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701A -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701A
KR20020042701A KR1020027004286A KR20027004286A KR20020042701A KR 20020042701 A KR20020042701 A KR 20020042701A KR 1020027004286 A KR1020027004286 A KR 1020027004286A KR 20027004286 A KR20027004286 A KR 20027004286A KR 20020042701 A KR20020042701 A KR 2002004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otor
outlet port
valve chamb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936B1 (ko
Inventor
가네코모리오
가사이아키라
Original Assignee
니시미 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미 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니시미 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2004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43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1Selective opening of plural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을, 보다 고도로 양립하기 위해서,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전동식 전환밸브에, 밸브실에 항상 연통하고 있는 1개의 입구포트와 밸브실의 저면에 개구된 제 1의 출구포트(B) 및 제 2의 출구포트(C)를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밸브실내에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실의 저면에 맞닿는 단면에 밸브실과 연통하고 있는 개방영역(18)과 연통하고 있지않은 비개방영역(19)으로 구분되는 격벽부(20)를 가지는 밸브체(17)와, 밸브체(17)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밸브체(17)를 (a)~(d)의 4위치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MOTOR-OPERATED SELECTOR VALVE AND REFRIGERATING CYCLE DEVICE FOR REFRIGERATOR-FREEZER}
년간을 통해서 사용되는 가정용 냉동·냉장고용의 다채, 치밀한 작동·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가정용 냉동·냉장고용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을 양립하는 요구는, 근년, 높아지고 있다.
그와같은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로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132577호공보에는, 압축기의 토출측에 응축기가 접속되고, 그 응축기의 하류측에 3방밸브의 입구포트가 접속되고, 그 3방밸브의 한쪽의 출구포트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가, 다른쪽의 출구포트에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가 각각 접속되고,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및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증발기, 냉장실용 증발기, 압축기의 흡입측이 접속된 냉동사이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냉동사이클장치에서는, 3방밸브의 전환동작에 의해, 응축기의 하류측이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냉동실 우선의 운전모드와 냉장실 우선의 운전모드를 선택 설정할 수 있어, 사이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냉동사이클장치에서는, 3방밸브는, 입구포트를 한쪽의 출구포트에만 접속하는 전환위치와, 입구포트를 다른쪽의 출구포트에만 접속하는 전환위치의 2위치밖에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모드는, 자연히,응축기의 하류측을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에 접속한 냉동실 우선의 운전모드와, 응축기의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에 접속한 냉장실 우선의 운전모드에 밖에 설치할 수 없고,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을, 보다 고도로 양립하는 것에 대하여, 충분하지않다.
본 발명은, 전동식 전환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밸브시트면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6(a)~(d)는 도 2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각 전환위치상태 및 밸브개폐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로터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 11(a),(b)는 도 7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스토퍼 핀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a),(d)는 도 7의 전동식 전환밸브의 각 전환위치상태 및 밸브개폐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을, 보다 고도로 양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환상태를 확립하고,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전동식 전환밸브, 및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을, 보다 고도로 양립하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 항상 연통하고 있는 하나의 입구포트와 상기 밸브실의 평탄한 저면의 서로 벌어진 위치에 개구한 복수개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실내에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실의 상기 저면에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행하는 포트 개폐형상부를 가지고,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므로써 상기 밸브실과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전환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는, 1개의 입구포트와 복수개의 출구포트를 각각 관통형성하여 밸브시트판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작용하여 내부로 기밀구조의 로터·밸브실을 구획설정하는 캡형상의 로터케이스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행하는 포트개폐형상부를 가지고,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전환하는 밸브체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스테핑모터의 다자극구조의 마그넷부착의 로터와, 상기 로터케이스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핑모터의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 1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는, 압축기의 토출측으로부터의 냉매를 응축기를 경유해서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동실용 증발기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장실용 증발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이들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동실용 증발기 및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장실용 증발기로부터 상기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환류시키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및 상기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사이에 청구범위 제 7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된 전동식 전환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포트에 상기 응축기의 하류측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에 상기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상류측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에 상기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상류측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체적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는, 압축기(1)와, 응축기(방열기)(2)와,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C.T.F)(3)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C.T.R)(4)와, 냉동실용 증발기(5)와, 냉장실용 증발기(6)와, 전동식 전환밸브(전동식 3방전환밸브)(7)를 가지고 있다.
압축기(1)의 토출측에는 응축기(2)가 접속되고, 응축기(2)의 하류측에 전동식 전환밸브(7)의 입구포트(A)가 접속되고, 전동식 전환밸브(7)의 제 1의 출구포트(B)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가 접속되고, 전동식 전환밸브(7)의 제 2의 출구포트(C)에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가 접속되고,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하류측에, 냉장실용 증발기(6), 냉동실용 증발기(5), 압축기(1)의 흡입측이 순차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의 하류측은 냉장실용 증발기(6)의 하류측에서, 또한, 냉동실용 증발기(5)의 상류측에 접속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의 구체적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용량가변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하여, 도 2~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동식 전환밸브(7)는, 밸브하우징(10)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밸브실(11)을 가지고 있다. 밸브하우징(10)에는, 밸브실(11)의 측 둘레면에 개구하여 밸브실(11)과 항상 연통되는 1개의 입구포트(A)와, 밸브실(11)의 저면(시트면)(12)에 개구한 제 1의 출구포트(B) 및 제 2의 출구포트(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는, 밸브실저면(12)의 중심에 대하여 동일반경위치에 있어서, 서로 둘레방향으로 벌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입구포트(A)에는 A이음매(14)에 의해 응축기(2)의 출구측(하류측)이 접속되고, 제 1의 출구포트(B)에는 B이음매(15)에 의해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의 입구측이 접속되고, 제 2의 출구포트(C)에는 C이음매(16)에 의해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입구측이 접속되어 있다.
밸브실(11)내에는 원형 바침목형상의 밸브체(17)가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실(11)의 저면(12)에 대향하는 밸브체(17)의 단면에는, 포트개폐형상부로서, 밸브실(11)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영역(18)과, 개방되어있지않은 비개방영역(19)으로 구분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2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밸브체(17)는 격벽부(20)의 선단면에서 밸브실(11)의 저면(12)에 미끄럼접촉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비개방영역(19)은 주위를 대략 D형 윤곽을 한 격벽부(20)에 의해 둘러싸여 포켓형상(오목부)으로 되어 있다.
밸브하우징(10)에는, 밸브체(17)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로서, 스테핑모터(21)가 부착되어 있다.
스테핑모터(21)는, 밸브하우징(10)에 기밀하게 납땜고정된 아래덮개(22)와, 아래덮개(22)상에 기밀하게 고착된 캡형상의 로터케이스(23)와, 로터케이스(23)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마그넷(24) 및 로터(25)와, 로터케이스(23)의 외측으로 회전멈춤 고정된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코일 조립체(26)를 가지고 있다.
로터(25)와 마그넷(24)은 서로 별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터(25)의 외주면에는 키 홈(27)이, 원통형상의 마그넷(24)의 내주면에는 키 돌기부(28)가 각각 형성되고, 키 홈(27)과 키 돌기부(28)의 압입상태에 의한 키 걸어맞춤에 의해, 로터(25)와 마그넷(24)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키 홈(27)과 키 돌기부(28)의 압입상태는, 키 홈(27)과 키 돌기부(28)의 폭치수설정이나, 키 홈(27)의 측면에 압입돌기를 설치하는 등 하여 적당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결합구조에 의해, 부품의 저코스트화가 도모되고, 로터(25)와 마그넷(24)의 결합에 덜컹거림이 없고, 소음이 없어진다.
밸브체(17)는 밸브홀더부재(29)에 회전방향으로 위치결정 연결되어 있고, 밸브홀더부재(29)는, 로터(25)에 회전방향으로 위치결정 연결되어 있고, 로터(25)의 회전을 밸브홀더부재(29)를 통해서 밸브체(17)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밸브체(17)와 밸브홀더부재(29)는, 밸브체(17)에 형성된 중심맞춤구멍(30)에 밸브홀더부재(29)에 형성된 중심맞춤 돌기(31)가 끼워맞춤되므로써 서로 중심맞춤되고, 밸브체(17)에 형성된 위치맞춤 오목홈(32)과 밸브홀더부재(29)에 형성된 위치맞춤 돌기(33)가 끼워맞춤되므로써 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져 있다.
로터(25)와 밸브홀더부재(29)는, 밸브홀더부재(29)에 형성된 위치맞춤 편평부(34)와 로터(25)에 형성된 위치맞춤 걸어맞춤부(35)가 끼워맞춤되므로써 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로터(25)와 밸브홀더부재(29)는, 회전방향으로는 상술한 위치결정 끼워맞춤구조에 의해 상대변위될 수 없지만, 축선방향으로는 상대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밸브홀더부재(29)가 로터(25)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밸브홀더부재(29)의 빠짐방지부(36)가 로터(25)의 걸어맞춤 구멍(37)에 끼워맞춤하므로써 빠짐방지되어 있다.
로터(25)와 밸브홀더부재(29)의 단차부사이에는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38)은 미리 하중이 주어지고, 밸브홀더부재(29)를 통해서 밸브체(17)를 밸브실 저면(12)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이 스프링 가압구조에 의해, 밸브체(17)를 밸브실 저면(12)으로 누르는 예하중이 주어지고, 이것과 동시에 밸브홀더부재(29)에 대한 밸브체(17)의 흔들림에 의해 밸브체(17)가 밸브실 저면(12)에 평행하게 맞닿게 된다. 또한, 스프링(38)은, 진동절연부재로서도 기능하고, 모터측의 진동이 밸브체(17)에 전달되지않게 된다.
로터(25)의 밸브홀더부재(29)의 측(도 2에서 부호(25A)로 도시되어 있는 하단부분)은 밸브하우징(10)의 로터지지부(30)에 끼워맞춤되어 밸브하우징(10)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25)의 상단측에는 중심축체(40)가 설치되어 있고, 중심축체(40)의 선단이 로터케이스(23)의 천정면부에 형성된 오목부(41)에 끼워맞춤하여 로터케이스(23)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로터지지구조에 의해, 로터(25)는 상부(a)와 하부(b)를 로터케이스(23)와 밸브하우징(10)에 의해 동심 지지되고, 덜컹거림이나 뒤틀림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로터케이스(23)의 오목부(41)는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로터축받이부의 저코스트화가 도모된다.
아래덮개(22)의 상면에는 스토퍼편부(42)가 기립형성되어 있고, 스토퍼편부(42)가 완충고무(4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24)의 아래 가장자리부에는 스토퍼용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용 돌출부(44)가 완충고무(43)에 맞닿음하므로써, 로터(25)와 마그넷(24)의 연결체의 회전이동이 규제되고, 스테핑모터(21)의 기점내기(영점설정)를 위해서, 로터(25)와 마그넷(24)의 연결체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초기위치는, 0펄스에서 얻어지는 후술하는 제 1의 전환위치이다.
상술한 맞닿음식의 스토퍼에서는, 스토퍼편부(42)에 완충고무(4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토퍼 동작시에 금속충돌음이 발생하지않고, 소음이 없게 된다.
밸브체(17)는, 스테핑모터(21)에 의한 단계적인 회전구동에 의해,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이 개방영역(18)에 대응하는 제 1의 전환위치(도 6(a) 참조)와, 제 1의 출구포트(B)만이 개방영역에 대응하고, 제 2의 출구포트(C)가 비개방영역(19)에 대응하는 제 2의 전환위치(도 6(b) 참조)와,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이 비개방영역(19)에 대응하는 제 3의 전환위치(도 6(c) 참조)와, 제 2의 출구포트(C)가 개방영역(18)만에 대응하고, 제 1의출구포트(B)가 비개방영역(19)에 대응하는 제 4의 전환위치(도 6(d) 참조) 사이에 전환동작하고, 4위치가 얻어진다.
상술한 전환동작에 있어서, 비개방영역(19)은 주위를 리브형상의 격벽부(20)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형상부분은 차압의 수압(受壓)면으로서 작용하고, 밸브체(17)를 밸브실 저면(12)에 누르는 하중으로 되고, 리브형상의 격벽부(20)가 적당한 면압을 가지고 밸브실 저면(12)에 누르고, 적당한 밸브 마감성이 얻어지고, 밸브 누출이 생기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전동식 전환밸브(7)를 포함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동식 전환밸브(7)의 밸브체(17)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인 스테핑모터(21)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상술한 제 1의 전환위치~제 4의 전환위치의 4위치가 얻어지고,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밸브실(11)을 통해서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에 연통접속되고,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밸브실(11)을 통해서 제 1의 출구포트(B)에만 연통접속되고,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어디에도 연통접속되지않고, 도 6(d)에 도시되어있는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밸브실(11)을 통해서 제 2의 출구포트(C)에만 연통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쌍방이 연통접속되는 제 1의 운전모드가, 제2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2의 운전모드가,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어느것도 연통접속되지않는 완전폐쇄상태에 의한 제 3의 운전모드가,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4의 운전모드가 얻어진다.
제 1의 운전모드는, 냉동·냉장실 모두 냉각운전이고, 기동시 등에 있어서, 냉동실용 증발기(5)와 냉장실용 증발기(6)의 증발부하량에 대하여 풀 운전으로 냉각효과를 확보한다.
제 2의 운전모드는, 냉동실운전, 냉장실정지의 냉동실우선 냉각운전을 행한다.
제 3의 운전모드는, 완전폐쇄상태에서, 운전정지시에 고온, 고압의 냉매가 냉동실용 증발기(5), 냉장실용 증발기(6)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정지시간의 연장을 도모한다.
제 4의 운전모드는, 냉장실운전, 냉동실정지의 냉장실우선 냉각운전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다채, 치밀한 작동·제어에 의해,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이, 보다 고도로 양립한다.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전환밸브의 구체적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용량가변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하여, 도 7~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도 12에 있어서, 도 2~도 6에대응하는 부분은, 도 2~도 6에 붙인 부호와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동식 전환밸브(7)는, 원반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5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밸브시트대부(51)에 제 1의 출구포트(B)(도 7에서 도시생략, 도 12 참조)와 제 2의 출구포트(C)를 관통형성하고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밸브시트대부(51)의 외측에는 입구포트(A)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는, 밸브시트대부(51)의 중심에 대하여 동일반경 위치에 있어서, 서로 둘레방향으로 벌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도, 입구포트(A)에는, A이음매(14)에 의해 응축기(2)의 출구측(하류측)이 접속되고, 제 1의 출구포트(B)에는 B이음매(15)에 의해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의 입구측이 접속되고, 제 2의 출구포트(C)에는 C이음매(16)에 의해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입구측이 접속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면에는 캡형상의 금속제의 로터케이스(52)가, 그 하단 전둘레에서 용접, 납땜 등에 의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로터케이스(52)는 베이스 플레이트(50)와 함께 작용하여 내부에 기밀구조의 로터·밸브실(53)을 구획설정하고 있다. 입구포트(A)는, 배치위치로 해서, 로터·밸브실(53)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로터·밸브실(53)내에는 원형 받침목형상의 밸브체(54)가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54)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체(17)와 대략동등의 것이고, 밸브시트대부(51)에 대향하는 밸브체(54)의 단면에는, 포트개폐형상부로 하여, 로터·밸브실(53)에 연통하고 있는 개방영역(55)과, 연동되어있지않은 비개방영역(56)으로 구분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57)가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54)는 격벽부(57)의 선단면에서 밸브시트대부(51)에 미끄럼접촉가능하게 맞닿고 있다. 비개방영역(56)은 주위를 대략 D형상 윤곽을 한 격벽부(57)에 의해 둘러싸여 포켓형상(오목부)으로 되어 있다.
로터케이스(52)내에는, 밸브체(54)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스테핑모터(61)의 로터(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터케이스(52)의 외측에는 스테핑모터(61)의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부재(65)가 둘레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62)의 외주부에는 다자극구조의 마그넷(63)이 고정되어 있다. 로터(62)는, 수지성형품이고, 마그넷(63)을 인서트성형하고 있다. 또한, 마그넷(63)을 플라스틱 마그넷으로서 로터(62)와 일체성형할 수 도 있다. 또한, 로터(62)는, 중공형상을 이루고, 외측의 원통부(62a)와, 중공내의 중앙허브부(62b)와, 원통부(62a)와 중앙허브부(62b)를 접속하는 스포크부(62c)를 가지고 있다.
로터(62)의 단부에는 장출부(64)가 형성되고, 밸브체(54)에는 홈부(58)가 형성되고, 장출부(64)와 홈부(58)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로터(62)와 밸브체(54)가 직접 연결되고, 회전방향으로 서로 위치결정되고, 로터(62)의 마그넷(63)의 자극에 대한 밸브체(54)의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0)에는 스토퍼 핀(59)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로터의 장출부(64)는 로터회전에 의해 스토퍼 핀(59)에 맞닿고, 이 맞닿음에 의해, 로터(63)의회전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로터(63)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가 설정되고, 스테핑모터(61)의 기점내기(영점설정)가 행해진다.
스토퍼 핀(59)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완충용의 수지(59a)가 코팅, 또는 고무 등의 완충재(59b)가 피복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작동시에 금속충돌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소음이 없어지게 된다.
로터(62)의 중심부에 있는 허브부(62b)에는 중심구멍(62d)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중심구멍(62d)에 지지축(66)이 관통상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지지축(66)은, 적정간극(67)이 부여된 상태에서 밸브체(54)를 관통하고, 그 관통측의 단부(하단)(66a)는, 베이스 플레이트(50)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67)에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0)에서 축지지되어 있다. 지지축(66)의 타단(상단)(66b)에는 미끄럼이동재로 만든 축받이부재(68)가 걸어맞춤되어 있고, 축받이부재(68)는 로터케이스(52)의 정상부에 형성된 축받이 오목부(69)에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축(66)의 타단(66b)은 로터케이스(52)에서 축받이 되어 있다.
로터(62)와 밸브체(54)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70)이 부착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0)은 밸브체(54)를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밸브시트대부(51)에 누르고 있다. 지지축(66)이, 적정간격이 부여된 상태에서 밸브체(54)를 관통하고 있는 것과, 압축코일스프링(70)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54)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밸브시트대부(51)에 대하여 눌려 있으므로, 지지축(66)의 밸브체(54)에 대한 수직 정밀도가 나와있지 않아도, 밸브시트대부(51)에 대한 밸브체(54)의 밀착성이 확보되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진다.
밸브체(54)는, 스테핑모터(61)에 의해 단계적인 회전구동에 의해,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이 개방영역(55)에 대응하는 제 1의 전환위치(도 12(a) 참조)와, 제 1의 출구포트(B)만이 개방영역(55)에 대응하고, 제 2의 출구포트(C)가 비개방영역(56)에 대응하는 제 2의 전환위치(도 12(b) 참조)와,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이 비개방영역(56)에 대응하는 제 3의 전환위치(도 12(c) 참조)와, 제 2의 출구포트(C)가 개방영역(55)에만 대응하고, 제 1의 출구포트(B)가 비개방영역(56)에 대응하는 제 4의 전환위치(도 12(d) 참조) 사이에서 전환동작하여, 4위치가 얻어진다. 이 전환동작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전환동작에 있어서, 비개방영역은 주위를 리브형상의 격벽부(57)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형상부분은 차압의 수압면으로서 작용하고, 밸브체(54)를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밸브시트대부(51)에 누르는 하중으로 되고, 리브형상의 격벽부(57)가 적당한 면압을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밸브시트대부(51)에 눌리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지고, 밸브누설이 생기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전동식 전환밸브(7)를 포함하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동식 전환밸브(7)의 밸브체(54)가 스테핑모터(61)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상술한 제 1의 전환위치~제 4의 전환위치의 4위치가 얻어지고,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제 1의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로터·밸브실(53)을 통해서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쌍방에 연통접속되고,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로터·밸브실(53)을 통해서 제 1의 출구포트(B)에만 연통접속되고, 제 12(c)에 도시되어 있는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제 1의 출구포트(B)와 제 2의 출구포트(C)의 모두에게 연통접속되지않고, 도 12(d)에 도시되어 있는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A)가 로터·밸브실(53)을 통해서 제 2의 출구포트(C)에만 연통접속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쌍방이 연통접속되는 제 1의 운전모드가,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2의 운전모드가,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의 모두가 연통접속되지않는 완전폐쇄상태에 의한 제 3의 운전모드가,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2)의 하류측에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4의 운전모드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회로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3)와 냉동실용 증발기(5)의 직렬회로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4)와 냉장실용 증발기(6)의 직렬회로가 서로 병렬로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고, 이들의 직렬회로와 응축기(2)의 접속을 전동식 전환밸브(7)에 의해 전환할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도 명확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전환밸브에 의하면, 밸브체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밸브체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개폐형상부가 밸브실의 평탄한 저면에 개구되어 있는 복수개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고, 밸브실에 항상 연통되어 있는 입구포트와 복수개의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이 전환되므로, 구조간단하고 많은 전환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포트개폐형상부가, 밸브실과 연통하고 있는 개방영역과 연통하고 있지않는 비개방영역으로 구분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를 가지고 있고, 비개방영역은 주위를 상기 리브형상의 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형상부분은 차압의 수압면으로서 작용하고, 밸브체를 밸브실저면(시트면)에 누르는 하중으로 되고, 리브형상의 격벽부가 적당한 면압을 가지고 밸브실저면(시트면)에 눌리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지고, 양호한 밸브누설을 견디는 성질이 얻어진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실저면(시트면)을 향해서 가압되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지고, 양호한 밸브누설을 견디는 성질이 얻어진다.
또한, 전동식 액추에이터가 스테핑모터에 의해 구성되고, 스테핑모터의 로터는 양단부를 밸브하우징과 로터케이스에 의해 동심으로 양쪽 지지되므로, 덜컹거림이나 뒤틀림이 생기는 일이 없고, 밸브동작에 있어서 소음이 없어지는 것이 개선된다.
또한, 로터와 마그넷이 서로 별도 부품으로 구성되어 압입상태에 의한 키 걸어맞춤에 의해 덜컹거림을 포함하는 일이 없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저코스트화가 도모되고, 동시에 소음을 없애는 것이 개선된다.
또한, 맞닿음식의 스토퍼에 의해 로터와 마그넷의 연결체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가 설정되고, 스테핑모터의 기점내기(영점설정)가 확실히 행해진다.
또한, 밸브체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밸브체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개폐형상부가 밸브실의 평탄한 저면에 개구되어 있는 제 1의 출구포트 및 제 2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고, 제 1의 전환위치~제 4의 전환위치의 4위치가 얻어지고,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으로 연통접속되고,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에만 연통접속되고,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모두에도 연통접속되지않고,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2의 출구포트에만 연통접속되는 상태가 얻어지고,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서의 사용으로, 다채, 치밀한 작동·제어를 행하고,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의 양립을, 보다 고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밸브체가 스테핑모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밸브체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개폐형상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고, 입구포트와 복수개의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이 전횐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많은 전환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금속판에 의해 고쳐질 수 있고, 복잡한 절삭가공품에 의한 밸브하우징을 필요로 하지않고, 전동식 전환밸브의 소형경량화,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로터에 형성된 장출부와 밸브체에 형성된 홈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터와 밸브체가 연결되어 회전방향으로 서로 위치결정되고, 로터의 마그넷자극에 대한 밸브체의 회전각도가 설정되고, 로터의 마그넷자극에 대한 밸브체의 회전각도가 정확하게 설정된다.
또한, 로터의 장출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토퍼와의 맞닿음에 의해, 로터의 회전이동이 규제되고, 로터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가 설정되고, 스테핑모터의 기점내기(영점설정)가 확실히 행해진다.
또한, 밸브체의 포트개폐형상부가, 로터·밸브실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영역과, 개방되어있지않은 비개방영역으로 구분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를 가지고 있고, 비개방영역은 주위를 상기 리브형상의 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형상부분은 차압의 수압면으로서 작용하고, 밸브체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누르는 하중으로 되고, 리브형상의 격벽부가 적당한 면압을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눌려지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진다.
또한, 로터의 지지축의 양단이 축받이되고, 지지축은 적정간극을 부여한 상태로 밸브체를 관통하고,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눌려있으므로 지지축의 밸브체에 대한 수직정밀도에 관계없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밸브체의 밀착성이 확보되고, 적당한 밸브체결 마감성이 얻어진다.
또한, 스토퍼에 완충용의 수지가 코팅 또는 완충재가 피복장착되어 있으므로, 스토퍼 동작시에 금속충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조용하게 유지된다.
또한, 밸브체가 스테핑모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밸브체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개폐형상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개구되어 있는 제 1의 출구포트 및 제 2의 출구포트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고, 제 1의 전환위치~제 4의 전환위치의 4위치가 얻어지고,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에 연통접속되고,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에만 연통접속되고,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모두에도 연통접속되지않고,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입구포트가 제 2의 출구포트에만 연통접속되는 상태가 얻어지고,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서의 사용으로, 다채, 치밀한 작동·제어를 행하고,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의 양립을, 보다 고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하면, 전동식 전환밸브의 밸브체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구동되므로써, 제 1의 전환위치~제 4의 전환위치에 의한 4개의 운전모드가 얻어지고, 제 1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쌍방이 연통접속되는 제 1의 운전모드가, 제 2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2의 운전모드가, 제 3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의 하류측에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모두가 연통접속되지않는 완전폐쇄상태에 의한 제 3의 운전모드가, 제 4의 전환위치에서는 응축기의 하류측에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만이 연통접속되는 제 4의 운전모드가 얻어지므로, 다채, 치밀한 작동·제어가 행해지고, 냉동·냉장고의 고성능화와 에너지절약이, 보다 고도로 양립된다.

Claims (15)

  1.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 항상 연통하고 있는 하나의 입구포트와 상기 밸브실의 평탄한 저면의 서로 벌어진 위치에 개구한 복수개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실내에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실의 상기 저면에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행하는 포트 개폐형상부를 가지고,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하므로써 상기 밸브실과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전환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를 단계적으로 회전구동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포트개폐형상부는, 상기 밸브실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영역과, 개방되어 있지않은 비개방영역으로 구분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를 가지고 있고, 비개방영역은 주위를 상기 리부형상의 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실의 상기 저면을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액추에이터는 스테핑모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에 캡형상의 로터케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로터케이스의 외측으로 상기 스테핑모터의 스테이터코일 조립체가 고정되고, 상기 로터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스테핑모터의 로터 및 로터와 일체의 마그넷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와 상기 밸브체가 밸브홀더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로터의 상기 밸브홀더부재의 측은 상기 밸브하우징의 로터지지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반대측은 상기 로터케이스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로터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와 상기 마그넷은 서로 별도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압입상태에 의한 키걸어맞춤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와 상기 마그넷의 연결체의 회전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로터와 상기 마그넷의 연결체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맞닿음식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포트는 서로 벌어진 위치에 개구된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2개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단계적인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 및 제 2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 함으로써,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이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는 제 1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와 상기 밸브실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제 1의 출구포트만이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는 제 2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이 상기 밸브실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 3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밸브실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제 2의 출구포트만이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는 제 4의 전환위치 사이에 전환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8. 1개의 입구포트와 복수개의 출구포트를 각각 관통형성하여 밸브시트판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작용하여 내부에 기밀구조의 로터·밸브실을 구획설정하는 캡형상의 로터케이스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행하는 포트개폐형상부를 가지고, 회전변위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 함으로써 상기 입구포트와 상기 출구포트의 연통차단을 전환하는 밸브체와,
    상기 로터·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스테핑모터의 다자극구조의 마그넷부착의 로터와,
    상기 로터케이스의 외측에 고정된 스테핑모터의 원통형상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부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와 상기 밸브체는, 상기 로터에 형성된 장출부와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홈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방향으로 서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맞닿음식의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장출부와 상기 스토퍼의 맞닿음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포트개폐형상부는, 상기 로터·밸브실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영역과, 개방되어 있지않은 비개방영역으로 구분하는 리브형상의 격벽부를 가지고 있고, 비개방영역은 주위를 상기 리부형상의 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적정간극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를 관통하고, 그 관통측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타단을 상기 로터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상기 로터와 상기 밸브체의 사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누르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3.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 완충용의 수지가 코팅 또는 완충재가 피복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4. 제 8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포트는 서로 벌어진 위치에 개구된 제 1의 출구포트와 제 2의 출구포트의 2개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스테핑모터에 의해 단게적인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포트개폐형상부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 및 제 2의 출구포트에 대하여 상대변위 함으로써,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이 상기 로터·밸브실에 연통하는 제 1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와 상기 로터·밸브실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제 1의 출구포트만이 상기 로터·밸브실에 연통하는 제 2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의 쌍방이 상기 밸브실과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 3의 전환위치와,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와 상기 로터·밸브실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제 2의 출구포트만이 상기 로터·밸브실에 연통하는제 4의 전환위치 사이에 전환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환밸브.
  15. 압축기의 토출측으로부터의 냉매를 응축기를 경유해서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동실용 증발기와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장실용 증발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이들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동실용 증발기 및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내지 냉장실용 증발기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환류시키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 및 상기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 사이에 청구범위 제 7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된 전동식 전환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포트에 상기 응축기의 하류측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출구포트에 상기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상류측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출구포트에 상기 냉장실용 캐필러리튜브의 상류측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KR1020027004286A 2000-08-11 2001-07-31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KR10079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4267 2000-08-11
JP2000244267 2000-08-11
JP2000398460A JP4180786B2 (ja) 2000-08-11 2000-12-27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JP-P-2000-00398460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01A true KR20020042701A (ko) 2002-06-05
KR100797936B1 KR100797936B1 (ko) 2008-01-24

Family

ID=2659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286A KR100797936B1 (ko) 2000-08-11 2001-07-31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1619B2 (ko)
EP (1) EP1233219B1 (ko)
JP (1) JP4180786B2 (ko)
KR (1) KR100797936B1 (ko)
CN (1) CN100478596C (ko)
DE (1) DE60113640T2 (ko)
WO (1) WO20020147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816B1 (ko) * 2003-11-19 2006-05-30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전동밸브
KR100648943B1 (ko) * 2004-03-23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7015B1 (ko) * 2008-08-07 2010-10-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전환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383B2 (ja) * 2000-07-26 2004-01-26 株式会社東芝 電動弁及び冷蔵庫
EP1385311B1 (en) 2002-07-23 2008-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uthentication of users in a user group in a network
KR20040020618A (ko) * 2002-08-31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256692B2 (ja) * 2003-02-14 2009-04-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式切換弁
JP2004263725A (ja) * 2003-02-14 2004-09-2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KR100531325B1 (ko) * 2004-01-06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및 이의 운전 제어 방법
KR20050076187A (ko) * 2004-01-19 2005-07-26 우영식 유체 및 기체용 밸브
KR20050077662A (ko) * 2004-01-3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탭핑모터밸브
LT5246B (lt) 2004-02-03 2005-08-25 Akcinė bendrovė "Snaigė" Vožtuvinė šaldymo sistema
KR100598321B1 (ko) * 2004-03-12 2006-07-10 주식회사 모아텍 전동식 냉매 조절 밸브
JP4546751B2 (ja) * 2004-03-22 2010-09-1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回転型電動弁
JP2006057763A (ja) * 2004-08-20 2006-03-02 Nidec Sankyo Corp バルブ駆動装置
US20060238039A1 (en) * 2005-04-06 2006-10-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Step motor valve assembly with fail-safe feature
CN100443789C (zh) * 2005-07-29 2008-12-17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动切换阀
CN100464100C (zh) * 2005-09-07 2009-02-25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动切换阀
CN100582535C (zh) * 2005-11-25 2010-01-20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动切换阀及冷冻冷藏冰箱用制冷循环
FR2894017B1 (fr) * 2005-11-28 2008-02-15 Financ Piscine Equipement Soc Pompe a chaleur de chauffage d'eau de piscine
KR100783211B1 (ko) * 2006-07-19 200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매 누설 방지용 밸브 어셈블리
CN101275678B (zh) * 2007-03-29 2011-09-07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电动切换阀及冰箱制冷循环装置
JP2009127469A (ja) * 2007-11-21 2009-06-11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三方弁
KR20090111663A (ko) * 2008-04-22 2009-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NL2002164C (nl) * 2008-11-04 2010-05-06 Stichting Energie Meerwegklep, systeem voor het afwisselend koelen en verwarmen van een reactor, alsmede sorptiekoelsysteem.
CN101762123B (zh) * 2008-11-12 2012-12-19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流量分配器
CN102829216B (zh) * 2012-09-16 2014-02-12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用于制冷系统的电动阀
US9683765B2 (en) 2012-09-16 2017-06-20 Hefei Meiling Co., Ltd Electric valve and refrig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EP2924326B1 (en) * 2012-11-26 2019-12-25 Nidec Sankyo Corporation Refrigerant valve device
US20150354860A1 (en) * 2012-12-31 2015-12-10 Erhan KACMAZ A cooling device
CN103075540A (zh) * 2013-01-04 2013-05-01 宁波爱姆优东海精工电器有限公司 电动切换阀的冷气输出流量调节结构
US10724511B2 (en) * 2013-03-14 2020-07-28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6092009B2 (ja) * 2013-06-11 2017-03-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媒切替弁およびこれを備える機器
KR101849959B1 (ko) * 2015-04-20 2018-04-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전환 밸브 및 유체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기기 및 냉장고
CN107542948B (zh) * 2016-06-29 2020-04-2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动阀
JP6585581B2 (ja) * 2016-12-21 2019-10-0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および電動弁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JP6306758B2 (ja) * 2017-02-07 2018-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媒切替弁
CN107860168A (zh) * 2017-10-24 2018-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控制装置、方法、存储介质及酒柜
KR102052341B1 (ko) 2017-11-29 2019-12-04 (주)퓨처시스텍 다양한 냉매에 적용되는 차량용 냉동 시스템을 위한 전자 팽창 제어 밸브 장치
KR20190138008A (ko) 2018-06-04 2019-12-12 (주)퓨처시스텍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KR102135670B1 (ko) 2018-11-28 2020-07-20 (주)퓨처시스텍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90687A (ko) 2020-07-20 2020-07-29 (주)퓨처시스텍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KR102383550B1 (ko) 2020-07-20 2022-04-08 (주)퓨처시스텍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CN116568974A (zh) 2020-11-26 2023-08-08 三星电子株式会社 阀装置
US11649999B2 (en) 2021-05-14 2023-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CN113404893B (zh) * 2021-06-10 2022-12-13 诸暨市亿霸电子阀门有限公司 一种流体切换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281A (ja) * 1981-07-15 1983-01-25 Hitachi Ltd 四方切換弁
JPS63130979A (ja) * 1986-11-20 1988-06-03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四方弁
CN87202868U (zh) * 1987-03-03 1987-12-02 孙功珍 电动多通转阀
JPS63170667U (ko) * 1987-04-28 1988-11-07
JPH0295150A (ja) * 1988-09-27 1990-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永久磁石回転子
FR2645812B1 (fr) 1989-04-17 1991-07-19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a balayage non circulaire
JPH06174118A (ja) * 1992-11-30 1994-06-24 Toto Ltd 流体弁
US5957377A (en) 1994-06-17 1999-09-28 Nippondenso Co., Ltd. Flow control valve and hot-water type heater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3279105B2 (ja) * 1994-12-27 2002-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制御弁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式暖房装置
JP3383442B2 (ja) * 1994-11-04 2003-03-04 日本ランコ株式会社 四方弁
JPH1047812A (ja) * 1996-08-06 1998-02-20 Saginomiya Seisakusho Inc 弁制御方法及び冷凍サイクルの制御方法
US6491063B1 (en) * 1997-09-17 2002-12-10 Ben-Ro Industry And Development Ltd. Valve assembly and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same
JPH11132577A (ja) * 1997-10-28 1999-05-21 Toshiba Corp 冷蔵庫の冷凍サイク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816B1 (ko) * 2003-11-19 2006-05-30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전동밸브
KR100648943B1 (ko) * 2004-03-23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7015B1 (ko) * 2008-08-07 2010-10-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전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3640T2 (de) 2006-06-29
WO2002014724A1 (fr) 2002-02-21
JP4180786B2 (ja) 2008-11-12
EP1233219A4 (en) 2004-08-18
EP1233219A1 (en) 2002-08-21
DE60113640D1 (de) 2005-11-03
US20020148241A1 (en) 2002-10-17
EP1233219B1 (en) 2005-09-28
CN100478596C (zh) 2009-04-15
JP2002122366A (ja) 2002-04-26
US6591619B2 (en) 2003-07-15
KR100797936B1 (ko) 2008-01-24
CN1388876A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936B1 (ko)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냉장고용의 냉동사이클장치
JP4256692B2 (ja) 電動式切換弁
KR20010082103A (ko) 사방 변환 밸브
JP4786822B2 (ja) 電動式四方切換弁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219898B1 (ko) 전환밸브, 유체압축기 및 히트 펌프식 냉동 사이클 장치
CN113819249A (zh) 电子膨胀阀及制冷设备
JP2001295951A (ja) 四方切換弁
JP2001343076A (ja) 制御弁
WO2018116711A1 (ja) 電動弁および電動弁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JP4315589B2 (ja) 四方切換弁
JP2000310348A (ja) 電動切換弁
JP4142387B2 (ja) 電動回転式流路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H08312821A (ja) 密封式流量調整弁
JP2001254861A (ja) 三方弁
JP4119720B2 (ja) 電動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0304147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KR100598321B1 (ko) 전동식 냉매 조절 밸브
JP4011396B2 (ja) 電動式流路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S58101287A (ja) スクロ−ル型圧縮機
JPH0979409A (ja) 制御弁
JP2001153494A (ja)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1153491A (ja)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816260B2 (ja) 四方弁
JP4002714B2 (ja) 電動流量制御弁
JP2006291976A (ja) 電動式流量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