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13B1 -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13B1
KR102013713B1 KR1020157023536A KR20157023536A KR102013713B1 KR 102013713 B1 KR102013713 B1 KR 102013713B1 KR 1020157023536 A KR1020157023536 A KR 1020157023536A KR 20157023536 A KR20157023536 A KR 20157023536A KR 102013713 B1 KR102013713 B1 KR 10201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valve
electromagnetic expansion
refrigerant
current
stepp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671A (ko
Inventor
샤오준 장
이빙 장
후이 왕
롱롱 장
Original Assignee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043242.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96813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044536.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968621B/zh
Application filed by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25B2341/06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10T137/0379By 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1Electrically actuate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에어컨 시스템의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1) 및 팽창 밸브 제어기를 포함하며; 밸브 본체(1)는 냉매 채널, 밸브 핀(14) 및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고; 스테핑 모터는 냉매 채널의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핀(14)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팽창 밸브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회전시키기 위해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도록 서로 다른 전류를 스테핑 모터에 입력하며; 냉매 채널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핀(14)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전자 팽창 밸브는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전류를 사용하며, 따라서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모터의 이상 결함을 극복하며, 전자 팽창 밸브의 수명을 연장한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2013년 2월 4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명칭이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043242.4호, 및 2013년 2월 4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명칭이 "전자 팽창 밸브 및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04453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개시물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통합된다.
본 출원은 냉동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관한 것이고, 또한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를 포함하는 4개의 주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팽창 밸브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응축기에서 흐르는 냉매의 유량(flow rate)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냉동 시스템의 과열도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냉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팽창 밸브는 일반적으로 열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 열 팽창 밸브는 온도 감지 벌브를 사용하여 증발기의 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고, 열 팽창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더 제어한다. 전자 팽창 밸브(EXV)는 일반적으로 밸브 본체 및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에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통로, 통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밸브 니들(valve needle), 및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테핑 모터가 제공된다. 스테핑 모터의 회전은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고, 전자 팽창 밸브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 신호에 따라 전자 밸브의 개도를 제어한다. 열 팽창 밸브와 비교하면, 전기 구동 구성 요소로서의 전자 팽창 밸브는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소비 전력는 냉동 장치의 동작 조건의 사용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전제하에 가능한 많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서, 정전압 방식 또는 정전류 방식은 일반적으로 전자 팽창 밸브를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전압 방식은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정전압으로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나타내며, 전류 신호는 정전압에 정비례한다. 정전류 방식은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기술로 전압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PWM의 턴온 시간 동안, 전압은 코일에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전류 신호를 생성시키는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인가되고, PWM의 턴온 시간은 전류 신호가 사전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 끝난다. 정전류 방식은 마이크로 스텝(micro-step)을 생성하기 위해 4의 세분화 전류(subdivision current), 8의 세분화 전류 및 16의 세분화 전류와 같은 세분화 정전류 방식을 포함한다. 공통 정전류 방식과 비교하면, 세분화 정전류 제어는 전류의 파형이 더욱 제어 가능하도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팽창 밸브가 제어된 스테핑 모터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 정전압 방식 또는 정전류 방식에 의해 제어될 지라도, 그것은 둘다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어떤 규칙적인 패턴의 전류 펄스, 즉 계자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하기 위해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를 구동하기 위한 힘의 모멘트를 생성시키는 것과 동일하다.
정전압 방식에 대해, 스테핑 모터가 고정된 값을 갖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전류의 값이 또한 고정되고, 전류의 값은 전압의 고정된 값에 정비례한다. 정전류 방식에 대해, 세분화 방식이 채용되는 여부과 관계없이, 전류의 사전 설정된 값이 결정되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파형이 또한 결정되고, 즉, 코일 내의 등가 전류의 값은 고정된다.
전류의 값 및 등가 전류의 값은 이하에서 더 이상 차별화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등가 전류의 값으로 지칭된다.
힘의 모멘트의 관점에서,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를 구동하기 위한 힘의 모멘트의 크기는 주로 코일내의 등가 전류의 값, 스테핑 모터의 구조 및 재료 등에 의존한다. 그러나, 스테핑 모터가 조립된 후, 스테핑 모터의 구조 및 재료는 이미 결정되고, 따라서 힘의 모멘트의 크기만이 코일내의 등가 전류의 값에 의존한다.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제공된 등가 전류의 값이 결정되면, 등가 전류의 최소값은 실제 사용 시에 스테핑 모터를 조립하기 위해 구성 요소에 의해 요구되는 전류의 최대값에 의존하며, 즉, 등가 전류의 값은 구성 요소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전류에 따라 설정된다.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가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과 같이 복잡한 동작 조건을 가진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의 힘의 모멘트에 대한 에어컨 시스템의 요구 사항은 서로 다른 동작 조건 하에 크게 다르고, 열악한 동작 조건에서의 요구되는 힘의 모멘트는 양호한 동작 조건에서의 요구되는 힘의 모멘트의 몇배일 수 있다. 따라서, 최악의 동작 조건에서의 힘의 모멘트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등가 전류의 큰 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양호한 동작 조건은 큰 값을 가진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전기 에너지를 낭비하고 소비 전력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최악의 동작 조건은 짧은 시간을 차지하며, 따라서 등가 전류의 값이 최악의 동작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경우에, 제품 주기가 증가함에 따라 낭비는 더욱 심각해진다. 제품이 항상 큰 값을 가진 전류 하에 동작될 때 제품의 수명은 감소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에 인가된 등가 전류의 값은 변화하지 않으며, 등가 전류의 값이 큰 경우에, 스테핑 모터는 전체 프로세스 동안 이러한 큰 값을 가진 전류로 동작하며, 이는 전기 에너지를 낭비하고 소비 전력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복잡한 동작 조건에 적용된 기존의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오동작은 모터 스톨링(motor stalling)이며, 즉,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는 어떤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회전하지 않는다. 본질적인 이유는 회전자에 적용되는 마찰 모멘트가 회전 모멘트보다 크다는 것이고, 직접적인 이유는 모터의 윤활성의 저하, 또는 모터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포함한다. 전자 팽창 밸브의 이러한 오동작의 일부는 비실질적인 오동작이며, 즉, 힘의 큰 모멘트가 전자 팽창 밸브에 제공되면, 전자 팽창 밸브는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정전압 제어식 또는 정전류 제어식 전자 팽창 밸브의 경우, 등가 전류의 값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힘의 제공된 모멘트는 일정하고, 이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의 오동작이 반드시 실질적인 오동작은 아니지만, 전자 팽창 밸브는 자원을 낭비하는 망가진 구성 요소로서만 생각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용 제어기는 본 출원에 제공되며, 이는 전자 팽창 밸브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전자 팽창 밸브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는 본 출원에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소비 전력를 감소시키고,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할 수 있고, 수명을 증가시켰다.
에어컨 시스템은 본 출원에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개선된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고, 소비 전력를 줄이고,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하며,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은 본 출원에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전자 팽창 밸브의 소비 전력를 줄일 수 있고,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할 수 있다.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본 출원에 추가로 제공되고, 제어 방법에 사용된 전자 팽창 밸브는 소비 전력을 줄이고,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정보 수신 유닛, 동작 조건 결정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정보 수신 유닛은 센서 정보, 제어 명령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정보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를 결정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른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초기화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 범위를 통과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고, 시스템 이상(system abnormity)이 발생하거나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이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2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초기화 전류의 값은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더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preset transition position)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3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3 작동 전류 보다 작은 제 4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로부터 바로 분리되고, 냉매 유동 통로가 개방되는 위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5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6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stall)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7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전류 제어 신호는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8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memorizer)에 저장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개도 정보와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스테핑 모터는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고, 밸브 본체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하며, 밸브 본체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 통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밸브 니들, 및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회전할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스테핑 모터는 이동할 밸브 니들를 구동하고,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로컬 상호 연결 네트워크(LIN) 송수신 모듈, 중앙 처리 모듈,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LIN 송수신 모듈은 LIN 버스를 통해 스테핑 모터의 동작 조건에 따라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수신할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처리 모듈은 LIN 송수신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명령 신호를 분석하고,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및 제어 모듈은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전류 제어 모듈을 수신하고,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모듈은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중앙 제어 모듈,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이러한 모듈은 모두 에어컨 제어기에 통합된다. 중앙 제어 모듈은 스테핑 모터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및 제어 모듈은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전류 제어 모듈을 수신하고,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모듈은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초기화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 범위를 통과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고,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이며;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2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동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초기화 작동 전류의 값은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더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 동작 명령은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전송된 신호에 별도의 초기화 신호 비트를 제공하거나, 최소 개도 신호 또는 최대 개도 신호,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를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최소 개도 또는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을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의 아래에 있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3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위에 있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3 작동 전류 보다 작은 제 4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어느 정도 회전하고, 냉매의 통로가 개방된 후에 밸브 니들이 냉매의 통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밸브 니들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5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6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7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8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개도 정보와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스테핑 모터는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에어컨 시스템은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고,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하고, 냉매는 응축기, 증발기 및 압축기에서 순환을 형성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팽창 밸브는 상술한 전자 팽창 밸브이다.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은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고,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 통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밸브 니들, 및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고, 스테핑 모터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초기화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로서,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 범위를 통과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고,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인 단계;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 2 작동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초기화 작동 전류의 값은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더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 동작 명령은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전송된 신호에 별도의 초기화 신호 비트를 제공하거나, 최소 개도 신호 또는 최대 개도 신호,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를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최소 개도 또는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을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 3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위에 있는 경우에 제 4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4 작동 전류는 제 3 작동 전류 보다 작고,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어느 정도 회전하고, 냉매의 통로가 개방된 후에 밸브 니들이 냉매의 통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밸브 니들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 5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제 6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6 작동 전류는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 7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 8 작동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8 작동 전류는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개도 정보와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스테핑 모터는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고, 에어컨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하고, 냉매는 응축기, 증발기 및 압축기에서 순환을 형성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은 전자 팽창 밸브를 위한 상술한 제어 방법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출원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전자 팽창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할 수 있고, 전자 팽창 밸브의 에너지 소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경우에,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하기 위해 큰 전류가 스테핑 모터에 입력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는 항상 최대 동작 전류를 사용하는 해결책과 비교하면, 본 출원의 전자 팽창 밸브는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를 사용하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서의 LIN 신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중앙 처리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동 및 제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동 및 제어 모듈의 전류 크기 구동 및 제어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동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직렬 주변 인터페이스(SPI) 버스를 통해 중앙 처리 모듈과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동 및 제어 모듈 사이로의 데이터 전송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중앙 처리 모듈과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동 및 제어 모듈이 SPI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의 데이터의 오실로그램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2개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수행된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마찰 모멘트와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서로 다른 위치에 따라 수행된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서로 다른 압력에 따라 수행된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 따라 수행된다.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 및 밸브 니들의 서로 다른 위치에 따라 수행된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어는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 밸브 니들의 서로 다른 위치, 및 냉매의 서로 다른 압력에 따라 수행된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는 기계식 밸브 본체 및 밸브 본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기계식 밸브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인 도 1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본체(1)는 냉매 입구(11), 냉매 출구(12), 및 밸브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냉매를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포함하고, 오리피스(orifice)(13)는 통로 내부에 형성된다. 밸브 니들(14)은 밸브 본체 내부에 제공되고, 스테핑 모터는 밸브 본체(1) 위에 제공되며, 스테핑 모터는 고정자 코일(15) 및 회전자(16)를 포함한다.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제어 하에 전류는 고정자 코일(15)로 입력될 수 있고, 전류가 고정자 코일(15)에 입력되면, 고정자 코일(15)은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자(16)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밸브 니들(14)이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16)에 탄성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밸브 니들(14)은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16)의 회전으로 상하향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14)이 냉매 유동 통로의 오리피스(13)와 접촉하도록 하향 이동할 때, 냉매 유동 통로의 오리피스는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냉매는 전자 팽창 밸브를 통해 순환할 수 없다. 밸브 니들(14)이 냉매 유동 통로의 오리피스(13)에서 분리되도록 상향 이동할 때, 냉매 유동 통로는 개방되며, 따라서 냉매는 냉매 입구(11)를 통해 들어가고, 냉매 유동 통로를 통과하여 냉매 출구(12)를 통해 흘러나올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유동 통로의 개도는 냉매 유동 통로의 오리피스(13)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밸브 니들(14)의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인 도 2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출원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팽창 밸브는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로컬 상호 연결 네트워크(LIN) 송수신 모듈(21), 중앙 처리 모듈(22), 구동 및 제어 모듈(23)과 구동 모듈(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LIN 버스를 통해 (에어컨 제어기와 같은) 상위 레벨의 제어기와 연통한다. LIN 송수신 모듈(21)은 LIN 버스로부터 프레임 명령을 수신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압 레벨을 중앙 처리 모듈(22)로 전송하고, 중앙 처리 모듈(2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변환하고 전송한다. 프레임 명령은 전자 팽창 밸브의 명령 타입, 타겟 개도 정보, 전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LIN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헤더 및 프레임 응답을 포함한다. LIN 명령 프레임의 프레임 응답의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인 도 3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하나 LIN 명령의 프레임 응답은 최대 9 바이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바이트는 8 비트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바이트의 서로 다른 비트는 서로 다른 명령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IN 명령 프레임의 제 1 바이트의 비트 1은 초기화 신호일 수 있으며, 비트 1이 1인 경우에, 초기화는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트 1이 0인 경우에, 초기화는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바이트의 나머지 6 비트는 타겟 개도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11111은 개도가 100%인 것을 나타내고, 000000는 개도가 0%인 것을 나타낸다. 타겟 개도의 값은 궁극적으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스테핑 모터의 스텝 사이즈의 값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의 개도는 240 스텝인 스테핑 모터의 스텝 사이즈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 2 바이트의 8 비트는 스테핑 모터로 입력되는데 필요한 전류의 전류 크기 정보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0000000는 제 1 전류를 나타내고, 01000000은 제 2 전류를 나타낸다. 전자 팽창 밸브는 초기화 신호만을 전송하거나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타겟 개도 신호만을 전송함으로써 초기화 프로세스를 달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이 초기화 명령을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LIN 명령 신호의 하나의 비트는 초기화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트가 1인 경우에는, 초기화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은 현재 위치에서 최소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최소 위치에서 최대 위치로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최대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전체 초기화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또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LIN 신호에 별도의 비트를 제공하는 대신에, 3개의 개도 명령이 LIN 명령을 통해 직접적이고 연속적으로 전송되어, 현재 위치에서 최소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최소 위치에서 최대 위치로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최대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초기화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을 제어한다. 게다가, 개도 명령을 직접 전송하는 대신에, 최소 개도 및 최대 개도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변환된 명령, 예를 들어 최대 개도 등의 백분율이 전송된다. 예를 들면, 최대 개도가 111111로 나타내는 경우, 백분율 정보는 개도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최대 개도의 명령 뒤에 부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1111 111은 최대 개도가 100%인 것을 나타내고, 111111 110은 개도가 80%인 것을 나타내며, 111111 101은 개도가 60%인 것을 나타낸다.
LIN 명령 프레임 외에, LIN 요청 프레임이 또한 제공된다. LIN 요청 프레임은 전자 팽창 밸브의 상태를 에어컨 제어기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LIN 요청 프레임의 프레임 응답은 최대 9 바이트를 포함하고, 각 바이트는 8 비트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바이트의 서로 다른 비트는 전자 팽창 밸브(EXV)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른 신호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바이트의 비트 0 및 비트 1은 EXV의 초기화 상태 신호를 공동으로 구성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비트 0 및 비트 1이 00인 경우에, 그것은 EXV가 초기화를 완료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트 0 및 비트 1이 01인 경우에는 EXV가 초기화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트 0 및 비트 1이 10인 경우에는 EXV가 초기화를 완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바이트의 나머지 6 비트는 EXV의 현재 개도를 나타낸다. 제 2 바이트의 비트 0은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로 정의되고, 비트 0이 1인 경우에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이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LIN 송수신 모듈은 별도의 집적 회로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중앙 처리 모듈(22)은 중앙 처리 유닛(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타이머 및 다중 입/출력(I/O) 포트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모듈(22)은 LIN 송수신 모듈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의 의미를 분석하고,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 분석된 제어 신호를 구동 및 제어 모듈(23)로 전송하고, 구동 및 제어 모듈(23)에 의해 피드백된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며,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를 기록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중앙 처리 모듈(22)은 먼저 프레임 헤더에서의 프레임 식별자를 결정한다. 프레임 정보가 전자 팽창 밸브를 가리키는 명령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중앙 처리 모듈(22)은 프레임 응답을 더 수신하고, 프레임 응답에서 신호를 분석한다. 분석된 결과가 현재 개도로부터 새로운 개도로 이동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를 필요로 하는 경우, 중앙 처리 모듈(22)은 구동 및 제어 모듈(23)에 제공될 필요가 있는 스텝 사이즈의 값과, 현재 개도 및 새로운 개도에 따른 모터의 구동 방향(즉, 회전 방향)의 정보를 계산하며, 한편 중앙 처리 모듈(22)은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의 출력 요구 사항에 따라 LIN 버스에서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스테핑 모터에 입력되는 전류 크기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분석된 결과가 제 1 전류를 입력할 것을 필요로 할 경우, 중앙 처리 모듈은 스텝 사이즈의 정보, 모터의 구동 방향, 전류 크기 등을 구동 및 제어 모듈(23)에 제공한다. 중앙 처리 모듈은 8 비트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구동 및 제어 모듈(23)은 스텝 사이즈의 정보, 모터의 구동 방향, 전류 크기 등을 수신하고, 스위치 온되고 스위치 오프되도록 구동 모듈(24)의 스위치 튜브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조절하고 출력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동 및 제어 모듈(23)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구동 및 제어 모듈(23)은 논리 제어 유닛, 시프트 레지스터 및 타겟 레지스터 등을 포함한다.
구동 및 제어 모듈(23)의 논리 제어 유닛은 스테핑 모터의 스텝 사이즈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 및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은 일례로서,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본 출원에 따른 구동 및 제어 모듈에서의 전기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본 실시예에서,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D/A 모듈)(61), 비교기(62) 및 펄스 폭 변조(PWM) 제어 회로(63)를 포함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61)은 중앙 처리 모듈(22)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예를 들어, 중앙 처리 모듈(22)로부터 전송된 전류 크기의 디지털 신호는 10000000이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61)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61)의 출력 신호는 비교기(62)의 하나의 입력 포트에 입력되고, 전류 감지 회로에 의해 수집된 모터의 전류 신호는 비교기(62)의 다른 입력 포트에 입력되며, 수집된 전류의 값이 중앙 처리 모듈(22)에 의해 입력된 전류의 값보다 작은 경우, 수집된 회로의 값이 중앙 처리 모듈(22)에 의해 입력된 전류의 값과 동일할 때까지 비교기(62)는 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보다 큰 전류를 스테핑 모터에 입력하도록 구동 모듈(24)을 제어하기 위해 PWM 제어 회로(63)를 제어하고: 수집된 전류의 값이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입력된 전류의 값보다 큰 경우, 비교기는 다른 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스테핑 모터의 전류가 더 이상 증가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동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PWM 제어 회로를 제어한다. 중앙 처리 모듈로부터 전송된 전류 크기를 나타내는 디지털 값이 서로 다른 경우, 스테핑 모터의 대응하는 전류 값은 서로 다르다.
본 출원에 따른 구동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인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구동 회로는 스테핑 모터의 각 위상의 코일을 구동하기 위해 H 브리지 구동 회로를 채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브리지 구동 회로는 4개의 스위치 튜브 Q1, Q2, Q3 및 Q4를 포함하고, 스위치 튜브 Q1 및 Q4는 스테핑 모터의 코일과 함께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스위치 튜브 Q2 및 Q3은 스테핑 모터의 코일과 함께 다른 루프를 형성한다. 스위치 튜브 Q1 및 Q4가 스위치 온되면, 스테핑 모터의 코일은 한 방향으로 통전되고, 스위치 튜브 Q2 및 Q3가 스위치 온되면, 스테핑 모터의 코일은 다른 방향으로 통전된다. 스위치 튜브 Q1, Q2, Q3 및 Q4의 각각의 제어 포트는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PWM 펄스 신호를 통해 제어된다. 중앙 처리 모듈로부터 전송된 전류 크기를 나타내는 디지털 값이 서로 다르며, 따라서 스위치 튜브의 스위치 온 지속 기간이 서로 다른 경우,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는 제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구동 모듈과 구동 및 제어 모듈은 하나의 집적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중앙 처리 모듈(22)과 구동 및 제어 모듈(23) 사이의 신호 전송은 버스 모드에서 실현되고, SPI 버스 모드에서 구동 및 제어 모듈과 연통하는 본 출원의 중앙 처리 모듈을 도시한 개략도인 도 8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중앙 처리 모듈의 몇 개의 핀만이 도면에 도시되고, 몇 개의 출력 포트는 신호 전송이 SPI 버스 모드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중앙 처리 모듈(22)에 의해 사용되고, 칩 선택 신호(STR), 클록 신호(CLK),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 신호(SDI)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신호(SDO)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SPI 버스 전송 프로토콜은 본 출원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중앙 처리 모듈(22)이 SPI 버스 모드에서 구동 및 제어 모듈(23)과 연통하는 경우에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 9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제어 신호가 주로 중앙 처리 모듈(22)로부터 구동 및 제어 모듈(23)로 출력되기 때문에, 칩 선택 신호(STR), 클록 신호(CLK)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 신호(SDI)의 파형만이 도면에 도시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신호(SDO)의 파형은 도시되지 않는다. 중앙 처리 모듈(22)에 의해 출력된 칩 선택 신호가 높은 레벨로부터 낮은 레벨로 시프트하는 경우, 칩 선택 신호(STR)는 시행되며, 즉 중앙 처리 모듈(22)과 구동 및 제어 모듈(23)사이에서 하나의 SPI 통신을 개시한다. 칩 선택 신호(STR)가 시행된 후, 중앙 처리 모듈(22)은 클록 신호(CLK)를 클록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 모듈(22)은 SDI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구동 및 제어 모듈(23)로 출력한다.
클록 신호가 상승 에지(rising edge)에 있을 때마다, 구동 및 제어 모듈은 SDI 포트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구동 및 제어 모듈은 연속적으로 클록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SDI 포트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내부 시프트 레지스터에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칩 선택 신호가 낮은 레벨로부터 높은 레벨로 시프트하는 경우, 구동 및 제어 모듈(23)은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타겟 레지스터로 전송한다. 논리 제어 유닛은 타겟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어 워드에 따라 구동 모듈(24)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의 전류 크기의 제어를 위해, 전류 크기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SDI 포트를 통해 중앙 처리 모듈(22)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24)로 입력되고, 대응하는 디지털 값이 먼저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나서, 대응하는 타겟 레지스터에 저장되며, 그 후 논리 제어 유닛에서 전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에 입력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SPI 통신에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 신호(SDI)는 세 부분으로 분할되고, 시작 부분은 제어 명령 부분이고, 중간 부분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끝 부분은 전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 부분의 정보는 전류와 무관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 대응하는 시작 부분의 값은 101이고, 이의 첫번째 두 비트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타겟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10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타겟 레지스터가 실행 레지스터인 것을 나타내며; 세번째 비트는 가능한 제어 비트이고, 1은 가능한 구동 모듈을 나타낸다.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 대응하는 끝 부분의 값은 제 1 전류 값을 나타내는 1000 0000이고;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 대응하는 값이 0100 0000인 경우, 값은 제 2 전류 값을 나타낸다. 스테핑 모터가 마이크로 스텝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입력되는 디지털 값은 스테핑 모터의 전류 피크에 대응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타겟 개도 및 전류 크기는 수집된 정보와, 전자 팽창 밸브로 피드백되는 입력된 명령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전자 팽창 밸브의 타겟 개도 및 전류 크기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LIN 버스를 통해 LIN 송수신 모듈(21), 중앙 처리 모듈(22), 구동 및 제어 모듈(23)과 구동 모듈(24)로 전송된다. LIN 송수신 모듈(21), 중앙 처리 모듈(22), 구동 및 제어 모듈(23)과 구동 모듈(24)은 하나의 집적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인 도 10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LIN 송수신 모듈 및 중앙 처리 모듈이 요구되지 않으며, 제어 신호는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직접 전송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용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은,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제공될 필요가 있고, 중앙 제어 모듈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된 현재 개도 정보와 함께 입력 프로세서에 처리되고 입력 프로세서에 의해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 센서 신호 등에 따른 모터의 스텝 사이즈 및 구동 방향(즉, 회전 방향)의 정보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은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라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제공될 필요가 있는 전류 크기를 계산하고, 스텝 사이즈, 모터의 구동 방향(즉, 회전 방향) 및 전류 크기를 전자 팽창 밸브의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제공하며, 한편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은 액추에이터를 통해 통풍 팬 모듈, 환기 도어 등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구동 및 제어 신호를 추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테핑 모터의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은 도 2의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중앙 제어 모듈과 에어컨 제어기의 구동 및 제어 모듈 사이의 데이터 전송 모드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SPI 버스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일정한 등가 전류로 스테핑 모터를 항상 구동하는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와는 달리, 본 출원의 전자 팽창 밸브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진 전류를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스테핑 모터에 입력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동작 조건은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단계에 있는지 유량 제어 단계에 있는지에 따른 동작 조건; 밸브 니들의 위치가 밸브 개방 위치의 앞에 있는지 밸브 개방 위치의 뒤에 있는지에 따른 동작 조건;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입구에서의 압력과 냉매 출구에서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지에 따른 동작 조건; 전자 팽창 밸브의 모터가 스톨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동작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은 특정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다.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상술한 두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은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계산되며, 따라서 다음의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에어컨용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일반화된 제어기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인 도 11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는 초기화 동작 모드 및 유량 제어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두 동작 모드를 가지며,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서의 전류는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 S111 내지 S11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초기화 상태 정보 및 현재 개도 정보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자 팽창 밸브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는 에어컨 시스템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초기화될 필요가 있다. 이 때,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은 냉매 통로의 오리피스를 폐쇄하는 밸브 니들로부터 오리피스를 완전히 개방하는 밸브 니들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데 필요하며, 따라서 전체 동작 프로세스 동안 모든 조건을 커버하기 위해 큰 전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초기화 동작은 반드시 전자 팽창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자동차가 방금 출발되고, 에어컨이 자동차가 마지막에 스톨될 때 여전히 스위치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은 폐쇄 상태에 있지 않고 120 스텝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와 같은 어떤 위치에 배치되며, 이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는 초기화 동작을 현재 위치에서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위치(100%의 개도에 대응하는 위치)로 수행할 수 있고, 그 다음 폐쇄 위치(0%의 개도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120 스텝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또는 전자 팽창 밸브는 현재 위치에서 최소 개도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다음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120 스텝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초기화 동작은 에어컨용 제어기가 에어컨의 제어 패널로부터 입력된 에어컨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때 개시될 수 있거나, 에어컨 제어기가 에어컨의 제어 패널로부터 입력된 에어컨 시스템을 턴 오프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때 개시될 수 있거나, 에어컨 제어기가 초기화 동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때마다, 예를 들어, 에어컨용 제어기가 전자 팽창 밸브(EXV)가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에 있거나 전자 팽창 밸브(EXV)의 현재 위치가 신뢰되지 않을 때 개시될 수 있다. 초기화 동작 명령은,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전송된 신호에 별도의 초기화 신호 비트를 제공하거나, 최소 개도 신호 또는 최대 개도 신호,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를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최소 개도 또는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최대 개도 또는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을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한다. 본 출원에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류는 출력되고,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상세 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 S133이 수행되어야 하고;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 S134가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13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350mA와 같은 초기화 전류 값을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및 제어 모듈이 구동 모듈을 제어하도록 하며, 전자 팽창 밸브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스텝 S114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할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S135가 수행되어야 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36이 전체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유량 제어 동작은 에어컨 시스템의 동작 동안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을 추가로 제어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상향 및 하향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냉매 유동 통로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에어컨은 제 2 전력 위치에서 제 3 전력 위치로 시프트되고, 유량이 제어될 때, 개도가 0이 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최소 스텝 사이즈의 위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전이 위치 위에 있고,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포트의 최소 개도는 12.5%이고, 전자 팽창 밸브의 대응하는 최소 스텝 사이즈는 60 스텝이다.
단계 S115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술한 초기화 동작의 초기화 전류 값보다 작은 100mA와 같은 제 2 전류 값을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동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고, 이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는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이 전이 위치 아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밸브 니들은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와 접촉하고, 밸브 니들 상에 가해진 마찰력은 크고, 회전자의 마찰 모멘트는 또한 크며, 따라서 큰 전류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이 전이 위치 상술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밸브 니들은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로부터 분리되고, 밸브 니들 상에 가해진 마찰력은 작고, 회전자의 마찰 모멘트는 작으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는 작은 전류가 입력될지라도 동작할 수 있다. 밸브 니들의 전이 위치는 전이 개도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100%의 개도가 480 스텝의 위치에서 밸브 니들에 대응하면, 30 스텝의 위치는 6.25%의 개도에 대응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인 도 13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전류 값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에 의해 밸브 니들의 서로 다른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특정 단계는 단계 S131 내지 S134를 포함한다.
단계 S13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초기화 상태 정보 및 현재 개도 정보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3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보다 아래인지를 판단한다.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보다 아래인 경우, 단계 S133가 수행되어야 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보다 아래가 아닌 경우, 단계 S134가 수행되어야 한다. 전이 위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펄스의 수를 미리 설정하고, 제로 스텝의 위치는 시작점으로 정의되고, 미리 설정된 수의 펄스는 입력되고, 밸브 니들은 전자 팽창 밸브의 회전자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만 오리피스로부터 분리되고, 냉매 유동 통로는 개방되며, 냉매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를 통해 들어가고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다.
펄스의 수가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펄스의 수보다 적도록 전자 팽창 밸브에 의해 제어될 때, 냉매 유동 통로는 여전히 폐쇄되고, 냉매는 순환할 수 없다. 따라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펄스의 수에 대응하는 밸브 니들의 위치는 전이 위치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전이 위치는 30 스텝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에 대응하는 밸브 니들의 위치일 수 있다.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은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모듈(또는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실현되며, 따라서 중앙 처리 모듈(또는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은 밸브 니들의 현재 스텝 수의 위치를 알거나, 스텝 수의 위치의 정보는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개도 정보로 변환되고, 로컬 상호 접속 네트워크(LIN) 버스를 통해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로 피드백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동작 중에,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은 메모라이저에 저장된 밸브 니들의 현재 위치를 전이 위치와 비교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의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33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250mA와 같은 제 3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단계 S134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바로 전이 위치에 있거나 위에 있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150mA와 같은 제 4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인 도 14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자의 마찰 모멘트에 대한 냉매 압력 차의 영향을 고려하고,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다면, 이때에 냉매 유동 통로는 폐쇄되고,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를 통해 입력된 냉매는 모두 밸브 니들의 위에 축적되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크다. 이 때, 밸브 니들 아래의 냉매 출구에 냉매가 없으며, 따라서 냉매 출구에서의 압력은 작다. 이 경우에,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향으로 이동할 때, 냉매의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큰 마찰력은 극복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큰 전류가 요구된다. 밸브 니들이 어떤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동한 후, 냉매 유동 통로는 개방되고, 냉매 입구에서의 압력은 감소되고, 냉매 출구에서의 압력은 증가되며, 따라서 밸브 니들이 이동할 때, 냉매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작은 마찰력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작은 전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단계는 단계 S141 내지 S144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4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초기화 상태 정보, 현재 개도 정보, 및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지에 관한 정보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4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단계 S143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44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43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300mA와 같은 제 5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단계 S144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200mA와 같은 제 6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15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 스톨링이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바로 임시 비실질적인 오동작인 모터 스톨링 발생할 때, 큰 전류가 전자 팽창 밸브로 입력되면, 전자 팽창 밸브는 임시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하고 계속 동작할 수 있다. 특정 단계는 단계 S151 내지 단계 S154를 포함한다.
단계 S15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초기화 상태 정보, 현재 개도 정보, 및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지에 관한 정보와 같이 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5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판단하고, 단계 S153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경우에 수행되어야 하고, 단계 S154는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모터 스톨링 정보는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 값을 획득하고,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메모라이저에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를 저장하며, 현재 개도 정보는 냉매의 유량과 대응하는 관계를 가지며, 따라서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이 획득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냉매의 유량의 실제 값과 이론 값의 차는 작으며; 모터 스톨링이 전자 팽창 밸브에 발생하는 경우에, 냉매의 유량의 실제 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차가 임계값보다 클 때에는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스테핑 모터가 스톨되는지가 또한 전자 팽창 밸브의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스테핑 모터가 스톨되는 경우에, 회전자는 회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며, 이 경우에, 회전자의 회전으로 인해 스테핑 모터의 코일 상에 생성된 역기전력(Bemf)의 값은 감소되고, 역기전력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구동 및 제어 모듈은 모터 스톨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 스톨링 정보를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로 피드백하거나, 먼저 모터 스톨링 정보를 중앙 처리 모듈로 피드백한 후에, 모터 스톨링 정보를 LIN 버스를 통해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로 피드백한다.
단계 S153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가 모터 스톨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400mA와 같은 최대 전류, 즉 제 7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하고, 단계 S152는 반복되고, 그 후 오동작 신호는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 경우에 출력되며, 단계 S154는 모터 스톨링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54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250mA와 같은 정상 동작을 위한 제 8 전류를 스테핑 모터로 입력한다. 제 8 전류는 제 7 전류보다 작다.
전자 팽창 밸브가 항상 최대 전류로 동작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모터의 전류는 2개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소비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전류 값이 선택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동작 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며, 예를 들어,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에 있는지 유량 제어 동작에 있는지만을 고려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전이 위치 위에 있는지만을 고려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임계값보다 작은지만을 고려하거나, 모터 스톨링이 발생하는지만을 고려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서로 다른 동작 조건은 판단하는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 16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에 있는지 유량 제어 동작에 있는지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전이 위치 위에 있는지의 2개의 서로 다른 조건 모두가 고려되고, 특정 단계는 단계 S161 내지 단계 S166를 포함한다.
단계 S16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초기화 상태 정보 및 현재 개도 정보와 같이 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6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단계 S163가 수행되어야 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S164가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63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350mA와 같은 초기화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단계 S164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이 때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계속하고, 이 때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65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때에 본 명세서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66가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165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제 1 전류는 초기화 전류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250mA일 수 있다.
단계 166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제 1 전류보다 작은 150mA와 같은 제 2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17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에 있는지 유량 제어 동작에 있는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및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지의 3개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이 모두 고려되고, 특정 단계는 단계 S171 내지 단계 S178를 포함한다.
단계 S171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냉매 유량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에어컨의 제어 패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초기화 상태 정보 및 현재 개도 정보와 같이 EXV에 의해 피드백된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172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단계 S173가 수행되어야 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S174가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73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350mA와 같은 초기화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단계 S174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이 때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계속하고, 이 때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75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때에 본 명세서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76가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175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제 1 전류는 초기화 전류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250mA일 수 있다.
단계 176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단계 S177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수행되어야 하며, 단계 S178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단계 S177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 대응하는 제 2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제 2 전류는 제 1 전류보다 작으며, 200mA일 수 있다.
단계 S178에서,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전자 팽창 밸브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상태에 대응하는 제 3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제 3 전류는 제 2 전류보다 작으며, 150mA일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에 따라, 동작 조건은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의 프로세스마다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 스톨링은 전자 팽창 밸브가 서로 다른 동작 방식을 수행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 밸브 니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냉매의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에 따라, 동작 조건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술한 다른 서로 다른 동작 조건과 조합될 수 있고, 특정 제어 프로세스는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는다.
상술한 제어 방법에 대응하여,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신 유닛,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서로 다른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모터로 입력하기 위해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이 많은 전자 회로로 구성되므로, 전자 회로는 각각 서로 다른 별도의 칩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총괄하여 하나의 칩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또는 전자 회로의 한 부분은 하나의 칩으로 통합될 수 있고, 이의 다른 부분은 다른 칩으로 통합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조의 특정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유닛 및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에어컨의 중앙 제어 모듈에 통합되고, 제어 유닛은 LIN 송수신 모듈, 중앙 처리 모듈,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구현되고, 에어컨의 중앙 제어 모듈은 LIN 버스를 통해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0에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구조의 특정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유닛 및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에어컨의 중앙 제어 모듈에 통합되고, 제어 유닛은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구현되고, 에어컨의 중앙 제어 모듈은 SPI 버스를 통해 제어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닛은 또한 서로 다른 통합된 칩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열거되지 않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 및 제어 방법은 전술되어 있으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팽창 밸브는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출원에 따른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인 도 18에 대한 참조가 행해진다. 본 출원의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은 주로 압축기(181), 응축기(182), 건조 장치(183), 증발기(184), 및 응축기(182)와 증발기(184) 사이에 연결된 전자 팽창 밸브(185)를 포함하며, 모든 구성 요소의 동작은 에어컨 제어기(186)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2 및 10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전자 팽창 밸브(185)는 밸브 본체 및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한다.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본체는 냉매 입구 및 냉매 출구를 포함하고,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는 밸브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오리피스는 통로 내에 형성된다. 밸브 니들은 밸브 본체 내부에 제공되고, 스테핑 모터는 밸브 본체 위에 배치된다. 스테핑 모터는 고정자 코일 및 회전자를 포함하고, 고정자 코일에는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제어하에 전류가 입력될 수 있고, 전류가 입력될 때 회전하기 위해 회전자를 구동할 수 있고, 밸브 니들은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밸브 니들은 스테핑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으로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와 접촉하도록 하향으로 이동하면, 밸브 니들은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를 차단하며, 따라서 냉매는 전자 팽창 밸브를 통해 순환할 수 없다.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상향으로 이동하면, 냉매 유동 통로는 개방되며, 따라서 냉매는 냉매 입구를 통해 들어가고, 냉매 유동 통로를 통과하며, 냉매 출구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유동 통로의 개도는 냉매 유동 통로에서의 오리피스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밸브 니들의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은 증발기의 온도를 추가로 제어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온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 내의 전자 팽창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에 있는지 유량 제어 동작에 있는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전이 위치 위에 있는지, 및 전자 팽창 밸브의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임계값보다 큰지에 따른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서로 다른 전류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특정 구조 및 제어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되며, 물론,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은 또한 가정용 에어컨 시스템, 또는 상업용 에어컨 시스템, 또는 전자 팽창 밸브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시스템과 같은 다른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전자 팽창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의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를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로 입력할 수 있고, 전자 팽창 밸브의 에너지 소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경우에, 비실질적인 오동작을 극복하기 위해 큰 전류가 스테핑 모터에 입력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는 항상 최대 동작 전류를 사용하는 해결책과 비교하면, 본 출원의 전자 팽창 밸브는 서로 다른 동작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를 사용하며,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출원의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몇몇 개선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고, 본 출원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Claims (27)

  1.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용 제어기로서,
    정보 수신 유닛, 동작 조건 결정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수신 유닛은 센서 정보, 제어 명령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정보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른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동작 조건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또는 유량(flow rate)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밸브 니들(valve needle)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간의 압력차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stall)하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초기화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opening degree) 범위를 통과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거나,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거나,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이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제 2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초기화 전류의 값은 상기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제 3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상기 제 3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4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이 냉매 유동 통로로부터 바로 분리되고, 상기 냉매 유동 통로가 개방되는 위치인,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제 5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상기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6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제 7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어 신호는 상기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8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개도 정보와 상기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스테핑 모터는 상기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
  8. 전자 팽창 밸브로서,
    밸브 본체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 상기 통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밸브 니들, 및 상기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스테핑 모터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테핑 모터는 상기 밸브 니들의 이동을 구동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정보 수신 유닛, 동작 조건 결정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수신 유닛은 센서 정보, 제어 명령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상기 정보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른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동작 조건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또는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간의 압력차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초기화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 범위를 통과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거나,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거나,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이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2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동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초기화 작동 전류의 값은 상기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더 큰, 전자 팽창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상기 정보 수신 유닛 및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 안에 통합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상기 제어 유닛은 로컬 상호 연결 네트워크(LIN) 송수신 모듈, 중앙 처리 모듈,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IN 송수신 모듈은 LIN 버스를 통해 상기 스테핑 모터의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수신할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LIN 송수신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분석하고,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및 제어 모듈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상기 정보 수신 유닛 및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은 에어컨 제어기의 중앙 제어 모듈 안에 통합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상기 제어 유닛은 구동 및 제어 모듈과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모듈은 상기 스테핑 모터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및 제어 모듈은 상기 중앙 제어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구동 및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초기화 동작 명령은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전송된 신호에 별도의 초기화 신호 비트를 제공함으로써, 또는 최소 개도 신호 또는 최대 개도 신호, 상기 최대 개도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를 상기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또는 상기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상기 최대 개도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및 상기 초기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상기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상기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3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제 3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4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일정 정도 회전하고, 상기 냉매의 통로가 개방된 후에 상기 밸브 니들이 상기 냉매의 통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밸브 니들이 배치되는 위치인, 전자 팽창 밸브.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5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냉매 출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6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제 7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은 제 8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개도 정보와 상기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상기 실제값과 상기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상기 실제값과 상기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스테핑 모터는 상기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
  18. 에어컨 시스템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냉매는 상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에서 순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제 8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인, 에어컨 시스템.
  19.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 및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 상기 통로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밸브 니들, 및 상기 냉매의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 모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정보 수신 유닛, 동작 조건 결정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 유닛에 의하여, 센서 정보, 제어 명령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 유닛에 의하여,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정보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센서 정보, 상기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 조건에 따른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조건 결정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동작 조건은,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또는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밸브 니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간의 압력차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동작 조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초기화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 상기 초기화 동작은 전체 개도 범위를 통과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을 개시하거나,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거나,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초기 개도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자 팽창 밸브에 명령하는 동작임 ―;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전자 팽창 밸브가 상기 유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제 2 작동 전류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 상기 초기화 작동 전류의 값은 상기 제 2 작동 전류의 값보다 큼 ―
    를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초기화 동작 명령은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전송된 신호에 별도의 초기화 신호 비트를 제공함으로써, 또는 최소 개도 신호 또는 최대 개도 신호, 상기 최대 개도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및 초기 개도를 상기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또는 상기 최대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상기 최대 개도 또는 상기 최소 개도, 및 상기 초기 개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상기 에어컨 제어기에 의해 구동 및 제어 모듈로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 아래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제 3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밸브 니들의 위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에 있거나 그 위에 있는 경우에 제 4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작동 전류는 상기 제 3 작동 전류보다 작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위치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일정 정도 회전하고, 상기 냉매의 통로가 개방된 후에 상기 밸브 니들이 상기 냉매의 통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밸브 니들이 배치되는 위치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냉매의 압력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제 5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또는 상기 냉매 입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과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냉매 출구에서의 상기 냉매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제 6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 상기 제 6 작동 전류는 상기 제 5 작동 전류보다 작음 ―
    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제 7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제 8 작동 전류를 상기 스테핑 모터로 입력하는 단계 ― 상기 제 8 작동 전류는 제 7 작동 전류보다 작음 ―
    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냉매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실제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현재 개도 정보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의 메모라이저에 저장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용 제어기는 상기 개도 정보와 상기 냉매의 유량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냉매의 유량의 현재 이론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작은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냉매의 유량의 실제값과 이론 값 사이의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는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스톨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상기 스테핑 모터의 코일에 생성된 역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스테핑 모터는 상기 역기전력의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스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
  27.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전자 팽창 밸브를 포함하고, 냉매는 상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에서 순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은 제 19 항 및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인,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57023536A 2013-02-04 2014-01-28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3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44536.9 2013-02-04
CN201310043242.4A CN103968132B (zh) 2013-02-04 2013-02-04 一种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以及控制设备
CN201310043242.4 2013-02-04
CN201310044536.9A CN103968621B (zh) 2013-02-04 2013-02-04 一种电子膨胀阀及车用空调系统
PCT/CN2014/071615 WO2014117721A1 (zh) 2013-02-04 2014-01-28 电子膨胀阀及其控制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443A Division KR20170127059A (ko) 2013-02-04 2014-01-28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671A KR20150142671A (ko) 2015-12-22
KR102013713B1 true KR102013713B1 (ko) 2019-08-23

Family

ID=512614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536A KR102013713B1 (ko) 2013-02-04 2014-01-28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77032443A KR20170127059A (ko) 2013-02-04 2014-01-28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443A KR20170127059A (ko) 2013-02-04 2014-01-28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62236A1 (ko)
EP (1) EP2952835A4 (ko)
JP (1) JP6254615B2 (ko)
KR (2) KR102013713B1 (ko)
WO (1) WO2014117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5333B (zh) * 2013-09-28 2017-11-03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制冷剂循环系统
USD774005S1 (en) * 2014-11-26 2016-12-13 Hangzhou Leaderway Electronics Co., Ltd. Controller f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5890107B (zh) * 2015-02-13 2020-01-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
US10234409B2 (en) * 2015-09-17 2019-03-19 Dunan Microstaq, Inc. Test equipment arrangement having a superheat controller
CN108692488B (zh) * 2017-04-11 2021-05-28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换热系统、该空调控制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US10823448B2 (en) * 2016-03-23 2020-11-03 Hangzhou Sanhua Research Institute Co., Ltd. Heat exchange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CA3030405A1 (en) 2016-07-13 2018-01-18 Stone Mountai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expansion valves having multiple orifice plates
JP2018044510A (ja) * 2016-09-16 2018-03-22 株式会社山田製作所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900582B2 (en) * 2016-09-23 2021-01-26 Taco, Inc. High voltage high efficiency valve
JP6600608B2 (ja) * 2016-09-26 2019-10-30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弁装置
USD842969S1 (en) * 2017-01-11 2019-03-12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7144055B (zh) * 2017-04-21 2019-07-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防止电子膨胀阀漂移的控制方法和空调器
US10082216B1 (en) * 2017-07-21 2018-09-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valve control system
CN109425158B (zh) * 2017-08-29 2021-09-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WO2019130928A1 (ja) * 2017-12-26 2019-07-04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弁装置
KR102065740B1 (ko) * 2018-04-25 2020-01-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US11255557B2 (en) * 2018-06-12 2022-02-22 Ademco Inc. Retrofit damper system with back EMF position and end stop detection
US10644624B1 (en) * 2018-12-27 2020-05-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back electromotive force based feedback for a movable component
JP6927604B2 (ja) 2019-11-25 2021-09-01 株式会社エム・システム技研 アクチュエータ、及び、流体制御機器
KR102274138B1 (ko) * 2020-06-11 2021-07-08 뉴토크코리아 주식회사 밸브의 스텝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동 액츄에이터
KR102383550B1 (ko) * 2020-07-20 2022-04-08 (주)퓨처시스텍 전자 팽창 밸브 구조의 냉동 및 냉장용 컨트롤러
US11973445B2 (en) 2021-05-13 2024-04-30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Actuator with automatic force setting and self-calibration
CN114167911A (zh) * 2021-11-02 2022-03-11 珠海爱迪生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Erv自动温控阀及其有效降低电机耗能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745A (ja) * 2000-10-03 2002-04-10 Toto Ltd 流量調整弁
KR100336128B1 (ko) * 1999-05-27 2002-05-09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팽창장치
JP2011220451A (ja) * 2010-04-09 2011-11-0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のパルス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動弁の制御システム
CN102374328A (zh) * 2010-08-27 2012-03-1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步进电机及换向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2715U (ja) * 1983-05-19 1984-12-05 株式会社 鷺宮製作所 電磁式比例弁制御装置
JPH02283982A (ja) * 1989-04-21 1990-11-21 Nippondenso Co Ltd 電磁式比例流量制御弁の駆動装置
JPH0320264U (ko) * 1989-07-10 1991-02-27
JPH05256544A (ja) * 1992-03-12 1993-10-05 Toshiba Corp 冷凍機の電子膨脹弁制御装置
JPH06098585A (en) * 1992-09-14 1994-04-08 Aisin Aw Co Motor-driven vehicle
JPH10178800A (ja) * 1996-12-19 1998-06-30 Aisin Seiki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タ駆動装置
EP1064483A4 (en) * 1998-03-27 2004-06-30 Maxon Corp INTELLIGENT VALVE ACTUATOR
CH696551A5 (fr) * 2002-10-28 2007-07-31 Sonceboz Sa Actionneur linéaire pour la commande d'une vanne.
JP4072865B2 (ja) * 2006-03-02 2008-04-09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弁装置
CN101078568A (zh) * 2006-05-24 2007-11-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空调系统
KR100785979B1 (ko) * 2006-08-04 2007-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 조화기의 전자 팽창 밸브 제어 방법
CN101929550B (zh) * 2009-06-25 2013-02-20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128B1 (ko) * 1999-05-27 2002-05-09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팽창장치
JP2002106745A (ja) * 2000-10-03 2002-04-10 Toto Ltd 流量調整弁
JP2011220451A (ja) * 2010-04-09 2011-11-0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のパルス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動弁の制御システム
CN102374328A (zh) * 2010-08-27 2012-03-1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步进电机及换向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059A (ko) 2017-11-20
KR20150142671A (ko) 2015-12-22
JP6254615B2 (ja) 2017-12-27
US20150362236A1 (en) 2015-12-17
EP2952835A4 (en) 2016-11-02
WO2014117721A1 (zh) 2014-08-07
EP2952835A1 (en) 2015-12-09
JP2016505130A (ja)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713B1 (ko)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286752B2 (en)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US680100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ling fan speeds
WO2015043416A1 (zh)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EP2402186B1 (en) Electric compressor controller
CN111712660B (zh) 电动阀控制装置以及具备该电动阀控制装置的电动阀装置
EP2789935B1 (en) Driv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3968132B (zh) 一种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以及控制设备
CN107228450B (zh) 空调系统、该空调系统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8502876A (ja) 可適応hvac;交流モータ速度、気温、及び大気質制御装置
CN102201768A (zh) 无刷电机的驱动装置及驱动方法
EP19520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N103968621B (zh) 一种电子膨胀阀及车用空调系统
CN104022600B (zh) 利用速度曲线工作带有集成开/关检测的马达组件
CN108692488B (zh) 换热系统、该空调控制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11365509A (zh) 一种电子阀系统的启动方法及装置
US9503001B2 (en) Remotely-programmable control circuit for single-phase motor
US20090052106A1 (en) Controllable drive apparatus
JP3815463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
CN109595773B (zh) 一种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US10302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d controlling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a cooler comprising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7483007B2 (ja) 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US202303878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tegrated control of a thermal management system
JP2859066B2 (ja) 空気調和機
CN113534850A (zh) 一种控制方法及一种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09

Effective date: 2019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