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550B1 -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550B1
KR102383550B1 KR1020210042542A KR20210042542A KR102383550B1 KR 102383550 B1 KR102383550 B1 KR 102383550B1 KR 1020210042542 A KR1020210042542 A KR 1020210042542A KR 20210042542 A KR20210042542 A KR 20210042542A KR 102383550 B1 KR102383550 B1 KR 10238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ion
expansion valve
parameter
modu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015A (ko
KR102383550B9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주)퓨처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8956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90687A/ko
Application filed by (주)퓨처시스텍 filed Critical (주)퓨처시스텍
Priority to KR102021004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5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50B1/ko
Publication of KR10238355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5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1Pressures near an expansion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컨트롤러와 조건을 설정하는 메인 컨트롤러에 의하여 냉동 또는 냉장 조건을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11); 전자 팽창 밸브(131) 및 그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모듈로부터 탐지된 다채널 온도 센서(141)와 구간 압력 센서(142)로부터 탐지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매개변수 분석 모듈(12); 및 매개변수에 따른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작동 매개변수로 피드백을 시키는 피드백 모듈(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An Electric Expanding Valve Type of a Controller for Refrigerating and Cooling}
본 발명은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컨트롤러와 조건을 설정하는 메인 컨트롤러에 의하여 냉동 또는 냉장 조건을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의 냉매의 유량은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고, 전자식 밸브는 증발기 출구 냉매에서 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팽창 밸브의 개폐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전자식 팽창 밸브는 비례 제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면서 냉매 유량에 대한 응답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적용 분야가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전자 제어 밸브는 냉동 탑의 냉동 시스템에 적용되기 어렵다. 냉장 또는 냉동 탑 차량은 독립적인 냉각 엔진에 의하여 압축기 또는 응축기가 작동되거나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냉각기를 가질 수 있다. 냉동 탑 차량의 냉동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과 연동되어 작동하므로 전자식 제어 밸브의 장점이 이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동 탑 차량의 냉동 시스템이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전자식 제어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WO 2002/14724는 냉동 또는 냉장고의 고성능화에 따른 냉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식 전환 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05-0099799는 압축기의 흡입 과열도와 압축기의 토출 온도를 함께 고려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개도 변경 값을 결정하는 냉동 사이클의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지의 전자 팽창 제어 밸브는 증발기 또는 압축기로부터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을 한다. 그러나 냉매의 흐름은 냉동 공간의 온도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은 냉동 공간에서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은 실시간으로 탐지된 온도 또는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기 또는 응축기의 작동과 관련성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전자 팽창 밸브의 제조는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의 전체 작동 구조와 관련을 가지면서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제어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WO 2002/14724(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2002년02월21일 공개)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고와 냉장고용 냉동 사이클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05-0099799(엘지전자 주식회사, 2005년10월17일 공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팽창 밸브를 비롯한 압축기 및 응축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 컨트롤러와 작동 조건을 설정하는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져 냉장 또는 냉동이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 전자 팽창 밸브 및 그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모듈로부터 탐지된 다채널 온도 센서와 구간 압력 센서로부터 탐지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매개변수 분석 모듈; 및 매개변수에 따른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작동 매개변수로 피드백을 시키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 제어는 개폐 수준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유닛;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 및 증발기로 유동되는 온도 조절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매개변수 작동 모듈은 매개변수 분석 모듈에 슬레이브 구조로 연결되어 캔 통신 형태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로부터 전송된 작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냉매의 유동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냉동 또는 냉장 차량에 연결되어 적용되는 것에 의하여 10 % 이상의 전력 소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작동 컨트롤러와 캔(Can)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 이미 설치된 냉장 또는 냉동 시스템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온도 센서 또는 기록계와 연동될 수 있고, 다양한 스크린과 연결된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모터, 밸브 구동 또는 센서 정보의 출력을 위한 냉동 또는 냉장 알고리즘의 적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가 적용된 냉동 또는 냉장용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의하여 전자 팽창 밸브가 제어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가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11); 전자 팽창 밸브(131) 및 그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모듈로부터 탐지된 다채널 온도 센서(141)와 구간 압력 센서(142)로부터 탐지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매개변수 분석 모듈(12); 및 매개변수에 따른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작동 매개변수로 피드백을 시키는 피드백 모듈(15)을 포함한다.
냉동 또는 냉장용 컨트롤러는 냉동차 또는 이와 유사한 냉동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냉동 시스템의 냉매의 액화 및 기화로 인한 열 교환에 기초하고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시스템의 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는 전자 팽창 밸브(131), 압축기(132), 응축기, 증발기 또는 이와 유사한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각 모듈(13)의 작동은 매개변수 작동 모듈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냉각 모듈(13)의 각각의 장치, 부품 또는 소자의 작동 수준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매개변수 분석 모듈(12)과 함께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는 서로 다른 유동 공간에서 온도, 압력, 유동 속도, 유동 방향, 환경 조건 또는 이와 유사한 매개변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이와 같은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13)을 조절할 수 있다. 작동을 위한 매개변수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매개변수 분석 모듈(12)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분석 모듈(12)에 의하여 냉각 모듈(13)의 각각의 구성의 작동에 따른 매개변수 값 및 자동 수준에 따른 매개변수 값의 변화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 데이터가 매개변수 작동 모듈(11)로 전송되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매개변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13)의 각각의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냉매의 유동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다채널 온도 센서(141) 또는 구간 압력 센서(142)와 같은 탐지 수단(14)이 배치될 수 있다. 탐지 수단(14)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정보가 매개변수 분석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고, 이와 함께 피드백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다. 매개변수 분석 모듈(12)은 탐지 수단(14)으로 전송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여 작동 효율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매개변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매개변수 데이터를 수정하여 매개변수 작동 모듈(1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이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13)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에 따른 상태가 피드백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매개변수 데이터에 따른 작동 상태가 탐지 수단(14)에 의한 탐지 정보가 피드백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다. 피드백 모듈(15)은 냉각 모듈(13)의 각각의 작동 수준과 매개변수 값을 매칭을 시켜 매개변수 작동 모듈(11)로 전송할 수 있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매개변수 데이터에 매칭이 되도록 냉각 모듈(13)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13)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성이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팽창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131)가 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다채널 온도 센서(141)가 냉동 또는 냉장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채널 온도 센서(141)로부터 탐지된 서로 다른 위치의 온도 변화로부터 냉동 또는 냉장 공간의 온도 분포 곡선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분포 곡선에 기초하여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매개변수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131)는 솔레노이드 방식 또는 스텝 모터 방식으로 구동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가 적용된 냉동 또는 냉장용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는 메인 컨트롤러(21)와 슬레이브 컨트롤러(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 컨트롤러(21)와 슬레이브 컨트롤러(22)는 예를 들어 캔(CAN) 통신과 같은 통신 방법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1)는 위에서 설명된 매개변수 분석 모듈(12)을 포함하고, 슬레이브 컨트롤러(22)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1)는 예를 들어 냉동차의 운행자가 위치하는 운전석에 배치되거나, 냉동 공간과 분리되어 조작이 편리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1)는 디스플레이 유닛, 프린트 유닛 또는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컨트롤러(22)는 냉각 모듈을 형성하는 압축기(23), 응축기(24), 팽창 밸브 유닛(25) 및 증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프로그램, 소자 및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23)에서 압축이 되어 응축기(24)를 경유하여 팽창 밸브 유닛(25)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팽창 밸브(25)에서 증발기(26)로 유도되어 기화되는 냉매의 양에 의하여 냉동 또는 냉각 공간의 냉각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24)에 응축기(24)에 1 구동 모터(241)에 의하여 구동되는 응축 팬이 배치되고, 증발기(26)에 증발 팬의 구동을 위한 2 구동 모터(261)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6) 또는 증발기(26)가 설치되는 증발 공간의 내부에 다수 개의 온도 센서(TS1, TS2, TS3)가 배치되고, 냉매의 유동 경로에 또한 유동 온도 센서(TS4) 또는 압력 센서(TP)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위치에 온도 센서(TS1, TS2, TS3, TS4) 또는 압력 센서(TP)가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 상태가 탐지되어 슬레이브 컨트롤러(22)로 피드백이 될 수 있다. 슬레이브 컨트롤러(22)에 의하여 팽창 밸브 유닛(25)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슬레이브 컨트롤러(22)는 냉동 모듈과 직접 연결이 되면서 매개변수 데이터 및 피드백 값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냉각 모듈의 작동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과열도 또는 과냉도가 미리 결정된 값에서 이루어지도록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정밀하게 팽창 밸브 유닛(25)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동 공간이 미리 결정된 조건으로 냉동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팽창 밸브 유닛(25)의 작동을 실시간 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정밀하게 제어하여 냉동 공간이 정해진 조건에 따라 냉동이 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의하여 전자 팽창 밸브가 제어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팽창 밸브(131)는 밸브 몸체(33)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오리피스(38); 예를 들어 스텝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32)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면서 오리피스(38)의 개폐 수준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31); 및 오리피스(38)에 배치되면서 유동 냉매의 압력에 따라 경로 직경이 신축되는 신축 경로(381)를 가지는 완충 패드를 포함한다.
입구(34)를 통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가 오리피스(38)의 내부로 유입되면 냉동 공간의 상태에 따라 구동 수단(32)의 작동에 의하여 조절 수단(31)이 오리피스(38)의 내부로 이동되어 개폐 수준이 조절될 수 있다. 신축 경로(381)는 개폐 조절에 의하여 배출되는 냉매의 양에 따라 신축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냉매가 일정한 압력으로 출구(36)로 유도되도록 한다. 출구(36)는 선형 튜브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출구(36)의 끝 부분에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배출 조절 수단(37)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의 양이 많고 이로 인하여 압력이 높으면 배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냉매의 유동 거리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 공간에서 냉매의 기화에 따라 온도 변화가 오리피스(38)의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 조절 수단(37)은 압력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탄성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34)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36)에 각각 온도 및 압력을 탐지하는 탐지 수단(S1, S2)이 배치되어 유입되는 전자 팽창 밸브(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와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이 탐지되어 밸브 제어 유닛(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밸브 제어 유닛(35)은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의 제어에 따라 구동 수단(M)을 작동시키는 유량 조절 유닛(351); 내부 압력을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압력 조절 유닛(352); 및 오리피스(38)의 내부 온도를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 유닛(353)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가 증발기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밸브 제어 유닛(35)은 미리 결정된 조건이 유지되도록 각각의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고, 전기 팽창 밸브(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와 배출되는 냉매의 상태가 탐지 수단(S1, S2)에 의하여 탐지되어 매개변수 작동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다.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은 피드백이 된 냉매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 제어 유닛(35)을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에 의하여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상태가 실시간으로 탐지되어 작동이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가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컨트롤러(22)에 의하여 작동 모듈(41)의 작동이 조절되면서 이와 함께 작동 상태가 탐지 모듈(42)에 의하여 탐지되어 슬레이브 컨트롤러(22)로 피드백이 될 수 있다. 또한 탐지 모듈(42)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정보는 유동 맵 유닛(43)은 경유하여 메인 컨트롤러(21)로 전송될 수 있다. 작동 모듈(41)은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 구동 유닛(411); 압축기의 작동을 위한 클러치 구동 유닛(412); 및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팬 구동을 위한 팬 구동 유닛(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컨트롤러(22)의 각각의 구동 유닛의 구동을 작동 데이터 유닛(45)에 의하여 생성된 작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탐지 모듈(42)에서 탐지되어 피드백이 된 탐지 정보를 작동 데이터와 비교하여 각각의 구동 유닛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탐지 모듈(42)에서 탐지된 정보가 유동 맵 유닛(43)을 경유하여 메인 컨트롤러(21)로 전송될 수 있다. 유동 맵 유닛(43)은 다양한 위치에서 탐지된 탐지 정보로부터 냉매의 유동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온도 및 압력은 냉매의 유동 경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탐지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탐지된 온도 및 압력에 기초하여 유동 맵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맵은 냉매의 유동 과정에서 냉동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동시키면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건을 찾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과열도 또는 과냉도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자 팽창 밸브에서 냉매의 기화 조건에 따라 냉각 모듈의 작동 조건을 탐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유동 맵 유닛(43)에 의하여 냉매의 서로 다른 유동 경로에서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대한 유동 맵이 생성되어 메인 컨트롤러(21)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1)는 유동 맵을 최적화 데이터 유닛(44)으로 전송하여 최적의 작동 매개변수가 탐색되고 그에 따른 최적화 작동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적화 작동 데이터는 슬레이브 컨트롤러(22)의 작동 데이터 유닛(45)으로 전송되고, 그에 기초하여 작동 모듈(41)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작동 과정이 피드백이 되면 다시 최적화 데이터가 생성되어 작동 데이터가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 모듈(4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는 냉동 또는 냉장 차량에 연결되어 적용되는 것에 의하여 10 % 이상의 전력 소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작동 컨트롤러와 캔(Can)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 이미 설치된 냉장 또는 냉동 시스템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온도 센서 또는 기록계와 연동될 수 있고, 다양한 스크린과 연결된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모터, 밸브 구동 또는 센서 정보의 출력을 위한 냉동 또는 냉장 알고리즘의 적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매개변수 작동 모듈 12: 매개변수 분석 모듈
13: 냉각 모듈 14: 탐지 수단
15: 피드백 모듈 21: 메인 컨트롤러
22: 슬레이브 컨트롤러 23: 압축기
24: 응축기 25: 팽창 밸브 유닛
26: 증발기 31: 조절 수단
32: 구동 수단 33: 밸브 몸체
34: 입구 35: 밸브 제어 유닛
36: 출구 37: 배출 조절 수단
38: 오리피스 41: 작동 모듈
42: 탐지 모듈 43: 유동 맵 유닛
44: 최적화 데이터 유닛 45: 작동 데이터 유닛
131: 전자 팽창 밸브 132: 압축기
141: 다채널 온도 센서 142: 구간 압력 센서
241, 261: 1, 2 구동 모터 351: 유량 조절 유닛
352: 압력 조절 유닛 353: 온도 조절 유닛
381: 신축 경로 411: 모터 구동 유닛
412: 클러치 구동 유닛 413: 팬 구동 유닛
M: 구동 수단 S1, S2: 탐지 수단
TP: 압력 센서 TS1, TS2, TS3: 온도 센서
TS4: 유동 온도 센서

Claims (1)

  1.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매개변수 작동 모듈(11);
    전자 팽창 밸브(131) 및 그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모듈로부터 탐지된 다채널 온도 센서(141)와 구간 압력 센서(142)로부터 탐지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매개변수 분석 모듈(12); 및
    매개변수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작동 매개변수로 피드백을 시키는 피드백 모듈(15)을 포함하고,
    다채널 온도 센서(141)는 냉동 또는 냉장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의 온도 변화로부터 냉동 또는 냉장 공간의 온도 분포 곡선이 만들어지고, 상기 온도 분포 곡선에 기초하여 매개 변수 작동 모듈(11)이 매개변수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을 조절하고,
    전자 팽창 밸브(131)의 밸브 몸체(33)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오리피스(38)의 개폐 수준을 조절하도록 구동 수단(32)을 작동시키는 유량 조절 유닛(351);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352); 및 오리피스(38)의 내부 온도를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 유닛(353)을 포함하는 밸브 제어 유닛(35)에 의하여 전자 팽창 밸브(131)의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고,
    매개변수 작동 모듈(11)을 포함하는 슬레이브 컨트롤러(22) 및 매개 변수 분석 모듈(12)을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러(21)는 슬레이브 구조로 연결되어 캔 통신 형태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메인 컨트롤러(21)는 냉동차의 냉동 공간과 분리되도록 냉동차의 운행자가 위치하는 운전석에 배치되며, 슬레이브 컨트롤러(22)는 냉각 모듈을 형성하는 압축기(23), 응축기(24) 및 증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매개변수 작동 모듈(11)로부터 전송된 작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과열도 또는 과냉도가 미리 결정된 값에서 이루어지도록 실시간으로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고,
    메인 컨트롤러(21)는 디스플레이 유닛, 프린트 유닛 및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KR1020210042542A 2020-07-20 2021-04-01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KR10238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542A KR102383550B1 (ko) 2020-07-20 2021-04-01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68A KR20200090687A (ko) 2020-07-20 2020-07-20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KR1020210042542A KR102383550B1 (ko) 2020-07-20 2021-04-01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568A Division KR20200090687A (ko) 2020-07-20 2020-07-20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015A KR20210040015A (ko) 2021-04-12
KR102383550B1 true KR102383550B1 (ko) 2022-04-08
KR102383550B9 KR102383550B9 (ko) 2023-04-12

Family

ID=8118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542A KR102383550B1 (ko) 2020-07-20 2021-04-01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844A (ja) * 2000-10-25 2002-05-09 Daikin Ind Ltd 制御装置及び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181B1 (ko) * 1995-06-20 1999-01-15 구자홍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장고와 이 냉온장고의 제어방법
JP4180786B2 (ja) 2000-08-11 2008-11-1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579564B1 (ko) 2004-04-12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US8281607B2 (en) * 2006-03-31 2012-10-09 Parker-Hannifin Corporation Electronic block valve
KR102013713B1 (ko) * 2013-02-04 2019-08-23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844A (ja) * 2000-10-25 2002-05-09 Daikin Ind Ltd 制御装置及び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015A (ko) 2021-04-12
KR102383550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9473B2 (en) Method of high-side pressure regulation in transcritical vapor compression cycle device
US6044655A (en) Vap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ing system
KR0160435B1 (ko) 고효율 독립냉각 싸이클을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8484985B2 (en) Air conditioner system having an externally controlle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a clu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479064A (zh) 电冰箱
CN103673416A (zh) 汽车空调系统中制冷剂流量的控制方法及汽车空调系统
EP2762799B1 (en) Pulse tube refrigerator with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gas flow rate and phase
US681719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efrigerant circuit,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driving engine, and refrigerant circuit
KR102383550B1 (ko)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JP4715797B2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US6694760B2 (en) Refrigerating cycle
JP2008122034A (ja) 車両用冷房装置
US20030172662A1 (en) Compact refrigeration system
US66260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side pressure regulation in a vapor compression cycle
KR20200090687A (ko)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US6804972B2 (en) Direct drive multi-temperature special evaporators
KR20190138008A (ko)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US9746208B2 (en) Cooling system having dual suction port compressor
KR102052341B1 (ko) 다양한 냉매에 적용되는 차량용 냉동 시스템을 위한 전자 팽창 제어 밸브 장치
JPH04344073A (ja) 冷却回路における駆動制御方法
JP2909934B2 (ja) パルス管冷凍機
JP3952746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3353194B (zh) 一种制冷设备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S61262570A (ja) 冷凍サイクルの制御装置
JP2004232491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