이드부55a, 55b를 형성하고 블레이드50a, 50b의 오목부59a, 59b의 어깨부 근처에 경사면53a, 53b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윗면이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측의 훅부재30 측벽33a, 33b측을 향해서 활처럼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측벽33a, 33b에 형성되는 포크부38a, 38b의 캠면39a, 39b에 대치(對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61는 블레이드홈32의 후방측에서 슬라이더 본체부71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다.
도3은 슬라이더 본체부70를 제거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훅부재30와 각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가이드 기구40, 55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3-A도는 블레이드50의 가이드부55와 훅부재30의 가이드부40의 각 가이드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3-B도는 각 가이드면이 서로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5의 경사면53으로부터 포크부38의 캠면39과 접촉이 시작되도록 가이드부55는 어깨부57측 보다도 오목부59측 근처가 더 크게 밖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서로의 접촉면을 크게 하여 훅부재30로 블레이드50를 보다 견고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 본체부70는 훅부재30와 동일한 두께로, 후방측에는 진퇴제어용의 제어 버트7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선두부77의 밑면은 훅부재30의 블레이드홈 형성부33의 윗면에 지지된다. 72는 본체부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밑팔부로서, 훅부재30의 본체 중앙부35내로 연장되어 있다. 밑팔부72의 하나의 측면을 절삭하여 가로홈75을 형성하고 가로홈75의 윗쪽에 투과구멍76를 형성한다. 이 투과구멍76에 블레이드의 연결부61를 위치시켜 코킹(caulking)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블레이드50는 훅부재30의 블레이드홈32에 장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선단측의 하부 가장자리가 블레이드홈32의 바닥면에 약간의 압력을 걸 수 있을 정도로 선두측을 바이어스(bias) 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51에서 연장되어 그 외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50b의 후단부63b를 굴곡시켜 바늘홈 측벽에 압접시켜 바늘 본체5가 진퇴 이동할 때에 슬라이더7가 바늘 본체5의 움직임에 의해 필요없는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1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8은 복합바늘1을 니들베드의 바늘홈에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쇠로 만든 띠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바늘1의 훅 개폐시의 움직임에 대해서 도4와 함께 설명한다. 제4-A∼제4-D 도면에 바늘 본체5와 슬라이더7의 상대적인 이동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블레이드50는 블레이드 선두측이 블레이드홈의 바닥면에 약간의 압력을 건 상태(제4-A도의 상태에 있어서)로 접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7가 제4-A∼제4-D 도면에 있어서 바늘 본체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슬라이더7에 대하여 외부부터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블레이드50는 항상 블레이드홈32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의 압력이 걸린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우선 슬라이더7가 진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A도는 슬라이더7가 바늘 본체5에 대하여 가장 후퇴한 위치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텅51은 블레이드홈32 내에 수용되고 훅이 완전히 열려있다. 제4-B도는 슬라이더7가 제4-A도의 위치로부터 치구(needle bed gap)를 향하여 조금 진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블레이드50a, 50b의 하부 가장자리가 슬라이더홈32의 경사캠면37에 결합하여 텅51a, 51b를 상승변위시킨다. 이 상승변위는 블레이드 자신의 탄성변형을 수반한다. 제4-C도는 슬라이더7가 더욱 진출하여 텅51a, 51b의 선단이 훅부31에 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4-D도는 슬라이더7가 코이동의 위치까지 진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텅51a, 51b는 훅31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어깨부57a, 57b에 루프(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지지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슬라이더7가 진출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도 상기 진출시의 궤적과 동일한 궤적을 더듬어 안내되게 된다. 즉 블레이드50의 하부 가장자리가 블레이드홈32의 홈밑바닥에 접하면서 후퇴하며 이 사이에 자신의 탄성변형으로부터 서서히 해제되면서 원래의 복귀위치(제4-A도)로 안내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블레이드자신의 탄성변형이 해제되지 않아 원래의 후퇴위치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면 블레이드홈 내에 섬유 쓰레기 등이 끼어서 블레이드홈 내에서의 블레이드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블레이드50a, 50b의 각 가이드부55a, 55b의 윗면54a, 54b가 훅부재30에 형성되는 포크부38a, 38b의 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39a, 39b에 접하며, 이것을 따라서 블레이드50a, 50b를 하강시켜 원래의 후퇴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텅51이 후퇴위치에 있어서 블레이드홈32내에 수용되도록 선단측을 하방으로 바이어스시킨 블레이드를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하여 고정시켰지만, 이 대신에 블레이드를 훅과 생크(shank) 높이의 고저차이 만큼만 하방으로 오프셋(offset) 시키고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또는 오프셋하여 블레이드를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섬유 쓰레기가 끼는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영향이 없는 한 슬라이더는 항상 블레이드의 하부 가장자리를 블레이드홈의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출하여 텅을 상승시키고 후퇴할 때에 텅을 하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의 이러한 설치방법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예를 들면 블레이드를 슬라이더 본체부의 연결부에 고정하지 않고 블레이드가 슬라이더에 대하여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슬라이더의 블레이드는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홈의 바닥면과 포크부의 가이드면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진퇴궤적을 따르는 것으로 된다.
슬라이더가 진출할 때에 텅이 상승하고 후퇴할 때에 텅이 하강함으로써 바늘 본체의 스로트부에서 치크(cheek)부에 걸쳐서 고저 차이를 작게 할 수 있고, 바늘이 진퇴이동을 할 때에 바늘에 결합되는 루프에 대한 마찰저항을 작게 하여 편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등 급사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
도5는 앞에 설명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119160호 공보에 개시되는 복합바늘에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를 적용한 예로서 제5-A도는 훅을 열은 상태, 제5-B도는 훅을 닫은 상태, 그리고 제5-C도는 제5-B도 상태의 복합바늘80을 평면으로 도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바늘 본체81측에는 훅부83, 슬라이더95를 수용하는 수용홈85, 수용홈85을 형성하는 바늘 본체의 측벽89a, 89b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측벽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크부91a, 91b가 형성되어 있다. 87은 수용홈85내에 형성되는 텅을 상승시키는 캠면을 나타낸다. 한편 슬라이더95측에는 선단측으로부터 텅93, 그 뒷쪽에 어깨부98가 형성됨과 동시에 어깨부98의 후방부분에 그 윗면이 일방의 포크부91a의 밑면에 마주 보도록 활처럼 구부러져 있는 가이드부97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포크부91a와 가이드부97의 결합에 의해서 슬라이더95의 상하방향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타방의 포크부91b는 가이드 기구를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도6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복합바늘의 변형예로 제5-C도면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는 슬라이더105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체를 포갠 블레이드106a, 106b에 의해 형성되고, 가이드부109a, 109b가 바늘 본체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포크부111a, 111b에 결합하여 안내되도록 블레이드106a, 106b의 상기 포크부111a, 111b의 결합장소가 바늘 본체101의 슬라이딩 접촉하는 쪽의 측벽측113a, 113b을 향해서 각각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복합바늘100은 슬라이드니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와 같은 복잡한 절삭가공 없이 프레스가공 등에 의한 비교적 간단한 가공방법에 의해서 슬라이더의 가이드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도5나 도6의 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에 있어서 전 스트로크의 범위에서 슬라이더는 바늘 본체의 포크부에서 가이드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복합바늘을 구성하는 바늘 본체를 제1편성부재, 슬라이더를 제2편성부재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는 이들 편성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편성기의 수용상에 장착되는 싱커, 트랜스퍼잭을 비롯하여 다른 편성부재에 대하여도 당연히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부재로는 제1편성부재의 측벽에 형성되는 포크부의 밑면에 제2편성부재의 윗면을 마주 향하도록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2편성부재가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퇴할 때에 상기 구부러진 부분이 제1편성부재의 포크부에 접하고, 제2편성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제한될 수 있다.

Claims (6)

  1. 니들 베드에 다수 배열되어 형성되고 편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 내에서 치구(齒口 ; needle bed gap)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수용되는 편침 등의 제1편성부재와, 상기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편성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내에 수용되는 제2편성부재로 구성되며,
    제2편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홈 형성부의 적어도 일방 측벽의 상위측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크부를 제1편성부재에 형성하고,
    제2편성부재의 윗면이 제1편성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포크부의 밑면과 마주 볼 수 있고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제2편성부재에 형성하고,
    제2편성부재가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대적 이동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편성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제1편성부재의 포크부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간내로 안내되어 지지되는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는 그 밑면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모양의 캠면으로서 형성되며, 제2편성부재가 제1편성부재와의 상대적 이동에 있어서 제1편성부재에 대하여 후퇴할 때에 그 윗면이 상기 캠면에 접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3.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편성부재의 제1편성부재와 제2편성부재를 구비하는 복합바늘로서, 바늘 본체에 형성되는 수용홈은 슬라이더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 텅을 수용하고 슬라이더가 진출할 때에 텅을 훅을 향하여 상승변위시키는 홈깊이를 구비하고, 수용홈이 형성되는 바늘 본체 측벽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는 포크부의 밑면에 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슬라이더의 윗면과 상기 포크부의 가이드면이 마주 보도록 외측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후퇴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부의 윗면이 포크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면에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복귀위치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편성기 복합바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선단에 텅을 구비하는 2장의 얇은 판자 모양체로 되는 블레이드를 구성에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바늘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바늘 본체 측벽의 양측에 상기 포크부를 형성하고, 블레이드의 각 윗면이 상기 포크부의 각 밑면과 마주 보도록 각 블레이드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측의 바늘 본체 측벽을 향하여 활처럼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복합바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 위쪽에서 바늘 본체상에 지지되는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복합바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바늘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텅의 선단측이 하방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복합바늘.
KR1020027005144A 1999-10-27 2000-10-25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KR100643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48499 1999-10-27
JPJP-P-1999-00305484 1999-10-27
PCT/JP2000/007483 WO2001031101A1 (fr) 1999-10-27 2000-10-25 Mecanisme de guidage d'un element de tricotage et aiguille composee incorporant ce mecanisme de guid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233A true KR20020043233A (ko) 2002-06-08
KR100643533B1 KR100643533B1 (ko) 2006-11-10

Family

ID=1794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144A KR100643533B1 (ko) 1999-10-27 2000-10-25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68223B1 (ko)
EP (1) EP1229158B1 (ko)
JP (1) JP3577038B2 (ko)
KR (1) KR100643533B1 (ko)
DE (1) DE60031437T2 (ko)
ES (1) ES2270876T3 (ko)
TW (1) TW477845B (ko)
WO (1) WO20010311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695A (ko) * 2011-10-12 2013-04-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개선된 슬라이더를 갖는 슬라이더 니들
KR20160010467A (ko) * 2013-05-22 2016-01-27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슬라이드 바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3116B1 (en) * 2000-10-20 2008-01-02 Shima Seiki Mfg., Ltd Composite needle
DE10130364C1 (de) * 2001-06-23 2003-02-13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JP3983737B2 (ja) * 2001-08-24 2007-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の複合針
JP3983720B2 (ja) * 2003-06-25 2007-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KR200461701Y1 (ko) 2006-10-16 2012-08-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EP1988200B1 (de) * 2007-05-03 2009-10-28 Groz-Beckert KG Innengeführte Nadel
EP2305868B1 (de) 2009-09-30 2012-11-21 Groz-Beckert KG Schiebernadel mit eingebautem Mittelsteg
JP5732316B2 (ja) 2010-06-18 2015-06-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525344B2 (ja) * 2010-06-18 2014-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EP2540889B1 (de) * 2010-07-06 2016-08-17 Groz-Beckert KG Stricksystem mit abgeflachten Führungskanälen
JP5719544B2 (ja) * 2010-08-06 2015-05-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618778B2 (ja) * 2010-11-22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632277B2 (ja) * 2010-12-22 2014-11-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EP3597807B1 (de) * 2018-07-18 2021-02-24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EP3904578A1 (de) * 2020-04-29 2021-11-03 Groz-Beckert KG Schiebernadel für strick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3634A (en) * 1927-05-25 1928-06-12 Scott & Williams Inc Knitting-machine needle
US3584481A (en) * 1969-03-06 1971-06-15 Teihichi Kayashi Knitting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DE2908022A1 (de) * 1979-03-01 1980-09-04 Terrot Strickmaschinen Gmbh Schiebernadel fuer strickmaschinen
JPS62206069A (ja) * 1986-02-28 1987-09-10 シバタ製針株式会社 編機用の複合針
JPH03119160A (ja) 1989-10-03 1991-05-21 Shima Seiki Seisakusho:Kk 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
JP2946323B2 (ja) * 1997-05-01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US5937673A (en) * 1997-05-01 1999-08-1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ompound needle of a flat knitting machine
DE19913822C2 (de) * 1999-03-26 2001-02-22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geteiltem Schieber
EP1178141B1 (en) * 1999-04-15 2007-11-28 Shima Seiki Mfg., Ltd Compound needle of knitting machine
JP3538730B2 (ja) * 1999-05-19 2004-06-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編成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695A (ko) * 2011-10-12 2013-04-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개선된 슬라이더를 갖는 슬라이더 니들
KR20160010467A (ko) * 2013-05-22 2016-01-27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슬라이드 바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7845B (en) 2002-03-01
WO2001031101A1 (fr) 2001-05-03
EP1229158A4 (en) 2003-01-15
EP1229158B1 (en) 2006-10-18
DE60031437T2 (de) 2007-02-01
US6568223B1 (en) 2003-05-27
DE60031437D1 (de) 2006-11-30
ES2270876T3 (es) 2007-04-16
KR100643533B1 (ko) 2006-11-10
EP1229158A1 (en) 2002-08-07
JP3577038B2 (ja)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533B1 (ko)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US6125661A (en) Flat knitting machine
KR101209644B1 (ko) 횡편기의 선침장치
EP0594169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ring mechanism
JPH0137495B2 (ko)
JP2946323B2 (ja) 横編機の複合針
JPH0137498B2 (ko)
JP3886903B2 (ja) 複合針
JPH0466941B2 (ko)
EP0698679B1 (en)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JP3498280B2 (ja)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3983720B2 (ja) 複合針
KR100585262B1 (ko) 복합바늘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CN111793889B (zh) 横机
EP0761858B1 (en) Needle unit for knitting machine
EP1505185B1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jack and stitch transfer method using transfer jack
CN102373573B (zh) 横编机的复合针
EP0603005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JPH06220752A (ja)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JP2001032155A (ja) 編機用複合針
JPH01148855A (ja) 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
JPH01374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