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40B1 -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40B1
KR102065740B1 KR1020180048136A KR20180048136A KR102065740B1 KR 102065740 B1 KR102065740 B1 KR 102065740B1 KR 1020180048136 A KR1020180048136 A KR 1020180048136A KR 20180048136 A KR20180048136 A KR 20180048136A KR 102065740 B1 KR102065740 B1 KR 10206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rate
water purifier
microcomput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067A (ko
Inventor
박성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은 일단은 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코크에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마이컴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상기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A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경우, 상기 코크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는 동안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가변하면서 이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METHOD FOR INITIALIZ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냉온수기, 온수기 등(이하 편의상 "정수기"로 통칭함)이 최초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거나 사용 중 유지/관리 또는 그밖에 사정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다시 인가되기 시작할 때 정수기에서 기존의 설정 상태들을 초기화할 수 있다. 혹은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특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기존의 설정 상태들을 초기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때 모든 설정 상태들을 일률적으로 초기화한다면 그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시간과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은 일단은 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코크에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마이컴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상기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A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경우, 상기 코크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는 동안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가변하면서 이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경우,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중 다른 한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 및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고,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밸브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인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을 일정한 온도로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처음에만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마이컴에 저장해 두고, 그 다음부터는 기존의 데이터를 계속 활용함으로써 해당 단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정수기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서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서 밸브의 위치와 이에 따른 유량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정수기(10)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10)는 유로(11), 코크(12), 밸브(13), 마이컴(14) 및 센서(15)를 포함한다. 또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11)의 일단은 수원(水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코크(12)에 연결된다.
밸브(13)는 유로(11)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밸브(13)는 예컨대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여 마이컴(14)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센서(15)는 유로(11)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한 유량은 마이컴(14)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히터(16)는 유로(11)상에 설치되는데, 예컨대 세라믹 히터로 이루어져 물이 지나갈 때 그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유로(11), 코크(12), 밸브(13), 센서(15), 히터(16) 등을 포함하는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서 밸브(13)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서 밸브의 위치와 이에 따른 유량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정수기(10)가 최초로 설치되는 상황을 가상해 본다.
이 경우 정수기(10)에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S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4)을 이용하여 밸브(13)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인다(S20). 여기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밸브(13)가 일반적으로 그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 내지는 그로부터 적정한 범위 이내의 유량을 허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로서, 이는 개별적인 정수기(1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밸브(13)는 예컨대 부품 조립 상태, 이전 사용 상태 등에 따라 초기에 각기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13)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움직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3)를 최대 개방 위치로 움직이고(S21), 다시 폐쇄 위치로 움직인 이후(S22),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S23).
예를 들어 밸브(13)가 O[STEP]과 500[STEP]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을 때, 어느 밸브는 초기에 100[STEP]에 있을 수 있고 어느 밸브는 초기에 400[STEP]에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밸브들을 미리 정해진 위치, 예컨대 300[STEP]으로 움직이기 위해 밸브(13)를 최대 개방 위치, 즉 500[STEP]으로 움직이고 다시 폐쇄 위치, 즉 0[STEP]으로 움직인 이후 300[STEP]으로 움직인다. 이에 의하면 각 밸브가 초기에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밸브(13)를 폐쇄 위치로 움직이고 다시 최대 개방 위치로 움직인 이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밸브(13)를 0[STEP]으로 움직이고 500[STEP]으로 움직인 이후 -200[STEP]만큼 움직여 최종적으로 300[STEP]에 도달할 수도 있다. 또는 폐쇄 위치로 움직인 후 바로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도 있고, 최대 개방 위치로 움직인 후 바로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S30), 마이컴(14)에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0).
앞서 정수기(10)가 최초로 설치되는 상황을 가상하기로 하였으므로, 즉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테이터를 수집한 바 없었으므로 마이컴(14)에 상기 데이터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마이컴(14)를 이용하여 코크(12)를 개방하여 물을 약 100[㎖] 내지 200[㎖] 정도 배출하는 동안 밸브(13)의 위치를 가변하면서 센서(15)를 이용하여 이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여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마이컴(14)에 이를 저장한다(S50).
그리고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밸브(13)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인다(S60).
이처럼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이유는 밸브(13)가 동일한 위치에 있더라도 개별적인 수원의 수압에 따라 그 유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밸브(13)가 모두 300[STEP]에 있더라도 수원의 수압이 비교적 세면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반대로 수원의 수압이 비교적 약하면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따라서 개별적인 수원의 수압에 대해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밸브(13)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온수를 출수하라는 신호가 입력될 시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을 일정한 온도로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정수기(10)에 유지/관리 또는 그밖에 사정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다시 인가되는 상황을 가상해 본다.
이 경우 정수기(10)에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면(S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컴(14)을 이용하여 밸브(13)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인다(S20).
특히 밸브(13)를 최대 개방 위치로 움직이고(S21), 다시 폐쇄 위치로 움직인 이후(S22),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S23).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S30), 마이컴(14)에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0).
앞서 정수기(10)가 최초로 설치될 때 마이컴(14)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바 있었으므로 마이컴(14)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밸브(13)를 가변하면서 이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여 그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50)를 거치지 않고, 기존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밸브(13)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인다(S60).
이처럼 처음에만 밸브(13)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마이컴(14)에 저장해 두고, 그 다음부터는 기존의 데이터를 계속 활용함으로써 해당 단계(S50)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일단은 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코크에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마이컴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상기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A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경우,
    상기 코크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는 동안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가변하면서 이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마이컴에 밸브의 위치와 유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경우,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유량에 대응되는 위치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중 다른 한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 및
    상기 밸브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 진행하는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KR1020180048136A 2018-04-25 2018-04-25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KR10206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36A KR102065740B1 (ko) 2018-04-25 2018-04-25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36A KR102065740B1 (ko) 2018-04-25 2018-04-25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67A KR20190124067A (ko) 2019-11-04
KR102065740B1 true KR102065740B1 (ko) 2020-01-13

Family

ID=6857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136A KR102065740B1 (ko) 2018-04-25 2018-04-25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411B1 (ko) 1996-07-11 2002-11-01 히다찌 다가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냉수기부착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58B1 (ko) * 1998-11-04 2002-02-28 황한규 멀티에어콘의전자팽창밸브제어방법
KR20080090378A (ko) * 2008-09-19 2008-10-08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실커팅기의 토치용 유량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74417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 처리 방법
WO2014117721A1 (zh) * 2013-02-04 2014-08-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411B1 (ko) 1996-07-11 2002-11-01 히다찌 다가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냉수기부착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67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575B (zh) 用于控制hvac系统中的阀的开度的装置及方法
EP2229558A2 (en) Device for control room temperature of each room adapted to heating environment and its method
US20140026970A1 (en) Electronic mixing valve in standard hot water heater
RU2471107C1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клапана
EP1969979A1 (en) Hot water supplying device for coffee machines
CN103454958B (zh) 一种多功能高低温冲击试验箱
US111055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low curve of an electromechanical gas valve
DK2354682T3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102652290A (zh) 用于在手术系统中适应性前馈控制的方法
NO201516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control of an electronic pressure regulator
US9696043B2 (en) Hot water heate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mixing valves
CN105066432A (zh) 热水系统、恒温装置及恒温装置的控制方法
JP2019191760A5 (ko)
KR102065740B1 (ko)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US20180052473A1 (en) Hot water heate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mixing valves
US11168805B2 (en) Thermally actuated flow control valve
RU201214396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ее температуры и расход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CN103838271B (zh) 一种冗余测温式全自动热处理电源控制系统
DE502005006909D1 (de) Aushaltgeräten
KR101785247B1 (ko) 자동 온수 조절 장치 및 그 조절 방법
GB2520064A (en) Heating control systems
KR102078193B1 (ko) 원전기기의 유동차단 시험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전기기의 유동차단 시험 제어 방법
CN114207548A (zh) 用于确定阀的液压阈值的调节装置和方法
US20150136861A1 (en) Room heater
KR200238420Y1 (ko) 실내온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