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695A -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695A
KR20020042695A KR1020027004117A KR20027004117A KR20020042695A KR 20020042695 A KR20020042695 A KR 20020042695A KR 1020027004117 A KR1020027004117 A KR 1020027004117A KR 20027004117 A KR20027004117 A KR 20027004117A KR 20020042695 A KR20020042695 A KR 20020042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connector
board
substrat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51B1 (ko
Inventor
요코야마에이지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20020042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36Recesses or grooves i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9Preformed cutting or breaking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2Depaneling, i.e. dividing a panel into circuit boards; Working of the edges of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를 배선기판과 같은 모양의 구성으로 하므로서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 및 비용절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가 있게 한다.
전자부품을 탑재시킨 배선기판에 플렉시블 배선판을 거쳐 연결된 커넥터가 그 배선기판에 대하여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배선기판과 같은 모양으로 기판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그 표면에 플렉시블 배선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노출된 단자패턴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WIRING BOARD HAV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예를들면,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전화에는, 리튬이온전지 혹은 망간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용의 전지팩이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전지팩의 케이스내에는, 본체측의 소켓 등에 접속가능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이 조립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일예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착 배선기판(X)은, 전자부품(C)을 탑재시킨 배선기판(100)에 수컷형 하우징형상의 커넥터(300)를 와이어(200)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와이어(200)의 일단(200a)은,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100)상의 배선패턴 (110)에 접합되어 있는 한편, 와이어(200)의 타단(200b)은, 커넥터(300)의 하우징내에 있어서, 단자(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300)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측에 설치된 암컷형의 소켓(도시생략)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지팩의 케이스(도시생략)내에서, 변형이 자유로운 와이어(200)에 의해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케이스 밖으로 선단일부가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커넥터부착 배선기판(X)을 제조하는 때에는, 커넥터(300)에 미리 와이어(200)를 연결해서 일체로한 부품을 준비한다.
한편, 배선기판(100)에는 미리 전자부품(C)을 탑재시켜둔다.
그후, 와이어(200)의 일단(200a)을 배선기판(100)상의 배선패턴(110)에 납땜하므로서,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X)이 얻어진다.
그런데, 전자부품(C)을 배선기판(100)상에 탑재시키는 실장공정에 있어서는 자동 장착장치 등을 사용하므로서 이전으로부터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에 대해, 와이어(200)를 배선기판(100)에 연결하는 접속공정에서는, 커넥터(300)와 와이어(200)와의 일체품이 별도의 제조라인에서 제작되어, 그 일체품의 취급 등이 불편한 것에서, 수작업에 의해 납땜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는, 배선기판 및 커넥터와 같은 각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하게 될 뿐 만 아니라, 공장자동화에 의한 일관된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없어, 생산성이 떨어질뿐 아니라, 품질향상 및 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커넥터를 배선기판과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 및 비용절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전지팩 등의 케이스내에 조립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1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1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1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일예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또, 도면 중의 부호, A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C는 전자부품, 10은 배선기판, 11은 배선패턴, 20은 플렉시블 배선판(도전부재), 21은 도전패턴, 30은 커넥터, 30c는 오목부, 31은 단자패턴, 40은 프레임기판, 10A는 배선기판에 상당하는 기판품, 30A는 커넥터에 상당하는 기판품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은, 전자부품을 탑재한 배선기판에 도전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커넥터가, 그 배선기판에 대해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표면에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노출된 단자패턴을 갖고 있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단자패턴이 카드에지형(card edge type)의 수컷형커넥터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제1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제2에 의해 제공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은, 전자부품을 탑재시킨 배선기판에 도전부재를 거쳐 연결된 커넥터가 그 배선기판에 대해서,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배선기판에 상당하여 배선패턴을 갖는 기판품(基板品)과 같은 모양으로,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여 표면에 단자패턴이 노출된 기판품을 제작하는 한편, 이들 기판품을 한쌍으로 나란히한 상태로 하는 기판품 제작공정과, 상기 배선기판에 상당하는 기판품의 배선패턴과 도통되도록 그 기판품의 표면에 전자부품을 탑재시키는 실장공정과, 상기 배선패턴 및 단자패턴을 상호 도전부재를 거쳐 연결하는 접속공정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기술적수단이 강구된 제1에 의해 제공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또한, 제2에 의해 제공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선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의해 커넥터를 제작할 수가 있다.
결국, 커넥터는, 기판 그 자체를 소켓에 삽입가능하게 하여 표면에 단자패턴이 노출된, 소위, 카드에지형의 수컷형커넥터로서 배선기판과 같은 모양의 제조공정을 경유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배선기판용 및 커넥터용의 제조설비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공장자동화에 의한 일관된 기판의 생산시스템을 통해 제조할 수가 있어,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및 비용절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제1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는, 상기 도전부재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2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는, 상기 도전부재로서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평면적인 배선기판 및 커넥터의 표면상으로부터 플렉시블 배선판을 근접시키도록 하고, 이들 배선기판 및 커넥터를 플렉시블 배선판을 거쳐 상호 접속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하여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판을 굴곡시키도록 하여 커넥터를 배선기판에 대해 자유로이 위치시킬수가 있는 한편, 플렉시블 배선판을 접속하는 때에는, 가늘고 긴 와이어 등에 비해 용이하게 플렉시블 배선판을 취급할 수가 있다.
또, 플렉시블 배선판의 일단을 배선기판의 일단근방에서 접속함과 동시에,배선기판의 타단측에 설치된 커넥터로서의 기판에 접속하므로서, 플렉시블 배선판이 배선기판상의 전자부품을 덮도록 배치시킬수가 있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 보호효과도 높고, 신뢰성 높은 배선기판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는, 상기 커넥터의 기판에는, 상기 단자패턴을 회피해서 고정용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들면, 배선기판을 케이스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구부로부터 도전부를 빼내면서 케이스밖으로 커넥터를 위치시키는 경우, 오목부를 거쳐서 케이스밖의 소켓에 커넥터를 삽입고정시킬 수가 있어, 단단하고 확실하게 커넥터를 거쳐 외부와의 전기적접속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는, 상기 기판품 제작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배선기판 및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을 상호 공통하는 프레임기판에 의해 일체형성하는 한편, 상기 접속공정후, 상기 배선기판 및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을 상기 프레임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선기판 및 커넥터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이 프레임기판과 일체로 되어 형성되고, 이와같은 프레임기판에 의해 배선기판과 커넥터에 필요한 1조 혹은 복수조의 기판품을 동시에 제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배선기판과 커넥터를 하나의 원판이 되는 프레임기판을 기초로 하여 제조할 수가 있어, 생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수가 있다.
상기 제2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는, 상기 접속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도전부재의 양 선단측에 인출된 도전부분을 납땜에 의해 상기 배선패턴 및 상기 단자패턴에 접합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선기판과 커넥터의 쌍방에 대해 동시에 도전부재를 납땜에 의해 접속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배선기판 및 커넥터에 대해 접속부재를 한번에 연결할 수가 있어, 생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에 행하는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은, 전자부품(C)을 탑재시킨 배선기판(10)과 기판상의 커넥터(30)를 도전부재로서의 플렉시블 배선판(20)을 거쳐 연결한 형태의 것이다.
배선기판(10)은, 예를들면, 유리에폭시수지 등의 단단한 기재를 본체로 한 것으로서, 그 표면(10a)에는, 동박 등의 배선패턴(11)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패턴(11)의 소정개소에는, 납땜 등에 의해 반도체칩이나 저항기 등과 같은 전자부품(C)이 접합되고, 이 배선패턴(11)의 단자부는, 배선기판(10)의표면(10a)에 있어서 후술하는 플렉시블 배선판(20)과의 접속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배선패턴(11)의 단자부 부근만을 나타내고(도 3에서는 생략), 그 전체형상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플렉시블 배선판(20)은, 예를들면, 동박 등의 도전패턴(21)을 폴리이미드수지 등의 얇은 베이스필름(22)으로 피복한 것으로서, 용이하게 굴곡변형시킬 수가 있다.
플렉시블 배선판(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선패턴(11)의 단자부로부터 똑바로 뻗은 상태로 배선기판(10)에 나란히 놓인 커넥터(30)에 달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이와같은 플렉시블 배선판(20)의 길이방향 선단부에는, 배선패턴(11)의 단자부, 및 후술하는 커넥터(30)의 단자패턴(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도전패턴 (21)의 선단부(21a, 21b)가 베이스필름(22)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도전패턴(21)의 한쪽의 선단부(21a)는, 배선기판(10)에 있어서의 배선패턴 (11)의 단자부에 납땜됨과 동시에, 도전패턴(21)의 다른쪽의 선단부(21b)는, 커넥터(30)상의 단자패턴(31)에 납땜된다.
커넥터(30)는, 상기 배선기판(10)과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유리에폭시수지제 등의 단단한 기체를 본체로한 것으로서, 그 표면(30a)에는 동박 등으로 단자패턴(31)(도 3에서는 생략)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패턴(31)은,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20)의 도전패턴(21)에 대응하는피치를 갖고 있다.
또, 단자패턴(31)은,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20)에 있어서의 도전패턴(21)과의 접속개소로부터 커넥터(30)의 선단(30b) 부근까지 똑바로 뻗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30)의 양측부에는, 단자패턴(31)을 회피하여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의 오목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c)는, 후술하는 소켓에 커넥터(30)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커넥터(30)는 카드에지형의 수컷형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인 바, 그 상세한 이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품 제작공정에 있어서는, 배선기판 (10) 및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10A, 30A)을 상호 공통하는 프레임기판(40)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프레임기판(40)은, 배선기판(10) 및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강성기재의 원판으로서, 프레임기판(40)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41)에는 상기 기판품(10A, 30A)이 상호 인접하는 형태로 한쌍의조를 이루고, 그들 복수조가 세로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결국, 각 기판품(10A, 30A)은, 프레임기판(40)의 공간부(41)를 소정의 형상으로 도려내어 형성한 것으로서, 각 기판품(10A, 30A)과 프레임기판(40)은 얇은 팔형상의 연접부(42)를 통하여 연결된 형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같은 프레임기판(40)에 있어서, 각 기판품(10A, 30A)의 표면에는, 증착등에 의해 도체막을 형성한 후, 사진석판술 공정을 경유해서 배선패턴(11), 단자패턴(31)을 형성해 둔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공정에 있어서는, 배선기판(10)에 상당하는 기판품(10A)의 배선패턴(11)에 대해 전자부품(C)을 탑재시킨다.
이때, 먼저 기판품(10A)에 있어서의 배선패턴(11)의 단자부분과,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기판품(30B)에 있어서의 단자패턴(11)의 단자부분에 대해, 크림땜납(도시생략)을 도포한다.
그후, 자동장착장치에 의해 전자부품(C)이 취급되고, 배선기판(10)에 필요한 전자부품(C)이 크림땜납을 거쳐 배선패턴(11)의 단자부분에 탑재된다.
또, 크림땜납은, 전자부품(C)을 탑재시킨 직후에도 페이스트의 상태로 있고 경화되어 있지 않으며, 실장공정에 이어서 행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20)의 접속공정에서 처음으로 고체화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판(20)의 접속공정이 행해진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기판품(10A, 30A)의 일열분에 플렉시블 배선판(20)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에 있어서도, 프레임기판(40)과 각 기판품(10A, 30A)은 일체화 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판(20)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C)을 탑재시킨경우와 마찬가지로 크림땜납(50)(도 6에 있어서는 생략)을 거쳐 각 기판품(10A, 30A)의 소정개소에 플렉시블 배선판(20)이 접합된다.
결국,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판(20)은, 진공흡착콜릿(60)에 흡착유지된 상태로 각 기판품(10A, 30A)의 표면으로 근접되고, 도전패턴(21)의 선단부(21a, 21b)는 크림땜납(50)이 도포되어 있는 배선패턴(11), 단자패턴(31)의 각 단자부분에 위치맞춤된다.
최종적으로, 기판품(10A, 30A)을 포함하는 프레임기판(40) 전체에 대해서는 땜납 리플로우처리 등을 행하므로서, 플렉시블 배선판(20)의 도전패턴(21)은, 배선기판(10) 및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기판품(10A, 30A)의 배선패턴(11) 및 단자패턴(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기판품(10A, 30A)은 플렉시블 배선판(20)을 거쳐 상호 연결된 형태로 된다.
또, 재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공정에 있어서는, 일점 쇄선의 절단선(CL1, CL2)에 따라 연접부(42)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기판(40)으로부터 각 기판품(10A, 30A)이 분리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플렉시블 배선판(20)을 거쳐 연결된 형태의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배선기판(10) 및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10A, 30A)은 최종적인 완성형태가 되기까지 거의 동일한 제조공정을 경유해서 같은 모양으로 취급되고, 또한 배선기판(10)과 커넥터(3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배선판(20)은 배선기판(10) 및 커넥터(30)에 대해 1회의 접속공정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선기판용 및 커넥터용의 제조설비를 개별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동일한 제조공정을 경유해서 완성품을 얻을 수가 있어, 공장자동화에 의한 일관된 생산시스템을 통해서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 및 비용절감을 용이하게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 배선기판(10) 및 커넥터(30)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10A, 30A)은, 일체상태인 채로 접합되기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판의 접속공정에 있어서, 위치어긋남도 없어,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판의 접합 후에, 가는팔 형상의 연접부(42)를 절제하면 되므로, 용이하고 또한 극히 신뢰성 높은 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는팔 형상의 연접부(42)를 남긴 채로 반송 보관하도록 하면, 취급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부가하여, 플렉시블 배선판이 배선기판(10)상의 소자를 덮는 것과 같은 형상이 되기 때문에, 배선기판(10)상의 전자부품에 대한 보호효과도 증대한다.
최후로, 완성품이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의 이용방법을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은, 예를들면, 전지팩 (D)에 배선기판(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지팩용의 케이스(P)내에 조립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케이스(P)에는, 개방구부(P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구부(Pa)로부터 플렉시블 배선판(20)을 인출하면서 커넥터(30)를 케이스 밖으로 위치시킬수가 있다.
커넥터(30)는, 플렉시블 배선판(20)을 변형시키면서, 케이스 밖의 소켓(70)에 삽입고정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배선판(20)이 뒤틀린 상태에 있지만, 커넥터(30)와 소켓(70)과의 위치관계에 따라서는, 이와같이, 플렉시블 배선판(20)을 뒤틀리게 할 필요는 없다.
결국, 커넥터(30)는, 소위 카드에지형의 수컷형커넥터와 같은 모양의 접속형태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커넥터(3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형의 소켓(70)에 끼고 뺄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암컷형의 소켓(70)은, 커넥터(30)의 선단(30b)의 일부가 삽입가능한 슬롯부(71)를 가짐과 동시에, 슬롯부(71)내에는, 커넥터(30)의 단자패턴(31)에 대응하는 도체패턴(72)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30)가 소켓(70)의 슬롯부(71)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는, 커넥터(30)의 단자패턴(31)이 슬롯부(71)내의 도체패턴(72)에 접촉하므로서, 커넥터(30)와 소켓(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 커넥터(30)의 오목부(30c)는, 슬롯부(71)내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도시생략) 등에 끼워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커넥터(30)가 소켓(7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실히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선기판과 커넥터는 동일기판으로 구성했으나, 프레임기판에 의해 다수의 배선기판을 일체성형해서 구성된 것과, 다수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기판을 일체성형해서 구성된 것을 준비하여,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실장후, 개별기판으로 분리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판의 두께가 배선기판의 판의 두께에 의존하는 일 없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배선판은 동박을 폴리이미드수지로 피복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폴리이미드기판에 인쇄배선을 형성한 것, 폴리이미드기판에 동박을 점착시킨 것 등, 도체패턴을 피복해서 된 수지필름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양면이 절연피복 되어 있지 않아도, 부품과 맞닿을 가능성이 있는 측 만이 절연피복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배선기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플렉시블 배선판(20)을 직각으로 교차시킨 형태로 커넥터(30)를 연결해도 되고, 플렉시블 배선판(20)이 배선기판(10)과 커넥터(30)와의 최단구간을 연결하도록 접속된 형태라도 된다.
또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A)를 조립하는 것으로서는, 전지팩용의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를 거쳐 외부의 소켓(70)과의 연결이 필요한 모든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전자부품을 탑재한 배선기판에 도전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커넥터가, 상기 배선기판에 대해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표면에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노출된 단자패턴을 갖고 있는 기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배선기판과 동일 기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도체패턴을 피복하여 이루어진 수지필름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기판에는, 상기 단자패턴을 회피하여 고정용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
  6. 전자부품을 탑재한 배선기판에 도전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커넥터가, 상기 배선기판에 대하여 자유로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배선기판에 상당하고 배선패턴을 갖는 기판품과 같은 모양으로,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고 표면에 단자패턴이 노출된 기판품을 제작하는 한편, 이들 기판품을 한쌍으로 나란히한 상태로 하는 기판품 제작공정과,
    상기 배선기판에 상당하는 기판품의 배선패턴과 도통하도록, 그 기판품의 표면에 전자부품을 탑재하는 실장공정과,
    상기 배선패턴 및 상기 단자패턴을 상호 도전부재를 통하여 연결하는 접속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품 제작공정은, 상기 배선기판 및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을 상호 공통하는 프레임기판에 의해 일체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공정 후, 상기 배선기판 및 상기 커넥터에 상당하는 각 기판품을 상기 프레임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플렉시블 배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공정은, 상기 도전부재의 양 선단측에 인출된 도전부분을 납땜에 의해 상기 배선패턴 및 상기 단자패턴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부착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KR1020027004117A 1999-10-01 2000-09-28 커넥터가 장착된 배선 기판과 그 제조 방법 KR100735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49999A JP2001102712A (ja) 1999-10-01 1999-10-01 コネクタ付きの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1999-00281499 1999-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695A true KR20020042695A (ko) 2002-06-05
KR100735351B1 KR100735351B1 (ko) 2007-07-04

Family

ID=1764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117A KR100735351B1 (ko) 1999-10-01 2000-09-28 커넥터가 장착된 배선 기판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63400B1 (ko)
EP (1) EP1223794A4 (ko)
JP (1) JP2001102712A (ko)
KR (1) KR100735351B1 (ko)
CN (1) CN1178562C (ko)
TW (1) TW569506B (ko)
WO (1) WO2001026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0294U1 (de) * 2003-01-09 2004-05-19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mittel zur flexiblen elektrischen Verbindung von Leiterplatten
US7419084B2 (en) * 2004-11-24 2008-09-02 Xerox Corporation Mounting method for surface-mount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2011227000A (ja) * 2010-04-22 2011-11-10 Yazaki Corp 配線材の接続構造
JP2011249215A (ja) * 2010-05-28 2011-12-08 Fujitsu Ltd 基板及びicソケット
CN102316695A (zh) * 2010-06-29 2012-01-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板载网卡及安装该板载网卡的电子装置
CN103765686B (zh) * 2011-08-31 2016-06-22 山一电机株式会社 天线基板连接单元
DE102013221870B4 (de) * 2013-10-28 2021-09-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mindestens einer als Zelle ausgestalteten Spannungsquelle und/oder -senke mit einem externen elektrischen Bauelement und elektrische Anordnung umfassend eine Verbindungsanordnung
JP2017157807A (ja) * 2016-03-04 2017-09-0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US11178768B2 (en) 2016-04-01 2021-11-16 Intel Corporation Flexible printed circuit EMI enclosure
US10276487B1 (en) * 2017-10-18 2019-04-30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flexible circuit for enabling non-destructive attaching and detaching of device to system board
JP7215496B2 (ja) * 2018-12-11 2023-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9327B2 (de) * 1974-04-22 1978-01-26 Uher Werke München, GmbH & Co, 8000 München Verfahren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gedruckten leiterplatte
JPS594874B2 (ja) 1981-04-20 1984-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DE3442803A1 (de) * 1984-11-23 1986-06-05 Wilhelm Ruf KG, 8000 München Hybridschaltung auf einem flexiblen traegermaterial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63241887A (ja) 1987-03-27 1988-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外部機器用コネクタのicカ−ド受入構造
US4838804A (en) 1987-03-27 1989-06-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chanism for connecting IC card and external device
JPH0214680A (ja) 1988-06-30 1990-01-18 Konica Corp ディスクフィルムプレーヤのフィルム位置調整機構
JPH0214680U (ko) * 1988-07-11 1990-01-30
JPH04191993A (ja) * 1990-11-27 1992-07-10 Ricoh Co Ltd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装置
JPH06275925A (ja) * 1993-03-22 1994-09-30 Casio Electron Mfg Co Ltd 電子回路基板
US5428190A (en) * 1993-07-02 1995-06-27 Sheldahl, Inc. Rigid-flex board with anisotropic interconnec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8236895A (ja) * 1995-02-24 1996-09-13 Toshiba Mec Kk 印刷配線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9506B (en) 2004-01-01
EP1223794A1 (en) 2002-07-17
CN1178562C (zh) 2004-12-01
KR100735351B1 (ko) 2007-07-04
WO2001026434A1 (fr) 2001-04-12
EP1223794A4 (en) 2006-08-16
US6663400B1 (en) 2003-12-16
CN1377569A (zh) 2002-10-30
JP2001102712A (ja) 200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466B2 (en) Connector
EP0970594B1 (en) Moulded sockets for electronic component attachment
US7204730B2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H0415998B2 (ko)
US4902235A (en) Socke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US20090215287A1 (en) Substrate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ing Structure
EP2472677B1 (en) Circuit board assembly, board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ircuit board assembly
KR100735351B1 (ko) 커넥터가 장착된 배선 기판과 그 제조 방법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KR20030041797A (ko) 표면 장착 직각 전기 커넥터
JP2830529B2 (ja)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EP0678819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receptacle connector for an IC card
US5017164A (en) Surface mount I.C. pin array system
US7794287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 having coupling foi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0277885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18786B2 (ja) コネクタ装置
US11735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CN215119296U (zh) 一种适用于表贴的sfp笼子组件及其电连接器
CN113224500B (zh) 封装天线模组、封装天线模组的制作方法及终端设备
WO2023248203A1 (en) Connector, connector p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KR20210151961A (ko) 커넥터
JPH09199242A (ja) プリント配線板一体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410563A (zh) 連接器、連接器對以及連接器的製造方法
JP2551376Y2 (ja) 基板接続用コンタクト
JPH077073U (ja) モータの基板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