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361A - 자동차용 시트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361A
KR20020039361A KR1020027004320A KR20027004320A KR20020039361A KR 20020039361 A KR20020039361 A KR 20020039361A KR 1020027004320 A KR1020027004320 A KR 1020027004320A KR 20027004320 A KR20027004320 A KR 20027004320A KR 20020039361 A KR20020039361 A KR 2002003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plate
seat back
support shee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코이스 포레이
프레데릭 바렛
Original Assignee
르끌레르 쟝 루이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끌레르 쟝 루이,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filed Critical 르끌레르 쟝 루이
Publication of KR2002003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제1, 제2 측지지대(41, 5)를 가지는 강프레임(2) 및 상기 제1, 제2 측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하부 가로부재(42, 43)와 이차적으로 강프레임에 장착되고, 이용자의 등과 직접 접촉되기 위해 제공된 탄성지지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지지시트는 제2 측지지대(5)에 장착된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의 제2 측에지(64, 74)와 더불어, 상, 하부 가로부재(42, 43)와 제1 측지지대(41)를 커버하기 위해 제1측지지대를 걸쳐 강프레임 상에 장착되어지는 포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백{MOTOR VEHICLE SEAT BACK}
종래의 시트백에는 튜브로 제작된 측 지지대와 상, 하부 가로부재로 구성된 강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장착된 탄성지지시트가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탄성지지시트는 사각형상이며, 상기 지지 시트는 그 외주에 상기 강프레임의 내주에 대응하게 배치된 보조 부재와 조합되기 위한 패스너(fastner)를 갖는다. 상기 지지 시트를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시트의 패스너가 강프레임의 보조 부재에 순차적으로 장착되어지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복잡한 시트백 어셈블리가 복잡해지고 어셈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제1 및 제2 측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상, 하부 가로부재를 구비하는 강프레임, 이차적으로는 상기 강프레임에 장착되고, 이용자의 등과 직접 접촉을 위해 제공된 탄성지지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에 연결된 시트프로퍼의 강성구조의 도면.
도 3은 상기 시트백의 강프레임의 도면.
도 4는 상기 시트백 단면의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탄성지지시트는 각각 상부에지와 하부에지 및 제1 측에지와 제2 측에지를 갖는 정면부와 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 후면부는 상, 하부에지와 제1 측에지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시트는 상, 하 가로부재와 제1 측지지대를 커버링하고 제 1 측지지대를 횡단함으로써 강프레임에 장착되는 포대(bag)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시트의 정, 후면부의 제2 측에지는 제2 측지지대에 장착된다. 상기 구조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포대를 형성하는 지지시트는 하나의 측지지대에 의해 강프레임에 장착된 후 또 다른 하나의 측지지대에 의해 장착된다. 따라서, 시트백 어셈이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프로퍼에 간단히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어셈블리 제조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의 구성요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 제2 측지지대는 탄성지지시트의 정면부에 수직하게 측정된 깊이의 측판을 가지며, 상기 측판의 깊이는 제1 측지지대 및 상, 하부가로부재의 깊이보다 크다.
- 제1 측지지대와 상, 하부 가로부재는 실질적으로 U형상의 단일튜브로 제조된다.
- 상기 측판은 후면에지와 이용자의 등과 대면하는 정면에지를 가지며, 상기 정면에지는 실질적으로 제1 측지지대의 형상과 동일하다.
- 상기 측판은 제1 측지지대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하는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면은 제1, 제2 일련 후크를 가진다. 또한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의 제 2 측에지는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에 의해 발생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제2 일련 후크에 장착된 제1, 제2 강성막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제2 일련 헴을 구비한다.
- 상기 측판은 상부 가로부재와 하부 가로부재에 각각 용접된 상단부과 하단부를 가진다.
- 상기 측판은 보호덮개판에 의해 덮여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비한정적 예시에 의해 주어진 실시예의 다음 구조에 의해 나타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도 1은 강프레임(2)과 상기 강프레임에 직접 장착된 탄성지지시트(3)를 포함하는 자동차 앞석의 시트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강프레임(2)은 제1 측지지대(41), 제2 측지지대(5), 상부 가로부재(42) 및 하부 가로부재(43)를 포함한다. 제1 측지지대(41), 상, 하부 가로부재(42, 43)는 서로 용접될 수 있는 튜브로 구성되거나 단일튜브(4)의 밴딩에 의해 제조될 수있다.
측튜브(41)와 상, 하부 가로부재(42, 43)는 약 3cm의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다.
측튜브(41)에 떨어져 있는 상, 하부 가로부재(42,43)의 말단은 상단부(51)과 하단부(52)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판(5)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측판(5)은 측튜브(41)를 면하는 내측면(53)과 그 반대방향의 외측면(54)을 갖는다. 측판(5)의 내, 외측면(53, 54)은 후면에지(56)와 시트 이용자의 등과 대면하는 정면에지(55)에 의해 한정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프레임(4)의 상, 하부 가로부재(42, 43)의 측판(5)에 연결되어 지는 말단은 용접에 의해 상기 측판(5)의 상, 하부 가로부재(42, 43)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타출에 의해 납작해 질 수 있다.
상기 시트백의 탄성지지시트(3)는 실질적으로 후면부(7)와 시트 이용자의 등과 직접 접촉하기 위해 디자인된 정면부(6)를 포함하는 포대 형상이다. 시트 이용자에게 충분한 안락감을 주기 위해, 지지시트는 상대적으로 소폭의 메시의 탄성네트로 제조되거나 탄성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6, 7)는 각각 상부에지(62, 72)와 하부에지(63, 73) 및 제1 측에지(61, 71)와 제2 측에지(64, 74)를 갖는다.
탄성지지시트가 시트백의 강프레임(2)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정, 후면부(6, 7)는 일차로 상, 하부에지(62, 72 및 63, 73), 이차로 제1 측에지(61, 71)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정, 후면부(6, 7)는 바느질로 서로 연결되거나, 일체의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단, 탄성지지시트(3)가 상, 하튜브(42, 43)와 측튜브(41)를 둘러싸면서 강프레임(2)에 장착되면, 시트 정, 후면부(6, 7)의 제2 측에지(64, 74)를 측판(5)에 고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트 정, 후면부(6, 7)의 제2 측에지(64, 74)는 제1 강성막대(22)와 제2 강성막대(23)와 더불어 제1 일련 헴(20)과 제2 일련 헴(21)을 포함한다.
제1, 제2의 일련의 다양한 헴(20, 21)은 강성막대(22, 23)가 노출된 부분을 현시하기 위해 충분히 이격되어 자리잡을 필요가 있다.
상기 측판(5)은 그 외측면(54)상에 제1 일련후크(25), 제2 일련후크(26)를 가지며, 상기 후크는 상기 측판의 정면에지(55)와 후면에지(56)의 부근에 위치된다.
상기 헴(20, 21)을 측판 외측면상으로 가져오기 위해 상기 시트의 내, 외부면(6, 7)을 연장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제1 일련 후크와 제2 일련 후크(25, 26)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강성막대(22, 23)의 노출된 부분에 위치시킴으로서 탄성지지시트가 측판과 결합된다. 탄성지지시트는 상기 시트의 내, 외측면(6, 7)에 의해 측판의 후크 상에 발생된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강프레임(2)에 장착된다.
측판(5)의 외측면(54)은 똑딱단추나 나사스패너와 같은 측판에 직접 장착된 이동 가능한 덮개판(17)에 의해 커버링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점에 의하면, 측판의 깊이 e1은 탄성지지시트(3)의 정면부(6)에 수직한 방향, 즉 측판(5)의 정면에지(55)와 후면에지(56) 간 연장된 방향 X, 에서 측정된 측튜브(41)의 깊이 e2보다 상당히 크다.
측판(5)의 깊이 e1가 프레임(4)을 형성하는 튜브의 깊이보다 상당히 크다는 것을 유지한다면 측판의 상단부(51)와 하단부(52)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그 예로, 측판은 실질적으로 상단부(51)의 깊이보다 큰 깊이를 가지는 하단부, 정면에지(55)와 후면에지(56), 그리고 상단부를 덮는 형태의 삼각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시트(3)에 수직한 X방향으로의 측판의 깊이는 시트이용자의 안전함, 안락함과 관련된 장치가 상기 측판의 외측면(54)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특히, 측판 외측면(54)의 상단부(51)는 안전벨트(9)용 와인더(8)를 구비할 수 있고, 더욱 일반적으로는 상기 안전벨트(9)의 상부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안전벨트의 하부의 두 개의 고정장치(미도시)는 자동차용 시트(도 2)의 시트 프로퍼(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히는 상기 시트프로퍼의 두 측판(11, 1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시트 이용자를 내동댕이치는 경도충격의 자동차 사고에 대해, 안전벨트(9)의 상부는 측판(5)을 끌어당기며, 상기 X축방향, 즉 자동차의 경도축방향,의 상대적 큰 깊이는 상기 견인력에 대해 지탱하기에 충분하다.
측판(5)의 외측면(54)은 또한 그 중간부분, 즉 상단부(51)와 하단부(52)의 중간부분에 에어백장치(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은 시트이용자의 부가적, 후속적 안전을 제공한다.
비슷하게, 측판외측면(54)은 하단부(52)에 힌지기구(14)를 구비할 수 있다. 시트 프로퍼(10)에 연결되어진 상기 힌지기구는 탄성지지시트(3)의 정면부(6)에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축 Y에 대해 시트백이 선회될 수 있게 한다.
시트백(1)과 시트 프로퍼(10)간의 바람직한 결합 실시예에서, 시트백의 강프레임(2)은 측튜브(41)의 하단에 위치한 피봇(15)이 시트 프로퍼의 측판(12)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시트 프로퍼의 측판(11, 12)사이에 위치되며, 힌지기구(14)는 시트 프로퍼의 측판(11) 내면에 형성된 적당한 틀에 위치된다. 시트 프로퍼의 두 측판(11, 12)은 두 스페이서(18, 1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힌지기구(14)는 측판(5)의 외측면(54)을 커버링하고 있는 덮개판(17)에 장착된 핸들(1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핸들(16)은 시트프로퍼(10)의 측판(11)에 형성된 구멍(11a)을 관통하는 강성연결바(미도시)에 의해 힌지기구(14)와 결합된다.
또한 덮개판(17)은 안전밸트(9)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7a)과 에어백이 개산되었을 때 주덮개판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한 보조덮개판(17b)을 구비한다.
도 1및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의 정면에지(55)와 프레임(4)의 측튜브(41)은 실질적으로 자동자 시트 이용자의 균형 잡힌 옆구리 지지를 위해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측판(5)의 정면에지(55), 덮개판(17) 및 측튜브(41) 모두는 각각 시트이용자의 허리지지를 위해 전방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볼록 부분을 가진다.

Claims (10)

  1. 일차적으로는 제1 측지지대(41)와 제2 측지지대(5) 및 상기 제1 측지지대(41)와 제2 측지지대(5)를 상호 연결하는 상, 하부 가로부재(42, 43)를 구비하는 강프레임(2), 이차적으로는 상기 강프레임(2)에 장착되고 이용자의 등과 직접 접촉되기 위해 제공된 탄성지지시트(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시트는 상부 및 하부에지(62 및 63, 72 및 73)와 제1 측에지 및 제2 측에지(61 및 64, 71 및 74)를 갖는 정면부(6) 및 후면부(7)를 구비하고, 상기 정면부 및 후면부(6, 7)는 탄성지지시트(3)가 제1 측지지대(41)를 가로질러 상, 하부 가로부재(42, 43) 및 제1 측지지대(41)를 덮어 강프레임 상에 장착되어지는 포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차적으로는 상부에지 및 하부에지(62 및 63, 72 및 73), 이차적으로는 제1 측에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탄성지지시트(3)의 정, 후면부의 제2 측에지(64, 74)는 제2 측지지대(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지지대(5)는 탄성지지시트(3)의 정면부(6)에 수직하게 측정된 깊이를 갖는 측판(5)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판 깊이는 제1 측지지대(41) 및 상, 하부 가로부재(42, 43)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에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장치(1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에는 안전벨트(9)용 와인더장치(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은 시트백이 수평축(Y)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자동차용 시트백의 시트 프로퍼(10)에 결합되기 위한 힌지기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지지대(41)와 상, 하부 가로부재(42, 43)는 실질적으로 U형상의 단일종류의 튜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은 후면에지(56)와 이용자의 등과 대면하는 정면에지(55)를 가지며, 상기 정면에지(55)는 제1 측지지대(4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95)은 제1 측지지대(41)의 반대방향으로 제1, 제2 일련 후크(25, 26)를 가지는 외측면(54)을구비하고,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의 제2 측에지(64, 74)는 탄성지지시트의 정, 후면부(6,7)에 의해 발생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 제2 일련 후크(25, 26)에 장착된 제1, 제2 강성막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제2 일련 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은 상부 가로부재(42)와 하부 가로부재(43)에 각각 용접된 상단부(51)와 하단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은 보호덮개판(17)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KR1020027004320A 2000-08-04 2001-08-03 자동차용 시트백 KR20020039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0337A FR2812596B1 (fr) 2000-08-04 2000-08-04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00/10337 2000-08-04
PCT/FR2001/002545 WO2002012018A1 (fr) 2000-08-04 2001-08-03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361A true KR20020039361A (ko) 2002-05-25

Family

ID=885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20A KR20020039361A (ko) 2000-08-04 2001-08-03 자동차용 시트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95591B2 (ko)
JP (1) JP2004505696A (ko)
KR (1) KR20020039361A (ko)
CN (1) CN1185121C (ko)
AU (1) AU2001285982A1 (ko)
BR (1) BR0107068A (ko)
FR (1) FR2812596B1 (ko)
WO (1) WO2002012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0110B2 (en) * 2000-07-28 2004-08-24 Igt Gaming device having a competition bonus scheme
US6857698B2 (en) * 2003-02-21 2005-02-22 Lear Corporation Seat side impact resistance mechanism
US6761402B1 (en) * 2003-06-12 2004-07-13 Tachi-S Co., Ltd. Structure of a vehicle seat
FR2861344B1 (fr) * 2003-10-24 2006-02-03 Faurecia Sieges Automobile Element de coiff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element de coiffe.
CA2850677C (en) * 2005-03-01 2015-11-10 Haworth, Inc. Chair back with lumbar and pelvic supports
FR2903637B1 (fr) * 2006-07-12 2008-10-10 Cera Element peripheriqu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ige metallique et une piece d'association.
US7607731B2 (en) * 2006-07-21 2009-10-27 Lear Corporation External side bag trim close outs
WO2009149177A1 (en) * 2008-06-03 2009-12-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frame - tailored tubes
JP5685026B2 (ja) * 2010-07-30 2015-03-18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JP5710199B2 (ja) * 2010-09-30 2015-04-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20130187418A1 (en) * 2010-09-30 2013-07-25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5715367B2 (ja) * 2010-09-30 2015-05-0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BR112014011695A2 (pt) * 2011-12-26 2017-05-09 Toray Industries estrutura de quadro para assento
US9913540B2 (en) 2012-09-21 2018-03-13 Steelcase Inc. Chair construction
US9744884B2 (en) * 2012-09-21 2017-08-2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having an elevation mechanism and a cushion frame with rigid portions
CN104869867B (zh) * 2012-12-28 2017-08-25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座椅
US9776533B2 (en) * 2014-10-03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bar upper seatback support assembly
JP6638679B2 (ja) * 2017-03-23 2020-01-2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補強構造
JP6477816B1 (ja) * 2017-09-29 2019-03-06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2548A (en) * 1977-12-05 1980-03-11 Amos William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ituting seat backs
US4208070A (en) * 1978-09-26 1980-06-17 Concept Engineering, Inc. Leisure chair
US4740260A (en) * 1986-08-18 1988-04-26 Johnson Servic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ts and article formed thereby
US5023125A (en) * 1988-09-28 1991-06-11 Nouveaux Corporation Fastening means for custon-fit seat covers
US5015034A (en) * 1988-11-25 1991-05-14 Prince Corporation Upholstery system
US5209381A (en) * 1990-02-21 1993-05-11 Jay John C Backpack convertible chair
US5131721A (en) * 1990-12-28 1992-07-21 Tachi-S Co., Ltd. Framework of seat back with armrest
US5121938A (en) * 1991-03-04 1992-06-16 Invacare Corporation Slip covers for wheelchairs
FR2674485B1 (fr) * 1991-03-28 1993-07-09 Faure Bertrand Automobile Perfectionnements aux dossiers de sieges de vehicules.
US5360258A (en) * 1992-01-07 1994-11-01 Maurice Adam Portable single and multiple unit baby support seat
US5496094A (en) * 1993-09-30 1996-03-05 Cosco, Inc. Seat with expandable frame
US5564785A (en) * 1994-10-17 1996-10-15 Atoma International Inc. Seat 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5582463A (en) * 1995-07-10 1996-12-10 Hoover Universal, Inc. Seat assembly with improved attachment of a suspension mat to a seat frame
JPH0928501A (ja) * 1995-07-14 1997-02-04 Ikeda Bussan Co Ltd 座席のフレーム構造
US6027171A (en) * 1995-11-27 2000-02-22 Lear Corporation Automotive modular seat frame assembly
US5845966A (en) * 1996-01-16 1998-12-08 Lear Corporation Vehicle side impact air bag assembly
US5851055A (en) * 1997-03-13 1998-12-22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Inflatable passenger-size adjustable torso belt system including enclosure mount and method of passenger restraint
US5803539A (en) * 1997-06-17 1998-09-08 Sagaz Industries, Inc. Auto seat cover
DE19754817A1 (de) * 1997-12-10 1999-06-17 Stoll Sedus Ag Rückenlehne
FR2773752B1 (fr) * 1998-01-19 2000-03-2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ossier de siege a face arriere rentrante
FR2777518B1 (fr) * 1998-04-17 2000-06-1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rmature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2779393B1 (fr) * 1998-06-05 2000-08-0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ossier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2789027B1 (fr) * 1999-02-03 2001-04-1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fil d'ancrage pour fixer un element sur ce siege
US6425637B1 (en) * 1999-04-19 2002-07-30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Cushion construction for furniture
US6357789B1 (en) * 1999-06-24 2002-03-19 Ts Tech Co., Ltd. Seat provided with side air bag system
US6345428B2 (en) * 1999-08-13 2002-02-12 Homecrest Industries Incorporated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49252A1 (en) 2002-10-17
JP2004505696A (ja) 2004-02-26
CN1185121C (zh) 2005-01-19
FR2812596A1 (fr) 2002-02-08
US6595591B2 (en) 2003-07-22
AU2001285982A1 (en) 2002-02-18
WO2002012018A1 (fr) 2002-02-14
FR2812596B1 (fr) 2002-10-31
BR0107068A (pt) 2002-06-11
CN1386096A (zh)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9361A (ko) 자동차용 시트백
JP409082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取付構造
US20170349133A1 (en)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9808777A (zh) 车辆用支柱结构
JPH11348628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EP1197378A1 (en) Construction for fixing child seat to vehicle
US6491322B1 (en) Energy absorbing bracket assembly for vehicle knee bolster
JP2009051306A (ja) 乗物用シート並びにウェビングの保護構造及び保護カバー
JP3989632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H07215156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カバー
JP386887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取付用ヘッドレスト付車両用シート
JP3254640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5169210B2 (ja) バックフレームの取付け構造
JP3393429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2001260731A (ja) 車両用シート
JPH08182573A (ja) 座席のフレーム構造
JP3585433B2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JP3066418B2 (ja) 車両シートにおけるヘツドレストの取付装置
KR0140167Y1 (ko) 리어시트의 프레임 구조
JPH0717665U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の保持装置
JPH06270681A (ja) 自動車のドアの構造
JP3968567B2 (ja) 座席用着脱カバー
KR200188451Y1 (ko) 차량의 퍼스트 헤더와 사이드 패널 보강구조
KR100380403B1 (ko) 승합차의 안전벨트앵커보강재
JPH0710588Y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