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899A - 조립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899A
KR20020022899A KR1020000055442A KR20000055442A KR20020022899A KR 20020022899 A KR20020022899 A KR 20020022899A KR 1020000055442 A KR1020000055442 A KR 1020000055442A KR 20000055442 A KR20000055442 A KR 20000055442A KR 20020022899 A KR20020022899 A KR 20020022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assembling
hole
nu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5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2899A/ko
Publication of KR2002002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조립구멍(1a)이 구비된 제1조립부재(1)와 관통구멍(3a)이 구비된 제2조립부재(3)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수단(10)이, 소정길이로 형성된 막대볼트(11)와, 이 막대볼트(11)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구멍(3a)을 관통하여 조립구멍(1a)내에 위치되도록 된 제1너트부재(12)와, 상기 막대볼트(11)에 의해 관통되어 제1너트부재(12)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너트부재(14)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기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재(13)와, 상기 막대부재(11)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조립부재(3)를 조여주면서 상기 제1,2조립부재(1,3)를 결합시키주도록 된 제3너트부재(15)로 이루어져, 상기 제1,2조립부재(1,3)의 조립시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이에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구조물{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개이상 조립부재들간의 조립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된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브라켓트와 브라켓트, 브라켓트와 패널 또는 패널과 패널등 여러 종류의 부재들이 한 개의 구조물을 이루도록 서로 조립되어 있는 바, 이러한 부재들끼리는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서 조립될 수도 있고, 볼트등과 같은 별도의 조립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부재들중 크기와 두께가 서로 다른 제1조립부재(1)와 제2조립부재(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너트(2)와 조립볼트(4)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조립부재(1)에는 소정크기의 조립구멍(1a)이 구비되면서 그 일면에는 상기 조립구멍(1a)과 연결되도록 조립너트(2)가 용접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부재(3)에도 상기 조립구멍(1a)과 연결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3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멍(3a)과 조립구멍(1a)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2조립부재(3)를 제1조립부재(1)의 일면(조립너트가 접합된 반대면)에 밀착시킨 후, 조립볼트(4)를 상기 관통구멍(3a)과 조립구멍(1a)으로 순차적으로 관통시키면서 조립너트(2)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2조립부재(3)가 제1조립부재(1)의 일면에 단단히 결합되게 됨으로써, 한 개의 조립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제1조립부재(1)와 제2조립부재(3)를 서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조립부재(1)의 일면에 조립너트(2)를 용접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합시켜야 하므로,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이로인해 작업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2조립부재가 제2조립부재를 관통하여 제1조립부재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조립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져,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조립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구멍이 구비된 제1조립부재와 관통구멍이 구비된 제2조립부재가 소정의 조립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한 개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된 조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이, 소정길이로 형성된 막대볼트와, 이 막대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조립구멍내에 위치되도록 된 제1너트부재와, 상기 막대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제1너트부재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너트부재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기 조립구멍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재와, 상기 막대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조립부재를 조여주면서 상기 제1,2조립부재를 결합시키주도록 된 제3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부재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부재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부재들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조립부재 1a - 조립구멍
3 - 제2조립부재 3a - 관통구멍
10 - 조립수단 11 - 막대볼트
12 - 제1너트부재 13 - 고정부재
14 - 제2너트부재 15 - 제3너트부재
16 - 와셔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부재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물은, 조립구멍(1a)이 구비된 제1조립부재(1)와 관통구멍(3a)이 구비된 제2조립부재(3)가, 상기 관통구멍(3a)을 관통하여 조립구멍(1a)내에 위치되면서 선단부가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탄설됨과 더불어 상기 제2조립부재(3)를 제1조립부재(1)로 조여주면서 결합시키는 조립수단(10)에 의해 결합되어 한 개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조립부재(1)에는 소정크기의 조립구멍(1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부재(3)에도 상기 조립구멍(1a)과 연결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3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수단(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로 형성된 막대볼트(11)와, 이 막대볼트(11)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구멍(3a)을 관통하여 조립구멍(1a)내에 위치되도록 된 제1너트부재(12)와, 상기 막대볼트(11)에 의해 관통되어 제1너트부재(12)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너트부재(14)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기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재(13)와, 상기 막대부재(11)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조립부재(3)를 조여주면서 상기 제1,2조립부재(1,3)를 결합시키주도록 된 제3너트부재(15)로 이루어져있다.
여기서, 상기 제1너트부재(12)와 제2너트부재(14) 및 제3너트부재(15)에는 상기 막대볼트(11)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구멍(12a,14a,15a)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부재(3)와 제3너트부재(15)사이에는 와셔부재(16)가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와셔부재(16)에는 막대볼트(11)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16a)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막대부재(11)의 일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13a)이 구비된 몸체부(13b)와, 이 몸체부(13b)의 측부에서 탄력적인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선단부가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날개부(13c)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날개부(13c)에는 자체적으로 휘어졌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선단은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압착될 수 있도록 뾰족한 펜촉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물의 조립과정에 대해 도 2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2조립부재(1,3)에 소정크기의 조립구멍(1a)과 관통구멍(3a)을 각각 형성하고, 조립이 완료된 조립수단(10)을 이용하여 상기 제1,2조립부재(1,3)를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조립수단(10)은, 막대볼트(11)의 일단에 제1너트부재(12)를 나사결합시켜 조립시키고, 고정부재(13)를 상기 막대볼트(11)로 관통시켜제1너트부재(12)의 일면에 밀착시킨 후, 제2너트부재(14)를 막대볼트(11)와 나사결합시키면서 상기 고정부재(13)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제1너트부재(12)와 고정부재(13) 및 제2너트부재(1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대볼트(11)의 일단과 단단히 결합된게 된다.
다음, 상기 조립구멍(1a)과 관통구멍(3a)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2조립부재(1,3)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립수단(10)의 제1너트부재(12)를 관통구멍(3a)으로 관통시키면서 조립구멍(1a)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3)의 날개부(13c)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선단부가 조립구멍(1a)의 내주면에 단단히 지지되도록 탄설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3)의 날개부(13c)가 관통구멍(3a) 및 조립구멍(1a)으로 삽입될때에는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그 외형상 상기 관통구멍(3a) 및 조립구멍(1a)의 내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날개부(13c)가 조립구멍(1a)의 안쪽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3)는 날개부(13c)의 형상에 의해 삽입된 방향으로 다시 빠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후, 상기 막대볼트(11)의 타단으로 와셔부재(16)를 끼우면서 제3조립너트(15)를 나사결합시켜 조여주게 되면, 상기 제2조립부재(3)가 제1조립부재(1)방향으로 조여지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10)을 이용하여 제1,2조립부재(1,3)를 서로 조립시키게 되면,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조립부재(1)에 너트부재(2)를 용접으로 접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편의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조립부재가 제1,2조립부재에 단순히 끼워져서 탄설됨과 더불어 제2조립부재를 제1조립부재로 조여주면서 결합시키도록 된 조립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져, 상기 제1,2조립부재의 조립시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이에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조립구멍이 구비된 제1조립부재와 관통구멍이 구비된 제2조립부재가 소정의 조립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한 개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된 조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이, 소정길이로 형성된 막대볼트와, 이 막대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조립구멍내에 위치되도록 된 제1너트부재와, 상기 막대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제1너트부재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너트부재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기 조립구멍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재와, 상기 막대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조립부재를 조여주면서 상기 제1,2조립부재를 결합시키주도록 된 제3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막대부재의 일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구비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측부에서 탄력적인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선단부가 조립구멍의 내주면에 탄설되어 고정되도록 된 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물.
KR1020000055442A 2000-09-21 2000-09-21 조립구조물 KR20020022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442A KR20020022899A (ko) 2000-09-21 2000-09-21 조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442A KR20020022899A (ko) 2000-09-21 2000-09-21 조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899A true KR20020022899A (ko) 2002-03-28

Family

ID=1968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442A KR20020022899A (ko) 2000-09-21 2000-09-21 조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28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03B1 (ko) * 2022-02-15 2022-07-11 주식회사 우보테크 부품 유닛 및 차체 조립 구조
CN115989373A (zh) * 2022-02-15 2023-04-18 牛步科技有限公司 用于组装车身的部件单元和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03B1 (ko) * 2022-02-15 2022-07-11 주식회사 우보테크 부품 유닛 및 차체 조립 구조
CN115989373A (zh) * 2022-02-15 2023-04-18 牛步科技有限公司 用于组装车身的部件单元和结构
CN115989373B (zh) * 2022-02-15 2024-04-02 牛步科技有限公司 车身组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0049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接地構造
KR20020022899A (ko) 조립구조물
JP2890122B1 (ja) 部材の取付構造
JP2007225026A (ja) 変位吸収機能を備えた継手
KR100412792B1 (ko) 자동차 카울크로스바의 장착구조
JP2007284907A (ja) ドアの取手ブラケットの取付け構造
GB2119472A (en) A joint assembly
KR200154025Y1 (ko) 버스의 언더바디용 아웃리거 취부구조
KR19980037298U (ko) 전동공구용 연장형 소켓의 결합구조
KR0140555Y1 (ko) 자동차의 유압클러치 파이프 고정구조
JPH05238666A (ja) エレベータードア
JPH0550139U (ja) ボルト
JPH0448293Y2 (ko)
KR19980051024U (ko) 램프 마운팅 구조
KR100476758B1 (ko) 도어 판넬용 그로밋
KR0169638B1 (ko) 조향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
KR200156546Y1 (ko) 체결용 너트
KR200178355Y1 (ko) 마운팅 부 너트 고정장치
JPH0542187Y2 (ko)
KR200198253Y1 (ko) 파이프 및 축 이음쇠 구조
KR960005948Y1 (ko) 자동차 후방에 장착되는 안테나 취부장치
KR20020029999A (ko) 브래킷 고정장치
KR0126169Y1 (ko) 클립 고정공구
JP2579097Y2 (ja) 仮止めボルト
JPH04285235A (ja) 板材と板材を接続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