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63A -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피리미딘-2,4,6-트리온 - Google Patents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피리미딘-2,4,6-트리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63A
KR20020011963A KR1020017010209A KR20017010209A KR20020011963A KR 20020011963 A KR20020011963 A KR 20020011963A KR 1020017010209 A KR1020017010209 A KR 1020017010209A KR 20017010209 A KR20017010209 A KR 20017010209A KR 20020011963 A KR20020011963 A KR 2002001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ancer
substituted
pyrimidi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160B1 (ko
Inventor
폴리루이스헬렌
팔레모로버트에드워드
왕핑
Original Assignee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Publication of KR2002001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60Thre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9/62Barbitur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Ⅰ의 신규 화합물, 하기 화학식 Ⅰ의 산성 화합물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 및 그의 프로드러그는 젤라티나아제-A 및/또는 젤라티나아제-B의 과발현과 관련된 암, 특히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및 위암의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 가능하며, 또한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각막궤양, 치주질환 등을 포함하는 통제되지 않는 세포외 매트릭스 퇴행과 관련된 다른 질병에도 유용하다 :
[화학식 Ⅰ]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릴옥시 또는 알킬알콕시이고, R2는 아릴옥시이다].

Description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 피리미딘-2,4,6-트리온 {PYRIMIDINE-2,4,6-TRIONES AS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의 화합물, 하기 화학식 Ⅰ의 산성 화합물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 및 그의 프로드러그(prodrug)에 관한 것이다 :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릴옥시 또는 알킬알콕시 이고
R2는 아릴옥시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젤라티나아제-A 및/또는 젤라티나아제-B의 과발현과 관련된 암, 특히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및 위암의 치료 또는 억제에 유용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저해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多發性硬化症), 각막궤양(角膜潰瘍), 치주질환 등을 포함하는 통제되지 않는 세포외 매트릭스 퇴행과 관련된 다른 질병에도 유용하다.
프로드러그는 생리적 조건하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 프로드러그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아실 또는 알킬메틸 에테르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알킬" 이라는 용어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부틸, 및 펜틸, 헥실 등과 같은, 최대 13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킬"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예, 히드록시, 할로겐, 및 아릴)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알케닐" 이라는 용어는 에테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등과 같은, 최대 13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7개,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한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케닐"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예, 히드록시, 할로겐, 및 아릴)로 치환된 알케닐을 의미한다.
"알키닐" 이라는 용어는 최대 13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7개,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한개 이상의 삼중 결합을 갖는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키닐"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예, 히드록시, 할로겐,및 아릴)로 치환된 알키닐을 의미한다.
"알콕시" 라는 용어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부톡시 등과 같은, 최대 11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콕시" 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예, 히드록시, 할로겐, 및 아릴)로 치환된 알콕시를 의미한다.
알킬알콕시라는 용어는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기와 알콕시 또는 치환된 알콕시 기와의 조합을 의미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아릴" 이라는 용어는, 비(非)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예, 알킬, 히드록시, 알콕시, 및 할로겐)로 치환된 방향족 카르보시클릭 고리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의미한다. 방향족 카르보시클릭 고리의 예는 페닐 및 나프틸이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예는 피리디노, 피롤로, 티에닐, 피라잘로, 이미다잘로, 티아잘로, 옥사잘로, 트리아잘로, 테아트라잘로, 옥사디아잘로, 티아디아졸로, 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벤지니다잘로, 벤조트리아잘로, 퀴놀롤릴, 이소퀴놀릴, 및 인돌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아릴은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치환기(예, 할로겐, 알킬, 히드록시, 알콕시 및 할로겐)를 갖는 페닐기이다.
"할로겐" 이라는 용어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아실" 이라는 용어는 알칸산으로부터 유도된 기(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또는 부티릴), 또는 벤조일과 같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기를 의미한다. 알칸산에서 치환기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하기 기가 포함된다 : 히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할로겐, 티오알킬, 카르복시,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알킬 술피닐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에서 치환기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하기 기가 포함된다 : 할로겐, 알킬, 히드록시, 벤질옥시, 알콕시,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등.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R1은 수소, 최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최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 알킬(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메틸) 또는 최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 알콕시(바람직하게는 벤질옥시)이다.
바람직하게, R2는 파라 위치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R2는 페녹시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5-헥실-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5-벤질옥시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및 5-(2-히드록시에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이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 Ⅰ-Ⅱ에 의하여 제조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 Ⅰ로 제조 될 수 있다.
화학식 Ⅲ의 화합물은 테트라히드로푸란(THF)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화학식 Ⅱ의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와 같은 강염기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이어서 수득된 음이온을, 실온 내지 환류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또는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시켜 화학식 Ⅲ의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화학식 Ⅳ의 화합물은, 환류하면서 메탄올 중 소듐 메톡시드와 같은 염기성 용액에서, 화학식 Ⅲ의 화합물을 우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THF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화학식 Ⅳ의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와 같은 강염기와 반응시켜 음이온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상기 음이온을, 실온에서 환류까지의 온도에서, 요오드화 메틸, 헥실 브로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또는 벤질 클로로메틸 에테르와 같은 할로겐화 알킬로 처리한다. 이어서 N-치환-2,4,6-트리온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제거시켜, 목적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Ⅱ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 Ⅱ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도 있다.
화학식 Ⅴ의 화합물은 THF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화학식 Ⅲ의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와 같은 강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수득한 음이온을, 실온에서 환류까지의 온도에서, 요오드화 메틸, 헥실 브로마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또는 벤질 클로로메틸 에테르와 같은 할로겐화 알킬로 처리한다.
R1이 히드록시메틸인 화학식 Ⅴ의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Ⅴ의 화합물은 또한 THF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화학식 Ⅲ의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와 같은 강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수득한 음이온을 에틸렌 옥시드와 반응시킨다. 대안적으로, R1이 히드록시메틸인 화학식 Ⅴ 화합물의 경우, 화학식 Ⅴ의 화합물은 또한, 오존으로 화학식 Ⅲ의 화합물, 디메틸 2-(2-프로페닐)-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의 산화 분해(cleavage)를 수행하고, 수득된 오존화물을 포스핀 또는 티올로 환원시켜 알데히드를 수득하고, 이어서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여 알콜로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80-100℃에서 페이스트인 Mg(OCH3)2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완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화학식 Ⅴ의 화합물을 우레아와 함께 가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하다면, 화학식 Ⅰ의 산성 화합물을 공지된 방식으로, 염기로 약학적 허용가능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적합한 염은 예로,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 염과 같은 무기 염기뿐만 아니라, 에틸렌디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로부터도 유도된 것이다.
프로드러그는 예로,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식 Ⅰ의 화합물과 활성화된 산을 반응시키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식 Ⅰ의 화합물과 할로메틸알킬 에테르를 반응시켜 제조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 그들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 및 프로드러그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를 억제하므로 젤라티나아제-A 및/또는 젤라티나아제-B의 과발현과 관련된 암, 특히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및 위암의 치료 또는 억제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각막궤양, 치주질환 등을 포함하는 통제되지 않는 세포외 매트릭스의 퇴행과 관련된 다른 질병에도 유용하다.
인간 72 kDa 젤라티나아제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태아 폐 섬유아세포 (fibroblast)의 조정 배지로부터 정제하였다. 상기 효소는 -80℃에서 대용형으로 저장되었고, 사용전에 37℃에서 1시간동안 1mM 의 아미노페닐 머큐리아세테이트(APMA)로 처리하여 활성화시켰고, 이어서, 사용전에 반응 완충액에 대해 투석하였다. 인간 호중구(neutrophil) 젤라티나아제(95 kDa 젤라티나아제)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NSO-세포의 조정 배지로부터 정제하였다. 상기 효소를 마찬가지로 -80℃에서 효소원(zymogen) 형태로 저장하였다. 상기 효소를 트립신(5㎍/mL)으로 37℃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고, 이어서 소의 췌장 트립신 저해제를 50㎍/mL까지 첨가하여 활성화시켰다. 인간 매트릴리신을 유비퀴틴(ubiquitin) 융합 구성체로서 박테리아 발현 시스템으로부터 수득하였다 (Welch, A.R., Holman, C.M., Browner, M.F., Gehring, M.R., Kan, C.C., & Van Wart, H.E.(1995) Arch. Biochem. Biophys. 324, 59-64). 1mM APMA(1시간, 37℃)로 활성화시킨 후, 매트릴리신의 성숙한 형태를 정제하였으며, 상기 활성 효소를 -80℃에서 저장하였다. 인간 콜라게나아제-3의 촉매 도메인을 매트릴리신과 비슷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콜라게나아제-3의 최종 형태는 전체 길이 콜라게나아제 서열로부터 잔류(residue) Tyr104-Asn274로 구성되었다. 인간 스트로멜리신-1의 촉매 도메인은 공지된 방법에 따른 대장균의 발현 및 정제를 거쳐 제조하였고; 상기 활성화된 촉매 도메인은 -80℃에서 저장하였다.
상기 분석 방법은 형광 발생 기질을 이용하였다 : Dnp-Pro-Cha-Gly-Cys(Me)-His-Ala-Lys(NMA)-NH2(Dnp = 디니트로 페닐; Cha = 시클로헥실알라닌; Cys(Me) = S-메틸 시스테인, Lys(NMA) = Nε-메틸-안트라노일-1-리신). 모액은 DMSO에서 제조하였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저해제)의 모액 또한 DMSO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반응은 효소에 대한 상기 지시된 완충액에서, 5%(v/v)의 총 최종 DMSO 수준을 갖는다.
젤라티나아제-A 및 젤라티나아제-B에 대해, 완충액은 pH 7.5, 50 mM 트리스HCl, 200mM NaCl, 5mM CaCl2, 20 μM ZnCl2, 0.05%(wt/v)Brij-35이다. 매트릴리신 및 콜라게나아제-3의 상기 촉매 도메인에 대해, 완충액 조성물은 pH 7.5, 50 mM Hepes, 200mM NaCl, 5mM CaCl2, 20 μM ZnCl2, 0.05%(wt/v)Brij-35이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최종 기질의 농도는 10 μM 이다. 효소에 대한 대략적인 농도는 젤라티나아제-A, 0.8 nM; 젤라티나아제-B, 0.5 nM; 콜라게나아제-3, 0.4 nM; 매트릴리신, 10 nM 이다. 펩티드 분해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완충액 및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기를 37℃에서 예비 평형시키고, 이어서 효소 및 기질의 농축된 원료의 연속적인 첨가에 의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37℃에서 항온 배양을 지속하였다. 30 내지 120분의 연속적인 시간 지점에서, 50㎕의 분석 분취량을 채취하고, 검은색의 평평한 바닥 마이크로타이터(microtiter) 플레이트의 웰(well) 내의 150㎕의 30mM EDTA(pH 7.4)에 첨가하여 상기 효소반응을 중지하였다. 기질의 전환도는 중지된 반응의 형광(여기 파장: 355nm; 방출파장: 460nM)을 판독하여 측정하였다. 저해재의 부재하에서 양성 대조가 실행되었으며; 음성 대조는 효소를 갖지 않았으며 무시할만한 자발적 분해를 나타냈다.
형광 대 시간(30-120 분)의 플롯은 선형이고; 표준에 비하여 모든 예에서 20% 미만의 기질 전환을 나타냈다. 각 저해제 농도에서의 속도는 형광 시간에 대한 선형 최소제곱법으로부터 수득되었다. 저해제 농도 [I]에서, 억제 백분율은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
%inh[I] = 100(1-rate[I]/ratePC)
[상기 식 중,
%inh[I] = 저해제 농도 [I]에서 억제 백분율
rate[I] = 저해제 농도 [I]에서 속도
ratePC = 양성 대조의 속도].
저해제에 대한 IC50은 %inh[I]의 농도 의존성을 간단한 결합 등온식에 적용시켜 수득하였다:
%inh[I] = 100([I]/(IC50+[I])).
스트로멜리신-1에 대한 측정: 동일한 기질을 사용하지만 변형 프로토콜로 스트로멜리신-1의 촉매 도메인을 시험하였다. 분석 완충액은 pH 6.5, 50 mM Mes, 2.5 mM EDTA, 5 mM CaCl2, 및 0.05%(wt/v) Brij-35 였다. 상기 기질 농도는 10μM이고 효소 농도는 10 nM였다. 반응은 주위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완충액, 기질, 및 저해제의 적당한 부분을 검은색의 평평한 바닥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서 배합하였다. 상기 반응은 분취량 효소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개시되었고, 발생하는 형광을 60분 후에 직접 판독하였다. 저해제의 부재하에서 양성 대조가 수행되었다. 음성 대조는 효소가 없었고, 분석의 과정동안 한정된 증가를 나타냈으며; 효소의 반응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이 배경 형광을 양성 대조 및 억제된 반응에 대한 수치로부터 제거하였다. 상기 %inh[I]는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inh[I] = 100(1-Fluor[I]/FluorPC)
[상기 식 중,
Fluor[I] = 저해제 농도 [I]에 대해 60분에서 관찰된 교정된 형광
FluorPC = 양성 대조에 대해 60분에서 관찰된 교정된 형광].
이어서, 저해제에 대한 IC50을 상기 %inh[I]를 상기에 기술된 단일 부위 결합 등온식에 적용하여 수득하였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에 대한 IC50은 하기 표에 제공된다.
A = 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B = 5-헥실-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C = 5-벤질옥시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D = 5-(2-히드록시에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 그들의 염 및 프로드러그는, 예로,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젤라틴 캡슐, 용액, 에멀전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투여될 수 있는 약학적 제제의 형태의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예를 들어 좌약 형태로 직장 투여가 가능하며 또한 예를 들어 주사 용액 형태로 비경구 투여도 가능하다.
약학적 제제의 제조를 위해, 이들 화합물은 치료상으로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담체와 배합될 수 있다. 락토오스, 옥수수 전분 또는 그의 유도체, 탤크,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은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및 경질 젤라틴 캡슐용 담체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연질 젤라틴 캡슐용 담체는 식물성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또는 액체 폴리올이다. 그러나, 연질 젤라틴 캡슐의 경우,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통상적으로 담체가 요구되지 않는다. 용액 및 시럽의 제조용으로 적합한 담체는, 물, 폴리올, 자당, 전화당, 및 글루코스이다. 주사 용액용으로 적합한 담체는 물, 알콜, 폴리올, 글리세린 및 식물성 오일이다. 좌약용으로 적합한 담체는 천연 또는 경화된 오일, 왁스, 지방 빛 반액체 폴리올이다.
약학적 제제는 또한 보존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습윤제, 현탁화제, 감미료, 색소, 향료, 삼투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염, 완충액, 코팅제 또는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그들 이외의 치료상으로 가치있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 그들의 상기 염 및 프로드러그는 젤라티나아제-A 및/또는 젤라티나아제-B의 과발현과 관련된 암, 특히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및 위암의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각막궤양, 치주질환 등을 포함하는 통제되지 않는 세포외 매트릭스의 퇴행과 관련된 다른 질병에도 유용하다. 복용량은 넓은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고, 각각의 특별한 경우의 개인적 필요조건에 따라 조정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성인에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 적절하다고 밝혀진 경우 상한선이 초과될 수 있지만, 약 10mg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100mg 내지 500mg의 일일 복용량이 적당하다. 일일 복용량은 1회 또는 여러번의 투약량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비경구 투여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주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기 예는 제한없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의미하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건조 THF(30mL) 중 NaH의 현탁액(1.02g, 헥산으로 세척된, 광유 중 NaH 60% , 0.61g, 25.6mmol)에 건조 THF(10mL) 중 메틸(4-페녹시페닐)아세테이트(2.7g, 11.1mmol)을 첨가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디메틸카르보네이트(4.0g, 3.75 mL, 44.4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도록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N HCl(60 mL)로 퀀칭(quenching)하고, 에테르(2×100mL)로 추출하였다. 상기의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물 이어서, 염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농축시키고, 15% EtOAc/헥산으로 용출되는 HPLC(porasil)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2.56g의 디메틸 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200 mHz, CDCl3)δ7.39-6.92(9H,m), 4.65(1H,s), 3.75(6H,s).
실시예 2
NaOCH3용액(0.23g 의 Na 금속을 7.2 mL의 건조 CH3OH와 반응시켜 제조됨)에, 디메틸 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1.0g, 3.33mmol), 이어서 우레아(0.4g, 6.66mmol)을 첨가하였다. 수득한 백색의 반응 혼합물을 24시간동안 환류하였고, 이어서 0℃까지 냉각시키고, 3N 의 HCl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백색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900mg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들은 EtOAc/헥산(1:1)과의 분쇄에 의하여 더 정제되어, 백색 분말인 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830mg)을 산출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3:2 케토/에놀 형태 δ11.38(2×NH 케토 형태, s), 10.58(2×NH 에놀 형태, s), 7.46-6.91(9H, m), 4.85(H-5, s); C16H12N2O4에 대한 HRMS 계산치 296.0796; 측정치 296.0806으로 밝혀짐.
실시예 3
비활성 대기하에서 수행되었다 :
건조 THF 중 NaH의 현탁액(16.21g,광유 중 60%, 9.72 mg, 0.405 mmol)에 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100mg, 0.34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48.2mg, 0.34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부가적인 NaH(24mg,광유 중 60%, 14mg, 0.60 mmol), 이어서 요오드화메틸(96.4mg, 0.86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밤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EtOAc로 희석시켰고, 이어서 1N HCl로 퀀칭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물, 염류 용액으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키고, 이어서 30% EtOAc/헥산 및, 이어서 50% EtOAc/헥산 및 끝으로 EtOAc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플레이트(1000 마이크론)를 갖는 크로마토트론 (Chromatotron)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3-디-N-메틸-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7.3mg) 및 1-N-메틸-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10.0mg) 및, 이어서 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27mg)을 용출 순서대로 수득하였다.
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의 스펙트럼 :1H NMR(200 mHz, CD3OD) δ7.37-6.95(9H, m), 1.77(3H, s); C17H14N2O4에 대한 HRMS 계산치 310.0954; 측정치 310.0963.
1-N-메틸-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의 스펙트럼 :1HNMR(200 mHz, CDCl3) δ8.38(1NH, s), 7.39-6.92(9H, m), 3.31(3H, s), 1.86(3H, s); C18H16N2O4에 대한 HRMS 계산치 324.1110; 측정치 324.1116.
1,3-디-N-메틸-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의 스펙트럼 :1H NMR(200 mHz, CDCl3) δ7.38-6.91(9H, m), 3.34(6H, s), 1.85(3H, s); C19H18N2O4에 대한 HRMS 계산치 338.1267; 측정치 338.1267.
실시예 4
단계 1 :
비활성 대기하에서 수행되었다:
건조 THF(20mL) 중 NaH(144mg, 헥산으로 세척된, 광유 중 60%, 86.4mg, 3.6 mmol)의 현탁액에 디메틸 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900mg, 3.0mmo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1-요오도헥산(1.27g, 0.89 mL, 6.0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가열하여 밤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1N HCl(20mL)로 퀀칭하였으며, 에테르(2×40mL)로 추출하였다. 상기의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포화 Na2S2O3, 물, 이어서 염류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건조하고(Na2SO4), 농축시키고, 13% EtOAc/헥산을 사용하여 용출되는, 실리카겔 플레이트(4000 마이크론)를 갖는 크로마토트론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점성 오일로서 950mg의 디메틸 2-(4-페녹시페닐)-2-n-헥실말로네이트를 수득하였다.1HNMR(200 mHz, CDCl3) δ7.39-6.92(9H, m), 3.75(6H, s), 2.10(2H, t), 1.29(8H, m), 0.87(3H, t).
단계 2 :
Mg(OCH3)2는 하기와 같이 제조되었다 :
아르곤 하에서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Mg 튜닝(tuning)(90mg, 3.70mmol), 건조 CH3OH(2mL), 2방울의 CCl4및 촉매량의 Mg 분말을 첨가하였다. 발열 반응이 일어났고 수소 기체 발생이 관찰되었다. 초기 발열 반응이 가라앉은 후,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디메틸 2-(4-페녹시페닐)-2-n-헥실말로네이트(500mg, 1.30mmol) 및 우레아(162mg, 2.70mmol)를 상기 Mg(OCH3)2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85-90℃에서 가열하였고, 이어서 유체-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과량의 CH3OH를 증류하여 제거하였고, 상기 페이스트를 85-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이어서 1N HCl로 세척하였다. EtOAc로 상기 산성 수성층을 재추출하였다. 조합된 EtOAc 추출물을 물, 염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농축하였다. 수득한 오일을 용출액으로 30%의 EtOAc/헥산을 사용하는 HPLC(porasil)로 정제하여 백색 폼(foam)인 330mg의 5-n-헥실-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DMSO-d6) δ11.71(2NH,s),7.42-6.99(9H,m), 2.22(2H,t), 1.24(8H,m), 0.85(3H,t); C22H24N2O4에 대한 HRMS 계산치380.1736; 측정치 380.1740
실시예 5
단계 1:
비활성 대기하에서 수행되었다 :
건조 THF(30mL) 중 NaH(0.37g, 헥산으로 세척된, 광유 중 60%, 0.22g, 9.2 mmol)의 현탁액에 조심스럽게 디메틸 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2.5g, 8.33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벤질 클로로메틸 에테르(1.43g, 1.27mL, 9.16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포화 NH4Cl로 퀀칭시키고 이어서 에테르(100mL)로 추출하였다. 상기 에테르 추출물을 건조하고(MgSO4) 농축시켜 4.0g의 점성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15% EtOAc/헥산으로 용출되는 HPLC(porasil)을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점성 오일로서 2.1g의 디메틸 2-벤질옥시메틸-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를 수득하였다:1H NMR(200mHz, CDCl3) δ7.48-6.95(14H,m), 4.55(2H,s), 4.20(2H,s), 3.75(6H,s).
단계 2 :
Mg(OCH3)2는 실시예 4의 단계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기로부터 제조되었다: Mg(116mg, 4.76mmol), 건조 CH3OH(3.0mL), 1 방울의 CCl4, Mg 분말의 촉매량. 상기에 디메틸 2-벤질옥시메틸-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700.0mg, 1.67mmol), 우레아(208.0mg, 3.47mmol)을 부가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이어서 페이스트가 수득될때까지 과량의 CH3OH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한 페이스트를 85-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시예 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워크업하여, 농축후, 점성 오일(0.75g)을 수득하였고, 이는 실리카겔 플레이트(4000 마이크론)을 갖는 크로마토트론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프되고, 40% EtOAc/헥산으로 용출되어 백색 고체로서 180mg의 5-벤질옥시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을 수득하였다:1H NMR(400mHz, DMSO-d6) δ8.01(2NH,s), 7.38-6.94(15H,m), 4.58(2H,s), 4.27(2H,s); C24H20N2O5에 대한 HRMS 계산치 416.1372; 측정치 416.1383.
실시예 6
단계 1 :
건조 THF(50mL) 중 디메틸 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2.56g, 8.54mmol)의 용액을 -78℃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4.7mL(THF 중의 2M 용액, 9.8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알릴 브로마이드(11.4mg, 9.4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이어서 실온으로 가온하였으며 75℃ 오일 배스에서, TLC에 의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낼때 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1N HCl로 반응을 켄칭시켰다. 에테르로 추출하고 이어서 에테르 추출물을 건조하여(MgSO4)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tOAc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60(70-230 메시)을 통과시키는 여과로 정제하고, 이어서 11% EtOAc/헥산을 사용하는 HPLC(porasil)로 점성 오일인 1.8g의 디메틸 2-(2-프로페닐)-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δ7.4-6.85(9H,m), 5.75(1H,m), 5.05(2H,m), 3.75(6H,s), 3.1(2H,d).
단계 2 :
CH2Cl2(200mL) 중 디메틸 2-(2-프로페닐)-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 (1.8g, 5.3mmol)의 용액을 -70℃로 냉각하였고 이어서 청색이 지속될 때까지 O3를 포말화시킨다. 상기 청색 용액을 아르곤 기체로 가스를 없애고 이어서 한편, 여전히 -70℃에서 Ph3P(4.0g, 15.2mmol)로 처리하고,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한다. 농축하고 이어서 2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HPLC(porasil)로 정제하여 오일로서 1.66g의 알데히드를 수득하였다. 이들을 CH3OH(50mL)에 용해시키고 NaBH4(0.184g,4.85m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류물을 EtOAc에 용해시키고, 물, 염류 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이어서 건조하고(MgSO4), 농축시켜 1.55g의 디메틸 2-(2-히드록시에틸)-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 및 그의 유도된 락톤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
Mg(OCH3)2는 실시예 4의 단계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기로부터 제조되었다 : Mg(116mg, 4.76mmol), 3mL의 CH3OH, 1방울의 CCl4, 및 촉매량의 Mg 분말. 상기에 디메틸 2-(2-히드록시에틸)-2-(4-페녹시페닐)말로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 락톤의 상기 혼합물(521mg, 1.67 mmol) 및 우레아(228mg, 3.47mmol)를 첨가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하였고, 이어서 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과량의 CH3OH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한 페이스트를 8시간동안 85-90℃에서 가열하였으며,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반응은 EtOAc 와 10 mL 1N HCl 사이에서 분배된다. 상기 EtOAc층을 분리해내고, 건조하고(Na2SO4), 이어서 농축하여 600mg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tOAc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플레이트(2000 마이크론)를 갖는 크로마토트론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로 백색 고체로서 120mg 의 순수한 5-(2-히드록시에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을 수득하였다 :IR(KBr) 3214, 3100, 1765(sh), 1705cm-1;1H NMR(400mHz, DMSO-d6) δ11.48(2H, br s, N-H), 7.45-6.95(9H,m), 4.85(1H, t, OH), 3.50(2H,m), 2.50(2H,m); C18H16N2O5에 대한HRMS 계산치 340.1059, 측정치 340.1055.
실시예 7
정제 제형물
제조 과정
1. 항목 1,2, 및 3을 적합한 혼합기에서 15분동안 혼합한다.
2. 단계 1의 분말 혼합물을 15%의 포비돈 K30(Povidone K30) 용액(항목 4)으로 과립화시킨다.
3. 단계 2의 과립을 50℃에서 건조시킨다.
4. 단계 3의 과립을 적합한 제분 장치에 통과시킨다.
5. 항목 5를 제분된 단계 4의 과립에 첨가하고, 5분동안 혼합한다.
6. 단계 5의 과립을 적합한 압력으로 압축한다.
7. 적합한 공기 분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단계 6의 커널을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6 cps-2910, 탤크 및 티타튬 디옥시드를 함유하는 필름 코트 현탁액으로 코팅한다.
실시예 8
캡슐 제형물
제조 과정
1. 항목 1,2, 및 3을 적합한 혼합기에서 15분 동안 혼합한다.
2. 항목 4 및 5을 첨가하고, 3분동안 혼합한다.
3. 단계 2의 분말 혼합물을 적합한 캡슐에 충전한다.

Claims (14)

  1. 화학식 Ⅰ의 화합물, 화학식 Ⅰ의 산성 화합물의 약학적 허용가능 염, 및 그의 프로드러그(prodrug) :
    [화학식 Ⅰ]
    [상기 식 중, R1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콕시,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릴옥시 또는 알킬알콕시이고;
    R2는 아릴옥시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R2가 파라 위치에 존재하는 화합물.
  3. 제 2항에 있어서, R2가 페녹시인 화합물.
  4. 제 3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알콕시인 화합물.
  5. 제 3항에 있어서, R1이 치환된 알콕시 또는 알킬알콕시인 화합물.
  6. 제 3항에 있어서, R1이 벤질옥시인 화합물.
  7. 5-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8. 5-헥실-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9. 5-벤질옥시메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10. 5-(2-히드록시에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4,6-트리온.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 사용되기 위한 화합물.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기재된 화합물 및 약학적 허용가능 담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기재된 화합물의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多發性硬化症), 각막궤양(角膜潰瘍),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억제를 위한 그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의 제조에서의 용도.
  14. 특히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에 기술된 신규의 화합물, 조성물 및 용도.
KR10-2001-7010209A 1999-02-12 2000-02-09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피리미딘-2,4,6-트리온 KR100477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90399P 1999-02-12 1999-02-12
US60/119,903 1999-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63A true KR20020011963A (ko) 2002-02-09
KR100477160B1 KR100477160B1 (ko) 2005-03-17

Family

ID=2238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209A KR100477160B1 (ko) 1999-02-12 2000-02-09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피리미딘-2,4,6-트리온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65578B1 (ko)
EP (1) EP1153015B1 (ko)
JP (1) JP3655551B2 (ko)
KR (1) KR100477160B1 (ko)
CN (1) CN1147481C (ko)
AR (1) AR035008A1 (ko)
AT (1) ATE277912T1 (ko)
AU (1) AU774487B2 (ko)
BR (1) BR0008109A (ko)
CA (1) CA2361605C (ko)
DE (1) DE60014323T2 (ko)
ES (1) ES2226790T3 (ko)
PT (1) PT1153015E (ko)
TR (1) TR200102334T2 (ko)
WO (1) WO2000047565A1 (ko)
ZA (1) ZA200106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4872003A3 (en) * 2000-10-26 2004-08-03 Pfizer Prod Inc Metaloproteinase pyrimidine-2,4,6-trione inhibitors
US6841671B2 (en) 2000-10-26 2005-01-11 Pfizer Inc. Spiro-pyrimidine-2,4,6-trione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AU2002210813A1 (en) * 2000-10-26 2002-05-06 Pfizer Products Inc. Spiro-pyrimidine-2,4,6-trione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WO2003053940A1 (en) 2001-12-20 2003-07-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arbituric acid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nf-$g(a) converting enzyme (tace) and/or matrix metalloproteinases
JP2005527598A (ja) 2002-04-26 2005-09-15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トリアリール−オキシ−アリール−スピロ−ピリミジン−2,4,6−トリオン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剤
AU2003223012A1 (en) 2002-04-26 2003-11-10 Pfizer Products Inc. Pyrimidine-2, 4, 6-trione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BR0308787A (pt) 2002-04-26 2005-01-11 Pfizer Prod Inc Inibidores de metaloproteinase de n-substituìdos-heteroarilóxi-aril-espiro-pirimidina- 2,4,6-triona
NI200300045A (es) * 2002-04-26 2005-07-08 Pfizer Prod Inc Inhibidores de triariloxiariloxipirimidin-2,4,6-triona de metaloproteinasa.
AR040083A1 (es) * 2002-05-22 2005-03-16 Smithkline Beecham Corp Compuesto bis-(monoetanolamina) del acido 3'-[(2z)-[1-(3,4-dimetilfenil) -1,5-dihidro-3-metil-5-oxo-4h-pirazol-4-iliden] hidrazino] -2'-hidroxi-[1,1'-bifenil]-3-carboxilico, procedimiento para prepararlo,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procedimiento para preparar dicha composicion farmac
AU2003253165A1 (en) * 2002-08-13 2004-02-25 Warner-Lambert Company Llc Pyrimidine fused bicyclic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JP4777067B2 (ja) * 2003-08-22 2011-09-21 ジングルス・テヒノロギー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ディスク状基板の結合の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RU2400233C1 (ru) * 2009-07-07 2010-09-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ирфарм"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ечени различного генез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8624A1 (de) 1995-12-23 1997-06-26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Barbitursä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BR9810450A (pt) 1997-06-21 2000-09-05 Roche Diagnostics Gmbh Derivados de ácido barbitúrico com atividade antimetastática e antitumor
DE19726427A1 (de) 1997-06-23 1998-12-24 Boehringer Mannheim Gmbh Pyrimidin-2,4,6-trio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106214B (en) 2002-10-28
ES2226790T3 (es) 2005-04-01
DE60014323D1 (de) 2004-11-04
KR100477160B1 (ko) 2005-03-17
JP2002536439A (ja) 2002-10-29
DE60014323T2 (de) 2006-02-16
AU2908500A (en) 2000-08-29
TR200102334T2 (tr) 2002-01-21
EP1153015B1 (en) 2004-09-29
CN1147481C (zh) 2004-04-28
AU774487B2 (en) 2004-07-01
JP3655551B2 (ja) 2005-06-02
CA2361605A1 (en) 2000-08-17
PT1153015E (pt) 2004-12-31
WO2000047565A1 (en) 2000-08-17
BR0008109A (pt) 2001-11-06
EP1153015A1 (en) 2001-11-14
AR035008A1 (es) 2004-04-14
CA2361605C (en) 2009-01-27
ATE277912T1 (de) 2004-10-15
CN1339028A (zh) 2002-03-06
US6265578B1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160B1 (ko)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의 저해제로서피리미딘-2,4,6-트리온
KR0162654B1 (ko) N-(피롤로[2,3-d]피리미딘-3-일아크릴)-글루타민산 유도체
JP4854943B2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阻害剤
EP1074542B1 (en) Sulfonamide-containing indole compounds
ES2298761T3 (es) Acidos de biariloximetilarenocarboxilicos.
EP3129023A1 (en) Potent soluble epoxide hydrolase inhibitors
KR20010042841A (ko) 헤테로고리 치환된 아미드, 그의 제조 및 그의 용도
EP3130583A1 (en) Kynurenine-3-monooxygen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Z126899A3 (cs) Deriváty kyseliny piperidinketokarbonové, jejich použití a léčebný přípravek
KR20010042836A (ko) 신규 치환 아미드, 그의 제조 및 그의 용도
IL95740A (en) Diamides of pyrimidine acids - 4,6 -dicarboxylic aci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based on these
KR20010042839A (ko)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헤테로시클릭 치환체가 있는 신규 아미드
WO2001004125A1 (fr) Derives de staurosporine
JP4769460B2 (ja) 新規スルファミド類
JP2006527211A (ja) ホルモン感受性リパーゼの阻害剤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1−アリール−4−(アリールオキシカルボニル)−ピペラジン誘導体
KR20190140005A (ko) 디히드로오로테이트 옥시게나제 억제제로서의 삼치환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사용 방법
JP7317866B2 (ja) オキサボリニン環を含む新規ベンズイミドアミド化合物
JPH0725740B2 (ja) ヒドロキシピリミジン類のアシル誘導体および組成物
EP0718290A1 (en) Carboxyalkyl heterocyclic derivatives
MXPA01007975A (en) Pyrimidine-2,4,6-triones as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AU716992B2 (en) Hydroquinone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WO1999002527A1 (fr) Derives de naphthyridine
CA2335921A1 (fr) Composes acides carboxyliques et hydroxamiques inhibiteurs de metalloproteas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KR102006547B1 (ko) 벤즈아미드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7779B1 (ko) Mao-b 저해제로서 유용한 신규 헤테로아릴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