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806A - 탄성 휠 - Google Patents
탄성 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1806A KR20020021806A KR1020027001319A KR20027001319A KR20020021806A KR 20020021806 A KR20020021806 A KR 20020021806A KR 1020027001319 A KR1020027001319 A KR 1020027001319A KR 20027001319 A KR20027001319 A KR 20027001319A KR 20020021806 A KR20020021806 A KR 20020021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m
- circumferential surface
- wheel
- disk
- outer circumferent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0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 B60B9/1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of rubber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0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 B60B9/1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of rubber or the like
- B60B9/1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of rubber or the like in the form of sleeves or rings concentric with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베이스 림(2)을 구비한 디스크(1)와, 타이어(10)를 지지하는 림(3)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고무 탄성체(4)와 베이스 림(2)의 외주면 또는 림(3)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간극이 형성된 고무 탄성체(4)의 작용에 의해,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4)가 저스프링 정수에서 고스프링 정수로 이행함으로써,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방음성능에 관해서는 상기 간극의 존재가 1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탄성 휠은 일반적으로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disk)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rim)을 구비하고, 이러한 디스크와 림 사이에 방진체를 설치하고, 방진성능이나 승차감을 높인 탄성 휠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9-188701호 공보에는 방진체로서 스프링을 이용하여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한 타이어용 휠이 제안되어 있다.
또, 방진체로서 고무를 사용하고, 이것을 림과 디스크 사이에 배치한 것도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7-73203호 공보에 림이 고무형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에 연결되는 구성의 탄성 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5-33840l호 공보에는 림과 탄성 휠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그기에 방진 고무를 개재 장착시킨 탄성 휠이 개시되어 있다. 또, 국제공개 WO9833666호 공보에는 림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내측 림과 림 사이에 고무의 환형 스트립을 배치한 휠·배리어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방진체로서 고무를 사용하고, 이것을 림과 디스크 사이에 균일하게배치한 종래의 탄성 휠에서 림의 내주면과 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가류접착된 고무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무 탄성체에 의해 림으로부터 디스크에 전달되는 축방향, 직경방향 및 회전방향의 각 진동을 정확하게 억제할 수 있지만, 하중이 클 때의 고무 탄성체의 변위를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고무의 단면이 균일하고,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까지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진동방지 특성을 얻기 어려웠다. 이 점에 대해, 방진체로서 스프링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또, 림과 디스크 사이에 배치하는 고무와 방음성능의 관계에 관해서는 반드시 명확히 되어 있지 않으며, 방음의 면에서는 또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탄성 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륜에 이용되는 탄성 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이 우수한 탄성 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디스크와 림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휠 원주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고무 탄성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고무 탄성체의 상하 변위량과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방진체로서의 고무 탄성체의 특징을 살리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림(base rim)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rubber elastic body))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와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 또는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와 상기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여구(elasticity-providing device)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서는, 간극이 형성된 고무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 정수로부터 고스프링 정수로 이행함으로써,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방음성능에 관해서는 상기 간극의 존재가 1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에 대하여 간극이 차지하는 비율이 5∼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2상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2상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도, 고무 탄성체 사이의 공간이 전술한 간극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1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으로부터 림 내주면의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양호하게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서 휠축방향 대략 중앙영역에 1쌍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으로부터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동심원형으로 배치되는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휠축방향 대략 중앙영역에 1쌍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도,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양호하게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여구를 설치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휠축방향의 한 쪽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 지지 부재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휠축방향의 한 쪽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 지지 부재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서는, 고무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림으로부터 디스크에 전달되는 축방향, 직경방향 및 회전방향의 각 진동을 정확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 부재에 의해 대하중시의 고무 탄성체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림과 디스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으로부터 고스프링으로 이행하여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고,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방음성능에 관해서는 1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는 탄성 휠로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engagement mechanism)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2쌍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탄성 휠로서, 상기 2쌍의 고무 탄성체의 사이에서 또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고무 탄성체의 특징에 기초하여 직경방향 및 회전방향의 각 진동을 정확하게 억제함과 동시에, 대하중시의 고무 탄성체의 큰 변위를 억제하여, 비록 고무 탄성체가 파괴된 경우에도 브레이크 및 트랙션(traction)을 디스크로부터 림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2쌍의 고무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으로부터 고스프링으로 이행하여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고,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음성능에 관해서는 l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기구가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상과 상기 림의 내주면상에 각각 돌출 형성된 치형 돌기열의 맞물림 기구이거나 또는 상기 림의 내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치형 돌기열과 상기 베이스 림에 배치된 개구부열의 맞물림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림과 디스크가 양호하게 맞물려, 브레이크 및 트랙션을 디스크로부터 림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림에 휠축방향 단면이 반원형인 볼록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볼록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볼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볼록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림에 휠축방향 단면이 반원형인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홈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홈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설치된 고무 탄성체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휠 원주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록 대입력 등에 의하여 고무 탄성체가 파괴된 경우에도 휠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이외에, 원주방향에서의 기계적 안전성이 확보되어, 안전성 면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림에 반구형 볼록부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반구형 볼록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반구형 볼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반구형 볼록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며, 또,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 상기 림에 반구형 오목부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반구형 오목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반구형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반구형 오목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설치된 고무 탄성체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록 대입력 등에 의하여 고무 탄성체가 파괴된 경우에도 휠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이외에, 원주방향에서의 기계적 안전성이 확보되고, 안전성의 면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은 차축 허브(도시하지 않음)에 고착되는 디스크(disk)(1)가 베이스 림(base rim)(2)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1)와 베이스 림(2)은 일체로 성형된 것 또는 스포크나 메쉬 등의 지지체와 조합한 스포크 휠이나 메쉬 휠 등일 수도 있다. 디스크(1)의 재질은 강(steel),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성 수지 등 어느 재질이라도 좋지만, 경량화에 주안점을 둘 때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타이어(10)를 지지하는 림(3)의 내주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탄성체(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림(3)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규격품 이외에 양단에서 림 직경이 다른 것 등 그 용도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할 수 있다. 또, 고무 탄성체(4)는 림(3)의 내주면과 베이스 림(2)의 외주면의 쌍방에, 예를 들면, 가류접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된다.
고무 탄성체(4)의 휠축방향 단면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3)의내주면에 접착되는 쪽,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림(2)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쪽이 파형, 사다리꼴 등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형상으로 함으로써, 고무 탄성체(4)와 림(3)의 내주면 또는 베이스 림(2)의 외주면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된다. 고무 탄성체에 대하여 이러한 간극이 차지하는 비율은 5∼80%, 바람직하게는 1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이다. 도시하는 예에는 파형의 정상부가 전부 림(3)의 내주면 또는 베이스 림(2)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지만, 반드시 전부 접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양측의 정상부만이 접착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중앙의 볼록부는 대입력시에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간극이 형성된 고무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 정수로부터 고스프링 정수로 이행하여,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간극이 존재함으로써, 고무의 응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간극이 차지하는 비율 및 그 형상을 적당히 선정함으로써, 이러한 스프링 정수의 이행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4)가 직접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여구(Al)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 용접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여구(A1)는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5)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6)의 내주면사이에 고무 탄성체(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4)와 내측 원환형체(5)의 외주면 또는 외측 원환형체(6)의 내주면 사이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간극이 형성된다. 탄성부여구 A(1)를 설치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고무 탄성체는 방진 고무로서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천연고무나 합성 고무,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부틸 고무 등의 디엔계 고무에 적당히 배합제, 예를 들면, 유황, 가류촉진제, 노화방지제, 카본블랙 등을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탄성체의 JIS-A 경도(Hd)는 진동 흡수 특성과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80°이며, 탄성율은 1×103~ 1×105N/cm2이다.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고무 탄성체의 형상 및 림 사이즈에도 따르지만, 베이스 림(2)과 림(3)의 거리는 조종 안정성과 진동 흡수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30 mm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에서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예를 들면, 가류접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된 2개의 고무 탄성체(4a)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상기한 고무 탄성체(4a) 사이의 공간이 전술한 간극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또, 상기한 고무 탄성체(4a)의 축방향 단면의 폭은 베이스 림(2)의 외주면에서 림(3)의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다. 이 감소의 방법은 곡선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이러한 곡선적 감소는 도 5에 나타내는 고무 탄성체(4b)의 휠축방향 단면과 같은 곡선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고무 탄성체(4a)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은 베이스 림(2)의 외주면에서 림(3)의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동일하게 점차 증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의 저스프링 정수로부터 고스프링 정수로의 이행이 보다 원활해진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여구(A2)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탄성부여구(A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5)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6)의 내주면 사이에 2개의 고무 탄성체(4a)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을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고무 탄성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의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서 축방향 중앙 영역에 양 원주면에 가류접착된 1개의 고무 탄성체(4c)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상기한 고무 탄성체(4c)의 축방향 단면의 폭을 베이스 림(2)의 외주면에서 림(3)의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킴에 따라, 또는 점차 증가시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음),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4c)가 저스프링 정수로부터 고스프링 정수로 이행한다.
베이스 림(2)의 외주면과 림(3)의 내주면 사이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여구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한 탄성부여구는, 예를 들면,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휠축방향 대략 중앙영역에 1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도 차축 허브(도시하지 않음)에 고착되는 디스크(101)가 베이스 림(102)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경우의 베이스 림(102)도 디스크(101)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과, 타이어(120)를 지지하는 림(103)의 내주면 사이의 휠축방향의 한 쪽에는 고무 탄성체(10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이 고무 탄성체(104)는 림(103)의 내주면과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의 쌍방에, 예를 들면, 가류접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한 고무 탄성체(104)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은 베이스 림(l02)의 외주면에서 림(103)의 내주면의 방향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입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으로부터 고스프링으로 이행하여,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8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탄성체(104)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에서 림(103)의 내주면의 방향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점차 증가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며, 또 이러한 점차적인 변화의 방법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적일 수도 있고 또는 직선적일 수도 있다.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과 림(103)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끼고 휠축방향의 다른 한 쪽에는 지지 부재(105)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이 지지 부재(105)는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과 림(103)의 내주면에, 예를 들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또는 베이스 림(102)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이러한 지지 부재(10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지그재그형으로서 타이어 직경방향에 대하여 스프링 작용을 가지게 하고, 지지 부재에도 양호한 진동 흡수 특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보다 양호하게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베이스 림(l02)의 외주면과 림(103)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104)와 지지 부재(105)가 직접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림(102)의 외주면과 림(l03)의 내주면 사이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여구(A3)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여구(A3)는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106)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107)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휠축방향의 한 쪽에 고무 탄성체(10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 지지 부재(105)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내측 원환형체(106)와 외측 원환형체(107)와 지지 부재(105)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은 차축 허브(도시하지 않음)에 고착되는 디스크(201)가 베이스 림(202)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경우의 베이스 림(202)도 디스크(201)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베이스 림(202)의외주면과, 타이어(220)를 지지하는 림(203)의 내주면 사이에, 예를 들면, 가류접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된 2개의 고무 탄성체(204)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다. 상기한 고무 탄성체(204)의 존재에 의해, 입력이 커짐에 따라 고무 탄성체가 저스프링으로부터 고스프링으로 이행하여,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고무 탄성체(204)의 축방향 단면의 폭은 베이스 림(202)의 외주면에서 림(203)의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됨으로써, 인력이 커짐에 따라서 고무 탄성체의 저스프링으로부터 고스프링으로의 이행이 보다 원활해진다.
이 바람직한 예에서, 방진재로서 전술한 고무 탄성체(204)를 구비함과 동시에 베이스 림(202)의 외주면과 림(203)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가 설치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맞물림 기구에서 베이스 림(202)의 외주면 상과 림(203)의 내주면 상에 각각 치형 돌기열(205a, 205b)이 돌출 형성된다. 도 10의 A-A 선에 따르는 원주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한계를 초과한 대입력 등에 의하여 고무 탄성체가 파괴된 경우에도 상하의 치형 돌기열(205a, 205b)이 맞물림으로써 브레이크 및 트랙션을 디스크로부터 림에 전달할 수 있고, 주행상의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치형 돌기열(205a와 205b) 사이의 간극(S)은 고무 탄성체의 방진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간극으로 하고, 타이어의 타입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전술한 맞물림 기구 대신, 도 1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맞물림 기구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맞물림기구는 도 12의 B-B 선에 따르는 원주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 13으로부터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림의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된 치형 돌기열(205c)과 베이스 림(202)에 배치된 개구부열(206)의 맞물림 기구이다.
이 바람직한 예에서, 맞물림 기구의 구조 및 설치 장소는 전술한 맞물림 기구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방진재로서의 고무 탄성체의 형상이나 적용 장소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되며, 고무 탄성체가 비록 파괴되더라도 베이스 림(202)과 림(203)이 맞물림 기구에 의해 서로 맞물려, 브레이크 및 트랙션을 디스크로부터 림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은 차축 허브(도시하지 않음)에 고착되는 디스크(301)와, 타이어(320)를 지지하는 림(302)을 구비하고, 림(302)에는 휠축방향 대략 중앙부에 그 방향의 단면이 반원형인 볼록부(304)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디스크(301)의 외주면에도 볼록부(304)와 위치적 및 치수적으로 대응하는 반원형의 볼록부(303)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볼록부(304)의 내주면과 볼록부(303)의 외주면 사이에는 고무 탄성체(305)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이 고무 탄성체(305)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301)와 림(302)이 접합된다. 고무 탄성체(305)와 디스크(30l) 및 림(302)의 접착은 가류접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볼록부(303) 및 볼록부(304)의 곡률은 타이어의 치수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되고, 또한 고무 탄성체(305)의 휠 반경방향의 두께도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타이어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최적의 효과가 얻어지는 두께를 적당히 선정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은 림(302)에 휠축방향 대략 중앙부에 그 방향의 단면이 반원형인 홈부(307)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디스크(301)의 외주면에도 홈부(307)와 위치적 및 치수적으로 대응하는 반원형의 홈부(306)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홈부(307)의 내주면과 홈부(306)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바람직한 예의 경우와 같이 고무 탄성체(308)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이 고무 탄성체(308)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301)와 림(302)이 접합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람직한 예에서, 모두 디스크(301)와 림(302)의 접합부가 휠 원주방향에 대하여 파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탄성 휠의 원주방향 단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합부(312)가 파형을 형성함으로써, 대입력 등으로 접합부(312)의 고무 탄성체가 파괴되더라도, 제동, 브레이크 등의 원주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예에서는, 모두 디스크(301)와 림(302)의 접합부가 휠 원주방향으로 환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예에서는 접합부가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먼저, 휠축방향 단면 형상은 도 14에 나타내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되지만, 림(302)에는 반구형 볼록부(304)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디스크(301)의 외주면에도 반구형 볼록부(304)에 위치적 및 치수적으로 대응하는 반구형 볼록부(303)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림(302)의 반구형 볼록부(304)의 내주면과 디스크(301)의 반구형 볼록부(303)의 외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305)를 각각 개재 장착시키고, 이에 따라 디스크(301)와 림(302)이 접합된다. 이러한 접합부를 휠 축에 대하여 축 대칭으로 복수, 바람직하게는 3∼24, 보다 바람직하게는 8∼16개 설치함으로써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 상기한 접합부를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휠 반경방향, 축방향 및 원주방향에서의 기계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림 탈락 등의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지도 않는다. 또한, 볼록부(303) 및 볼록부(304)의 곡률을 타이어의 치수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하며, 또한 고무 탄성체(305)의 휠 반경방향의 두께도 타이어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정함으로써,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휠축방향 단면 형상은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되지만, 림(302)에는 반구형 오목부(7)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디스크(301)의 외주면에도 반구형 오목부(7)에 위치적 및 치수적으로 대응하는 반구형 오목부(6)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경우와 같이, 반구형 오목부(7)의 내주면과 반구형 오목부(6)의 외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308)를 각각 개재 장착시킴으로써 디스크(301)와 림(302)이 접합된다. 상기한 접합부의 배치나 반구형 오목부의 곡률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의 성능에 대해 평가시험을 행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하기의 조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장착된 탄성 휠을 시작(試作)하고, 이것에 사이즈 185/55R15의 타이어를 장착하여 진동 흡수 특성 및 방음성능에 대해 평가했다.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림)
사이즈: 15인치
폭: 5.5 J
(고무 탄성체)
공극율: 15%
JIS-A경도: 60°
탄성율: 4 ×104N/cm2
(진동흡수특성)
가속도 센서에 의해, 실차 주행시의 차축력을 측정했다.
(방음특성)
운전 좌석 두부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실차 주행시의 음압을 측정했다.
전술한 진동 흡수 특성의 시험의 결과, 상기 실시예의 탄성 휠에 따르면, 소입력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대입력시에는 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결과,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방음 특성 시험의 결과, 1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방음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시예 이외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휠에 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고무 탄성체와 림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17의 (a))와 간극(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17의 (b))의 스프링 정수의 변화의 모양을 비교했다. 도 l7의 (a) 및 (b) 모두 고무 탄성체를 사용하고, 높이(상하 간의 거리)를 20mm으로 했다. (b)에서는 상하간 대략 동일한 단면 폭으로 고무 탄성체가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데 대하여, (a)에서는 상부가 2개의 산과 같은 혹 모양이 되고, 두 혹 사이에 간극(공극율:15%)이 형성되어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다.
전술한 (a) 및 (b)에 대하여, 상방에서 하중을 걸어, 상하 변위량과 하중의 관계를 구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입력시에 (a)는 (b)에 비하여 상하 스프링 정수가 작고, 따라서 방진효과가 크고, 한편, 대입력시에 (a)는 (b)에 비하여 상하 스프링 정수가 크고, 따라서 안정성능이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휠은 소입력시부터 대입력시에 이를 때까지 내구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승차감, 방진성능 및 방음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0)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와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 또는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와 상기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에 대하여 간극이 차지하는 비율이 5∼80%인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2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2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의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서 축방향 대략 중앙영역에 1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휠축방향 대략 중앙영역에 1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휠축방향의 한 쪽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 지지 부재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동심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이 상이한 2종류의 원환형체의 내측 원환형체의 외주면과 외측 원환형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또한 휠축방향의 한 쪽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 지지 부재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탄성부여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고무 탄성체의 휠축방향 단면의 폭이 베이스 림 외주면에서 림 내주면의 방향을 향하여 점차 변화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탄성 휠로서,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베이스 림을 구비한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사이에 2개의 고무 탄성체가 환형으로 개재 장착되는 탄성 휠로서,상기 2개의 고무 탄성체의 사이에서, 또한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맞물림 기구가 상기 베이스 림의 외주면상과 상기 림의 내주면상에 각각 돌출 형성된 치형 돌기열의 맞물림 기구인 탄성 휠.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맞물림 기구가 상기 림의 내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치형 돌기열과 상기 베이스 림에 배치된 개구부열의 맞물림 기구인 탄성 휠.
-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림에 휠축방향 단면이 반원형인 볼록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볼록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볼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볼록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림에 휠축방향 단면이 반원형인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홈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홈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으로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접합부가 휠 원주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는 탄성 휠.
-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림에 반구형 볼록부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반구형 볼록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반구형 볼록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반구형 볼록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 차축 허브에 고착되는 디스크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을 구비한 탄성 휠에 있어서,상기 림에 반구형 오목부가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도 상기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반구형 오목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림의 반구형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기 디스크의 반구형 오목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개재 장착된 고무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림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916699 | 1999-08-02 | ||
JPJP-P-1999-00219166 | 1999-08-02 | ||
JP24091199A JP2001063301A (ja) | 1999-08-27 | 1999-08-27 | ディスクホイール |
JP24091399A JP2001063304A (ja) | 1999-08-27 | 1999-08-27 | ディスクホイール |
JPJP-P-1999-00240913 | 1999-08-27 | ||
JPJP-P-1999-00240911 | 1999-08-27 | ||
JP30280699A JP2001121902A (ja) | 1999-10-25 | 1999-10-25 | ディスクホイール |
JPJP-P-1999-00302806 | 1999-10-25 | ||
JPJP-P-2000-00079064 | 2000-03-21 | ||
JP2000079064 | 2000-03-21 | ||
PCT/JP2000/005079 WO2001008904A1 (fr) | 1999-08-02 | 2000-08-01 | Roue elastiqu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1806A true KR20020021806A (ko) | 2002-03-22 |
Family
ID=2752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01319A KR20020021806A (ko) | 1999-08-02 | 2000-08-01 | 탄성 휠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981535B1 (ko) |
EP (1) | EP1225064A4 (ko) |
KR (1) | KR20020021806A (ko) |
CA (1) | CA2379932A1 (ko) |
WO (1) | WO200100890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025B1 (ko) * | 2006-07-11 | 2008-03-14 | 최영 | 자동차 서스펜션 휠 |
IT201900018650A1 (it) | 2019-10-14 | 2021-04-14 | Levi Dancona Pier Lorenzo | Ruota a spinta propulsiva tipo cangur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12204A (ja) * | 2002-04-18 | 2003-11-06 | Topy Ind Ltd | 弾性ホイール |
CN105082871A (zh) * | 2014-05-09 | 2015-11-25 | 邓希梅 | 一种带减振功能的轮辋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343684A (en) * | 1920-06-15 | Wheel-cushion and means for mounting same | ||
GB190915132A (en) * | 1909-06-29 | 1910-05-19 | David John Games | Wheels for Tramway and Railway Vehicles and Motor Cars for the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
US1396984A (en) * | 1919-08-27 | 1921-11-15 | George M Willis | Resilient wheel |
US1555479A (en) * | 1920-03-08 | 1925-09-29 | Morand Cushion Wheel Co | Cushion wheel |
US1377354A (en) * | 1920-04-12 | 1921-05-10 | Walter B Kerrick | Wheel |
GB170878A (en) * | 1920-05-05 | 1921-11-07 | William Reid | A resilient tyre for wheels |
US1427995A (en) * | 1921-10-17 | 1922-09-05 | George L Allen | Cushion wheel |
US1948304A (en) * | 1929-09-13 | 1934-02-20 | Wingfoot Corp | Elastic wheel |
DE570434C (de) * | 1931-03-15 | 1933-02-16 | Hamburger Hochbahn Akt Ges | Elastisches Schienenrad |
US2049374A (en) * | 1934-02-22 | 1936-07-28 | Harter Ludwig | Elastic wheel for vehicles |
US2191762A (en) * | 1938-03-28 | 1940-02-27 | Motor Wheel Corp | Vehicle wheel |
US2609856A (en) * | 1951-01-09 | 1952-09-09 | Clyde R Paton | Wheel |
DE1705433U (de) * | 1954-10-01 | 1955-08-25 | Eisenwerke Muelheim Meiderich | Elastisches fahrzeugrad, insbesondere fuer schienenfahrzeuge. |
US2912034A (en) * | 1955-03-23 | 1959-11-10 | Mattern Johannes | Vehicle wheel with elastic intermediate members between rim and hub |
US2870813A (en) * | 1955-06-06 | 1959-01-27 | Thomas L Fawick | Resilient wheel assembly |
SU921888A1 (ru) * | 1979-08-08 | 1982-04-23 | Ворошиловград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 Упругое колес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
JPS5773203A (en) | 1980-10-24 | 1982-05-07 | Daikin Ind Ltd | Oil pressure circuit |
JPS59188701U (ja) * | 1983-06-03 | 1984-12-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タイヤ用ホイ−ル |
JPH0659767B2 (ja) * | 1983-10-28 | 1994-08-10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
DE3734890A1 (de) * | 1987-10-12 | 1989-04-27 | Mannesmann Ag | Bereiftes mehrteiliges fahrzeugrad |
JP2913322B2 (ja) * | 1989-09-08 | 1999-06-28 | 横浜ゴム株式会社 | ランフラット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JPH05338401A (ja) | 1992-06-12 | 1993-12-21 | Toyota Motor Corp | ディスクホイール |
CA2278719A1 (en) | 1997-01-31 | 1998-08-06 | Kenneth Sydney Hoskins | Wheel noise reduction |
-
2000
- 2000-08-01 EP EP00948294A patent/EP122506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8-01 KR KR1020027001319A patent/KR200200218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8-01 US US10/048,651 patent/US69815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8-01 CA CA002379932A patent/CA23799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8-01 WO PCT/JP2000/005079 patent/WO2001008904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025B1 (ko) * | 2006-07-11 | 2008-03-14 | 최영 | 자동차 서스펜션 휠 |
IT201900018650A1 (it) | 2019-10-14 | 2021-04-14 | Levi Dancona Pier Lorenzo | Ruota a spinta propulsiva tipo canguro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1008904A1 (fr) | 2001-02-08 |
EP1225064A4 (en) | 2004-12-08 |
CA2379932A1 (en) | 2001-02-08 |
EP1225064A1 (en) | 2002-07-24 |
US6981535B1 (en) | 2006-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2182501A (ja) | 非空気入りタイヤ | |
KR100890584B1 (ko) | 탄성 휠 | |
KR20020021806A (ko) | 탄성 휠 | |
JP4798745B2 (ja) | 弾性ホイール | |
KR100747675B1 (ko) | 탄성 휠 | |
JP2002096604A (ja) | 弾性ホイール | |
JPH05338401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4025720B2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1180206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3104001A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1334802A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1121902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2331801A (ja) | 弾性ホイール | |
JPWO2002100662A1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1334801A (ja) | 弾性ホイール | |
WO2001083240A1 (fr) | Jante pour roue élastique | |
JP2004106567A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5343263A (ja) | 弾性ホイール | |
JP2005255120A (ja) | 弾性ホイール | |
JP3964216B2 (ja) | 農用車輪 | |
JP2001063301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1063304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1121901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1080305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 | |
JP2001219702A (ja) | ディスクホイールおよびその車両への取付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