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945A -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945A
KR20020026945A KR1020027000367A KR20027000367A KR20020026945A KR 20020026945 A KR20020026945 A KR 20020026945A KR 1020027000367 A KR1020027000367 A KR 1020027000367A KR 20027000367 A KR20027000367 A KR 20027000367A KR 20020026945 A KR20020026945 A KR 20020026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akage preventing
preventing agent
leak
agen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유지
이구치츠토무
야마우치유지
구로다야스오
하야시무네유키
야하기치에코
다무라와카코
야마사키다케미치
Original Assignee
다께다 가즈히꼬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01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267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55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319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059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151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7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399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523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52131A/ja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 가즈히꼬,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다 가즈히꼬
Publication of KR2002002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2Materials for stopping leaks, e.g. in radiators, in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시공의 품이 들지 않으며 건물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누수 부분을 막는 능력이 우수한 누수 방지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는, (a) 흡수성 고분자, (b) 탄소수 2 이상의 반복 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며, 임의 성분으로서 흡수성 고분자의 겔화제 및/또는 보존안정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는 이것을 스폰지 형상 물질,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 등에 도포 또는 함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Water leakage preventive agent, water leakage preventive material made with the same, and method of preventing water leakage}
지붕, 바닥 또는 벽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막기 위해서는, 누수의 원인이 되는 구멍, 크랙 또는 간극과 같은 누수 침투 부분에 씰링제를 도포하거나 충진하든지, 혹은 누수 침투 부분이 분명치 않은 경우에는 지붕 전체를 다시 깔거나 방수시트를 완전히 새로 바르거나, 벽면에 대해서는 전면 스프레이 도장을 하거나 전면에 타일을 새로 붙여야만 한다. 대부분의 경우 누수 침투 부분을 특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간단한 씰링재의 도포 또는 충전만으로는 보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빗물 누수에 대한 보상기간은 5 내지 10 년으로 장기간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상기간내에는 건축업자가, 보상기간 만료후에는 건축업자 또는 집주인이 각각 많은 액수의 비용을 여지없이 부담하게 된다.
콘크리트 건물의 경우, 콘크리트 접합부에 아스팔트나 우레탄의 방수 조인트가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시공시 접합면이 젖어 있거나 축축하면, 콘크리트에 대한 아스팔트나 우레탄의 밀착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방수 조인트로서의 누수 저지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 때문에, 이들 방수 조인트의 시공시에는 접합면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실시하여야 한다. 또, 접합면의 건조가 일부 불완전하면 그 곳이 누수의 원인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공고 평7-96672호에는 고흡수성 중합체 및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을 물과 혼합한 산포용 빗물 누수 방지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누수가 발생한 부분에 이 산포용 빗물 누수 방지제를 산포하고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크랙을 씰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누수 방지제는 물에 직접 고흡수성 중합체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누수 방지제의 점도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종종 높은 점도를 나타내므로 크랙 등과 같은 누수 부분에 충분히 침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WO99/29798호에는, 겔화성 수지, 및 이 겔화제를 주성분으로 한 침투성 방수제, 및 이것을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킨 누수 방지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침투성 방수제는 방수효과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점도조절이나 겔 상태의 경시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종종 발생하여, 그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점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경시안정성이 우수한누수 방지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방수 성능을 갖는 누수 방지제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의 원인이 되는 크랙 또는 구멍에 침투하여 그 간극을 메움으로써 누수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제, 이를 함유하는 누수 방지재, 및 건물의 지붕, 바닥 또는 벽면에 이 누수 방지제를 산포 또는 주입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콘크리트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한 것의 한 쪽을 나타낸다.
도 3 은, 이등분된 도 1의 콘크리트 용기 두 쪽을 결합하고 철사로 고정한 누수 시험용 용기를 나타낸다.
도 4 는, 방수 조인트상에 침투성 방수제용 주입구를 설치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는 각각 하기한 의미를 나타낸다.
1 : 콘크리트 용기
2 : 이음매
3 : 철사
4 : 누수 방지제용 주입구
5 : 단열재 고정(holding) 콘크리트
6 : 발포 스티렌 단열재
7 : 철근 슬라브 콘크리트
8 : 아스팔트 방수 조인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수성 고분자((a) 성분)에는 다른 성분과 함께 입자 상태로 누수 침투 부분에 침투한 후, 흡수 및 팽윤하여 구멍, 크랙 또는 간극과 같은 같은 누수 침투 부분을 막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흡수성 고분자는, 비교적 단시간에 흡수 및 팽윤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합성 고분자, 천연 고분자 또는 반합성 고분자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가교형이어도 비가교형이어도 무관하다. 또, 이들 흡수성 고분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적절히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교형과 비가교형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흡수성 고분자는 흡수하여 수 배 내지 수십 배까지 팽윤하는 비교적 팽윤 정도가 작은 것부터, 최대로는 자체 중량의 수십 배부터 수백 배 정도까지 팽윤할 수 있는 고흡수성 중합체로서 알려진 물질까지 어느 것이든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고흡수성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 (메트)아크릴산나트륨-비닐알콜 공중합체((메트)아크릴산메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검화물),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검화물,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 유도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알칼리 금속염 등과 같은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 나트륨염 또는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과 같은 알긴산 유도체;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염, 전분 인산 에스테르 나트륨염 또는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전분 유도체; N-비닐아세트아미드 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등과 같은 폴리비닐알콜 유도체 등과 같은 (반)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이들 고흡수성 중합체 중 폴리(메트)아크릴산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폴리(메트)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알칼리 금속염)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반)합성 고분자」란 용어는 합성 고분자 또는 반합성 고분자 모두를 나타낸다. 또, 「(메트)아크릴산」과 같은 용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모두를 나타낸다.
또, 상기한 것에 비하면 팽윤 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지만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고분자로는 천연 고분자인, 구아 검,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칼륨, 곤약, 한천, 청각채(후노리), 젤라틴 및 아교 등을 들 수 있고,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또는 구아 검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한 고흡수성 중합체와 병용하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특히, 상기 고흡수성 (반)합성 고분자 1 종 이상과 흡수성 천연 고분자 1 종 이상을 병용하면, 해수와 같이 무기염을 다량 함유하는 물을 방수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있다. (반)합성 고분자와 천연 고분자를 병용하는 경우, 각각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반)합성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아크릴산이, 천연 고분자로는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또는 구아 검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양자의 혼합비율은 (반)합성 고분자 100 부에 대하여 통상 20∼1000 부, 바람직하게는 50∼500 부이다.
이들 흡수성 고분자는 분산매 중에 거의 또는 그다지 팽윤되지 않는 상태로 분산되고 그 상태로 누수 부분에 운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입도가 그다지 크지 않고 분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경은 0.1∼700μ, 바람직하게는 1∼200μ,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0μ정도이다.
흡수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분산매 100 부에 대하여 통상 0.1∼35 부, 바람직하게는 0.4∼10 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들 흡수성 고분자가 「팽윤되지 않은 상태로 분산되어 있다」는 것은, 약간의 팽윤이 일어나더라도 팽윤 정도가 분산매 중에 분산된 입자의 분산상태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정도인 경우에는 이들도 포함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정도의 팽윤은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저해하지 않아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보면, 실질적으로 팽윤되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에 있어서 필수 분산매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2 이상의반복단위를 가진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b)성분)는, 흡수성 고분자의 팽윤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의 점도를 낮게 유지함과 동시에, 누수 방지제가 누수통로에 유입 또는 침투될 때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미팽윤 상태에서 흡수성 고분자를 흡수통로로 운반하는 역할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는 작은 크랙에 대해서도 순조롭게 침투한다. 그 결과, 빗물 등으로 누수 부분에 침투된 수분에 의해 흡수성 고분자가 팽윤함으로써 누수 부분을 막아 우수한 누수 방지 효과를 달성한다.
탄소수 2 이상의 반복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는 통상 그 반복단위가 수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정도인 것이 사용되며, 상한은 사용되는 알킬린 글리콜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통상 1000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정도이다. 이들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량 1000 이상의 계면활성효과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알킬렌 글리콜에서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통상 2 이상이고 10 이하 정도인 것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2∼4 정도인 것이다. 사용할 수 있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파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다가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고급 알콜아민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유지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등과 같은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 중합물 등과 같은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틸렌 글리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부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는 탄소수 2 이상의 반복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필수로 하는 분산매 중에 흡수성 고분자를 교반하면서 가하여, 흡수성 고분자를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액체이고 점도가 높지 않을 때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만 사용할 수 있지만,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점성 액체 또는 왁스와 같은 고체일 경우에는 물을 가하여 물과의 혼합 분산매로 하여 점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산매 중에서의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와 물과의 혼합비율은 사용하는 알킬렌 유도체의 종류 및 분산되는 흡수성 고분자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혼합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의 점도를 적당한 범위로 조정하여, 분산매 중에 분산시킨 흡수성 고분자의 흡수 팽윤이 일어나지 않고 분산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흡수성 고분자의 흡수 팽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알킬렌 유도체의 농도가 사용하는 알킬렌 유도체에 따라 각각 특정 수준 이상의 농도이어야 하며, 그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알킬렌 유도체에 대한 여러 농도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그 중에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키는 등의 간단한 예비 시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농도는 분산매 전체에 대하여 15 질량%(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동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며, 35 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가 물을 함유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어 흡수성 고분자를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할 수 있다. 수득되는 누수 방지제의 점도는 3000 cP 이하가 바람직하므로,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수용액을 조제할 때에, 그렇게 되도록 물의 배합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cP 이하이고, 점도는 유동성 측면에서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낮으면 흡수성 고분자의 흡수 팽윤이 일어나므로 200 cP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cP 이상이다.
상기와 다른 순서로 제조한 경우는, 흡수성 고분자의 팽윤이나 용해가 일어나 매우 점성인 액체가 되기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수용액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조제될 수 있지만, 통상 물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가하고,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용해시켜 해당 수용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수성 고분자의 겔화제((c) 성분) 및/또는 유기물 분해방지제 ((d) 성분)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고분자의 겔화제((c)성분)(이하, 간단히 겔화제라 한다)는, 해당 흡수성 고분자가 물을 흡수하여 팽윤 또는 용해되었을 때, 흡수성 고분자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흡수성 고분자를 겔화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 수중에서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수중에서 양이온 교환능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겔화제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는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 또는 팽윤시키고 테스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는지 어떤 지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즉,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면 겔화능을 갖는 것이고, 상승이 일어나지 않으면 겔화능을 갖지 않는 것이 된다.
겔화제((c)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겔화능을 갖는 정도로 금속 이온을 수중에서 생성시키는 다가 금속 실리케이트, 수용성 알칼리 토금속염, 명반, 수용성 알루미늄염, 수용성 철염, 수용성 망간염, 수용성 아연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실리케이트로서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등이고,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스멕타이트(smectite) 등과 같은 Ca-형 실리케이트(규산염 광물)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스멕타이트 등의 Ca형이란 칼슘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것을 의미하며, 이들 실리케이트 중의 칼슘 함량을 CaO로 환산한 경우,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스멕타이트 등의 총중량에 대한 중량 비율로 1∼2% 정도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알칼리 토금속염으로는, 탄소수 1∼3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무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칼슘, 염화칼슘, 질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이고, 명반으로는 알루미늄칼륨명반, 철명반 등을 들수 있으며, 수용성 알루미늄염으로는 락트산알루미늄, 아세트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질산알루미늄 등이고, 수용성 철염으로는, 아세트산철, 염화철, 황산철, 질산철 등이고, 수용성 망간염으로는 아세트산망간, 염화망간, 황산망간 등이며, 수용성 아연염으로는 아세트산아연, 염화아연, 질산아연, 황산아연이고,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아세트산망간, 아세트산칼슘, 락트산알루미늄, 아세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겔화제의 배합량은 흡수성 수지 100 부(질량부: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동일)에 대하여 0∼4000 부, 바람직하게는 20∼3000 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0 부 정도이다.
이들 겔화제에 의해 생성된 겔은 물에 대하여 불용성이기 때문에, 구멍, 크랙 또는 간극과 같은 누수 침투 부분을 막은 겔은 다시 물에 용해되어 유실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고분자가 물에 용해되지 않고 물을 흡수하고 팽윤하여 그 자체로 겔화되는 경우에는 겔화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에 보존안정제((d) 성분)를 사용하면 누수 방지제의 점도변화가 억제되어 보존안정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보존안정제로는 누수 방지제의 점도변화 등과 같은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가 보존하는 동안 점도변화 등과 같은 변질을 일으키는 원인으로서는, 자외선의 흡수, 산화 또는 균이나 곰팡이에 의해 누수 방지제중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은 적어도 상기 보존안정제로서 유효하다.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살리실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안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디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구연산 이소프로필, α-토코페롤,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산(nordihydroguaiaretic acd) 및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항균 및 항곰팡이제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벤조산나트륨,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프로피온산나트륨, p-옥시벤조산이소부틸, p-옥시벤조산이소프로필, p-옥시벤조산에틸, p-옥시벤조산부틸, p-옥시벤조산프로필, o-페닐페놀, 티아벤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누수 방지제의 점도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안정제의 배합량은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b)성분) 100 부에 대하여 통상 0.01∼5 부, 바람직하게는 0.1∼2 부이다.
이들 (c) 성분이나 (d) 성분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의 제조는, 이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준하여 조제된,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킨 분산액에, (c) 성분 및/또는 (d)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누수 방지제의 점도가 3000 cP 이하가 되도록 물을 첨가할 수 있지만, 물을 과잉으로 첨가하면 흡수성 고분자가 흡수팽윤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에 필요하다면 누수 부분의 방수능 더욱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 섬유상 물질 또는 인편상(scale) 물질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 섬유상 물질 또는 인편상 물질은 유기물 분체, 무기물 분체, 유기물 섬유, 무기물 섬유 등 어느 것일 수 있지만, 무기물 분체와 같이 산소, 빛, 미생물 등에 의한 변질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상 물질의 경우 입자경은 0.001㎛∼1㎜로 폭넓고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상 물질의 경우 섬유길이 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편상 물질의 경우 직경 0.5∼3㎜ 정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졸, 실리카 분말, 로진(rosin) 분말, 수지 입자, 점토, 목분, 펄프섬유, 섬유상 산화아연, 버뮬라이트(bermulite), 펄라이트(pearlite),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광범위한 입도 분포를 가질 수 있는 조합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 섬유상 물질 또는 인편상 물질의 배합량은 (b) 성분 100 부에 대하여 통상 1∼20 부이다. 또한,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로서 실리카졸을 사용하는 경우, 고형분 환산으로 상기한 범위가 되는 양을 사용한다. 또, 이들 수불용성 분말상 물질, 섬유상 물질 또는 인편상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a)∼(d) 성분의 혼합이 종료된 후 이들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의 바람직한 조성은 하기와 같다. 또한, 각 성분의 비율은 침투성 방수제 전체에 대한 질량% 이다.
(1)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99%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2) 흡수성 고분자: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3) 흡수성 고분자의 겔화제: 0% 내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4) 보존안정제: 0%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4%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5) 그 밖의 첨가제, 0% 이상이고,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6) 물 : 잔량
이렇게 하여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의 사용방법으로서는, 누수침투구를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침투구 부근에 산포하거나 주입구를 설치하여 주입하면 된다. 누수 침투 부분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누수되는 지붕, 바닥 또는 벽 전면에 균일하게 산포하거나 주입구를 설치하여 주입하면 된다. 이 때, 지붕, 바닥 또는 벽을 전면적으로 도포할 필요는 전혀 없다.
주입구의 역할은 건물 본체 표면에 직접 누수 방지제가 도달할 수 있도록 건물 표면으로부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누수 방지제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누수 방지제가 누수 부분에 도달할 수 있으며, 주입구 및 주입통로의 형상 및 크기는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지만, 주입구를 크랙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구를 설치할 때는 천공 피치나 천공 각도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본체의 크랙 심부에서 천공 구멍이 크랙을 교대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본체내에 충분히 누수 방지제를 주입할 수 있어 확실하게 누수 부분을 막을 수 있다.
천공 피치는 콘크리트 등의 본체 두께에 따라 결정되지만, 본체 두께가 120∼40 ㎝인 경우, 25∼40 ㎝의 피치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의 두께가 40 ㎝ 이하인 경우는 직접 크랙의 바로 위에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랙의 폭이 넓은 경우는 주입할 때 흘러나오는 누수 방지제의 양이 많으므로 천공 피치를 10∼20 ㎝ 정도로 짧게 하여 급결 시멘트(quick-solidifying cement)로 크랙을 매우거나 에폭시 수지로 크랙을 봉한 후 누수 방지제를 주입할 수도 있다.
건물 외벽의 경우, 콘크리트 본체의 벽체에 통상은 아스팔트 방수 조인트가 이루어지며, 그 위에 장식용 판이나 타일이 붙어 있다. 이 경우에도 방수 조인트에 직접 누수 방지제가 도달할 수 있도록 천공하여 주입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구는 장식용 판이나 타일의 조인트 부분을 절결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방수 조인트와 콘크리트 간극에 생긴 크랙에 누수 방지제가 침투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이 지하 매설물인 경우, 누수는 통상 지하수에 기인하므로, 지하 매설물의 외측 접합부분의 조인트에 누수 방지제가 도달할 수 있도록 천공하여 주입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지붕은 철근 콘크리트의 평지붕이며, 이것은 통상 콘크리트 방수 조인트가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및 코팅 방수 등과 같은 멤브레인 방수와 조합되어 있는데, 방수층 상에서 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바닥은 콘크리트를 쳐 넣은 바닥이고, 그 위에 몰타르, 도료 또는 시트 등이 덮여 있어도 문제가 없으며, 그 위에서 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벽은 시멘트 몰타르 벽, 아크릴 리신 벽, 타일 벽, 연와 벽, 콘크리트를 쳐 넣은 벽 등이다.
또,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는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 등에 도포 또는 함침시켜 누수 방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누수 방지제의 점도나 유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적으므로, 상기 각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누수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성분의 혼합순서는 임의적이다. 누수 방지제를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 등에 도포 또는 함침시키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든 가능하지만, 미리 도포기를 사용하여 도포한 다음 건조시킬 수도 있거나, 콘크리트에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를 설치한 후 누수 방지제를 도포 또는 함침시킬 수도 있다.
누수 방지제를 도포 또는 함침시키는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는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가능하고, 누수 방지제를 보유 또는 함침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누수 방지제에 의해 신속하게 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름이나 시트 자체의 재질은 내수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고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줄, 로프, 천 및 부직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침투성 방수제로 젖기 쉬운 것이 함침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로서는, 마 로프, 면 로프, 폴리에스테르 로프, 면직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레이온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종이는 젖더라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재의 사용방법으로서는, 누수침투구를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침투구 부근에 누수 방지재를 설치하면 된다. 누수 침투 부분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누수되는 지붕, 바닥 또는 벽 등에 누수 방지재를 광범위하게 설치하면 된다. 이 때, 지붕, 바닥 또는 벽 등에 전면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전혀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재를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에 의해 흡수성 고분자의 팽윤과 겔화 반응(겔화제가 함유되는 경우)이 억제된다. 그러나, 빗물 등의 누수에 의해 흡수성 고분자의 팽윤이 진행하고, 또한 겔화제가 있는 경우, 이것과의 반응에 의해 그 부분에서 겔이 형성된다.
즉, 누수되기 쉬운 이음부 또는 접합부에 충분한 양의 흡수성 고분자를 함침시킨 스폰지 형상 물질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성 고분자의 팽윤(및 겔화)에 의해 누수 부분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재를 제조할 수 있는데, 누수 방지제를 미리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킨 것을 건조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누수 부분에 스폰지 형상 물질을 미리 설치한 후 누수 방지제를 함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폰지 형상 물질은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우레탄 스폰지와 같은 우레탄 발포체, 실리콘 스폰지와 같은 실리콘 발포체, 합성고무 스폰지와 같은 합성고무 발포체, 셀룰로오즈 스폰지와 같은 셀룰로오즈 스폰지이다.
이들 스폰지 형상 물질에 누수 방지제를 함침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스폰지 형상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압축 상태로 누수 방지제 중에 침지하고, 원래 대로 압축을 풀면 스폰지 형상 물질로 누수 방지제가 신속하게 들어간다.
또한, 도포기 또는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누수 방지제를 스폰지 형상 물질에 도포하여 함침시킬 수도 있다.
건물 부재 접합면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함침시킨 스폰지 형상 물질을 설치하고, 부재들을 통상의 수단으로 접합하면 된다. 이 경우, 접합면이 젖어 있거나 축축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접합면의 부재들을 누수 방지재의 두께보다도 짧은 거리까지 근접시켜 누수 방지재를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재는 압축됨으로써 접합면의 요철이 합치되어(fit) 간극이 없는 방수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재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3 ㎝가 실용적이다.
또, 이와 같은 경우 미리 조제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재 대신에 스폰지 형상 물질을 사용하여 조인트를 형성한 후, 누수 방지제를 함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지붕은 철근 콘크리트의 평지붕이며, 이것은 통상 콘크리트 방수 조인트가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및 코팅 방수 등과 같은 멤브레인 방수와 조합되어 있는데, 방수 조인트에 본 발명의 누수 방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옥상의 경우, 보행에 의한 마모 방지와 빛에 의한 표면 악화 방지를 위해 아스팔트, 몰타르 또는 탄성 씰링재로 조인트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방수재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바닥은 콘크리트를 쳐 넣은 바닥이며, 콘크리트 접합부 또는 이음부에 본 발명의 누수 방수재를 방수 조인트로 사용할 수 있는데, 방수 조인트를 몰타르로 덮는 방법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이음부란 경화된 콘크리트 또는 경화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접하여 새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고 경화시킴으로써 생성된 경계면을 가리키며, 누수 부분이 되기 쉽다.
본 발명의 누수 방수재를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벽체는 콘크리트 벽이며, 콘크리트들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도 접합 조인트 표면을 아스팔트, 몰타르 또는 탄성 씰링재로 덮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A1
(1)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500g
(3)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3)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분산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1030 cP 이었다.
한편, (2)의 물에 (3)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경우에는,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별도로,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Katei Cement, Tokyo Sun Home KK사제) 2.6㎏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6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한 후(도 2) 다시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로 만든 후 용기에 물을 주입하였지만, 물은 이음매로부터 곧바로 누출되었다. 이 용기에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후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A2
(1)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1300∼1600)
(2) 물 500g
(3)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3)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분산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540 cP 이었다.
한편, (2)의 물에 (3)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가한 경우에는,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별도로, 실시예 A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다음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A3
(1)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500g
(3)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15.5g
(상품명: CMC Daicel, Daicel Chem. Ind.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3)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분산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1030 cP 이었다.
한편, (2)의 물에 (3)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경우에는,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별도로, 실시예 A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다음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B1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1540 cP 이었다.
한편, (2)의 물에 (4)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다음, 추가로 (3)의 겔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2)의 물에 (3)의 겔화제를 가하고, (4)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한 다음, 추가로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경우에도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별도로,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Katei Cement, Tokyo Sun Home KK사제) 1.0㎏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2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한 후(도 2) 다시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로 만든 후 용기에 물을 주입하였지만, 물은 이음매로부터 곧바로 누출되었다. 이 용기에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후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B2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락트산 알루미늄 8g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1350 cP 이었다.
한편, (2)의 물에 (4)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하고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다음, 추가로 (3)의 겔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2)의 물에 (3)의 겔화제를 가하고, (4)의 흡수성 고분자를 가한 다음, 추가로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한 경우에도 점도가 현저히 높아져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별도로, 실시예 B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후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B3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8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1)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4-2)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2.5g
(상품명: Metholose, Shinetsu Chem. Ind.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1)과 (4-2)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970 cP 이었다.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Aso Katei Cement, Aso Cement KK사제) 3.0㎏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8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한 후(도 2)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로 만든 후 용기에 물을 주입하였지만, 물은 이음매로부터 곧바로 누출되었다. 이 용기의 내측에 브러쉬로 상기한 누수 방지제 20g을 도포하였다. 1 시간후에 물을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물을 가득 찰 때까지 채웠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C1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소르빈산(항곰팡이제) 0.5g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A 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A 용액에 (5)의 항곰팡이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서 B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A 용액 및 B 용액 모두 1540 cP 이었다.
상기 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A 용액을 실온에서 3 개월간 보존한 결과, 상층부에 곰팡이로 예상되는 검은 반점형상의 물질이 생성되었고 430 cP로 점도가 저하되었다. 한편,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B 용액은 실온에서 3 개월간 보존하였지만 외관상 이상이 없었고 점도도 1580 cP이었다.
별도로 실시예 B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상기 B 용액)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후 물을 가득 찰 때까지 부었더니,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B 용액으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C2
(1) 폴리에틸렌 글리콜 7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락트산 알루미늄 10g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디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산화방지제) 0.3g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용해시켜 C 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C 용액에 (5)의 산화방지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서 D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C 용액 및 D 용액 모두 870 cP 이었다.
별도로,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Katei Cement, Tokyo Sun Home KK사제) 1.0㎏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2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하고(도 2), 크랙의 저부를 추가로 절결한 후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한 바, 이음매 저부의 간극 폭이 0.4∼2㎜이었다. 다시 용기를 분할된 상태로 한 후 이 용기의 이음매에 부직포(상품명: Vencot, Asahi Kasei KK 사제) 0.85g을 끼우고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형태로 되돌린 후 물을 주입한 결과, 용기의 이음매로부터 물이 즉시 유출되었다. 다시 용기를 분할된 상태로 한 후, 이 용기의 이음매 내측에, 부직포(상품명: Vencot, Asahi Kasei KK 사제) 0.85g에 상기 D 용액 5g을 함침시킨 것을 부착하여 도 3의 형태로 되돌렸다. 1 시간후에 물을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30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5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5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한 C 용액과 D 용액 두 종류를 각각 함침시킨 부직포를 밀봉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였다. 3 개월후, C 용액을 함침한 부직포는 끈적끈적한 상태로 되어 시공성이 나빠졌다. 한편, 본 발명의 D 용액을 함침시킨 부직포는 함침후에도 건조시켰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여 시공에도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C3
(1) 폴리에틸렌 글리콜 6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스멕타이트 20g
(상품명 : Smecton, Kunimine Ind. KK사제)
(4-1)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4-2)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0.3g
(상품명: Metholose, Shinetsu Chem. Ind. KK사제)
(5) 2,4-디하이드록시 벤조페논(자외선 흡수제) 0.2g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1), (4-2)의 순서로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용해시켜 E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E 용액에 (5)의 자외선흡수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로서 F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E 용액 및 F 용액 모두 1070 cP 이었다.
상기한 E 용액과 F 용액을 각각 유리 용기에 넣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에서 3 개월간 보존하였다. 그 결과, E 용액은 분리되었고 점도는 640 cP로 저하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F 용액은 외관상 이상이 없고 점도도 1130 cP이었다.
별도로,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Katei Cement, Tokyo Sun Home KK사제) 1.0㎏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2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하고(도 2), 크랙의 저부를 추가로 절결한 후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한 바, 이음매 저부의 간극 폭은 2∼3㎜이었다. 상기한 F 용액을 길이 40 ㎝, 폭 3 ㎝, 두께 16 미크론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 Toyobo Ester Film, Toyo Boseki KK사제)의 친수성 처리면에 두께 약 0.5㎜로 도포한 후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용기 내부의 이음매 상에 붙였다. 용기는 3 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건조시킨 후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5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C4
(1) 폴리에틸렌 글리콜 8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아세트산마그네슘 12g
(시약: Wako Junyaku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2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디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산화방지제) 0.3g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와 (5)의 산화방지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이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1140 cP 이었다.
별도로 실시예 B3과 동일한 콘크리트 용기 내측에 브러쉬를 사용하여 상기 누수 방지제 20g을 도포하였다. 1 시간 후에 물을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D1
3 층 철근 콘크리트 평지붕의 옥상 부분에서 누수가 있었다. 이 건물의 옥상 부분은 철근 슬라브 콘크리트에 아스팔트 방수 조인트가 시공되어 있고, 그 위에 발포 스티렌 단열재(두께 4 ㎝)와 단열재 고정 콘크리트(두께 7 ㎝)가 시공되어 있었다(도 4). 누수 부분에 단열재 고정 콘크리트로부터 단열재를 관통하여 슬라브 콘크리트의 아스팔트 방수 조인트에 이르는 누수 방지제 주입구(폭 1 ㎝ x 길이 1 ㎝ x 깊이 11 ㎝)를 설치하고, 실시예 B3과 동일한 조성의 누수 방지제 1㎏을 주입한 후, 물 20ℓ를 주입하였다. 3 일후 비가 내렸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실시예 D2
철근 콘크리트 건물 지하통로 벽에서 누수가 있었다. 이 건물의 벽부분은 무너짐 방지벽 내측에 철근 슬라브 콘크리트가 쳐 있고 그 표면에 코팅 방수가 시공되어 있었다.
그 벽면에 누수 방지제 주입구를 크랙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하고 실시예 C4에서 수득한 것과 동일한 조성의 누수 방지제 1㎏을 고압하에 주입하였다. 시공후 3 일간 비가 계속 내렸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실시예 E1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gel, Hojun Kogyo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별도로, 시판되는 모래배합 시멘트(상품명: Aso Katei Cement, Aso Cement KK사제) 3.0㎏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800g을 가하여 잘 혼련한 후, 형틀에 넣고 도 1의 형상물로 고형화시켰다.
이 콘크리트 용기를 이등분하고(도 2), 크랙의 저부를 추가로 절결한 다음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한 바, 이음매 저부의 간극 폭은 1.8∼1.1 ㎝이었다. 다시 용기를 분할된 상태로 한 후 이음매 측부의 내면에 유성 코킹재(oily coking material)(상품명: Polycoke, Cemedyne KK사제)를 시공하고, 이 용기 저부의 이음매에 실리콘 스폰지(단면 2.5 x 2.5 ㎝ x 길이 12 ㎝, 밀도: 0.35g/㎤)를 끼운 다음,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형태로 되돌린 후 물을 주입한 결과, 용기의 이음매로부터 물이 곧바로 유출되었다. 용기로부터 물을 빼내고, 상기 누수 방지제 30g을 넣어 실리콘 스폰지에 함침시켰다. 1 시간후에 물을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그대로 방치하고 24 시간 후에 용기 저부를 관찰하였지만, 누수의 흔적은 없었다.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E2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30g
(3) 스멕타이트 30g
(상품명 : Synthetic smectite, Cope Chem. KK사제)
(4-1)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8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4-2) 폴리비닐 알콜 0.5g
(상품명: RS-117, KK Kurare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1)과 (4-2)의 흡수성 고분자를 소량씩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우레탄 스폰지(단면 2.5 x 2.5 ㎝ x 길이 12 ㎝, 밀도: 0.25g/㎤)에 상기 누수 방지제 12g을 함침시킨 후, 50 ℃ 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재를 수득하였다.
별도로 실시예 E1과 동일하게 하여 이음매 저부의 간극 폭이 1.6∼0.8 ㎝인 콘크리트 용기를 준비하고, 다시 용기를 분할한 상태로 한 후, 이 용기의 저부 이음매에 상기 방수 방지재를 설치하고, 이음매 측부의 내면에 유성 코킹재(상품명 : Polycoke, Cemedyne KK사제)를 도포한 후 용기를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로 되돌린 후 물을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그대로 방치하고 24 시간후에 용기 저부를 관찰하였지만 누수의 흔적은 없었다.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E3
실시예 E1에서, 누수 방지제에 추가로 디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산화방지제)0.4g을 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E1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실시예 E1과 동일하게 하여 성분 (1)∼(4)를 혼합한 후에 첨가하였다.
별도로, 실시예 E1과 동일하게 하여 이음매 저부의 간극 폭이 1.8∼1.1 ㎝인 콘크리트 용기를 준비하고, 이 이음매에 실리콘 스폰지(단면 2.5 x 2.5 ㎝ x 길이 12 ㎝, 밀도: 0.35g/㎤)를 끼운 다음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고, 용기에 상기 조성물 30g을 넣어 실리콘 스폰지에 함침시켰다. 1 시간후에 물을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그대로 방치하고 24 시간후에 용기 저부를 관찰하였지만 누수의 흔적은 없었다.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E4
실시예 E2에서 누수 방지제에 추가로 2,4-디하이드록시 벤조페논(자외선 흡수제) 0.3g을 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E2와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자외선흡수제는 실시예 E2와 동일하게 하여 성분 (1)∼(4-2)를 혼합한 후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E2와 동일한 우레탄 스폰지에 상기 조성물 12g을 함침시킨 후 50 ℃ 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재를 수득하였다.
별도로, 실시예 E2와 동일한 콘크리트 용기를 준비하고, 다시 용기를 분할한 상태로 한 후, 이 용기의 저부 이음매에 상기 누수 방지재를 설치하고, 이음매 측부의 내면에 유성 코킹재(상품명: Polycoke, Cemedyne KK사제)를 도포한 후 용기를 결합하고 철사로 보강하여 도 3의 상태로 되돌린 후 물을 주입하였지만, 누수되지 않았다. 그대로 방치하고 24 시간후에 용기 저부를 관찰하였지만 누수의 흔적은 없었다.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용기를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다시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었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F1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알긴산 나트륨 2.5g
(상품명: Kimitsu algine, Kimitsu Chem. Ind. KK사제)
(6) 실리카졸(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 30g
(상품명: Snowtex30, 고형분 30중량%, Nissan Chem. Ind. KK사제)
(7) 소르빈산(항곰팡이제) 0.5g
(시약: Junyaku Ind.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 및 (5)의 흡수성 고분자를 차례로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추가로 (6)의 실리카졸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A 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A 용액에 (7)의 항곰팡이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로서 B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A 용액 및 B 용액 모두 1540 cP 이었다.
상기 A 용액을 실온에서 2 주간 보존한 결과, 상층부에 곰팡이로 예상되는 검은 반점형상의 물질이 생성되었고 780 cP로 점도가 저하되었다. 한편, B 용액은 실온에서 3 개월간 보존하였지만 외관상 이상이 없었고 점도도 1580 cP이었다.
별도로, 실시예 B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상기 B 용액)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다음 3% 식염수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B 용액으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F2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구아 검 2.5g
(상품명: Guar gum, Organo KK사제)
(6) 실리카졸(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 30g
(상품명: Snowtex30, 고형분 30중량%, Nissan Chem. Ind. KK사제)
(7) o-페닐페놀(항곰팡이제) 0.5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 및 (5)의 흡수성 고분자를 차례로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이어 (6)의 실리카졸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A 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A 용액에 (7)의 항곰팡이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로서 B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A 용액 및 B 용액 모두 1280 cP 이었다.
상기 A 용액을 실온에서 2 주간 보존한 결과, 상층부에 곰팡이로 예상되는 검은 반점형상의 물질이 생성되었고 840 cP로 점도가 저하되었으며, 냄새가 났다. 한편, B 용액은 실온에서 3 개월간 보존하였지만 외관상 이상이 없었고 점도도 1350 cP이었다.
별도로, 실시예 B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상기 B 용액)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후 3% 식염수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B 용액으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F3
(1)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분자량 7400∼9000)
(2) 물 100g
(3) 벤토나이트 25g
(상품명: Benclay, Mizusawa Chem. Ind. KK사제)
(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g
(상품명: Panakayaku-CP, Nippon Kayaku KK사제)
(5) 한천 2.5g
(상품명: Ina agar, Ina Food Ind. KK사제)
(6) 실리카졸(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 30g
(상품명: Snowtex30, 고형분 30중량%, Nissan Chem. Ind. KK사제)
(7) 티아벤다졸(항곰팡이제) 0.5g
(시약: Kanto Kagaku KK사제)
(2)의 물에 (1)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추가로 교반하면서 (4) 및 (5)의 흡수성 고분자를 차례로 소량씩 교반하면서 가하여 분산시키고, 이어 (6)의 실리카졸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추가로, (3)의 겔화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A 용액(보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을 수득하였다. 별도로, 동일하게 제조한 A 용액에 (7)의 항곰팡이제를 가하고 교반하여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로서 B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들 누수 방지제의 점도에 대하여 B형 점도계(Tokyo Keiki KK사제)를 이용하여 25 ℃ 에서 측정한 결과, A 용액 및 B 용액 모두 1220 cP 이었다.
상기 A 용액을 실온에서 2 주간 보존한 결과, 상층부에 곰팡이로 예상되는 검은 반점형상의 물질이 생성되었고 660 cP로 점도가 저하되었다. 한편, B 용액은 실온에서 3 개월간 보존하였지만 외관상 이상이 없었고 점도도 1320 cP이었다.
별도로, 실시예 B1과 동일한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제(상기 B 용액)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고 30 분간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를 취출한 다음 3% 식염수를 가득 찰 때까지 주입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물을 채운 상태로 3 일간 방치하였지만 이음매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았다.
또, B 용액으로 처리한 용기로부터 물을 비우고 60 ℃ 에서 3 일간 건조시켰다. 다시 용기에 가득 찰 때까지 물을 채웠지만 물이 이음매로부터 누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고농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여 그 중에 흡수성 고분자 분말을 분산시켰을 때, 의외로 흡수성 고분자가 거의 흡수팽윤을 일으키지 않거나, 그 표면에만 약간의 흡수팽윤을 일으킬 뿐, 수용액 중에 안정하게 분산되고 어느 정도 이상의 물과 접촉하기 시작하여 흡수성 고분자가 본격적인 흡수팽윤을 일으킴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a) 흡수성 고분자가, (b) 탄소수 2 이상의 반복 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분산매 중에 팽윤하지 않는 상태로 분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제,
(2) 상기 (1)에 있어서, (c) 수용성 고분자의 겔화제를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겔화제가 수중에서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수중에서 양이온 교환능을 갖는 화합물인 누수 방지제,
(4)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d)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고분자가 고흡수성 중합체와 흡수성 천연 고분자 모두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제,
(6) 상기 (5)에 있어서, 고흡수성 중합체가 폴리(메트)아크릴산 유도체, 알긴산 유도체, 전분 유도체,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유도체및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제,
(7) 상기 (5) 또는 (6)에 있어서, 흡수성 천연 고분자가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및 구아 검(guar gum)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누수 방지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제,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10) 탄소수 2 이상의 반복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b)의 수용액에 흡수성 고분자(a)를 가하고 분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9)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제조하는 방법,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재,
(12) 상기 (11)에 있어서, 스폰지 형상 물질이 우레탄 발포체, 실리콘 수지 발포체, 합성 고무 발포체 및 셀룰로오즈 스폰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재,
(13)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에도포하거나 함침시킨 누수 방지재,
(14)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재를 건물의 누수 침투 통로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
(15) 상기 (14)에 있어서, 누수 침투 통로가 콘크리트 이음부 또는 접합면인 누수 방지 방법,
(16)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 방지제 주입구를 설치하여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
(17) 상기 (16)에 있어서, 누수 방지제 주입구를 크랙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제(재)는 우수한 누수 방지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점도조절이 용이하고 경시안정성도 우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것을 몰타르 또는콘크리트 제품에 적용하면 크랙부에 존재하는 누수 방지제(재)가 크랙을 통하여 침투해오는 물에 의해 팽창되어 크랙부가 신속하게 방수 방지제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침투수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랭지에서도 동결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누수 방지 방법에 의하면 누수 방지제를 건물에 설치한 주입구를 통해 주입함으로써 누수 부분에 누수 방지제를 확실히 도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투수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실한 누수 방지가 가능하고, 몰타르 및 콘크리트 제품의 크랙이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어 악화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건물 등의 몰타르 및 콘크리트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Claims (17)

  1. (a) 흡수성 고분자가, (b) 탄소수 2 이상의 반복 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분산매 중에 팽윤하지 않는 상태로 분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c) 흡수성 고분자의 겔화제를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겔화제가 수중에서 2가 이상의 금속 양이온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수중에서 양이온 교환능을 갖는 화합물인 누수 방지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보존안정제를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고분자가 고흡수성 중합체와 흡수성 천연 고분자 모두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제.
  6. 제 5 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중합체가 폴리(메트)아크릴산 유도체, 알긴산 유도체, 전분 유도체,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유도체 및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흡수성 천연 고분자가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및 구아 검(guar gum)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함유하는 누수 방지제.
  10. 탄소수 2 이상의 반복단위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b)의 수용액에 흡수성 고분자(a)를 가하고 분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9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스폰지 형상 물질에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스폰지 형상 물질이 우레탄 발포체, 실리콘 수지 발포체, 합성 고무 발포체 및 셀룰로오즈 스폰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누수 방지재.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줄, 로프, 필름, 시트, 천, 부직포 및 종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에 도포하거나 함침시킨 누수 방지재.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재를 건물의 누수 침투 통로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누수 침투 통로가 콘크리트 이음부 또는 접합면인 누수 방지 방법.
  16.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 방지제 주입구를 설치하여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제를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누수 방지제 주입구를 크랙의 양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방법.
KR1020027000367A 1999-07-15 2000-07-12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 KR20020026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01277 1999-07-15
JP11201277A JP2001026766A (ja) 1999-07-15 1999-07-15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20855699A JP2001031948A (ja) 1999-07-23 1999-07-23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JP-P-1999-00208556 1999-07-23
JP30059299A JP2001115139A (ja) 1999-10-22 1999-10-22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JP-P-1999-00300592 1999-10-22
JPJP-P-1999-00326718 1999-11-17
JP32671899A JP2001139932A (ja) 1999-11-17 1999-11-17 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方法
JPJP-P-1999-00335234 1999-11-26
JP33523499A JP2001152131A (ja) 1999-11-26 1999-11-26 漏水防止方法
PCT/JP2000/004659 WO2001005904A1 (fr) 1999-07-15 2000-07-12 Agent de prevention des fuites d'eau, matiere de prevention des fuites d'eau contenant ledit agent et procede de prevention des fuites d'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945A true KR20020026945A (ko) 2002-04-12

Family

ID=2752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67A KR20020026945A (ko) 1999-07-15 2000-07-12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05525A1 (ko)
KR (1) KR20020026945A (ko)
CN (1) CN1360621A (ko)
WO (1) WO20010059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185A (ko) * 2018-11-14 2020-05-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 균열 셀프실링 특성을 가진 양이온성 고흡수율 폴리머를 포함한 자기치유 개선용 시멘트 결합재 조성물 및 양이온성 고흡수율 폴리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8104A1 (de) * 2004-08-05 2006-02-23 Henkel Kgaa Verwendung von ortho-Phenylphenol und/oder dessen Derivaten zur Hemmung der asexuellen Vermehrung von Pilzen
KR100714796B1 (ko) 2006-03-09 2007-05-04 주식회사 웰메이드 발포폼을 이용한 공작용 수지 조성물
FR2914865B1 (fr) * 2007-04-13 2011-03-18 Olivier Revert Composition pulverulente pour absorber les liquides aqueux.
CN101649624B (zh) * 2009-07-13 2011-06-08 河南省绿韵建材有限公司 一种治理地下室渗漏的施工方法
GB2482006A (en) * 2010-07-14 2012-01-18 Geoffrey Fleet Sealing or tracing a roof leak
CN102493558A (zh) * 2011-12-19 2012-06-13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墙面密封系统
DE102012105545A1 (de) * 2012-06-26 2014-01-02 Gerd Hoffmann Leckagedichtung für Flüssigkeiten enthaltende Behälter
WO2016098095A1 (en) * 2014-12-18 2016-06-23 Curapipe System Ltd. System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uring leakages in pipes
EP3246480A1 (en) * 2016-05-20 2017-11-22 HILTI Aktiengesellschaft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ng and sealing system for a safing slot in a curtain wa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076A (ja) * 1982-06-05 1983-12-10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摺動部シ−ル剤
JPS6386790A (ja) * 1986-09-29 1988-04-18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管継手の間隙形成用材
JPH02206657A (ja) * 1989-02-03 1990-08-1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止水材料
JPH11256138A (ja) * 1998-03-13 1999-09-21 Nippon Kayaku Co Ltd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185A (ko) * 2018-11-14 2020-05-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 균열 셀프실링 특성을 가진 양이온성 고흡수율 폴리머를 포함한 자기치유 개선용 시멘트 결합재 조성물 및 양이온성 고흡수율 폴리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5525A1 (en) 2002-05-15
CN1360621A (zh) 2002-07-24
WO2001005904A1 (fr) 200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55558A1 (en) Permeable waterproofing agent, waterproofing material, concrete or morta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s
KR20020026945A (ko) 누수 방지제, 이를 이용한 누수 방지재 및 누수 방지 방법
US4061825A (en) Water activatable tapes
CN1070826C (zh) 可塑性防水材料
JP2001115139A (ja)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3467403B2 (ja) 水膨潤性組成物及び止水材
JP2003292942A (ja) コンクリート用補修剤、それを用いた補修材及び補修方法
JPH11228941A (ja) 浸透性防水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2001139932A (ja) 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方法
JP2002206085A (ja) 漏水防止剤、それを用いた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方法
JP2001031948A (ja)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3497027B2 (ja) 複合止水材
JPH11315271A (ja) 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方法
JP2001152131A (ja) 漏水防止方法
JP3569555B2 (ja) 防露下地板
JP2004182869A (ja) 漏水防止剤
JPH0796672B2 (ja) 雨漏り防止方法及び雨漏り防止剤
JPH11269453A (ja) 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方法
JPH01142119A (ja) 一時止水工法
KR20020015720A (ko) 누수 방지제 및 누수 방지 방법
JP2002285142A (ja)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H11190133A (ja) 漏水防止方法及び建造物
JPS61236668A (ja) コンクリ−トの養生方法
JP2001026766A (ja) 漏水防止剤及び漏水防止方法
JP5102594B2 (ja) 貯水池の簡易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