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760A -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760A
KR20020035760A KR1020010068774A KR20010068774A KR20020035760A KR 20020035760 A KR20020035760 A KR 20020035760A KR 1020010068774 A KR1020010068774 A KR 1020010068774A KR 20010068774 A KR20010068774 A KR 20010068774A KR 20020035760 A KR20020035760 A KR 2002003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file
schedule
tool
schedul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622B1 (ko
Inventor
와다시노부
가와떼게이이찌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3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복수의 개발 단계를 복수의 기술자에 의해 행하는 제품 등의 개발 작업에 있어서, 개발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게 각 기술자에게 전달함과 함께 각 작업 단계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나, 작업 진척 정보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개발 등의 작업을, 각 단말기(1a∼1c)를 통신 회선(4)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고,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2)와, 단말기(1a∼1c)로 실행되며,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표시하는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에 의해 실현된다.

Description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ORKING MANAGEMENT}
본 발명은, 각 단말기를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 개발 등의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반도체 제품이나 요소 기술 개발 등 복수의 작업 단계를 복수의 작업자에 의해 행하는 기술 개발의 진척 상황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반도체 제품 및 요소 기술 개발 등의 개발 작업은, 복수의 개발 단계를, 각 부문의 작업자가 자기가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툴)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어플레케이션 소프트의 예로서는,
(1) 기술적인 계산을 행하는 툴
(2) 기술적인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정보 제공 툴
(3) 고객 또는 관련 부문에 개발에 관한 보고, 혹은 의뢰를 행하기 위한 문서 파일 작성 툴
(4) 고객, 또는 관련 부문과의 연락을 상호 취하기 위한 전자 메일 등의 툴, 및 소정의 포맷
(5) 전용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인출하거나, 혹은 저장하는 툴
(6) 개발에 관계하는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툴 혹은 파일
(7) 개발에 관한 담당자 등을 관리하기 위한 툴 혹은 파일
(8) 개발에 필요한 부품의 재고를 조달하기 위한 툴 혹은 파일
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개발 관리 방법에서는, 각 작업자는 각 개발 단계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컴퓨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방법이나 사용 방법 등을 기억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 빈도가 적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서는 메뉴얼로 조사하는 등을 위해 많은 시간을 빼앗기거나 수고가 따라, 사용 잘못으로 인한 트러블이 발생된다.
특히, 경험이 부족한 기술자는, 개발의 각 단계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바로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착수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한, 개발 작업 시에는,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를이용하여 검색하는 경우도 있지만,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 시에는 어느 정도의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험에 따라 개인의 검색 능력에 격차가 생겨, 경험이 부족한 기술자는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 작업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문서 파일, 개발 데이터는 수시로 버전 업이나 갱신이 예고 없이 행해지기 때문에, 개인이 사용하고 있는 문서 파일이나 개인의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이 오래된 버전 그대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버전 업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되거나, 버그 등이 해결되기도 하지만, 버전 업 정보가 널리 보급되지 않으면, 편리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 있더라도, 그것을 모르는 사람이 발생한다. 또한, 신뢰성이 없는 오래된 버전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작업에서 작성한 문서 파일이나 작업의 실시 상황, 스케줄 등은, 각자가 개별로 관리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발에 종사하는 기술자끼리 공유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기술자는 중복된 노동력이 들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정보의 공유나 제휴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일련의 개발 작업에 있어서, 작업의 전후 관계를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개발에 따른 운용의 변경, 작업 방법의 변경 등에 관하여, 최신 정보가 동시에 모든 기술자에게 널리 보급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개발 단계를 복수의 기술자에 의해 행하는 제품 등의 개발 작업에서, 개발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게 각 기술자에게 전달함과 함께, 각 작업 단계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나, 작업 진척 정보 등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의 조작 절차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와 스케줄 파일 및 작업 흐름 파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c : 단말기
2 : 서버
21 : 제품 데이터 베이스
21a, 21b : 제품 디렉토리
3 : 공동 작업 제휴부
4 : 통신 회선
10 : 작업 관리 시스템
11 : 계획 관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각 단말기를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는 계획 관리부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상기 스케줄 파일을 축적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된 해당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제시하는 협동 작업 제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획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기술자가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 간에 진척도의 공유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의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계획 관리부에서 스케줄 파일을 갱신함으로써, 작업에 종사하는 기술자 전원의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협동 작업 제휴부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툴 정보를 기술한 툴 기동용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사용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툴 기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작업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툴의 기동을 툴 기동용파일에 기초하여 기동하기 때문에, 기술자는 각 작업 항목에 적합한 툴을 용이하게 기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항목에서 사용하여야 할 툴이 변경된 경우나, 툴이 버전 업된 경우에는, 툴 기동용 파일을 갱신함으로써 용이하게 최신 정보를 모든 기술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협동 작업 제휴부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사용자가 행해야 할 작업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작업 단계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술자는 자기가 행하는 작업 항목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발명은, 복수의 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각 단말기를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작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설치된 제품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스케줄 파일을 축적하는 단계와, 해당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이다.
이 밖의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제품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기술자가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기술자 간에 진척도의 공유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툴 정보를 기술한 툴 기동용 파일이, 데이터 베이스에 보존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툴 기동용 파일을 취득시키고, 상기 툴 기동용 파일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작업 항목에 적합한 툴을 용이하게 기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항목에서 사용하여야 할 툴이 변경된 경우나, 툴이 버전 업한 경우에는, 툴 기동용 파일을 갱신함으로써 용이하게 최신 정보를 모든 기술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밖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기술자가 행해야 할 작업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작업 단계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술자는 자기가 행하는 작업 항목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밖의 발명에서는, 상기 스케줄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는 개발 계획의 등록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개발 계획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는 단계와, 이 스케줄 파일을 적절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전에 준비된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고, 이것을 수정함으로써 새롭게 등록된 개발 계획에 따른 스케줄 파일을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밖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시된 작업 항목에 대하여, 이전 단계의 작업이 종료되어 있는지에 관한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단계와, 이전 단계의 작업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에 필요한 툴의 기동의 준비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의 진행 여하에 따라 기동 준비가 행해지는 툴이 변경되기 때문에, 다음 단계의 작업 개시 시에 빠르게 툴의 기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밖의 발명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작업 종료를 확인하면, 상기 스케줄 파일의 갱신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작업 종료 시에 스케줄 파일의 갱신을 행하기 때문에, 차회의 작업 개시 시에는 최신의 스케줄 파일의 내용이 반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관리 시스템(10)에서는, 각 기술자가 사용하는 단말기(1a∼1d)와, 중앙 서버인 서버(2)를, 인터넷이나 LAN 등의 통신 회선(4)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단말기(1a∼1d)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컴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인스톨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a∼1c)는 공동 작업을 행하는 기술자가 사용하고, 단말기(1d)는 공동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한다.
서버(2)는, 본 실시예에서는 캘린더 파일이나 표준 공사 기간 파일에 기초하여 개발 작업 전체의 스케줄 관리나 각 개발 단계의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며,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는 계획 관리부(11)와, 제품 데이터 베이스(21)로부터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여, 이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출력하는 공동 작업제휴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2)에서 계획 관리 소프트나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를 실행함으로써, 이들 계획 관리부(11)나 공동 작업 제휴부(3)를 실현한다.
계획 관리부(11)는 계획 관리 소프트가 서버(2) 상에서 실행됨으로써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관리자의 단말기(1d)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동작된다. 이 계획 관리부(11)는, 작업 계획(Project)을 신규로 등록하는 등록부(11a)와, 각 파일을 생성하거나 갱신하기도 하는 파일 갱신부(11b)와, 작업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각 파일의 내용을 변경하는 작업 변경부(11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파일이란, 예를 들면 제품의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을 말하며, 이들 파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동 작업 제휴부(3)는 기술자가 사용하는 단말기(1a∼1c)로부터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동작하는 것으로,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 축적된 각 공유 파일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동작한다. 이 공동 작업 제휴부(3)는 스케줄 파일을 판독하여 각 기술자의 단말기(1a∼1c)에 스케줄을 표시시키는 스케줄 표시부(31)와, 작업 흐름을 제시하는 작업 흐름 표시부(32)와, 작업 툴을 기동하기 위한 툴 기동부(33)와, 각 작업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가이드를 표시하는 가이드 표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버(2)에는, 제품마다의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을 축적하는 제품 데이터 베이스(21)와, 캘린더 파일을 축적하는 캘린더 파일 데이터 베이스(22)와, 표준 공사 기간 파일을 축적하는 표준 공사 기간 데이터 베이스(23)가 구비되어 있다.
제품 데이터 베이스(21)는, 각 제품마다 관련 파일을 보존하기 위한 제품 디렉토리(21a, 21b)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제품의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이, 제품마다 이들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 보존된다. 서버(2)는 스케줄이 변경되거나, 각 작업 단계의 흐름이 변경된 경우에는, 갱신된 최신의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을 제품 데이터 베이스(21)로 송출하여,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 보존한다.
이상 설명한, 작업 관리 시스템(10)에 의한 작업 관리 방법은 이하의 절차에따른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에서의 작업 스케줄 및 작업 흐름의 등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서버(2)의 등록부(11a)에 프로젝트(개발 계획)의 등록을 행한다 (단계 S101). 계속해서, 스케줄이나 작업 흐름에 기초하여 각각의 템플릿의 선택을 행한다 (단계 S102).
그리고, 파일 갱신부(11b)에 의해 스케줄 파일의 생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캘린더 파일을 취득(복사)하여 (단계 S103), 개시일을 등록하고 (단계 S104), 템플릿의 스케줄의 수정을 행하여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며 (단계 S105), 생성된 스케줄 파일 및 작업 흐름 파일을 제품 데이터 베이스(21)의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 보존한다 (단계 S106).
또, 이들 처리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계획 관리 소프트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을 설명한다.
계획 관리 소프트는, 관리자가 단말기(1d) 등으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캘린더 파일이나 표준 공사 기간 파일에 기초하여 표준 공사 기간의 설정이나, 개발 작업 전체의 스케줄 수정 등을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계획 관리 소프트는 캘린더 파일이나 표준 공사 기간 파일을 불러내어, 매크로 처리에 의해 각 제품의 개발 공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고, 이 스케줄 파일을, 각 제품에 대응한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 보존한다.
다음에,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각 기술자를 서포트하는 공동 작업 제휴부(3)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등록이 행해지면, 각 단말기(1a∼1c)에서 각각의 작업이 개시된다. 이 각 작업에서는, 우선, 스케줄 표시부(31)는 프로젝트를 전개하여 (단계 S201), 제품 디렉토리(21a, 21b)로부터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고, 스케줄 표시부(31)에 의해 스케줄을 제시한다 (단계 S204). 이 때, 취득한 스케줄 파일을 해석하여, 작업 흐름 파일이 갱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단계 S202), 작업 흐름 파일이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신의 작업 흐름 파일을 취득한다 (단계 S203).
또, 서버(2)에서는, 각 기술자에 의한 제품 디렉토리(21a, 21b)에의 액세스를 감시하여, 기술자가 제품 디렉토리(21a, 21b) 내에 있는 파일을 액세스했을 때는, 그 액세스 대상 및 시각, 액세스자명을 액세스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
계속해서, 작업 흐름 표시부(32)에 의해 각 공정(작업 단계)에 대한 작업 흐름이 제시된다 (단계 S205).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시된 흐름에 대하여 등록된 작업의 준비에 들어간다 (단계 S206). 이 때, 이전 단계의 작업이 종료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체크를 행할지에 관한 여부의 선택을 요구하고 (단계 S207), 이전 작업을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작업의 흐름을 제시하고, 이전 작업이 종료된 경우에는, 다음 작업에 필요한 상술한 툴을 기동한다 (단계 S208).
그 후, 작업이 종료되었는지에 관한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 후(단계 S209), 스케줄 화면을 표시시킨다 (단계 S212). 이 때, 작업이 종료되어 있을 때는 종료 마크를 표시하고 (단계 S210), 실적 날짜 등의 갱신을 제품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행한다 (단계 S211).
또, 이 공동 작업 제휴부(3)는 각 기술자가 사용하는 단말기(1a∼1c) 상에서 실행되는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에 의해 실현되며, 제품 개발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작업을 관리하는 것으로, 스케줄 진척도의 공유나, 작업 툴에의 액세스, 절차의 가이드, 작업 내용의 가이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디렉토리로부터 취득한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제품 개발 작업에 대한 스케줄을 표시하거나, 가이드 파일이나 장표 원지(原紙) 파일을 취득하여, 작업 내용의 가이드 등을 행한다.
또한, 이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는, 각 작업에서 필요해지는 툴의 기동 가이드를 행한다. 반도체 제품 개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제품의 개발 단계로서는, 반도체의 회로 설계, 논리 시뮬레이션, 본딩 체크, 레이아웃 설계, LOT 투입, 조립 의뢰, 마스크 제작, 테스트 프로그램작성, 재고 확인, 마크 준비, 이관 자료 등이 있으며,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는, 이들 각 작업 단계에 필요한 툴(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나 데이터(파일)를, 소정의 기억 장치로부터 불러내어 기동한다.
여기서, 상술한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단말기(1a∼1c)의 화면 상에 표시된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와 스케줄 파일 및 작업 흐름 파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는 메인 윈도우 W1과, 작업 흐름 윈도우 W2와, 작업 가이드 윈도우 W3을 표시한다. 또, 이 공동 작업 제휴 소프트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W4도 표시된다.
메인 윈도우 W1은, 모든 기술자 사이에서 공유되는 화면이며, 작업 단계를 표시하는 영역 A11과, 개발 담당 부문을 표시하는 영역 A12와, 각 작업 단계의 스케줄을 표시하는 영역 A13를 구비하고 있다.
영역 A11은, 서버(2)에서 작성된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여, 이 스케줄 파일에 기술된 각 작업 단계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줄 파일에는 각 제품의 개발 스케줄에 필요한 작업 단계가 DATA1∼6으로서, 작업이 행해지는 순서대로 기술되며, DATA1∼6에는 각 작업 단계에 관한 정보로서, 작업 단계의 명칭, 개시 시기, 종료 시기가 기술되어 있다.
영역 A11에는, 이 스케줄 파일에 기술된 DATA1∼6을 참조하여 작업 단계의 명칭이, 작업이 행해지는 순서대로 표시됨과 함께, 이것에 대응시켜 그 작업 단계의 개시 시기 및 종료 시기가 타임 차트로서 A13에 표시된다.
작업 흐름 윈도우 W2는, 영역 A11에서 선택된 작업 단계에서 행해지는 작업 항목을 흐름도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즉, 영역 A11에 표시된 작업 단계명은 커서 등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클릭 등의 입력 조작(Click!①)에 의해 선택된 작업 단계의 작업 흐름을 윈도우 W2에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하면, 작업 흐름 파일에는 스케줄 파일에 기술된 작업 단계 DATA1∼6에 대응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지는 작업 항목 데이터(예를 들면 DATA2-1, 2-2)가 기재되어 있으며, A11에서 어느 하나의 작업 단계가 선택되면, 이 작업 단계에 대응한 작업 흐름 파일의 데이터를 불러내어, 작업 항목 데이터 내의 작업 항목명을 블록 B1이나 B2로서 표시한다.
또한, 작업 흐름 파일 중의 작업 항목 데이터 DATA2-1, 2-2에는, 각 작업 항목에서 사용되는 툴의 기동 커맨드나, 인용되는 데이터나 파일의 명칭, 어드레스 등이 기술되어 있으며, W2에서 작업 흐름 중의 블록 B1이나 B2가 클릭 등의 입력 조작(Click!②)으로 선택됨으로써, 선택된 블록에 대응한 작업 항목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 가이드 윈도우 W3이 표시된다.
작업 가이드 윈도우 W3은, W2에서 선택된 블록에 관계하는 작업의 가이드나, 필요한 툴의 기동 절차를 표시하는 것으로, 각 작업에서 필요한 툴의 기동 커맨드를 조작하는 영역(A31)과, 툴의 운용의 변경이나, 버전 업 등의 최신 정보나, 툴의사용 방법의 헬프 정보 등을 표시하는 영역(A32)으로 구성된다.
즉, 윈도우 W2에서의 입력 조작(Click!②)에 의해 작업 흐름 파일 내의 DATA2-1이나 2-2에 기초하여 툴의 실행 커맨드가 A31에 표시됨과 함께, 헬프 파일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A32에 표시한다.
또한, 이 작업 가이드 윈도우 W3에는, 툴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 B31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을 클릭 등의 입력 조작(Click!③)을 행함으로써 W3 중에 설명되어 있는 툴을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개발 계획이 변동하여 작업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작업 변경부(11c)에 의해 라인의 선택을 행한다 (단계 S301). 이 때 작업 변경부(11c)는 라인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등록 조건에 기초하여 공사 기간을 자동 산출한다 (S302). 그리고, 산출된 공사 기간에 따라 공정명이나 리소스, 공사 기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여 서버(2)에 등록한다 (단계 S303). 또한, 선택된 라인에 적합한 작업 흐름 파일로 전환한다 (단계 S304).
이상 설명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에 따르면, 윈도우 W2에 표시된 작업 항목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그 작업 항목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과 함께, 윈도우 W3의 버튼 B31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그 작업 항목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툴이 기동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품 및 기술 개발에서 필요해지는 툴을, 기동 방법을 의식하지 않고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이 부족한 기술자라도, 개발의 각 단계에서 사용하는 최적의 툴을 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 W2에 표시되는 정보는,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흐름 파일에 기초하여 표시되며, 작업 흐름 파일의 판독 시에는 이것이 갱신되어 있는지에 관한 여부의 판단을 행하기 때문에, 항상 최신의 정보가 윈도우 W2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툴의 버전 관리를 적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반도체 제품 및 기술 개발 등에 있어서 필요한 문서 파일이나,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케줄 파일이나 작업 흐름 파일은 서버(2) 상에서 관리되며, 수시로 최신의 것으로 갱신할 수가 있고, 서버(2)에는 각 기술자의 단말기(1a∼1c)가 액세스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에 종사하는 각 기술자, 각 부문이 문서 파일, 작업의 실시 상황, 스케줄의 변경 등을 공유할 수가 있어, 편리한 툴을, 개발에 관계하는 모든 기술자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이 변경된 경우에도, 스케줄 파일을 갱신하는 것만으로 작업 단계 간의 전후 관계를 조정할 수 있음과 함께, 개발에 관한 운용, 작업의 변경 등이 모든 기술자에게 동시에 통달되게 된다.
또한, 툴의 사용 방법이나, 버전 업 정보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과 함께, 툴의 변경 등도 서버(2)에서 통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도체 제품 및 기술 개발에 있어서 필요한 각 단계에 최적의 구조를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에따르면, 복수의 개발 단계를 복수의 기술자에 의해 행하는 제품 등의 개발 작업에 있어서, 개발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게 각 기술자에게 전달함과 함께, 각 작업 단계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나, 작업 진척 정보 등의 정보를 공유할 수가 있어, 개발 작업 전체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각 단말기를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는 계획 관리부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상기 스케줄 파일을 축적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제시하는 협동 작업 제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작업 제휴부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툴 정보를 기술한 툴 기동용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사용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툴 기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작업 제휴부는,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사용자가 행해야 할 작업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작업 단계에 대응시켜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4. 복수의 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각 단말기를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작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계의 일정을 기술한 스케줄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설치된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스케줄 파일을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 파일에 기초하여 각 작업 단계에서 행해야 할 작업 항목을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업 항목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툴 정보를 기술한 툴 기동용 파일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보존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툴 기동용 파일을 취득시키고,
    상기 툴 기동용 파일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업 항목에서 기술자가 행해야 할 작업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작업 단계에 대응시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는,
    개발 계획의 등록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개발 계획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스케줄 파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 파일을 적절히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작업 항목에 대하여, 이전 단계의 작업이 종료했는지에 관한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단계와,
    이전 단계의 작업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에 필요한 툴의 기동 준비를 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작업 종료를 확인하면, 상기 스케줄 파일의 갱신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KR10-2001-0068774A 2000-11-07 2001-11-06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 KR100500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9414 2000-11-07
JP2000339414A JP2002149754A (ja) 2000-11-07 2000-11-07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760A true KR20020035760A (ko) 2002-05-15
KR100500622B1 KR100500622B1 (ko) 2005-07-12

Family

ID=1881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74A KR100500622B1 (ko) 2000-11-07 2001-11-06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20065704A1 (ko)
EP (1) EP1209595A3 (ko)
JP (1) JP2002149754A (ko)
KR (1) KR100500622B1 (ko)
CN (1) CN1353372A (ko)
SG (1) SG113396A1 (ko)
TW (1) TW5732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51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496A (ja) 2002-03-27 2003-10-10 Toshiba Corp 描画支援システム、描画支援方法、マスク製造支援システム、及びマスク製造支援方法
US20040015556A1 (en) * 2002-05-10 2004-01-22 Renu Chopra Software-based process/issue management system
CA2390350A1 (en) * 2002-06-10 2003-12-10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Incremental cardinality estimation for a set of data values
JP4819317B2 (ja) * 2003-03-27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215618A1 (en) * 2003-04-25 2004-10-28 Wacke Robert S. Automated quality compliance system
US7640506B2 (en) * 2003-06-27 2009-12-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nd managing collaboration data from within the context of a shared document
CN1299482C (zh) * 2003-11-13 2007-02-07 上海交通大学 工业设备网络化监控协同终端及终端间协同访问实现方法
FR2868559B1 (fr) * 2004-04-01 2006-07-14 Airbus France Sas Systeme de gestion de production et procede d'alerte correspondant
US7483898B2 (en) * 2004-06-14 2009-01-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ting a network
TWI317909B (en) * 2004-09-10 2009-12-01 Hon Hai Prec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ould production scheduling
EP1926041A1 (en) * 2006-11-24 2008-05-28 Quadrat Configurable workflow and task management method
JP2009032080A (ja) * 2007-07-27 2009-02-12 Ricoh Co Ltd 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8108777B2 (en) 2008-08-11 2012-01-31 Microsoft Corporation Sections of a presentation having user-definable properties
JP5430913B2 (ja) * 2008-11-26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標準作業時間計算装置、標準作業時間管理システム、標準作業時間計算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659260B2 (en) 2011-03-15 2017-05-23 Dan Caligor Calendar based task and tim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959329B2 (en) 2013-07-03 2018-05-01 Sap Se Unified master report generator
CN103617155A (zh) * 2013-12-13 2014-03-05 苏州利驰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web下dwg文件的在线批注方法及系统
CN107450441A (zh) * 2017-08-25 2017-12-08 国家电网公司 变电站接入方法和系统
JP7257225B2 (ja) * 2019-04-05 2023-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作業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及び作業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6282A4 (en) * 1993-02-08 1997-07-02 Action Tech In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PROCESS AND APPARATUS
JPH0855156A (ja) * 1994-07-12 1996-02-2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工程安全管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692125A (en) * 1995-05-09 1997-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linked events with fixed and dynamic conditions
US5999911A (en) * 1995-06-02 1999-12-07 Mentor Graph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orkflow
JPH09512377A (ja) * 1995-08-18 1997-12-09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プロセスおよびプロジェクト管理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用の方法および装置
JP3540494B2 (ja) * 1996-03-15 2004-07-07 株式会社東芝 協同作業調整装置及び協同作業調整方法
US6006195A (en) * 1996-04-26 1999-12-21 Workgroup Technology Corporation Product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egrated process and data management
JPH1063751A (ja) * 1996-08-14 1998-03-06 Fuji Xerox Co Ltd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作業分割方法
JPH10269302A (ja) * 1997-03-27 1998-10-09 Fujitsu Ltd ワークフロー制御システム及びワークフロー制御方法
US6212549B1 (en) * 1997-10-06 2001-04-03 Nexprise, Inc. Trackpoint-base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llaborative project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US6009406A (en) * 1997-12-05 1999-12-28 Square D Company Methodology and computer-based tools for re-engineering a custom-engineered product line
JPH11306244A (ja) * 1998-04-16 1999-11-05 Hitachi Ltd 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6334146B1 (en) * 1998-06-05 2001-12-25 I2 Technologies U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data
US6101480A (en) * 1998-06-19 2000-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Electronic calendar with group scheduling and automated scheduling techniques for coordinating conflicting schedules
FI112883B (fi) * 1999-04-06 2004-01-30 Kronodoc Oy Tiedonhallintamekanismi projektisuunnittelua varten
KR20020034551A (ko) * 2000-11-02 2002-05-09 이상훈 협동 작업 지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51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3265B (en) 2004-01-21
CN1353372A (zh) 2002-06-12
KR100500622B1 (ko) 2005-07-12
JP2002149754A (ja) 2002-05-24
EP1209595A3 (en) 2004-03-03
US20020065704A1 (en) 2002-05-30
EP1209595A2 (en) 2002-05-29
SG113396A1 (en)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622B1 (ko)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방법
US6539399B1 (en) Stand alone data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ating sheet metal part production
JP3323105B2 (ja) 行為実行管理装置およびその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8217719A (ja)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担当者端末、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の進捗管理方法、管理サーバの進捗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の進捗管理プログラム
JP5614843B2 (ja) ソフトウェア設計・運用統合管理システム
JP2010128916A (ja) 作業内容分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作業内容分析システム
US6141665A (en) Model-based job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530173B2 (ja) 組織構造管理ディレクトリを備えたディレクトリ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1459460B (zh) 一种业务数据处理方法及系统
JP2003208501A (ja) ビジネスプロセス定義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41640A (ja) ドキュメント作成支援・管理システム及びドキュメント作成支援・管理方法及びドキュメント作成支援・管理プログラム
JP2009276904A (ja)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プロジェク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H10105540A (ja) 作業手順管理システム
JP2005190309A (ja) 工事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
JP2009069876A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ワークフロ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89593B2 (ja) 構成管理システム
JP2001076045A (ja) 業務フロー図作成支援装置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H1083420A (ja) モデルベースの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407273A (zh) 基于wcf协议的mes系统用户界面多国语言切换方法及系统
JP2006285473A (ja)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
JP2009169628A (ja) 監視制御システムの構築装置、構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77353A (ja) 更新システム
JP6626327B2 (ja) ガントチャート生成プログラム、ガントチャート生成装置、および、ガントチャート生成方法
JP3736467B2 (ja) ケーブル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JP2004118354A (ja) 文書管理システムと文書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