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219A - 광 프린터 헤드 및 그 점등 방법 - Google Patents

광 프린터 헤드 및 그 점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219A
KR20020012219A KR1020017014504A KR20017014504A KR20020012219A KR 20020012219 A KR20020012219 A KR 20020012219A KR 1020017014504 A KR1020017014504 A KR 1020017014504A KR 20017014504 A KR20017014504 A KR 20017014504A KR 20020012219 A KR20020012219 A KR 2002001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rows
points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910B1 (ko
Inventor
오노세이지
쿠스다유키히사
요시다하루노부
야마시타켄
Original Assignee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하라 요우조우
Publication of KR2002001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3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 G06K15/124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one main scanning line
    • G06K15/1247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e.g. a linear 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노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 프린터 헤드의 구조를 제공한다. 감광 드럼을 노광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을 갖는 발광 소자 어레이와,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감광 드럼 상에 투영하여 광점 열을 형성하는 로드 렌즈 어레이를 구비하고,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은 감광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주주사 방향에 동일 피치를 갖고, 각 발광점 열의 발광점이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에 나란히 배열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프린터 헤드 및 그 점등 방법{Optical printer head and method of lighting it}
광 프린터의 기록 헤드(광 프린터 헤드)는 감광 드럼에 광을 노광시키기 위한 광원이고, 발광 소자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발광점 열을 갖고 있다. 광 프린터 헤드를 구비하는 광 프린터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원통형의 드럼(2) 표면에 아모퍼스(amorphous) Si 등의 광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감광체)가 만들어져 있다. 이 드럼은 프린터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회전하고 있는 드럼의 감광체 표면을 대전기(4)로 한결같이 대전시킨다. 그리고, 광 프린터 헤드(6)에서, 인자하는 도트 이미지의 광을 감광체 상에 조사하고, 광이 접촉한 부분의 대전을 중화한다. 계속해서, 현상기(8)에서 감광체 상의 대전 상태에 따라서, 토너를 감광체 상에 붙인다. 그리고, 전사기(10)에서 카세트(12) 중으로부터 보내져 온 용지(14) 상에, 토너를 전사한다. 토너(1)는 정착기(16)에서 열 등이 가해져서 용지에 정착되고, 용지는 스태커(stacker; 18)에 보내진다. 한편, 전사가 종료한 드럼은, 소거 램프(20)로 대전이 전체면에 걸쳐 중화되고, 청소기(22)로 남은 토너가 제거된다.
광 프린터 헤드(6)의 구조를 도 2에 도시한다. 광 프린터 헤드는 발광 소자 어레이(24)와 로드 렌즈 어레이(26)로 구성되고, 렌즈의 초점이 감광 드럼(2) 상에 맺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광 프린터 헤드에서는, 발광점 열은 선형으로 배열된 1열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1열의 발광점으로 이루어지는 광 프린터 헤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1화소의 노광량은 점등된 1개의 발광점의 광량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1열의 발광점의 광 프린터 헤드에서는, 1화소의 노광량을 증대시킬 수 없다.
(2) 1열의 발광점 열을 갖는 광 프린터 헤드에서는, 화소 밀도는 발광점의 배열 피치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발광점의 배열 피치는 발광 소자 어레이의 제조 조건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1열의 발광점 열을 갖는 광 프린터 헤드에서는, 화소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3)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 나온 광은, 로드 렌즈 어레이를 지나서 감광 드럼 상에 노광된다. 이 때, 로드 렌즈 어레이에 기복(起伏; undulation)이 있으면, 기복의 영향을 받아, 로드 렌즈 어레이 통과 후의 광점 열이 직선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4) 발광 소자 어레이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 어레이 칩을 배열하는 것에 의해 제작되지만, 칩이 기울어 부착되는 것에 의해, 광점 열이 직선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광 프린터 헤드, 특히 발광점 열을 2열 이상 갖는 광 프린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이 이러한 광 프린터 헤드의 점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 프린터 헤드를 구비하는 광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광 프린터 헤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발광점 열이 2열 있는 LED 어레이 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부주사 방향으로 감광 드럼이 회전하여 가면서, 노광되어 가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부주사 방향으로 감광 드럼이 회전하여 가면서, 노광되어 가는 다른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광 프린터 헤드에 사용되는 LED 어레이 칩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로드 렌즈를 통과한 후의 광점 열이, 로드 렌즈의 기복의 영향을 받아 직선으로부터 어긋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광점 열의 어긋남을 보정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칩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1화소의 노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 프린터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소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광 프린터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광 드럼 상의 광점 열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는 광 프린터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광 프린터 헤드의 점등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감광 드럼을 노광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을 갖는 발광 소자 어레이와,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투영하여 광점 열을 형성하는 로드 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주(主)주사 방향에 동일 피치를 갖고, 각 발광점 열의 발광점이,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부(副)주사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열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주주사 방향에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발광점 열의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의 어레이 또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의 어레이로 할 수 있다.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의 어레이는,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발광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는, 전송 동작을 위한 전압 또는 임계 전류의 제어 전극을 갖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를 전송 소자로서 복수개 배열하고, 각 전송 소자의 상기 제어 전극을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전송 소자의 제어전극에, 전기적으로 일 방향성을 갖는 전기 소자를 개재시켜 접속함과 동시에, 각 전송 소자의 제어 전극에 전원 라인을 부하 저항을 개재시켜 접속하고, 또한 각 전송 소자에 클록 펄스 라인을 접속하여 형성한 전송부와,
발광 동작을 위한 임계 전압 또는 임계 전류의 제어 전극을 갖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를 발광 소자로서 복수개 배열한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 제어 전극을 상기 전송 소자의 제어 전극과 전기적 수단으로 접속하고, 각 발광 소자에 발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을 갖는 발광 소자 어레이와,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투영하여 광점 열을 형성하는 로드 렌즈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주주사 방향에 동일 피치를 갖고, 각 발광점 열의 발광점이,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의 발광점의 점등 방법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에 나란히 복수의 발광점의 점등을 선택함으로써, 화소의 누적 노광량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의 발광점의 광량을 전부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발광점 열 단위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광 드럼 상의 광점 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의 발광점의 점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광 프린터 헤드에 사용되는, 발광점 열이 제 1 열 및 제 2 열의 2열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 칩(30)을 도시한다. 도면 중, 32는 본딩 패드를, 34는 발광점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p는 발광점의 주주사 방향 피치를, d는 발광점의 부주사 방향 피치를 나타낸다. 여기에, 주주사 방향은 감광 드럼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이고, 부주사 방향은 감광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 d는, 부주사 방향의 분해능의 정수배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2열의 발광점 열을 가진 광 프린터 헤드(6)에 의한 노광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6a는 제 1 열의 발광점 열을, 6b는 제 2 열의 발광점 열을 도시한다. 그리고, 제 1 열의 발광점 및 제 2 열의 발광점의 광량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4는, 부주사 방향에 감광 드럼이 회전해 가면서 감광 드럼이 2열의 발광점 열에서 노광되어 가는 모양(樣子)을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메저(升; measure)가 1화소를 나타내고, 광 프린터 헤드(6)에 있어서 흑색으로 전부 칠하고 있는 메저가 점등하고 있는 발광점을 나타낸다. 또한, 숫자 "0"은 노광되지 않은 화소를, "1"은 1회 노광된 화소를, "2"는 2회 노광된 화소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회 노광은 제 1 열의 발광점 열(6A)에서 노광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2회 노광은, 우선 제 1 열의 발광점 열(6A)에서 노광된 화소가, 계속해서 제 2 열의 발광점 열(6B)에서 노광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발광점이 2열의 헤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화소에 대하여 0,1, 2의 3단계의 노광 상태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프린터 헤드에 의하면, 종래의 발광점이 1열인 것과 비교하여, 화소의 누적 노광량이 최대 2배가 되기 때문에, 인쇄 속도를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2배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열 발광점의 광 프린터 헤드를 나타내었지만, 3열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5는 2열의 발광점 열을 가진 헤드에 의한 다른 노광 예를 도시한다. 앞선 예에서는, 발광점의 제 1 열과 제 2 열은 동일한 광량으로 하였지만, 여기서는, 제 2 열의 발광점의 광량을 제 1 열의 발광점의 광량의 2배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 1 열과 제 2 열의 발광점에서의 광량을 바꾸는 것에 의해, 2열 헤드로, 0, 1, 2, 3의 4단의 노광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단, 제 1 열의 발광점의 광량은 제 2 열의 발광점의 광량의 반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4의 방식과 비교하여 화소의 누적 노광량이 최대 1.5배에 밖에 되지 않고, 프린터의 인쇄 속도의 점에서는 도 4의 방식쪽이 유리하다.
이 노광예에서는, 2열 발광점의 광 프린터 헤드를 나타내었지만, 3열 이상의 발광점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도 6은 광 프린터 헤드에 사용되는 다른 예의 LED 어레이 칩(36)을 도시한다. 32는 본딩 패드, 34는 발광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주사 방향 피치(p), 부주사 방향 피치(d)로 배열된 제 1및 제 2의 2 열의 발광점 열을 가진 LED 어레이 칩(36)을 사용하여, 광 프린터 헤드를 구성한다. 여기서는, 제 1 열과 제 2 열의 발광점 열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 피치(p/2) 주주사 방향에 어긋난 배치로 되어 있다. 발광점 열의 부주사 방향 피치(d)는, 부주사 방향의 분해능의 정수배가 되도록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의 LED 어레이 칩을 사용함으로써, 도 3의 헤드와 비교하여 주주사 방향 화소 밀도가 2배인 헤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 어레이(24)로부터 출사된 광은, 로드 렌즈 어레이(26)를 지나서, 감광 드럼(2) 상에 입사한다. 로드 렌즈 어레이(2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렌즈(50)를 예를 들면 가마니(俵) 모양으로 쌓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LED(39)의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1열의 발광점 열(40)로부터 나온 광은 로드 렌즈 어레이(26)를 통과한다. 통과 후의 광은, 감광 드럼(2) 상에 입사하고, 광점 열(42)을 형성한다(각 광점을 41로 도시한다). 광 점열(42)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렌즈 어레이(26)의 기복의 영향을 받아 직선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LED 어레이를 복수의 발광점 열로 구성한다.
도 8은 4열의 발광점 열로 이루어지는 LED 어레이(44)를 구비하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발광점을 동시에 발광시킴으로써, 광 점의 3단계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도시한 LED 어레이(44)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동시에 발광하고 있는 인접하는 2개의 발광점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한 발광점 열(46)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로드 렌즈 어레이(26)를 통과하여, 감광 드럼(2) 상에 입사하는 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어레이(44)의 점등해야 할 발광점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로드 렌즈 어레이(26)의 기복의 영향을 보정하고, 거의 직선형의 발광점 열이 얻어진다.
또한, 동일한 수법으로, 칩이 기울어 설치되는 것에 의한 광점 열의 어긋남의 보정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이상의 3개의 실시예는, 발광 소자 어레이로서 LED 어레이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를 광 프린터 헤드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본 실시예의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다. 이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는 본 출원인에 관련되는 일본 특개평 2-263668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공보의 내용은, 이 명세서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9의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는 기본적으로 전송부(60)와, 제 1 발광부(62)와, 제 2 발광부(64)로부터 구성된다. 제 1 발광부(62)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 1 발광점 열에 상당하고, 제 2 발광부(64)는, 제 2 발광점 열에 상당한다.
전송부(60)는, 전송 소자로서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 T-1, T0, T1,…)를 사용하고 있다. 각 발광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극(…, G-1, G0, G1, …)에는, 부하저항(RL)을 개재시켜 전원 전압(VGA)(-5V)가 인가된다. 또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간은 전기적 상호 작용을 만들기 위해서 다이오드(…, D-1, D0, D1, …)를 개재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발광 사이리스터의 캐소드(cathode) 전극에, 2개의 전송 클록 라인(ψ1, ψ2)이 각각 1소자 건너서 접속된다. 도면 중, ψs는 스타트 펄스를 나타낸다.
제 1 발광부(62) 및 제 2 발광부(64)는 각각 기록용의 발광 소자로서,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 L1-1, L10, L11, …), (…, L2-1, L20, L21,…)의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발광부(62, 64)의 각 발광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전송부(60)가 대응하는 발광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발광 사이리스터(…, L1-1, L10, L11, …)의 캐소드 전극, 발광 사이리스터(…, L2-1, L20, L21,…)의 캐소드 전극에는, 각각 기록 신호(ψI1, ψI2)가 더해진다.
전송부(6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송 클록(ψ1)이 로우 레벨이 되고, 발광 사이리스터(T0)가 온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의 특성으로부터 게이트 전극(G0)은 영 볼트 부근까지 올라간다. 이 때, 저항(RL), 다이오드(…, D-1, D0, D1, …)의 네트워크로부터 각 발광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결정된다. 그리고 발광 사이리스터(T0)에 가까운 발광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가장 상승하고, 이후 차례로 T0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의해서 게이트 전압은 하강되어 간다.
그러나, 다이오드 특성의 일방향성, 비대칭성으로부터, 전압을 낮추는 효과는, 발광 사이리스터(T0)의 우측 방향으로 밖에 작용하지 않는다. 즉, 게이트 전극(G1)은 G0에 대하여, 다이오드의 순방향 상승 전압(Vdif)만큼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고, 게이트 전극(G2)은 G1에 대하여, 더욱이 다이오드의 순방향 상승 전압 (Vdif)만큼 낮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한편, 발광 사이리스터(T0)의 좌측의 게이트 전극(G-1)은 다이오드(D-1)가 역 바이어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따라서 전원 전압(VGA)과 동전위가 된다.
다음의 전송 클록 펄스(ψ2)는 가장 근접한 발광 사이리스터(T1, T-1, T3, T-3) 등에 인가되지만, 이들 중에서, 가장 턴 온 전압이 높은 발광 사이리스터는 T1이고, T1의 턴 온 전압은 게이트 전극(G1)의 게이트 전압(+Vdif)이지만, 이것은 Vdif의 약 2배이다. 다음에 턴온 전압이 높은 발광 사이리스터는 T3이고, Vdif의 약 4배이다. T-1과 T-3의 턴 온 전압은, 약 VGA+ Vdif가 된다.
이상으로부터, 전송 클록 펄스의 로우 레벨 전압을, Vdif의 약 2배로부터 Vdif의 약 4배의 사이로 설정해 두면, 발광 사이리스터(T1)만을 온시킬 수 있고, 전송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발광부(62)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전송 소자(T0)가 온 상태에 있다고 하면, 게이트 전극(G0)의 전압은, 전원 전압(VGA)(-5볼트)보다 상승하여, 거의
영 볼트가 된다. 따라서, 기록 신호(ψI1)의 전압이 PN 접합의 확산 전위(약 1 볼트 이하) 이하이면, 발광 사이리스터(L10)를 발광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게이트 전극(G-1)은 약 -5 볼트이고, 게이트 전극(G1)은 약 -1 볼트가 된다. 따라서, 발광 사이리스터(L1-1)의 기록 전압은 약 -6 볼트, 발광 사이리스터(L11)의 기록 전압은 약 -2 볼트가 된다. 지금부터, 발광 사이리스터 (L10)만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신호(ψI1)의 전압은, 약 -1 내지 -2 볼트의 범위가 된다. 발광 사이리스터(L10)가 온, 즉 발광 상태에 들어가면, 다른 발광 사이리스터가 선택되어 버리는 에러는 막을 수 있다.
발광 강도는 기록 신호(ψI1)에 흘리는 전류량으로 정해지고, 임의의 강도로 화상 기록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 상태를 다음의 발광 사이리스터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록 신호(ψI1)의 전압을 한번 0 볼트까지 떨어뜨려, 발광하고 있는 소자를 일단 오프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제 2 발광부(64)의 동작은 제 1 발광부(62)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재차의 설명은 행하지 않는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칩(1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칩(110)에는, 전송부(60)와, 2열의 발광점 열(62, 64)과, 복수개의 본딩 패드(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는, 도 3에 도시한 LED 어레이와 같이, 광 프린터 헤드에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LED 어레이에서는, 발광점과 본딩 패드가 1대 1로 결선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열의 발광점 열의 경우와, 본딩 패드의 수도 열 수배로 되지만,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에서는, 예를 들어 발광점 열이 1열 증가하면 본딩 패드가 1개 증가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칩 사이즈를 증대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 드럼에 광을 노광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1) 노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2) 화소 밀도를 높일 수 있고,
(3) 로드 렌즈 어레이의 기복이나, 칩의 경사 배치에 의한 광점 열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고,
(4)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1)

  1. 감광 드럼을 노광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을 갖는 발광 소자 어레이, 및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투영하여 광점 열을 형성하는 로드 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축 방향에 평행한 주주사 방향에 동일 피치를 갖고, 각 발광점 열의 발광점이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열 이상의 각 발광점 열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주주사 방향에 동일 피치를 갖고, 각 발광점 열의 발광점이 상기 주주사 방향에 어긋나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점 열의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의 어레이 또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의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의 어레이는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의 발광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주사형 발광 소자 어레이는 전송 동작을 위한 임계 전압 또는 임계 전류의 제어 전극을 갖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를 전송 소자로서 복수개 배열하고, 각 전송 소자의 상기 제어 전극을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전송 소자의 제어 전극에 전기적으로 일 방향성을 갖는 전기 소자를 개재시켜 접속함과 동시에, 각 전송 소자의 제어 전극에 전원 라인을 부하 저항을 개재시켜 접속하고, 또한 각 전송 소자에 클록 펄스 라인을 접속하여 형성한 전송부와,
    발광 동작을 위한 임계 전압 또는 임계 전류의 제어 전극을 갖는 3 단자 발광 사이리스터를 발광 소자로서 복수개 배열한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 소자의 각 제어 전극을 상기 전송 소자의 제어 전극과 전기적 수단으로써 접속하며, 각 발광 소자에 발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라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프린터 헤드.
  7. 제 2 항에 기재된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의 발광점의 점등 방법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에 나란하게 배열하는 복수의 발광점의 점등을 선택함으로써, 화소의 누적 노광량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의 발광점의 광량을, 전부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의 발광점의 광량을, 발광점 열 단위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10. 제 2 항에 기재된 광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의 발광점의 점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 상의 광점 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2열 이상의 발광점 열의 발광점의 점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의 선택은,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발광점을 동시 점등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KR1020017014504A 2000-03-16 2001-03-15 광 프린터 헤드의 점등 방법 KR100781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73530 2000-03-16
JP2000073530A JP4543487B2 (ja) 2000-03-16 2000-03-16 光プリンタヘッドの点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219A true KR20020012219A (ko) 2002-02-15
KR100781910B1 KR100781910B1 (ko) 2007-12-04

Family

ID=1859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504A KR100781910B1 (ko) 2000-03-16 2001-03-15 광 프린터 헤드의 점등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007064A1 (ko)
EP (1) EP1186428A4 (ko)
JP (1) JP4543487B2 (ko)
KR (1) KR100781910B1 (ko)
CN (1) CN1364117A (ko)
CA (1) CA2374034A1 (ko)
TW (1) TW562753B (ko)
WO (1) WO20010683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37B1 (ko) * 2008-11-04 2012-06-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능성 영역의 이설 방법, led 어레이, led 프린터 헤드, 및 led 프린터
US8507360B2 (en) 2008-11-04 2013-08-13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method of functional region, LED array, LED printer head, and LED pri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5971B2 (en) 2003-09-22 2008-09-16 Seiko Epson Corporatio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4165436B2 (ja) 2004-04-14 2008-10-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己走査型発光素子アレイの駆動方法、光書き込みヘッド
JP4376693B2 (ja) * 2004-04-30 2009-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露光方法および装置
US20060082297A1 (en) * 2004-10-19 2006-04-2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 lens-less LED
KR100754178B1 (ko) * 2005-08-1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발광원으로 채용한 노광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080030566A1 (en) * 2006-08-04 2008-02-07 Seiko Epson Corporatio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109550A (ja) * 2007-10-26 2009-05-21 Adtec Engineeng Co Ltd 直描露光装置
JP6311506B2 (ja) * 2014-07-11 2018-04-18 株式会社リコー 露光装置
JP6365104B2 (ja) * 2014-08-15 2018-08-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25416B2 (ja) * 2017-02-23 2021-02-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書込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087690B2 (ja) * 2018-06-04 2022-06-2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発光装置、光計測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991824A (zh) * 2019-04-19 2019-07-09 刘勇 一种可用于打印机/复印机上的光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1030568A (ja) * 2019-08-23 2021-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1039236A1 (ja) * 2019-08-23 2021-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の発光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271A (ja) * 1989-04-27 1991-03-11 Asahi Optical Co Ltd 光学式プリンターヘッド
JPH08104027A (ja) * 1994-10-05 1996-04-23 Rohm Co Ltd Ledプリントヘッド
DE69529417T2 (de) * 1994-10-05 2003-09-25 Rohm Co Ltd Led-druckkopf
JPH11170598A (ja) * 1997-12-15 1999-06-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179954A (ja) * 1997-12-19 1999-07-06 Canon Inc 露光装置
JPH11198429A (ja) * 1998-01-09 1999-07-27 Canon Inc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37B1 (ko) * 2008-11-04 2012-06-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능성 영역의 이설 방법, led 어레이, led 프린터 헤드, 및 led 프린터
US8420501B2 (en) 2008-11-04 2013-04-16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method of functional region, LED array, LED printer head, and LED printer
US8507360B2 (en) 2008-11-04 2013-08-13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method of functional region, LED array, LED printer head, and LE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60411A (ja) 2001-09-25
TW562753B (en) 2003-11-21
EP1186428A1 (en) 2002-03-13
CN1364117A (zh) 2002-08-14
WO2001068373A1 (fr) 2001-09-20
CA2374034A1 (en) 2001-09-20
JP4543487B2 (ja) 2010-09-15
EP1186428A4 (en) 2003-06-04
KR100781910B1 (ko) 2007-12-04
US20030007064A1 (en)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910B1 (ko) 광 프린터 헤드의 점등 방법
US8581952B2 (en) Light-emitting device, driv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light-emitting chip, print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013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hotosensitive drum exposed by linearly-arranged light emission elements having an overlap
JP5140932B2 (ja) 自己走査型発光サイリスタアレイ
US8759859B2 (en) Light-emitting element, self-scanning light-emitting element array, optical writing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25730A1 (en) Exposur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810451B1 (ko) 광 기록 헤드 및 광점열 어긋남 보정 방법
US1142903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xposure device
US11079699B2 (en) Exposur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13013B2 (ja) 発光素子ヘッド、画像形成装置、発光素子ヘッドの光量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49712A1 (en) Light-emitting chip, print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20004484A1 (ja) 画像形成装置
JP4281237B2 (ja) 自己走査型発光素子アレイチップ
JP2020150052A (ja) 半導体発光装置、露光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3595044B2 (ja) 自己走査型発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プリンタ装置
JP2020110958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16448A (ja) 自己走査型集積化発光素子アレ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H11330560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の駆動方法
CN113495455A (zh) 图像形成装置
JP2022053037A (ja) 発光素子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68931B2 (ja) 発光素子アレイ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188918A (ja) 画像形成装置
JPH1158813A (ja) Led書き込み用光源装置
JPS6357265A (ja) Ledアレイヘツドによる光書込み方法
JPH1118891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